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울금 鬱金, 성질이 서늘해

강황 薑黃 · 아출 莪朮과

구분해서 사용해야

오랫동안 강황 薑黃을 비롯한

Curcuma 속屬 한약재는

한의의료기관에서 질병 치료에 활용되어 왔으며,

최근에는 식품(예: 카레)에서도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한약재가 되었다.

대부분의 식품 겸 한약재가 그러하듯이

Curcuma屬 한약재 역시 활용도가 높아지면서

비슷한 종류의 혼입이 뒤따르고 있다.

하지만 한약재로서의 약효는

엄연히 차이가 있으므로 질병 치료의 목적으로는

반드시 정품을 사용해야 함은 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기원품으로 지칭된 Curcuma屬

한약재의 문헌에 기록된 산지를 보면,

① 강황 薑黃은 중국의 華中(江西 湖北), 華東(浙江),

華南(福建 廣東 廣西 臺灣), 西北(陜西),

西南(四川 雲南 貴州 西藏)에서 주로 재배되며,

② 울금 鬱金은 중국의 華東(浙江)이 대표산지로서

중국 및 동남아의 열대지방에 분포하고,

③ 아출 莪朮은 중국의 華南(廣西 廣東 福建 臺 灣),

西南(四川 雲南) 기타 열대지방에서 생산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실제 재배 및 자생지역을 확인해 보면,

아열대 혹은 열대지방인 동남아시아 및

중국의 남방지역이 주된 산지임을 알 수 있다.

모두 근경 根莖 혹은 근 根을 약용 부위로 하는 관계로

채취시기도 가을과 겨울에 경엽 莖葉이 마를 때

채취하여 세정한 다음 삶거나 쪄서 쇄건 晒乾하고 있다.

1. 강황 薑黃․울금 鬱金․

아출 莪朮의 기원

위의 도표에서 알 수 있듯이

매우 혼란스럽게 기원식물이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최근에 대량 재배되어지고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그냥 편리하게 이름을 붙이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한의학은

특정성분(curcumin·유도체)만을

기준으로 하는 것이 아니며,

엄연하게 오랫동안 많은 처방에서

용도를 달리해 왔다는 점에서

반드시 이에 대한 구분이 필수적이다.

실제 정품만을 기준으로 보면

동일식물이라 하더라도

약용 부위의 차이(根 또는 根莖)로

다른 이름과 용도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특이하게 일본(JP)에서는

薑黃과 鬱金을 구분하 지 않고

대부분 국가에서 薑黃으로 정하고 있는

Curcuma longa의 뿌리줄기를

鬱金으로 규 정하고 있기도 하다.

이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① 약용 부위에서, Curcuma屬의 근경 根莖을

약용으로 하는 한약재는 강황 薑黃과 아출 莪朮이며,

괴경 塊根 을 약용으로 하는 한약재는 울금 鬱金이다.

② 이중 강황 薑黃은

Curcuma longa 1종의 근경 根莖이고,

아출 莪朮은 봉아출 蓬莪朮C. phaeocaulis·

광서아출 廣西莪朮 C. kwangsiensis·

온울금 溫鬱金(흑울금 黑鬱金)C. wenyujin 3종의

근경 根莖이다.

이중 아출 莪朮의 온울금 溫鬱金(黑鬱金)은

괴근 塊根이 한약명 울금鬱金의

주된 한약재라는 점에서,

근경 根莖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인 것이다.

③ 울금 鬱金은

온울금 溫鬱金(黑鬱金) C. wenyujin·

강황 薑黃(黃絲鬱金) C. longa·

광서아출 廣西莪朮(桂鬱金)C. kwangsiensis·

봉아출 蓬莪朮(綠絲鬱金)C. phaeocaulis 등

4종의 근 根(塊根)이다.

이중 온올금 溫鬱金(黑鬱金) 을 제외한

기타 식물은 한약재명 강황 薑黃과 아출 莪朮의

주된 기원종이라는 점에서,

이것 역시 근 根(塊根)을 활용하고자 하는

의도로 설명되어진다.

주지하다시피 식물은 지하 부위에

근경 根莖과 근 根을 모두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根莖(薑黃) 이 발달한 식물에서는

根(鬱金)이 부실하며,

根(鬱金)이 발달한 식물에서는

根莖(薑黃)이 부 실한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사정으로 薑黃·鬱金·莪朮이

분류되기 시작한 것을 알 수 있다.

한의학문헌의

“薑黃 鬱金 可以得自同一原植物

卽 薑黃其根莖 鬱金爲其塊根

(鬚根的膨大 部分)”의 예에서 보듯이

약용 부위가 약물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였음을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중국 四川 지역의 경우,

① 崇慶 지역에서는 鬱金이 주산품이며

薑黃은 부산품인 반면,

② 宜賓 지역에서는 토양이 粘質이라

鬱金은 불량하여 鬱金이 부산품으로 생산된다.

이런 이유로 중국현지의 생산 및 유통 현황을 보면,

학명에 의한 정확한 구별보다는

가능한 뿌리(根) 와 뿌리줄기(根莖) 모두를

약용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薑黃인 C. longa의 경우

根莖은 당연히 薑黃으로 사용하지만,

根은 黃絲鬱金 혹은 金黃

(절단면이 황색을 띠므로 이렇게 부르고 있음)이라

부르는 경우가 이에 해당된다.

또한 莪朮인 C. phaeocaulis의 경우에도

根莖은 당연히 莪朮로 사용되지만

심지어 黃薑 혹은 片薑이라 하여

(절단면이 황색∼녹색을 띠므로 이렇게 부르고 있음)

薑黃으로 사용되기도 하 였으며,

根은 鬱金(綠絲鬱金)으로 사용되었다.

2. 약효상의 차이

전통문헌에서 보통

울금 鬱金은 주입심 主入心하고

강황 薑黃은 주입비 主入脾하며

아출 莪朮은 주입간 主入肝한다고

구분하 고 있다

(“鬱金入心專治血分之病

薑黃入脾兼治血中之氣藥

莪朮入肝治氣中之血滯”).

여기 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사용된 처방을 근거로 하여

다시 유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 겠다.

Curcuma屬에 속하는 薑黃·鬱金·莪朮 모두

각성작용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적으로 다음과 같이 구분하여 응용되고 있다.

1) 흉복 胸腹 이상

(1)鬱金:

성질은 凉한 특성을 가지고,

신경이 무딘 것을 각성시키는 효능이 있다.

意識障碍 神志不淸에 응용되는

菖蒲鬱金湯 등이 이에 해당된다.

(2)薑黃:

성질은 溫한 특성을 가지고,

신경이 과민한 것을 무디게 하는 효능이 있다.

風濕으 로 인한 肩臂痛에 응용되는

舒經湯 등이 이에 해당된다.

2) 흉복 胸腹 이하

(1)莪朮(蓬朮):

성질은 溫한 특성을 가지고,

理氣力>理血力의 작용을 나타내며,

胸腹部의 氣滯에 응용된다.

(2)이에 비하여 相須작용으로

莪朮과 동용되는 대표적인 한약재인

三稜(黑三棱科- Sparganium stoloniferum의 根莖)은 理血力>理氣力의 작용을 나타내며,

胸腹部의 血滯에 응 용되는 차이점으로 설명된다.

薑黃·鬱金·莪朮을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1)자연상태:

잎의 자색띠 여부

(자색띠가 있으면 莪朮 C. phaeocaulis),

꽃의 발생위치

(葉鞘 발생-薑黃, 根莖 발생-鬱金과 莪朮) 및

색깔

(白色 혹은 淡黃色-薑黃과 鬱金, 粉紅色-莪朮) 로

기본적으로 구분된다.

2)약재상태:

표면의 環輪과 수염뿌리의 흔적

(있으면 根莖이 약용 부위인 薑黃과 莪朮,

없으면 鬱金),

단면의 색깔

(금황색-薑黃, 자갈색-鬱金, 회갈색-鬱金)로

기본적으로 구분된다.

3)향후 鬱金의 기타 3종·莪朮의

기타 2종에 대한 효능 검증 및

이에 대한 구체적인 감별기 준의 제시가

필요하다고 본다.

[강황]

 

 

[온울금]

 

[아출]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