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장엽대황(금문대황)

 

 

오늘은 미리 알려드린대로

대황의 성분과 효능

그리고 주의사항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대황의 종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부분의 링크를 클릭하면

확인 할 수 있구요.

 

오늘의 사진들은 모두

제가 전에 일했던

[옴니허브]라고 불리는

제약회사의 사진을 첨부했습니다.

 

 

위 사진들의 대황은

모두 장엽대황으로

대황은 장엽대황과 탕구트대황을

중심으로 설명을 하도록 하겠습니다.

 

 

장엽대황(금문대황)     장엽대황(금문대황)

 

 

위 사진들을 보면

노란띄가 보이시나요?

저걸 금문(錦紋)이라고 하는데

장엽대황을 금문대황이라고도

부른답니다.

 

대황의 주성분은

크게 두가지인데요.

 

세노사이드(sennoside)와

안트라퀴논(anthraquinone)입니다.

 

현재 한약재를 기재한

 생약규격집에서는

세노사이드만을 유효성분으로

 규정을 하고 있지만

 

실제로 이 성분을

기준치 이상 함유하는

대황은 드물기때문에

 

안트라퀴논의 함량으로

바꿔야한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장엽대황(금문대황)   장엽대황(금문대황)

 

사실 세노사이드는 2개의 안트라퀴논이

합쳐진 복합체 구조를 가지고 있는데요

두 성분다 대장을 자극해

대장의 연동운동을 촉진해서

대장안의 노폐물을 배출하도록 하는

성분들입니다.

 

실제로 시판중에 있는

많은 변비약의 성분이 바로

세노사이드입니다.

 

 

대황은 예전부터

변비에도 사용을 해 왔지만

이질 초기와 피부의 열독(熱毒)

그리고  두드러기와

 

머리와 눈의 열감과 충혈에도

사용해왔습니다.

 

이는 대변이 대장에 정체함으로써

압력이 증가하고

이 압력을 해소하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여러가지

증상인 것으로 생각됩니다.

 

대부분의 변비약처럼

대황 또한 상시 복용을 할 경우

내성이 생겨 사용량을

증가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고,

 

변비가 매우 심한데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

딱딱한 변이 장에 상처를 내서

혈변이 생길수 있기 때문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담하신 후에

복용하셔야 합니다.

 

 

 

대황 종류가 궁금하시다면?

클릭하세요^^

http://worldherb.tistory.com/18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황의 종류

 

 

한방에서 변비에 주로 사용되는

대황이라는 약재입니다.

 

하지만 종류가

자그마치 네가지나 됩니다.

 

중국과의 수교가 이뤄지지 전까진

토대황(대황)이라 불리는

종대황을 사용했지만

 

중국과의 수교가 이뤄지면서

기원식물에 맞는 대황이 들어오기

시작했습니다.

 

생약규격집에는

장엽대황과 탕구크대황

그리고 약용대황을

 

약효를 가진 대황으로 인정합니다.

 

 

장엽대황(원형)       장엽대황(절단)   

 

장엽대황입니다.

잎이 손바닥처럼 크고 넓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인데

다른 이름은 금문대황이라고 불립니다.

 

위의 절단된 사진을 보시면

무늬가 보이시죠?

 

저런 띠 모양을 [금문]이라고 부릅니다.

 

당고특대황     당고특대황         

 

다음으로는 탕구트대황입니다.

 

이걸 한자로 읽으면 [당고특대황]이 되는데

이것도 장엽대황과 마찬가지로

금문대황으로 같이 유통이 됩니다.

 

실제 국내에서 수입되는 대황은

이 두가지가 가장 많지만,

 

분류를 정확하게 나눠서 사용하진 않고

같이 혼용해서 사용하고 있는 실정입니다.

 

 

          약용대황        약용대황

 

약용대황

 

이건 약용대황으로

위의 두 종류의 대황

장엽과 탕구트대황과 비교하면

확연하게 차이가 나지요?

 

금문이라 불리는 띠가 보이지 않고

조직이 성근게 특징입니다.

 

역시나 맛도 좀 떨어지지요~

 

 

         종대황(토대황)     종대황(토대황)

 

마지막으로 국산대황 혹은 토대황으로 불리는

종대황입니다.

 

왼쪽 사진을 보면 금문처럼 생긴 띠가 보이긴 하지만

선명하지 않고 누런색을 더 많이 보이는 특징이 있습니다.

 

 

종대황의 경우는

장엽이나 탕구트대황에 비해서

장을 자극하는 효력이 현저하게 떨어진다고

밝혀졌기 때문에

갈수록 사용양은 줄고 있지만

 

시중에서는

국산대황으로 유통이 되고 있는

실정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대황의 주 성분과

어떤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서

자세하게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영화 귀향

 

 

 

자그마치 14년입니다.

 

14년동안 국민의 후원으로

제작된 영화 귀향

 

우리 역사에 잊혀지지 않을

잊혀져서도 되지 않는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가신

분들을 위한 영화~

 

위정자들과 기업인들이

모두 등을 돌려서

영화가 중단될 위기도 수십차례였지만

 

수많은 국민들의 후원과

재능기부로 열연한 배우들

그리고 감독과 스텝의 의지로

만들어진 영화입니다.

 

 

귀향 촬영(거창)     귀향 촬영컷

 

 

맨 처음 영화 귀향을 접한건

지상파 심야방송프로를 보고 나서

 

다음날 바로 후원을 결심하고

후원을 했었습니다.

 

원래는 작년(2015년) 8월 15일

광복절에 개봉예정이었지만

 

배급사를 찾지 못해

미뤄지고 미뤄지다가

 

이번에 개봉이 확정된걸로 알고 있습니다.

 

 

누군가가 트위터에

이런글을 올리셨더군요.

 

 

가슴이 먹먹하네요 ㅠㅠ

 

이 영화의 개봉여부가

우리나라 민주주의와

시민의식의 성숙을

판단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거라고~

 

 

이 영화가 설령 대형배급사에는

올라가지 못하더라도

 

많은 국민들의 염원이 담긴

이 영화를 많이 봐주셨으면 하는

간절한 바램입니다.

 

 

글을 쓰면서도

또 울컥하네요 ㅠㅠ

 

 

 

 

 

"역사를 잊은 민족에게 미래는 없다"

 

귀향 홈페이지 클릭하면 이동합니다.

 

 

 

정말 많은 분들의 후원 ㅠ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추나무 종류

 

 

대추의 품종은

 여러가지가 있지만

 

크게 대추나무와

보은대추나무로 나뉩니다.

 

대추나무는 재래종

보은대추나무는 개량종

으로 보시면 되는데요.

 

 

둘의 가장 큰 특징은

보은대추의 경우는

열매가 많이 열리도록

개량이 되어있고

 

결정적으로

씨앗속에 종인이

없는게 가장 큰 특징입니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대부분의 대추열매는

 

이 보은대추나무에서

나온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대추열매와 종자            보은대추 열매와 종자

 

 

왼쪽이 대추나무이고

오른쪽이 보은대추나무입니다.

 

종인이 있고 없음이 보이시나요?

 

 

대추의 씨앗을

[산조인]이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만

그건 다음 시간에

알려드리기로 하구요.

 

보통 야생산에 있는 대추나무를

[묏대추]라고 합니다.

 

대추는 크기에 따라

별초(손별초)

특초

상초

찍초

열과

 

의 순서로

나누는데요.

 

모양이 이쁘고

크기가 클수록 가격이 높습니다.

 

열과의 경우는

대추가 터져서 뭉그러진걸

이야기 하지만

 

끓여보면

실제 당도는 열과가

높아서 단맛이 강합니다.

 

 

그리고 약대추라고 불리는게 있습니다.

 

이 약대추는 크기가 가장 작은데

약대추나무가 따로 있는게 아니라

 

대추중에서  가장 작은 크기를

골라서 판매하는 것으로

상술이니..

 

다음부터는 대추모양에

구애받지 말고

 

당도가 높은 녀석을

구입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한방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서적

[방약합편]이라는 책이 있습니다.

 

방약합편-부인편에 나와있기를

 

[성인남자 열명을 치료하는 것보다

성인여성 한명을 치료하는 것이 어렵다]

 

 

그 만큼 여성은

남성과는 여러가지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참당귀(토당귀)         참당귀(토당귀)절편

 

여성은 남성과는 다른

네가지 특징이 있는데요.

 

이걸 네글자로 경대태산(經帶胎産)

이라고 합니다.

 

경(經)-생리(월경)

대(帶)-자궁

태(胎)-임신

산(産)-출산

 

이 네가지 특징으로 인해

항상 혈액이 부족한 경향을 보이게 되는데요.

 

이 때 사용할수 있는게 바로 당귀입니다.

 

 

일당귀(왜당귀)      일당귀(왜당귀)절편

 

 

모든 식물의 뿌리는

크게 세부위로 나누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머리부분-뇌두(頭)

몸통부분-신(身)

꼬리부분-미(尾)

 

당귀의 뇌두는 피를 멈추게하고

당귀의 몸통은 피를 보충하며

당귀의 꼬리는 덩어리진 혈액을 묽게 합니다.

 

하지만

전에 알려드린데로

당귀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인데

 

각각의 부위에 따라 이렇게 보는건

무리가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에

 

각 당귀의 종류에 따서

효능을 다르게 분류하고 있고

사용하고 있습니다.

 

 

 

중국당귀      중국당귀 절편

 

 

참당귀는 쓴맛이 강한편으로

몸안의 뭉친혈액을 묽게하는

성분인 데쿠르신이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한방에서 말하는 어혈(瘀血)이 많은

여성들에겐 참당귀를 사용하고

 

몸이 허약하거나

몸에 혈액을 보충하고자하는 목적으로

일당귀나 중국당귀를 사용합니다.

 

 

일당귀나 중국당귀는

피부에 혈액공급이 부족해 생기는

피부의 가려움

피부가 거칠고 탄력이 없는경우와

변비에도 사용됩니다.

 

 

당귀는 특유의 향이 있어

잎은 쌈의 재료로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참당귀의 경우 너무 오랫동안

먹을경우 혈액이 묽어지기 때문에

연하게 드시길 권해드립니다.

 

 

당귀의 종류와 차이점이 궁금하시다면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면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http://worldherb.tistory.com/14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당귀종류

 

 

여성들에게 혈액을 보충해준다는

-한방에서 보혈(補血)이라고 합니다.-

 당귀입니다.

 

당귀의 종류가 세가지나

되는 줄은 잘 모르셨죠?

 

당귀는 크게

세가지의 형태로 유통이 되는데요.

 

아래와 같습니다.

 

 

 

 

이탤릭체로 쓰여진 영어들 보이시죠?

이게 식물학명(植物學名)입니다.

 

 

예를 들면

Angelica-gigas-Nakai

속-종-명명한 사람

 

이렇게 됩니다.

 

분류학의 체계는 크게

 

계-문-강-목-과-속-종

으로 나누는데요.

 

대부분의 식물학명은

속-종-명명자까지 표기합니다.

 

위 세가지 당귀는 전부

산형과에 속해서 표기를 안한것 뿐입니다.

 

 

그럼 이제 본격적으로 비교해보죠~!!

 

 

참당귀

 

 

참당귀는 꽃이 보라색으로

피는게 특징입니다.

 

나머진 실제 보면 구별이 어렵습니다.

향도 비슷하기 때문에 --;

 

 

참당귀 유통형태

 

 

우선 토당귀(참당귀)는 맛을 보자면

단맛 보다는 쓴맛이 강한편이고

 

위 사진에서 보는 것처럼

절단면에 띠가 보이긴 하지만

그렇게 선명하지 않은걸 볼수 있습니다.

 

 

중국당귀

 

 

중국당귀입니다.

 

꽃은 토당귀(참당귀)와 같은

보라색인데요.

 

뿌리를 보면 확연하게 다릅니다.

아마도 토양의 차이가 아닐까 한데요.

 

밝은 황토빛이 보이시죠?

 

 

중국당귀 유통형태

 

 

절단된 사진을 보시면

더욱 확연하게 구별이 되시리라 봅니다.

 

색이나 정유띠가 확실하게 다른걸

볼 수 있습니다.

 

중국당귀는 무엇보다

단맛이 강한게 특징입니다.

 

이 세가지 당귀중에서 가장

단맛이 강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일당귀(왜당귀)

 

 

이건 일당귀입니다.

우리나라와 일본에 자생하는 식물로

 

국내에서도 재배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참당귀에 비해서 ~

재배면적이 넓지는 않은데

 

일당귀는

잔뿌리가 많아

무게가 덜 나갑니다.

 

이 말의 의미는

평당 수확량이 적기 때문에

재배를 기피하는 품종이라는 거죠.

 

 

 

일당귀(왜당귀) 유통형태

 

 

일당귀와 참당귀를 비교하면

참당귀는 쓴맛이 강하고

일당귀는 단맛이 강합니다.

 

실제로 향을 맡아보면

일당귀는 구수한 향이 나는 반면

참당귀는 구수한 향이 없어요.

 

그리고 일당귀는

노란 띠가 선명하게 보이는데 반해서

 

참당귀는 이 띠가 색이 어둡고

선명하지는 않는경향을 띕니다.

 

 

그럼 효능은 어떤차이가 있을까요?

그건 다음시간에 알려드릴께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기자와 영하구기자

 

 

 

오늘은 구기자의 효능과

한방에서 봤을때 영하구기자가

국산구기자보다 왜 좋은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구기자는

한방에서는

간(肝)과 관련된 약재로

사용됩니다.

 

 

간과 관련된 몸의 부위는

근육과 인대 그리고 눈 입니다.

 

그리고 그 외에

손발톱과도 연관이 있다고 보는데요.

 

이는 음양오행(陰陽五行)학설의

영향때문입니다.

 

음양오행학설은

나중에 설명을 드리기로 하구요.

 

 

 

 

국산구기자

     

중국산 영하구기자

 

 

간기능이 떨어지게 되면

가장 먼저 나타나게 되는 증상은

 

바로 [만성피로]입니다.

 

만성피로는 몸에 피로물질이 축적되어

분해가 잘 되지 않는 현상을 말하는데

 

결국 이는 근육에 혈액을 제때 공급하지 못해

근육이 굳거나 떨림을 일으키고

눈의 충혈과 뻑뻑하게 됩니다.

 

이 때 사용하는게 바로 구기자입니다.

 

실제 구기자는 성분을 분석해보면

눈에 띄는 성분은 크게 두가지 인데

바로 베타인과 GABA입니다.

 

베타인은 간세포재생을 촉진시키고

 

GABA는 신경전달물질로

중추신경을 안정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그럼 왜 국내산 구기자 보다

중국산 영하 구기자가 효능이 좋을까요?

 

바로 단맛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결국 몸이 피곤하다는건

에너지를 발생할 에너지가 필요하다는 건데요.

 

이럴때 가장 빨리 영양분을 공급할수 있는 맛은

단맛이 유일합니다.

 

소화단계를 거치지 않고

바로 흡수할수 있기 때문입니다.

 

(피곤할때 달다구리가 땡기는게

바로 이런 이유입니다.)

 

 

하지만 국내산 구기자의 경우는

단맛이 있긴 하지만

영하구기자에 비하면

현저하게 떨어지기 때문에

 

약재로서의 가치는 영하구기자가

낫다고 보는겁니다.

 

다만, 청양이나 진도에서는

이부분에 대한 연구도 진행중에 있어

나중에 영하구기자처럼

단맛이 강한 품종이 나오지 않을까

기대하고 있습니다.

 

 

구기자는 차로 마셔도 좋지만

단백질이 부족할 경우에는

닭백숙에 넣어서 먹으면

맛도 좋고 몸을 보양할수 있으니

 

물대신 드셔보시면 어떨까요?

 

구기자의 자세한 구별법은

아래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worldherb.tistory.com/1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하수오(적하수오)

 

 

흔히 적하수오로 알려진

하수오입니다.

 

보통 하수오하면

백하수오라고 알고 계시는데요.

 

정확한 명칭은

백하수오는 [백수오]

적하수오는 [하수오]

입니다.

 

 

 

하수오뿌리-원형

 

 

현재 하수오(적하수오)는

전에 중국과의 수교전에는

수입이 되지 않다가

 

현재는 수입이 되어

 들어오고 있으며

 

전국 각지에서 재배 혹은

채취되어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나중에 백수오에 대해서는

포스팅을 하겠지만,

 

국내에서 자생하는

하수오(적하수오)

대용으로 사용한게

바로 백수오입니다.

 

 

하수오(적하수오) 절단면

 

 

하수오(적하수오는)

위 사진처럼

국화문양이라 불리는

모양을 볼수 있는데

 

저건 유관속입니다.

생물인 상태에서 

 유관속은 보이지 않지만

건조가 진행됨에 따라서

저런 모양이 나오게 되는 겁니다.

 

하수오(적하수오)는

예전부터 탈모에

사용이 되어왔던

약초로 유명한데, 

 

건조된 걸 그대로 끓여드시면

설사를 일으키기 때문에

반드시 가공과정을

-법제라고 이야기 합니다.-

거쳐야 부작용 없이

먹을 수 있습니다.

 

가공과정은

검은콩 혹은 약콩을

물에 불려서 끓여 졸인다음

콩물만을 따로 모은후에

썰은 하수오(적하수오)를

콩물에 담궈 하수오(적하수오)에

콩물이 완전히 스며들때까지

담궈놓는 겁니다.

 

 

법제한 하수오-출처:옴니허브

 

이 과정을 거치면

위의 사진처럼

하수오(적하수오)가

까맣게 됩니다.

 

그러니 반드시

법제가 된 것을 드시기 바랍니다.

 

아래 정확한 가공방법을 알려드립니다.

 

 

하수오 가공방법-출처:옴니허브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