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울금 鬱金, 성질이 서늘해

강황 薑黃 · 아출 莪朮과

구분해서 사용해야

오랫동안 강황 薑黃을 비롯한

Curcuma 속屬 한약재는

한의의료기관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식품(예: 카레)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한약재가 되었다.

대부분의 식품 겸 한약재가 그러하듯이

Curcuma屬 한약재 역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비슷한 종류의 혼입이 뒤따르고 있다.

하지만 한약재로서의 약효는

엄연히 차이가 있으므로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는

반드시 정품을 사용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기원품으로 지칭된 Curcuma屬

한약재의 문헌에 기록된 산지를 보면,

① 강황 薑黃은 중국의 華中(江西 湖北), 華東(浙江),

華南(福建 廣東 廣西 臺灣), 西北(陜西),

西南(四川 雲南 貴州 西藏)에서 주로 재배되며,

② 울금 鬱金은 중국의 華東(浙江)이 대표산지로서

중국 및 동남아의 열대지방에 분포하고,

③ 아출 莪朮은 중국의 華南(廣西 廣東 福建 臺 灣),

西南(四川 雲南) 기타 열대지방에서 생산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 재배 및 자생지역을 확인해 보면,

아열대 혹은 열대지방인 동남아시아 및

중국의 남방지역이 주된 산지임을 알 수 있다.

모두 근경 根莖 혹은 근 根을 약용 부위로 하는 관계로

채취시기도 가을과 겨울에 경엽 莖葉이 마를 때

채취하여 세정한 다음 삶거나 쪄서 쇄건 晒乾하고 있다.

1. 강황 薑黃․울금 鬱金․

아출 莪朮의 기원

위의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혼란스럽게 기원식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최근에 대량 재배되어지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그냥 편리하게 이름을 붙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의학은

특정성분(curcumin·유도체)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엄연하게 오랫동안 많은 처방에서

용도를 달리해 왔다는 점에서

반드시 이에 대한 구분이 필수적이다.

실제 정품만을 기준으로 보면

동일식물이라 하더라도

약용 부위의 차이(根 또는 根莖)로

다른 이름과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하게 일본(JP)에서는

薑黃과 鬱金을 구분하 지 않고

대부분 국가에서 薑黃으로 정하고 있는

Curcuma longa의 뿌리줄기를

鬱金으로 규 정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약용 부위에서, Curcuma屬의 근경 根莖을

약용으로 하는 한약재는 강황 薑黃과 아출 莪朮이며,

괴경 塊根 을 약용으로 하는 한약재는 울금 鬱金이다.

② 이중 강황 薑黃은

Curcuma longa 1종의 근경 根莖이고,

아출 莪朮은 봉아출 蓬莪朮C. phaeocaulis·

광서아출 廣西莪朮 C. kwangsiensis·

온울금 溫鬱金(흑울금 黑鬱金)C. wenyujin 3종의

근경 根莖이다.

이중 아출 莪朮의 온울금 溫鬱金(黑鬱金)은

괴근 塊根이 한약명 울금鬱金의

주된 한약재라는 점에서,

근경 根莖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③ 울금 鬱金은

온울금 溫鬱金(黑鬱金) C. wenyujin·

강황 薑黃(黃絲鬱金) C. longa·

광서아출 廣西莪朮(桂鬱金)C. kwangsiensis·

봉아출 蓬莪朮(綠絲鬱金)C. phaeocaulis 등

4종의 근 根(塊根)이다.

이중 온올금 溫鬱金(黑鬱金) 을 제외한

기타 식물은 한약재명 강황 薑黃과 아출 莪朮의

주된 기원종이라는 점에서,

이것 역시 근 根(塊根)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로 설명되어진다.

주지하다시피 식물은 지하 부위에

근경 根莖과 근 根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根莖(薑黃) 이 발달한 식물에서는

根(鬱金)이 부실하며,

根(鬱金)이 발달한 식물에서는

根莖(薑黃)이 부 실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사정으로 薑黃·鬱金·莪朮이

분류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한의학문헌의

“薑黃 鬱金 可以得自同一原植物

卽 薑黃其根莖 鬱金爲其塊根

(鬚根的膨大 部分)”의 예에서 보듯이

약용 부위가 약물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 四川 지역의 경우,

① 崇慶 지역에서는 鬱金이 주산품이며

薑黃은 부산품인 반면,

② 宜賓 지역에서는 토양이 粘質이라

鬱金은 불량하여 鬱金이 부산품으로 생산된다.

이런 이유로 중국현지의 생산 및 유통 현황을 보면,

학명에 의한 정확한 구별보다는

가능한 뿌리(根) 와 뿌리줄기(根莖) 모두를

약용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薑黃인 C. longa의 경우

根莖은 당연히 薑黃으로 사용하지만,

根은 黃絲鬱金 혹은 金黃

(절단면이 황색을 띠므로 이렇게 부르고 있음)이라

부르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莪朮인 C. phaeocaulis의 경우에도

根莖은 당연히 莪朮로 사용되지만

심지어 黃薑 혹은 片薑이라 하여

(절단면이 황색∼녹색을 띠므로 이렇게 부르고 있음)

薑黃으로 사용되기도 하 였으며,

根은 鬱金(綠絲鬱金)으로 사용되었다.

2. 약효상의 차이

전통문헌에서 보통

울금 鬱金은 주입심 主入心하고

강황 薑黃은 주입비 主入脾하며

아출 莪朮은 주입간 主入肝한다고

구분하 고 있다

(“鬱金入心專治血分之病

薑黃入脾兼治血中之氣藥

莪朮入肝治氣中之血滯”).

여기 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사용된 처방을 근거로 하여

다시 유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 겠다.

Curcuma屬에 속하는 薑黃·鬱金·莪朮 모두

각성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응용되고 있다.

1) 흉복 胸腹 이상

(1)鬱金:

성질은 凉한 특성을 가지고,

신경이 무딘 것을 각성시키는 효능이 있다.

意識障碍 神志不淸에 응용되는

菖蒲鬱金湯 등이 이에 해당된다.

(2)薑黃:

성질은 溫한 특성을 가지고,

신경이 과민한 것을 무디게 하는 효능이 있다.

風濕으 로 인한 肩臂痛에 응용되는

舒經湯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흉복 胸腹 이하

(1)莪朮(蓬朮):

성질은 溫한 특성을 가지고,

理氣力>理血力의 작용을 나타내며,

胸腹部의 氣滯에 응용된다.

(2)이에 비하여 相須작용으로

莪朮과 동용되는 대표적인 한약재인

三稜(黑三棱科- Sparganium stoloniferum의 根莖)은 理血力>理氣力의 작용을 나타내며,

胸腹部의 血滯에 응 용되는 차이점으로 설명된다.

薑黃·鬱金·莪朮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1)자연상태:

잎의 자색띠 여부

(자색띠가 있으면 莪朮 C. phaeocaulis),

꽃의 발생위치

(葉鞘 발생-薑黃, 根莖 발생-鬱金과 莪朮) 및

색깔

(白色 혹은 淡黃色-薑黃과 鬱金, 粉紅色-莪朮) 로

기본적으로 구분된다.

2)약재상태:

표면의 環輪과 수염뿌리의 흔적

(있으면 根莖이 약용 부위인 薑黃과 莪朮,

없으면 鬱金),

단면의 색깔

(금황색-薑黃, 자갈색-鬱金, 회갈색-鬱金)로

기본적으로 구분된다.

3)향후 鬱金의 기타 3종·莪朮의

기타 2종에 대한 효능 검증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감별기 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강황]

 

 

[온울금]

 

[아출]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순기 順氣 목적으로 사용하는

단향 檀香은 백단향만 효과 있다

한의학의 대표적인 양대축 이론은 음양 陰陽이론이며,

이의 활용이론은 기혈 氣血이론일 것이다.

기 氣에 관련된 내용은 다시

보기 補氣와 순기 順氣로 나뉘게 된다.

즉 기허 氣虛한 것을 보충해주는 것이 보기 補氣이며

이에 해당되는 약물이 보기약 補氣藥이라면(예: 人蔘·白朮 등),

기체 氣滯한 것을 없애주는 것이 순기 順氣이며

이에 해당되는 약물이 순기약 順氣藥인 것이다.

이 2가지를 통합하여

이기 理氣 혹은 이기약 理氣藥이라고 하였 는데,

좁은 의미의 이기 理氣는 순기 順氣를 통칭하는 것으로

보통 이기약 理氣藥이라는 것은 순기약 順氣藥을 말하고 있다.

순기약 順氣藥은 약물특성상 대개 따뜻하며(溫性)

방향성을 나타내는 특징을 가지고 있어,

내복약으로는 물론이고 외용으로

그 향기를 이용하는 치료법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유별나게 한 약재 이름에서도 향기를 나타내는‘향 香’의 이름이 많은데,

예를 들면 목향 木香, 향부자 香附子 등이 이에 속한다.

여기에 소개할 단향 檀香 역시‘ 향 香 ’을 내는 약물로서

내복약은 물론이고 외용약, 특히 전통 적인 제사 등에서

분향 焚香 재료로서 활용되었던 대표적인 순기약 順氣藥이다.

약물의 등급을 나타내는 표현에서도

‘무겁고 단단하며 유점 油滴이 보이고 향기가 진하며

오래가고 특히 태울 때 향기가 있 는 것이 좋다’고 하여

향기를 감별포인트로 제시하고 있다.

한약재 단향 檀香은 모두 아열대식물이며,

이 중 백단향 白檀香은 인도, 인도네시아, 호주 등과

중국의 華南(廣東, 海南島, 臺灣), 西南(雲南) 등에서 생산되며,

우리나라에는 자생하지 않는다.

30∼40 년 된 나무에서 전년에 걸쳐 채취하여

담색 淡色을 띠는 변재 邊材를 제거하고 잘게 썰어 건조한다.

이 약은 무겁고 단단하며 향기가 강한 것이어야 한다.

또한 자단향 紫檀香은 인도 남부, 중국의 해남도 및

대만에서 생산되고 CITES품목에 속하며,

한국에서 자단향 紫檀香으로 유통되는 향나무는

한국과 중국에 고루 분포한다.

[정품단향 감정기준]

 

 

1. 단향 檀香의 기원

단향 檀香은 백단향 白檀香과 자단향 紫檀香으로 나뉜다.

실제 한약재 사용량은 높지 않아 공정서에 기재된 내용도

일부 국가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백단향 白檀香은 한국(KHP)과 중국(CP)에 서 모두

단향 檀香 Santalum album의 목부 심재로 규정하고 있으며,

자단향 紫檀香은 한국(KHP)과 중 국(CP05) 부록에서

자단 紫檀 Pterocarpus santalinus의 심재로 규정하고 있다.

한편 이에 대한 구체내용과 유통상황도

다소 혼란스러운 것을 볼 수 있는데,

[신편중약지 新編中藥誌]에 보면

단향 檀香 Santalum album을 색깔 및 산지로 구분한 것 등이다.

그 내용을 보면 ‘피 부가 실하며 황색인 것은 황단 黃檀,

피부가 곱고 백색인 것은 백단 白檀,

그리고 피부가 나쁘고 자색 인 것은 자단 紫檀이라 하는데,

그 나무가 단단하고 무거우며 맑은 향이 있는 것은 백단 白檀이 우량하다.

중국의 경우 주로 해남산 단향 檀香이 유통되며,

기타로 인도산의 노산단향 老山檀香,

호주산의 설리단향 雪利檀香,

인도네시아산의 신산단향 新山檀香이 거래되고 있다’고 하고 있다.

실제 유통시장에서는 자단 紫檀 Pterocarpus santalinus은

CITES품목으로 유통이 되지 않는 관계로

향나무 Sabina chinensis의 심재가 대체되어 있으며,

어떤 경우에는 인도 자단 紫檀 Pterocarpus indicus를

두침향 肚沈香이라 부르기도 하고 있다.

2. 약효상의 차이

위의 도표 및 그동안 단향 檀香의 사용역사를 기준으로

효능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 된다.

1) 자단향 紫檀香의 정품 正品으로

중국(CP05) 부록에서 언급되었던

자단 紫檀 Pterocarpus santalinus의 경우 CITES품목에 해당되면서,

한방 관련 문헌에 기록된 바가 없다.

그러나 이전의 언급과 동속근연종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인도 자단 紫檀 Pterocarpus indicus을 기준으로 보면,

순기약 順氣藥으로서의 백단향 白檀香과는 효력이

확실히 다르므로 사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2)다시 말하면 단향 檀香은 백단향 白檀香 정품인

Santalum album만을 순기 順氣의 목적으로 활용되어 야 한다.

3)더구나 한국에서 일부 자단향 紫檀香으로 활용되어지고 있는

향나무 Sabina chinensis 역시 해표약 解表藥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백단향 白檀香의 용도로 사용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1) 순기약 順氣藥으로 한방문헌에 기록된

단향 檀香은 백단향 白檀香 Santalum album만을 사용해야 한다.

[백단향]
 
[백단향]

 

 

2) 백단향 白檀香 Santalum album의 식물상 특징은

①작은 가지에서 소엽 小葉은 대생하는데

타원형으로 길이 4∼10cm이며 가죽질이고

타원상 난형 卵形 혹은 난상피침형 卵狀披針形이고 전연 全緣이다.

②꽃은 처음에는 담황색이나 뒤에

짙은 수색 銹色으로 변하고 액생 腋生 혹은 정생 頂生한다.

③ 핵과 核果는 구형이고 앵두 크기이며

익으면 흑색이고 육질과 즙이 많다.

3)백단향 白檀香 Santalum album의 약재상 특징은

①색깔은 백색 白色∼ 담황갈색 淡黃褐色으로 밝고 매끄러우며,

햇볕에 오래 방치하면 색이 비교적 짙어 진다.

②종절면에서 세로무늬를 볼 수 있으며

횡절면에서는 방사상무늬와 뚜렷한 유점 油滴을 볼 수 있고

불에 태우면 향기가 더욱 진해진다.

[자단향]
 
[자단향]

[자단향]

 

 

[향나무]
 
[향나무]

 

 

4)사용해서는 안되는 종류인

인도 자단 紫檀 Pterocarpus indicus과 향나무 Sabina chinensis

①자연상태를 보면, 인도 자단 紫檀 Pterocarpus indicus은

소엽 小葉이 기수우상복엽 奇數羽狀複葉(7∼9片)이고

협과 莢果는 넓은 깃이 있으며,

향나무 Sabina chinensis는 잎이 인엽 鱗葉으로

길이 1∼1.2mm로 아 주 작다.

②약재상태를 보면,

인도자단 紫檀 Pterocarpus indicus은 색깔이 자색 紫色으로

종단면은 세로방 향으로 갈라진 무늬가 있고

층층의 균열을 이루고 있으며 횡단면은 공점 孔點이 있다.

반면에 향나무 Sabina chinensis는 종단면이

잔 물결모양의 무늬가 있으며 향기가 약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석고 石膏는 정품인 황산칼슘을 사용해야

광물류 한약재의 사용은

한의학 초기 단계를 제외하고는

사용에 많은 제한을 갖고 있다.

본초학의 가장 오래된 서적인‘신농본초경’에서 보면

많은 수의 광물약이 등재된 것을 볼 수 있 는데,

이는 대부분의 학자들이 추정하듯이

광물질의 외관상 특성인‘튼튼함’,‘영구성’등의

관점에서 채택되었을 것이다.

하지만 후대로 내려오면서 대부분의 광물질은

외용약으로 사용 되어지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광물질이 가지고 있는 각종 유해중금속 등의 영향이

현실로 나타남의 결과일 것이다.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내복약으로서

계속해서 사용되어지고 있는 광물한약재가 있는데,

석고 石膏 등이 이에 해당된다.

광물질의 특성상

유해중금속의 함유가 전혀 없을 수 없는 조건임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결정적인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는 경우에

현재까지 내복약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다고 판단할 일이다.

석고 石膏의 경우 이물질로 보고된 종류는

점토, 砂, 유기물, 황화물, Fe+2 Mg+2, 규산, 황산칼슘,

수산화알루미늄, 황산마그네슘, 유기물 등이 있다.

석고 石膏는 신농본초경의 중품에 수재된 이래

아주 많은 혼란을 일으켰던 대표적인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

뇌효 雷斅와 소공 蘇頌은 방해석 方解石의 사용을 경계하였으며,

이시진 李時珍은 석고 石膏의 종류를

‘軟석 고’,‘硬석고’,‘紅석고’,‘白석고’등으로 구분하는 등

많은 논란이 되어오고 있었던 약재이다.

이와 같이 석고 石膏에 대한 기록은

신농본초경에서 최초로 기록된 이래 당송 唐宋을 거쳐

최근의 이제마 李濟馬의 사상의학 四象醫學에서

소양인약 少陽人藥으로 분류되는 등

오랜역사를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시대와 인물에 따라서 많은 종류를 가지고 있다.

함유성분이 황산칼슘수화물(CaSO4·2H2O)로서

정품 正品으로 인정받고 있는 석고 石膏는

한국과 중국에 매우 넓게 분포되어 있다.

중국의 경우 호북 湖北, 감숙 甘肅, 사천 四川, 안휘 安徽 등지에서 산출되는데,

호북 湖北 웅성 應城에서 산출되는 것을 최상품으로 한다.

아울러 약재로서의 石膏는 ‘크고 白色이며 반투명하고,

단면이 섬유상으로 광택이 있으며 잡질이 없는 것이 좋다’고한다.

1. 석고 石膏 종류의 기원

석고 石膏 종류에서 현재 정품 正品으로 인정하는

황산칼슘 수화물(CaSO4·2H2O)의 경우,

한국 (KHP) 중국(CP)에서 모두 1종으로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한국(KHP)에서는

생약명 Gypsum Fibrosum의 石膏와

Gypsum Rubrum의 寒水石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외에 역사 적으로 사용되었던 石膏 종류는

정품 이외에 크게 6부류가 있는데

그 종류 및 화학구조식 은다음과같다.

①凝水石 Na2Ca(SO4)2

②寒水石 Na2Ca(SO4)2

③理石 CaSO4

④長石 (K,Na,Ca,Ba)AlSi3O8

⑤方解石 CaCO3

⑥玄精石 CaSO4·2H2O

이를정리하면,

① 경석고 硬石膏 CaSO4와 방해석 方解石 CaCO3은

거의 흡사하여 식별이 어렵고

석고 石膏와 응수석 凝水石, 방해석 方解石 은

한수석 寒水石 이라는 이명 異名을 가지고 있는 까닭에

석고 石膏, 경석고 硬石膏,

방해석 方解石, 응수석 凝水石은 혼용되어 왔다.

② 고방 古方에서의

한수석 寒水石은 응수석 凝水石의 이명 異名이고,

당송 唐宋 시대의 한수석 寒水石은

석고 石膏 즉 연석고 軟石膏의 이명 異名이며,

주단계 朱丹溪· 이시진 李時珍 이후의 한수석 寒水石은

장석 長石, 방해석 方解石을 말한다.

즉, 한수석 寒水石 중

북한수석 北寒水石은 석고 石膏를지칭하는것이며,

남한수석 南寒水石은 방해석 方解石을말한다.

③ 이석 理石 CaSO4,

현정석 玄精石 CaSO4·2H2O는

석고 石膏의 범주에 속하며,

장석 長石(K,Na,Ca,Ba) AlSi3O8 은

방해석 方解石의 범주에 속한다.

④ 석고 石膏 종류는 한수석 寒水石, 석고 石膏,

방해석 方解石 등이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여기에서는 이러한 모든 종류 중 대표적인 이름인

석고 石膏 CaSO42H2O, 방해석 方解石 CaCO3으로 규정하여

이에대한 내용을 정리하고자 한다.

2. 약효상의 차이

문헌적으로 보면 위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석고 石膏와 방해석 方解石은 그동안의 사용에서

혼란을 일으킬 정도로 효능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음을 볼 수있다.

하지만 현재 밝혀진 성분만을 기준으로 할 때에도

엄연한 차이가 있으므로 이에 대한

명확한 구분시도가 뒤따라야 할 것이 며,

이러한 내용이 정리되기 전까지는

정품 석고 石膏 사용이 필요하다고 본다.

2.약재상태의구분

정품 석고 石膏는 단사정계 單斜晶系에 속하는

섬유상(유리모양이면 방해석CaCO3)의 집합체로

장괴상長塊狀, 판괴상 板塊狀 또는 불규칙한 괴상 塊狀을 나타내며,

백색, 회백색 또는 담황색(황색이 많으면 방해 석CaCO3)으로반투명하다.

세로로 자른면은 섬유상무늬와 견사 絹絲모양의광택이있다.

체 體는 중 重하고 질 質은 순 軟하며,

손으로 문지르면 파쇄시킬 수 있다.

경도는 1.5~2.0이고 비중은 2.3∼2.37이다.

냄새와 맛이 거 의 없으며, 물에 잘 녹지 않는다.

묽은 염산에 기포를 발생하지 않는다(발생하면 방해석 CaCO3).

전체적으로정리하면,

1) 석고 石膏 종류는 크게

석고 CaSO42H2O 와 방해석 CaCO3으로 분류되어진다.

2)지역에 따라서 인근 지역에서 생산된

석고 종류를 약물로 사용하다 보니

많은 종류의 석고가 등장하게 된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광물질의 특성상 이물질의 혼입이 불가피하 다는점을

염두에두어 확실한 구분이 필요하다고 본다.

3) 석고 石膏와 방해석 方解石의 약재상태 구분은

① 석고 石膏는백색 白色으로투명하며,

방해석 方解石은 백색 白色∼ 담황색 淺黃色등으로 다양하며 반투명하다.

②특히 묽은 염산을 사용하면,

석고 石膏는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반면,

방해석은 기포를 발생 하는것으로구분이가능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돼지감자 종류 뿌리를

백부자 白附子로 사용하면 절대 안돼

인체의 병적인 진액 津液인

담 痰을 제거해주는 효능을 가진 약물인

‘백부자 白附子’는 오랫동안 사용되어 왔으며,

독성 毒性이 있는 관계로 사용에 일정 정도 제한을 받고 있고

독성 毒性을 감약시키기 위한 다양한 수치법 修治法이

활용되고있는 약물이다.

대표적인 온하초溫下焦 약물로서

일명 흑부자 黑附子라는 이명 異名을 가지고있는

부자 附子와 백부자 白附子는 효능면에서 서로 비교되기를,

‘백부자 白附子는 치상초한습 治上焦寒濕하여

상부 上部로 들어가 두면부 頭面部 질환을 치료하며,

흑부자 黑附子는 치중하초한습 治中下焦寒濕 한다’고 정리하고 있다.

하지만 유통시장에서는 여러 조건으로

백부자 白附子의 사용이 합리적이지 못한 것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약재 시장의 경우 정품 正品

백부자 白附子의 생산이 적어지면서

이를 대처해야 할 중국산 백부자 白附子 종류의

수입을 제한하면서 발생한 경우이다.

실제로 전혀 효과가 다른 돼지감자 계열의 위품 僞品이

모양이 흡 사하다는 이유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한국에서의 정품 正品인 백부자 白附子는

노랑돌쩌귀로서 관백부 關白附라 불리우며,

한국의 중북부와 중국에 분포한다.

중국에서의 정품 正品인 백부자 白附子는

독각련 獨角蓮으로서 우백부 禹白附라불리우며,

중국의 西北(甘肅, 陜西, 寧夏, 靑海, 新彊),

西南(四川, 西藏, 貴州, 雲南),

華北(河南, 河北, 山西)등에분포한다.

이 2종의 백부자 白附子 모두

8~9월에 채취하여 경엽 莖葉과 수염뿌리를 제거한다음 건조한다.

1. 백부자 白附子의 기원

백부자 白附子는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다른 식물을 기원식물로 하고 있다.

한국(KHP)과 북한 (DKP)은

노랑돌쩌귀(흰바꽃)의 향약명을 가지고 있는

Aconitum koreanum의 덩이뿌리를

관백부 關白附라 하여 정품 正品으로 하고 있다.

반면 중국은 CP에서

독각련 獨角蓮 Typhonium giganteum의 덩이줄기를

우백부 禹白附라 하여 정품 正品으로 하고 있다.

기타의 나라에서는 특별히 백부자 白附子의 내용을

규정하고 있지않다.

하지만 한국의 경우

관백부 關白附의 생산량이 아주 적은 이유로

모양이 비슷한 식물의 덩이뿌리가

유통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최근에 건강식품으로 많이 사용되어지고 있는

한약재명 국우 菊芋인

돼지감자(일명 뚱딴지) Herianthus tuberosus와

개돼지감자(일명 개뚱딴지) H. strumosus의 덩이뿌리가

이에 해당되는 바, 이에 대한 철저한 구분을 필요로 한다.

현재 와 같이 관백부 關白附의 수급이 원활치 못하다면,

효능이 유사한 중국의 우백부 禹白附 수입을 적극 검토 해야할사항이다.

한약재로서의 백부자 白附子는

관백부 關白附의 경우 표면이 옅은 갈색이고

단면은 연한 회백색으로 분성 粉性 이많은것이좋으며,

우백부 禹白附의 경우에는 크고 단단하며 백색으로

분성 粉性이 많은것이 좋다.

2. 약효상의 차이

① 관백부 關白附와 우백부 禹白附의

효능 구분에 있어 학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있다.

하지만 객관적 인 자료를 보면,

관백부 關白附는 우백부 禹白附에 비해

성질이 더욱 따뜻하고(熱) 甘味를 가지고 있으므 로,

거한습지통 祛寒濕止痛의 목적으로는

관백부 關白附를 사용함이 마땅하고

정경 定驚 의목적으로는

우백부 禹白附를 사용하는것이

효율적일 것으로 추정된다.

중풍 中風, 구안와사 口眼喎斜, 반신불수 半身不遂 의

초기에 응용되어지는 견정산 牽正散

(白附子, 全蠍, 殭蠶)의 경우를 예를 들면,

통증 痛症이 있을 경우에는 관백부 關白附를 사용하고

마비 痲痺 및 경련 痙攣이 있을 경우에는

우백부 禹白附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일 것이다.

② 우리나라의 경우 최근 들어

관백부 關白附의 생산 및 거래가 거의 희귀하다는 점에서,

우백부 禹白附 의수입 및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③더구나 관백부 關白附와 형태상으로 유사한

돼지감자 종류가 관백부 關白附로 유통되는 점은 우려할 부분이다.

돼지감자 종류는 전분의 전단계물질인 inulin이 주성분으로

과당이나 알코올원료 로 사용되었던 식품에 속한다.

약효에서 한약재 백부자 白附子와 전혀 다르므로

절대 사용되어서 는안될것이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백부자(관백부)]

 

 
[독각련(우백부)]

 

1) 관백부 關白附와 우백부 禹白附는

식물 상태에서는 확연히 구분된다.

*잎의 모양

관백부 關白附 - 엽신 葉身 이 3~5개로 장상 掌狀으로 갈라지고

각 열편 裂片이 다시 잘게 갈라진다.

우백부 禹白附 - 극상전형 戟狀箭形 혹은 삼각상 타원형으로 전연 全緣.

*꽃의 모양 및 색깔

관백부 關白附 - 총상화서 總狀花序이며 담황색 淡黃色,

우백부 禹白附- 육수화서 肉穗花序이며 자색 紫色의 차이를 갖고 있 다.

2) 관백부 關白附와 우백부 禹白附는 약재 상태에서도 구분된다.

① 자연 상태(全形)에서 크기(關白附-작 고, 禹白附-크다),

표면 무늬(關白附-옅은 세로주름, 禹白附-확연한 가락지모양의 가로무늬)로 구분된다.

② 절단 상태에서도 위에 언급된 표면무 늬로서 구분이 가능하다.

조금만 자세히 관 찰하면 관백부 關白附는 중심 부분의 틈새가 많으며,

우백부 禹白附는 분성 粉性이 풍부하여 구분된다.

 
[돼지감자]

 

 

3) 약재유통시장에서 문제가 되어왔던

관백부 關白附와 돼지감자 종류의 구분점은 다음 과같다.

① 관백부 關白附와 외형에서 가장 비슷하여

구분에 혼란스러운 개돼지감자(개뚱딴지)

Helianthus strumosus의 경우,

표면에 확실 한 가락지모양의 가로주름과

잔뿌리의 흔적이보이지않는점으로구분된다.

② 기타 건강식품 등으로 유통되는

돼지 감자(뚱딴지) H. tuberosus 역시

가락지 모 양의 가로주름이 있으나,

크기가 크고 단면이황백색 黃白色으로

근섬유 筋纖維가 많아서 쉽게 구분 된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국내서 유통되는 마미련 馬尾連 종류,

음양곽 淫羊藿으로 사용하면 절대 안돼

음양곽 淫羊藿은 신농본초경 중품 中品에

‘治陰 絶傷 莖中痛 利小便 益氣力 强志…’라고 수재된 이래

대표적인 보양약 補陽藥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어온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식물 형태에서 특징적인 모습인

‘3개의 가지에 각각 3개씩의 잎’을 나타내어

삼지구엽초 三枝九葉草라 불리우는 약물이며,

한약재의 명칭유래에서도 흥양 興陽 작용과 관련된 유명한

고사 故事(四川北部有淫羊 一日而百遍合 盖食此 藿所致 故名淫羊藿)를

갖고 있는 약물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많은 사용량을 가지고 있는 특성상

많은 종류의 동속근연식물이 응용돼 왔다.

여기에 덧붙여 식물상으로 삼지구엽 三枝九葉을 나타내는 식물

(주로꿩의다리屬)이 많은관계로,

이러한 종류가 모두 음양곽 淫羊藿으로 유통되는

기현상이 우리나라의 경우에 두드러져 있기도 하다.

1. 음양곽류 淫羊藿類의 기원

음양곽 淫羊藿은 매자나무과(Berberidaceae)

Epimedium屬에 속하는 많은 종류가

기원품으로 등록되어 있다.

한국(KP)을 비롯하여 중국 (CP)·일본(JP)에서는

기본적으로 5종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즉 우리나라의 고유식물인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를 비롯해,

음양곽 淫羊藿 E. brevicornum·

유모음양과 柔毛淫羊藿 E. pubescens·

전엽음양곽 箭葉淫羊藿 E. sagittatum·

무산음양곽 巫山淫羊藿 E. wushanense의

지상부로 규정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여기에

일본음양곽(イカリソウ) E. grandiflorum var. thunbergianum 또는

사철음양곽(トキワイカリソウ) E. sempervirens 을 추가하고 있다.

반면에 북한(DKP)에서는

삼지구엽초 1종만을 기원으로 하고있고,

대만(THP)에서는

삼지구엽초· 음양곽 淫羊藿· 전엽음양곽 箭葉淫羊藿을

기원으로 하고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삼지구엽초는 식물분포상

학술적으로 우리나라의 남방한계선

(태안반도∼영일만을 잇는 선) 이북지역에 분포하며,

한계선 이남지역에서는 일부 재배되고 있을 뿐이다.

따라서 식물형태특성상 삼지구엽 三枝九葉을 나타내지만

완전히 다른 약효를 가지고 있는 꿩의다리屬 식물이,

실제 한계선 이남지역에서 음양곽 淫羊藿으로

인식하고 있는 대부분 종류에 속한다.

꿩의다리는 한약재명 마미련 馬尾連 으로

우리나라에서는 Thalictrum aquilegifolium이 대부분을 차지하며,

중국의 경우에는 마미련 馬尾連 T. gladulosisimum과

다엽당송초 多葉唐松草 T. foliolosum 등이 있다.

분포지역을 보면

삼지구엽초는

한국의 중북부와 중국의 東北(黑龍江 遼寧 吉林 만주),

華南(廣東 廣西 福建) 등 지에,

음양곽 淫羊藿은

중국의西北(靑海甘肅陜西新彊寧夏),

華北(山西河南河北북경),華中(湖南湖北) 등지에,

유모음양곽 柔毛淫羊藿은

중국의西南 (四川 貴州), 華中(湖北 江西) 등지에,

무산음양곽 巫山淫羊藿은

중국의 西南(四川 貴州), 西北(陜西) 등지에,

전엽음양곽 箭葉淫羊藿은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臺灣),華東(江蘇安徽浙江),

華中(湖北湖南江西)등지에분포한다.

이와 같이 음양곽 淫羊藿의 종류는 복잡하며

종내 種內 변이도 심한 관계로 약재에서도

혼입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으므로

정확한 감별에 전문 적인지식을필요로한다.

2. 약효상의 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기원에 Epimedium屬으로 등록되어 있는

모든 음양곽 淫羊藿 종류(중국식물지의 경우 약 40여종)는

문헌 및 실험결과 등을 종합하면

보양약 補陽藥으로 사용하는 것이 합당하다.

문헌에 보면 우리나라의 주산품인

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와

중국의 전엽음양곽 箭葉淫羊藿 E. sagittatum의 효능이

탁월하다고 보고되어있기도 하다.

②하지만 특히 우리나라에서 유통되어지고 있는 종류 중

기원이 Thalictrum屬으로 등록되어 있는 마미련 馬尾連 종류는

청열조습 淸熱燥濕의 효능 을나타내는 청열약 淸熱藥으로,

절대 음양곽 淫羊藿 대신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비록 2품목이 모두 삼지구엽 三枝九葉을나타내지만,

다음의 상황을 확인하면 뚜렷하게 구분된다.

1)검색분류기준점은, 절단 전 혹은 절단 후라 하더라도

잎의 끝부분(葉尖)과 변두리부분(葉緣),

아래부분(葉基)의 모양에서 금방 확 인이 가능하다.

즉, Epimedium屬에 속하는 음양곽 淫羊藿은

엽첨 葉尖이 뾰족하며 엽연 葉緣에 거치 鋸齒가 확실하고

엽기 葉基는 심장형 心臟形인 반면,

Thalictrum 屬에 속하는 마미련 馬尾連은

엽첨 葉尖이4개로갈라지며 엽연 葉緣에

거치 鋸齒가 없어 매끈하고 엽기 葉基는 설형 楔形으로뚜렷하게구분된다.

2) 음양곽 淫羊藿의 내용물 중 줄기부분이 적으며,

잎이 많고 푸르며 뒷면의 색이 진하고 끝이 뾰족하여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는것이 좋다.

음양곽으로 사용되는 종류는 다음과 같다.

1.삼지구엽초 Epimedium koreanum.

 

2.음양곽 淫羊藿 E. brevicornum.

 

3.유모음양과 柔毛淫羊藿 E. pubescens.

 

4.전엽음양곽 箭葉淫羊藿 E. sagittatum.

 

5.무산음양곽 巫山淫羊藿 E. wushanense.

 

6.위품 僞品 꿩의다리(마미련 馬尾連)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砂仁은 껍질째 유통하는 것이‘바람직’

중국 남방지역을 비롯한 아열대지역에서 생산되는

방향성화습약 芳香性化濕藥인 사인 砂仁은

한약재로서 사용빈도수가 매우 높은 종류에 속할 뿐만 아니라

생산현지에서는 다양한 식품재료로서도

활용되어지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사인 砂仁의 원래 이름은 축사 縮砂 이었으며

중국 당나라 때의 본초습유 本草拾遺에

처음으로 기록되어 있다.

하지만 같은 아열대 식물로서

한약재로 사용되어지는 익지인 益智仁이나

백두구 白豆蔲 , 초두구 草豆蔲 등과 모양이 비슷하여

사용 초기부터 혼란을 일으켜 왔던 한약재이기도 하다.

최근에는 기원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정리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껍질을 벗겨 유통되어지는 것을 선호하는

시장상황 때문에 이물질 혼입이 많아서,

정품 사인 砂仁 사용을 위해서는 껍질째

유통시켜야 한 다고주장되어지고있는한약재이기도하다.

사인 砂仁 종류는 아열대지역에서 생산재배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축사 縮砂(녹각사 綠殼砂)는 중국의 西南 (雲南), 華南(廣東) 지역 및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에서 생산된다.

양춘사 陽春砂는 중국의 華南(廣東, 廣西, 福建, 海南島),

西南(雲南, 四川, 貴州) 지역에서 생산되며 특히

廣東省 陽春지역이유명하다.

해남사 海南砂는

중국의華南(海南島,廣東,福建,廣西)지역에서 생산된다.

1. 사인 砂仁의 기원

사인砂仁의 기원식물을 보면,

한국(KP)·중국(CP)·대만(THP)에서는

축사 縮砂(녹각사 綠殼砂)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

또는 陽春砂. A. villosum의 잘 익은 열매 또는

씨의 덩어 리로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중국과 대만은

해남사(海南砂 A. longiligulare)를 추가하고 있으 며,

일본(JP)의 경우에는 녹각사(綠殼砂)만을 규정하고 있고,

북한(DKP)에서는 해남사 海南砂와 양춘사 陽春砂로 규정하고 있다.

한약재로서의 사인 砂仁은

‘과실은 크고 단단하며 인 仁이 가득하고 기미 氣味가 진한 것이 좋으며,

종자는 홍종색 紅棕色으로 향기가 진한 것’이 좋다.

식물학적인 견해로는

양춘사 陽春砂 A. villosum가

전통적으로 한의학에서 사용되었던 사인 砂仁에 속하며,

여기에 재배 및 기후조 건 혹은 수요량의 증대로

새로운 종 種이 추가되는 형태로 이해된다.

즉 축사 縮砂(綠殼砂)

Amomum villosum var. xanthioides의 경우는

베트남, 태국, 인도네시아, 말레이시아로 생산 지역이 확대된 결과이며,

현재에도 중국 해남도 海南島에서 대단위로 재배되고 있는

해남사 海南砂 A. longiligulare는 해남도 海南島의

특산식물이 유입된 결과인 것이다.

2. 약효

문헌적으로 3종 모두 방향성화습약 芳香性化濕藥으로서

동일 혹은 유사한 약효로 기술되어 있다.

하지만 전통적으로 중국 국내에서 생산되는

양춘사 陽春砂를 최상품으로 평가하였으며,

중국남부〜동 남아 지역에서 생산되는

축사 縮砂( 녹각사 綠殼砂)까지는 동일 수준에서 보고 있다.

이에 비해 해남사 海南砂는

효능이 떨어지는 것으로 보고 있으며,

따라서 정품 사인 砂仁의 대체품정도로 이해된다.

현재까지 밝혀진 구성성분에서도 약간의 차이점을

보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지금까지 밝혀진 약리작용을 보면,

모두 기존의 한의학적 효능을

뒷받침하는 내용으로 밝혀져 있다.

즉 건위 健胃작용

(위궤양 억제, 펩신활성 억제, 담즙분비 촉진, 위액분비)이 있고,

소량에서 소장을 흥분시키고 대량에서 억제시킴으로써

설사를 억제한다고 보고되어 있다.

기타작용으로 혈소판응집억제, 혈관확장, 진통작용이 있다고 한다.

이를 정리하면 사인 砂仁은

방향성건위제 芳香性健胃劑로서 고급소화제로 분류되며,

방향성화습약 芳香性化濕藥인 백두구 白豆蔲 , 초두구 草豆蔲 와

보익약 補益藥인 익지인 益智仁 등과 더불어

열대지방에서 산출되는 약물이다.

주로 소화력을 촉진시켜주고 식욕을 강화시키는데

탁월한 효능을 가지고 있어 임상의 응용폭이 넓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양춘사]
 
[양춘사]

 

 

[녹각사]
 
[녹각사]

 

 

[해남사]
 
[해남사]

 

1. 과실 果實상태에서

1)표면에 가시가 밀생 密生하면서

삼릉 三稜이 뚜렷하지 않은가(陽春砂와 綠殼砂),

혹은 밀생 密生하지 않으면서

삼릉 三稜과 세로주름이 뚜렷한가(海南砂)에 따라

1차 분류된다.

2)크기면에서 상대적으로 크며 맛과 냄새가 강렬한가(陽春砂),

혹은 작으며 맛과 냄새가 상대적으로 약한가(綠殼砂)에 따라 2차 분류된다.

2. 종자 種子상태에서

1)색깔면에서 홍갈색 또는 암갈색(陽春砂)과

회갈색 또는 갈색(綠殼砂와海南砂)으로 1차 분류된다.

2)종자의 덩어리가 비교적 둥글고 큰가(綠殼砂),

혹은 비교적 작은가(海南砂)로 2차 분류된다.

3)주성분이 휘발성물질인 관계로

껍질을 벗겨 종자 種子상태로

유통되어지는 것은 지양해야 할 부분이다.

3. 시장유통품 상태

1)수요자들의 선호에 따라

유통 사인 砂仁의 대부분은 과피 果皮가 벗겨진 종류이다.

기본적으로 완전한 종자 種子는 3쪽의 종자단 團을 형성하여야 하며

한쪽의 종자가 6~15개 또는 17개의 종자가 들어 있으며

홍갈색을 띠며 향기가 강렬한 것을 상품 上品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현재 유통되고 있는 과피 果皮가 벗겨진 사인 砂仁은

미숙한 종자와 적은 종자수의 저질품이 많이 발견된다.

2)심지어 분쇄된것은

출처가 불분명한 이물질이 혼입된것을 볼 수있다.

대표적인예를보면,

①보통 草豆 를 갈아 넣어서 섞어진 경우 :

입자 粒子의 모양 및 크기가 다르므로

조금만 관심을 가지 면 갈아놓아도 구별이 가능하다.

이는 草豆寇 의 자연상태(留皮)에서 모양이

사인 砂仁과 비슷한 것이 많은점에서 연유한 것이다.

②사인 砂仁 생산지의 흙이 부드러워, 위품 중에 흙이 많이 섞기도 한다.

사인 砂仁이 모아있는 약재통에 손에 물을 묻힌 후

바로 닦고 손을넣으면 흙이 묻어나오는 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③砂仁의 건조 확인법 :

건조가 덜 된 것은,

쌓여 있는 사인 砂仁 자루에 손을 넣으면

열감 熱感을 느낄 수 있 는것으로 확인할 수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소회향 小茴香 대체품으로

시라자 蒔蘿子(토회향 土茴香) 사용하면 안돼

이열 裏熱을 제거해주는 효능을 가진 약물인

온리약 溫裏藥 중 하초 下焦를 따뜻하게 해주는

대표적인 약물인 소회향 小茴香은 한약재와 식품으로

많은 사용빈도수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유통시장에서는 시라자 蒔蘿子가

대용품으로 유통되어지고 있고,

최근에는 중국에서 식품(주로 조미료-중국의 오 향족요리등)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팔각회향 八角茴香이 대회향 大茴香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소회향 小茴香은 한국과 중국의 각지에서

자생 혹은 재배되어지고 있으며,

대용품인 시라자 蒔蘿子는 중국의 華南(廣西·廣東), 西南(四川·貴州),

西北(甘肅), 東北(吉林), 華北(山西), 北部(內蒙 古)와

한국 일부 지역에서 자생하고 있다.

팔각회향 八角茴香은

중국의 華南(廣東·廣西·福建·海 南島·臺灣),西南(雲南·貴州),

인도,베트남등아열대지구에분포한다.

소회향 小茴香과 시라자 蒔蘿子의 채취시기는

9〜10월에 채취하여 말리며,

팔각회향 八角茴香은 가을에 과실이

녹색에서 황색으로 변할 때 채취하여 끓는물에 데친 후 건조한다.

1. 소회향 小茴香의기원

소회향 小茴香의 기원식물은

모든 공정서(KP, CP, JP, THP, DKP)에

회향 茴香 Foeniculum vulgare 1 종으로 등록되어 있으며,

다만 회향유 茴香油의 경우 KP와 JP에서

팔각회향 八角茴香 Illicium verum을 추가 하고 있다.

반면 시라자 蒔蘿子 Anethum graveolens는

KHP·DKP에서 등록되어 있으며,

특히 DKP의 경우 이를 소회향 小茴香의 1종류로 등록하고 있기도 하다.

팔각회향 八角茴香 Illicium verum은

KP 와CP에서 팔각회향 八角茴香으로 등록되어 있다.

정리하면 소회향 小茴香이라는 이름으로

정품인 소회향 小茴香과 대용품인

시라자 蒔蘿子 Anethum graveolens 가

많이 유통되어지고 있으며,

최근에는 팔각회향 八角茴香 Illicium verum이

추가되어지고 있는 형태 이다.

한약재로서의 소회향 小茴香은

‘ 종자가 크고 황녹색이며 향기가 진한 것’이 좋다.

2.약효상의차이

현재 유통시장에서 소회향 小茴香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시라자 蒔蘿子 Anethum graveolens는 오히려

온중초약 溫中焦藥으로 효능 부위가 다르다.

문헌적인 근거 를 보면 오히려 식품으로 사용되었던

팔각회향 八角茴香 Illicium verum이

소회향 小茴香의 대체품으로서 가 치가 높다고 보겠다.

이런 면에서 시라자 蒔蘿子의 소회향 小茴香 대체는

약용 부위인 과실이 형태상 유사 하다는이유로

사용되고있는 것은 매우 적합하지 않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소회향]

 

[소회향]

 

1. 소회향 小茴香은 Foeniculum vulgare의

과실만을 사용해야 한다.

[시라자]

 

[시라자]

 

2.현재 유통시장에서 소회향 小茴香의 대체품으로

많이 유통되어지고 있는 시라자 蒔蘿子(土茴香) Anethum graveolens는

효능면에서 온중초약 溫中焦藥에 속하여

정품인 소회향 小茴香과 효능 부위가 다르다.

따라서 온중초약 溫中焦藥에 속하는

기타 약물(예: 乾薑, 蜀椒 등)의 범주로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외형상 서로 비슷하기 때문에 특별한 주의를 필요로 한다.

[팔각회향]

 

 

[팔각회향]

 

3.한편 최근에 사용되기 시작한

팔각회향 八角茴香(大茴香) Illicium verum의 경우

효능면에서 오히 려 소회향 小茴香의 내용과

흡사한 부분이 많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전통적으로 중국에서 식품으로 사용이 많았다는 점에서,

효능면에서 소회향 小茴香에 미치지 못하나

대체품으로서의 내 용을 추적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入門》에 보면 대회향 大茴香은

기미 氣味가 조열 燥熱하여 요통腰痛에 응용된 다고 하였다.

《藥性歌》에서도“大茴味辛疝脚氣 止膀胱痛嘔胃”라 하여

소회향 小茴香의 효능과 유사하게 기록하고 있다.

하지만 같은 속 屬에 속하며 약용 부위인 과실 형태가

비슷한 유사식 물이 20여종이나 되며,

이중 독성(anisatin) 보고된 종류도 많이 있어

사용에 신중을 기해야 하는약물이다.

 
 

[소회향(좌), 사라자(가운데), 팔각회향(우)]

4.형태면에서

소회향 小茴香 Foeniculum vulgare은

원주형 圓柱形으로 외표면에 5개의

융기된 능선 稜線이 있는 특징을 가진 반면,

시라자 蒔蘿子(土茴香) Anethum graveolens는

난형 卵形으로 가장자리가 늘어나 깃모양(翅狀)을

이루는점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한편 팔각회향 八角茴香(大茴香) Illicium verum의 경우는

뚜렷하게 8개의 열매가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배열된 모습을 나타내고 있어 쉽 게구분되어진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사삼 沙蔘의 보음력 補陰力 강화하려면

해방풍(북사삼 北沙蔘) 사용이 바람직

인삼 人蔘이 대표적인 보기약 補氣藥으로 보양 補陽한다면,

사삼 沙蔘은 대표적인 보음약 補陰藥으로

오랫동안 사용되 어오고 있는 한약재이다.

한의학에서‘ 인삼 人蔘은 보오장지양 補五臟之陽하고

사삼 沙蔘은 보오장지음 補五臟之陰하는데,

인삼 人蔘은 보양이생음 補陽而生陰하고

사삼 沙蔘은 보음이제양 補陰而制陽한다’고 한 것도

이를 뒷받침하는 내용이 되겠 다.

한편 우리나라의 경우 동의보감에

한약명 양유羊乳인 더덕을 사삼 沙蔘으로 잘못표기된 이후,

현재까지 유통시장에서 혼란을 나타내고 있는 한약재이기도 하다.

여기에 모시대인 제니 薺泥 와

북사삼 北沙蔘에 해당되는 해방풍의 뿌리를

원방풍 元防風이라고하여 유통되는 등

약재시장에서 아주 많은 혼란을 나타내고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이기도 하다.

중국의 경우 사삼 沙蔘은 남사삼 南沙蔘이라 하고,

북사삼 北沙蔘은 갯방풍(해방풍 海防風)으로 정리하고 있으며,

약효면에서 북사삼 北沙蔘(海防風 Glehnia littoralis)이

남사삼 南沙蔘보다 효력이 좋다고 하였다

1. 사삼류 沙蔘類의 기원

일단 다음과 같은 용어정리를 필요로 한다.

1) 사삼 沙蔘(남사삼 南沙蔘)은

①잔대Adenophoratriphyllavar.japonica(KHP)

②윤엽사삼(輪葉沙參)A.tetraphylla

(=A.verticillata=Campanulatetraphylla)(CP,THP)

③당잔대(沙參)A.stricta(KHP,CP,THP)

2) 양유 羊乳(사엽삼 四葉參, 더덕)은

Codonopsislanceolata(DKP)

3)제니(薺泥, 모시대)는

①Adenophoraremotiflorus(KHP,DKP)

②윤엽사삼(輪葉沙參)A.tetraphylla

(=A.verticillata=Campanulatetraphylla)(DKP)

4)해방풍 海防風(북사삼 北沙蔘, 갯방풍)은

Glehnialittoralis(=Phellopteruslittoralis)(KP,JP)

산출지역을 보면,

4품목 모두 한국과 중국 각지의 야산이나 고산지대에 분포한다.

당잔대 (沙參)의 경우 한국과 중국의 華東(江蘇 安徽 浙江),

華中(湖南 湖北 江西), 西北(甘肅 陜西) 등에서산출되며,

羊乳(四葉參더덕)는 한국에서 식품 및 약용으로 대량재배하고 있기도하다.

모두 크고 가능하면 충실한 것을 상품으로 한다.

2.약효상의 차이

1.시중에서는 더덕(羊乳根, 四葉參)이

사삼 沙蔘으로 유통되고 있는 바

(우리나라《향약집성방 鄕藥集成方》 과

《동의보감 東醫寶鑑》에서 혼란이 시작되었다),

이는 잘못된 내용으로 재정리를 요하는 사항이다.

사삼 沙蔘(잔대)은 기미 氣味가

감미고 甘微苦하여 폐음허증 肺陰虛症에쓰이고,

양유 羊乳(더덕)는 감신 甘辛하고 고미 苦味가강하여

폐실증 肺實證에 쓰일 수 있다.

또한 해수천식 咳嗽喘息 등에 응용되는 부분에서도,

양유 羊乳(더덕-補肺止咳 淸熱解毒催乳)는 잔대

즉 원래의 사삼 沙蔘보다는상대적으로효력이약하다.

반면에 양유 羊乳(더덕)는 최유 催乳작용이 있어

돼지족발, 목통, 왕불유행, 천산갑 등과 같은

최유제 催乳劑와 배합될 수 있다.

2.해방풍(北沙蔘)은 자음 滋陰의 효력이 강하고,

사삼 沙蔘(더덕, 南沙參)은 거담 祛痰의 작용이 강하다.

3. 양유 羊乳(더덕)와 제니 薺泥 (모시대)는

사삼 沙蔘(잔대 南沙參)의 거담력 祛痰力에 미치지는 못하지만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며, 이중 양유 羊乳(더덕)는 최유 催乳작용이 특징적이며,

제니 薺泥 (모시대)는 청열해독 淸熱解毒 작용이 특징적이라고 말할 수 있다.

즉 전체적으로

①보음력 補陰力은

해방풍(北沙蔘) > 沙蔘(잔대南沙參) > 羊乳(더덕) > 薺泥 (모시대)

② 거담력 祛痰力은

沙蔘(잔대南沙參) > 羊乳(더덕) > 薺泥 (모시대)

③청열력 淸熱力은

薺泥 (모시대) > 羊乳(더덕) > 沙蔘(잔대, 南沙參)으로 정리되어진다.

여기에 羊乳(더덕)의 경우 유즙부족 乳汁不足에

최유 催乳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어진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사삼,잔대]

 

[사삼,잔대]

 

1)사삼(沙蔘) Adenophorae Radix

①윗쪽: 뚜렷한 윤상 輪狀의가로주름(螺紋)

②절단면: 유백색 類白色〜황백색 黃白色을띠고빈틈(裂隙)이많다

[양유, 더덕]

 

[양유, 더덕]

 

2)양유(羊乳) CodonopsisLanceolatae Radix

①표면:혹이 더덕더덕 붙어있다. 황갈색 黃褐色

②절단면: 백색 白色으로빈틈(裂隙)이 많다.

[제니, 모시대]

 

[제니, 모시대]

 

3)제니(薺泥 ) AdenophoraeRemotiflori Radix

①표면: 갈색 褐色

②절단면: 백색 白色을 띠고 빈틈(裂隙)이 많다.

[해방풍, 원방풍, 북사삼]

 

 

[해방풍, 원방풍, 북사삼]

 

4)해방풍(北沙蔘) Glehniae Radix

①절단면: 피부 皮部(담황백색 淡黃白色)와

목부 木部(황색 黃色)로 뚜렷이 구분,

빈틈(裂隙)이 없고 치밀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