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TV광고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관련 제품들이 몇 개 등장하고 있습니다.

 

중국 현지의 지구자 대부분을

국내 모(某)기업이 가져간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정도입니다.

 

2007∼8년 식약청에서는 주식회사 켐온에 의뢰하여

지구자의 13주(90일) 반복투여 시험을 했습니다.

2주간 용량결정시험을 실시했으며,

최고 투여용량인 2000mg/kg에서도

유의할만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13주간의 용량별 반복경구투여 시험에서는

F344랫드 암수 각 10마리씩이 사용되었습니다.

시험방법은 식약청의 독성시험지침과

KNTP 독성시험 프로토콜에 따랐습니다.

 

전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증세나 사망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사료와 음수 섭취량, 뇨검사, 장기 무게,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수컷의 고환 내 정자수와

부고환 미부 내 정자운동성 검사, 암컷 성주기 검사결과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제물의 안정성(물질이 고유의 성질을 그대로 보존하려는 성질) 시험결과

조제당일 농도는 조제 후 7일간까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균질성 또한 확인되었습니다.

 

유전독성시험의 결과는

복귀돌연변이는 음성이었고,

소핵시험도 음성이었습니다.

 

그러나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는 적어도

지구자가 시험조건 하에서

Chinese Hamster Lung세포(CHL)에

염색체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에서는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출처:민족의학신문 칼럼 한약 독성 이야기

*차이니즈 햄스터(Chinese Hamster)는?

햄스터의 한 종류로 많은 바이러스에 대해 감수성이 높아서

바이러스 연구에 실험동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외에도 세균, 기생충, 내분비, 비타민등의 연구에도 사용되는 포유류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평원이 광활하고 하천과 호수가 많으며 수로망이 촘촘히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50m이하지역이다.

 

북부의 노남산(魯南山)지역은 해발 100~300m,

서남 지역의 저산 구릉지역은 해발 20~400m이다.

 

동부의 황해에 임한 해안선은 총 953km에 달하고

성내의 크고 작은 하천이 2100여개에 달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장강(長江), 회하(淮河),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 태호(太湖),

홍택호(洪澤湖) 등이 있다. 때문에 ʻ수향(水鄕물의 고향)ˮ이라고도 불린다.

본 성은 온난대에서 아열대로 가는 과도기후 지역으로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적정하며 사계절의 구분이 명확하다. 

연평균기온은 13~16℃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2~4℃,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6~28℃가 된다.

연간 일조시간은 1900~2240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210~245일 이며 연간 강수량은 800~1200㎜이다.

토양은 종양(棕壤), 황종양(黃棕壤), 홍양(紅壤), 황양(黃壤),

임용갈토(淋溶褐土), 충적평원(沖積平原), 초전토(草甸土),소택토(沼澤土)등이 있다.

수림은 난온대 활엽수림과 북아열대 낙엽상록활엽혼교림,
상록활엽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강소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약용식물 1384종, 약용동물 110종, 광물약 23종,

기타 3종 등 모두 1520종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00여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은 6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550만kg이 된다.

수매 약재는 450종, 연간 수매량은 1,300만kg에 이른다.

 
주산품종
박하(薄荷) : 전통적인 명산지약재로 소박하(蘇薄荷)라고도 한다. 

주산지는 소주시(蘇州市)의 태창(太倉) 현(县)이다. 

재배역사가 유구하고 품질이 우수하여 국내외로 판매되고 있다.

섬수(蟾酥) : 성 전체 지역에서 채취하는 관습이 있다.

그중 계동(啓東) 현(县)은 ʻ섬수지향(섬수의 고향)ˮ이라 불리고 있다. 

본 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30%이상으로 전국 1위를차지한다.

모창출(茅蒼朮) : 명산지약재다. 

주산지는 구용(句容), 금단(金壇), 율양(漂阳), 율수(漂水) 등의 현(县)이다.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에ʻ주사점(朱砂点)ˮ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자충(土鱉蟲) : 주산지는 무석(無錫), 강음(江陰), 의흥(宜興), 무진(武進) 등의 현과 시이다.

대부분 양식하고 있다. 

크기가 크고, 가 납작하며 자홍색(紫紅色)을 띄고 있고

윤기가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절패모(浙貝母) : 70년대에 재배에 성공했다. 

남통(南通), 해문(海門), 장가항(張家港) 등의 시와 현(县)이 주산지이다.

 

강소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진주(珍珠), 태자삼(太子參)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에 사용하는 식물의 종류]

강활은 여러종이 혼용되어서

사용되고 있는 약재 중 하나입니다.

강활은 2001년 9월에

수입제한이 해제되면서

현재는 중국 강활이

수입되어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강활의 종류는 크게 세가지로

1.북강활,남강활

2.관엽강활

3.중국강활

국산 강활은

보통 Angelica koreana Max.로

표기가 되어 있지만

같은 종이 여러 이름으로

명명되는 일이 있었습니다.

Ostericum grosseserratum

Angelica koreana Maxim. Bull. Acad. St. Pet. 

O. koreanum Kitagawa J. Jap. Bot. 

O. grosseserratum (Maxim.) Kitagawa J. Jap. Bot.

O. praeteritum Kitagawa, sp. nov. J. Jap. Bot.

A. miqueliana Maxim. Hiroe, M. 

이게 모두 같은 국산 강활 식물에

붙은 학명입니다. -_-;;

시중에서는 국산 강활이라고 하면

크게 남강활과 북강활로

유통이 되고 있는데요.

남강활은 국내에서 자라는 재래종 강활

북강활은 종자가 국내로 유입되어

남강활대용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북강활]

 

[남강활]

보통 강활이라는 약재는

뿌리모양이 온전한 것 보다는

말려서 절편한 물건이 유통됩니다.

남강활과 북강활의

가장 큰 차이점은

바로 주사점이라 불리는

붉은 점들인데요.

처음에는 남강활과 북강활이

구분이 되질 않다가

여름철이 되면 북강활에서

붉은 주사점과 같은

테두리가 생기게 되는데~

 

주로 이걸 가지고

남강활과 북강활을

별을 하게 됩니다.

남강활은 그나마 학명이 알려져 있지만,

북강활의 경우는 정확한 학명이

알려져있지 않아 구별이 어려웠습니다.

하지만 2009년 1월 농촌진흥청

신유수박사님에 의해서

구별이 가능하게 되었는데요.

 

이는 남강활에 존재하지 않는 성분이

북강활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입니다.

2H4M(2-hydroxy-4-methylacetophenone)이라 불리는

이 물질은 북강활에만 존재하는 물질로

감별방법으로는 유일하다 볼 수 있겠습니다.

[중국 강활 - 잠강활]

중국 강활은 뿌리의 모양이

누에을 닮아 잠강활

혹은 대나무처럼 마디가 있다고 해서

죽절강활로 불립니다.

반면 아래 관엽강활은

뿌리덩어리가 커서

대두강활이라고 불립니다.

[관엽강활]

중국강활은 주로 사천성과 운남성에서 나고

관엽강활은 감숙성과 청해성에서

나는 걸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럼 국내에서는 어떤 강활을 써야할까요?

중국강활이나 남강활을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수입제한이 풀리기 전까지는

남강활을 사용했지만

잔뿌리가 많기에 무게가 나가지 않아

북강활이 대신 유통되는 경우도 많았지만,

현재는 중국강활(잠강활)이

수입이 이뤄지기 때문에

가급적 중국강활을 사용하되,

이게 여의치 않다면

남강활을 사용하시는게 좋습니다.

 

 

 

출처: 김인락 동의대학교 한의대 교수

민족의학신문 연재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뉴질랜드 녹용]

뉴질랜드 녹용은 시장에서

'뉴자'라고 줄여부릅니다.

 

뉴질랜드에서는 레드디어(red deer)혹은

와피티(wapiti)-엘크와 와피티의 교잡종)에서 채취한
사슴뿔을 통칭해서 부릅니다.

 

러시아나 중국산 녹용보다

크기가 작은게 특징입니다.

원래 뉴질랜드에서는 천적이 없이 늘어나는

사슴때문에 사냥을 통해 보상금을 주고 있었는데
1970년대초 이성방이라는 분이 뉴질랜드로 건너가

녹용을 국내로 들여온게 최초로 알려져있습니다. 

 

이 사건 이후로 국내에서 뉴질랜드산 녹용이

유통되기 시작했다고 보시면 됩니다.

 

[뉴질랜드 사슴 몽장]

뉴질랜드는 다른 나라와는 달리

녹용사업을 국가주도로

하고 있는 나라입니다.

 

그렇기에 어느 나라보다

녹용의 건조와 가공기술에 대한

연구가 빨리 이뤄졌고
표준을 정립해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 부분도 이성방님의 노력이

크다고 생각됩니다.-

특히 주목할 만한 부분은

NVSB(National Velvetting Standards Body)
-해석을 하자면 사슴뿔을 자를때

시행하는 국제표준 정도 되겠습니다.-

인증 프로그램인데요.
내용은 대략 이렇습니다.

1.사슴뿔을 자를때 국소마취제를 사용하며

사슴이 스트레스를 가장 적게 받도록 하며,
마취성분이 몸안에 남아있지 않도록 합니다.

 

2.사슴농장주가 사슴뿔을 자르기전에

수의사의 감독하에 이론과 실습과정을

먼저 배운뒤에 시험을 따로 치뤄서

증명서를 발급받아야만

사슴뿔의 절각이 가능합니다.

 

3.매년 무작위적으로 수의사를 통해

평가가 이뤄집니다.

여기에 녹용 품질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해외 바이어들(?)에게 품질에 대한
지속적인 홍보를 계속하고 있지요.

 

[뉴질랜드 녹용품질에 대한 가이드라인]

국내경기가 좋을 때 뉴질랜드에서는

국내상인들이 원하는 품질의

녹용을 생산했지만,

 

중국의 경제성장 이후에는

차이나그레이드(CHINA GRADE)라고 해서

중국이 원하는 품질의 녹용을 생산하는데

더 주력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즉, 한국의 영향력이 예전만 못하죠 -_-;;

예전에는 맨 위 사진처럼 녹용이 들어왔지만,
현재는 사슴뿔의 가장 윗부분이 잘려서

들어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유는 바로 그 끝부분-팁이라고 부릅니다.-을

중국인들이 아주 좋아하기에
수요가 폭증해 그렇습니다.

한번 팁분골이라 불리는 부분을 보시죠.

[녹용 팁분골]

 

이제 정리하겠습니다.

 

1.뉴질랜드 녹용은 뉴자로 불리며

1980년대 국내 들어오기 시작했다.

 

2.뉴질랜드 녹용은 자체적으로

절각과 품질에 대한 표준을 시행한다.

 

3.뉴질랜드 녹용의 주요 사용처는

중국이며 한국은 그 다음이다.


다음 시간에는 러시아산 녹용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사슴뿔의 부위별 명칭]

 

1) 각좌골
만 1년이 된 자록의 경우는 비로서 각좌골이 형성되어 외가지의 뿔이 이곳에서 자라게 된다.

 

각좌골이 형성되어 뿔이 돋아 나기 시작한 사슴은 매년 묵은 뿔을 떨어트리고(낙각)

새뿔을 자라게 하는데 이 낙각이 이루어 질 때마다 각좌골은 짧고 두터워져

나이가 많은 사슴일수록 각좌골이 크게 형성된다.

 

각좌골의 바로 위에 존재하는 부위로 1년생의 외가지 뿔인 경우에는

명확하게 나타나지 않으나 그 다음해부터 낙각이 이루어지고

새뿔이 돋아나면 확실하게 구분할 수 있다.


2)각좌
각좌는 뿔이 새로 돋아날 때 각좌골과 새뿔을 연결하는 접합부위가 되는 것이다.

각좌는 각좌골 보다 두터운 편이며 주위는 톱날 같은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 톱날 같은 부위는 바로 피하 혈관이 통하는 장소이다.


3)각간
각좌가 위로 성장한 부위 전체가 각간으로 매년 낙각이 이루어 지는 부위이다. 

이 각간이 보통 4-10cm 정도 자라는 시점이 제1측지가 나는 곳이며 이후 더욱 각간이 성장하여

20cm 정도 자란후 제2측지와 제3측지가 차례로 나오게 된다.

 

사슴뿔이 다 성장하였을 경우 꽃사슴은 분지가 4개 정도,

레드디어는 6개 정도, 엘크는 8개 이상이 나오게 된다.

 

각간이 다 성장한 뒤 아직도 부드러운 피부조직으로 둘러쌓여 있고

혈관이 통하고 있는 상태를 녹용이라 하며

이후 단단하게 각질화가 이루어진 것을 녹각이라 한다


녹용의 표면은 섬모가 밀생된 피부조직이며 내부에는

많은 결제조직, 연골조직, 혈관 및 신경이 분포되어 있다. 

 

녹용의 조직구조나 화학성분은 녹각이나 다른 털, 발톱의 조직과는 매우 달라

콜라겐, 인산칼슘, 탄산칼슘 및 단백질 등으로 이루어져 있고 

일반적으로는 수분이 약 10%, 유기물질 50%, 수용성 추출물 약 10%,

알콜추출물 약 1.5%, 에텔추출물 약 1%, 회분 약 35% 정도로 

 

품질이 좋은 녹용일수록 유기물, 수용성추출물, 알콜추출물,

에텔추출물의 함량이 높고 회분함량은 적다.

회분중에는 칼슘, 인, 마그네슘 등이 포함되어 있다


녹용의 성장은 매우 빠르고 신진대사가 왕성하여

녹용의 성장에는 내분비 계통의 영향과 더불어 사양조건이나

온도,습도, 일조 등의 자연적 환경조건에도 밀접하게 영향을 받는다.

녹용의 조직구조는 피질층과 간질층 그리고 수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마는 약재 이름이 산약(山藥)입니다.

산에서 나는 약이라는 의미같은데요.

뮤신이 풍부해 위산과다로 인한 

역류성 식도염이나 속쓰림에 

자주 사용합니다.

 

일반 소비자분들은 마와 천마를 혼동하시곤 하는데

마와 천마는 생김새와 용도가 전혀 다른 식물입니다.

 

[국산 거피산약과 피산약]

건조된 마(산약)는 보통 두가지 형태로

유통이 되는데,

 

대표적인게 뿌리의 겉껍질을

제거했느냐, 하지 않았느냐로

나뉩니다.

 

뿌리의 껕껍질을 제거하면 거피산약

제거하지 않은 상태면 피산약

 

여기서 피(皮) = 껍질 입니다.

 

오래전부터 산약은 

껍질을 제거한 상태로 

유통이 되어오다가,

 

어느 제약회사에서

껍질에 유효성분이 많다라는 

이유로 피산약이 유통되기 시작했습니다.

 

그런데, 문제가 되는 것은

껍질이 있는 상태의 마를

가공하거나 먹게되면

 

사람에 따라 다르겠지만,

피부가 가렵거나 알러지와

비슷한 증상이 나타난다는 겁니다.

 

그래서 옛 분들은 경험상

반드시 뿌리껍질을 벗겨야 한다고

말씀하시곤 했었지요.

 

그런데 이 껍질을 제거한

거피산약으로도 

피부알러지가 생기는 경우가

드물게 있습니다.

 

이럴 때 옛 어른들은 

산약의 뿌리껍질을 벗긴 후에

쪄서 사용했습니다.

 

이걸 증산약(蒸山藥)이라고 불렀는데,

지금은 거의 유통이 되지 않고

보기도 어려운 실정이 되어 버렸네요.

 

정리하자면,

1. 산약은 껍질을 벗긴 거피산약과

껍질이 있는 피산약으로 유통된다.

2. 껍질이 있는 경우에 피부 알러지가 생길 수 있다.

3. 거피 산약도 피부 알러지가 생기는 데

이때는 산약을 쪄서 사용한다.

 

*참고로 국산 산약은 경북 안동과 영주가 유명하지만

중국산 산약은 중국의 회경지방에서

나는 산약을 최상품으로 칩니다.

그래서 '회산약'이라는 명칭이 따로 있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우슬은 모양이 소 무릎과 비슷하고,

실제로 비름과 쇠무릎의 뿌리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우슬이 임신 여성에게 유산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은 고서(古書)에도 나와 있죠.

 

우슬은 임신한 쥐와 정상 쥐의

적출 자궁에 대해 흥분작용이 있습니다.

 

특이하게도 고양이의

비임신 자궁에는 이완작용이 나타났고,

임신한 자궁에 대해서만 흥분작용을 보였습니다.

 

또 국소에 우슬을 투여했을 때는 1∼4분 내에

강력한 자궁수축이 일어나 약 25분간 지속되었습니다.

임신한 자궁이 수축되는 현상은 유산이나 출산을 야기하므로

비록 동물실험에서 확인된 바이지만

 

고서의 기록으로 보아

사람에게서도 유산 위험이 있다고 추정되므로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2007∼8년 식약청은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우슬의 13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의뢰했습니다.

2주간의 용량 결정시험을 실시했으며,

그 결과 최고 투여용량인 2000mg/kg에서도

유의할만한 독성이 없었습니다.

 

이후 13주간의 용량별 반복

경구투여 시험이 진행되었습니다.

F344랫드 암수 각 10마리씩이 사용되었으며,

시험방법은 식약청의 독성시험지침과

KNTP 독성시험 프로토콜에 따랐습니다.

 

시험기간 내내 특별한 이상증세를 보였거나

사망한 동물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사료와 음수 섭취량,

뇨검사, 장기 무게,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수컷의 고환 내 정자수와

부고환 미부 내 정자운동성 검사, 암컷 성주기 검사 결과

모두 대조군(비복용군)에 비해 별다른 변화가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유전독성을 확인하기 위한

미생물 복귀 돌연변이시험, 염색체 이상시험, 소핵시험에서도

특이소견이 없어서 우슬이 유전독성을 야기하지 않는다는 소견이

보고서에 실렸지요.

출처: 민족의학신문 칼럼 한약 독성 이야기

p.s: 우슬은 주로 무릎의 염증이나

통증에 자주 사용되는 약초입니다.

효과를 빨리 보기 위해서 졸여서

매우 진하게 드시는 경우가 있는데요.

이럴 경우에는 약맛이 너무 진하고 쓴맛이 강하기에

위장장애가 나타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배가 아프거나 심하면 토하는 경우도 있으니

가급적 연하게 드시길 권해드립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강서성(江西省)은 삼면이 모두 산으로 둘러 싸여

지세가 파양호(鄱陽湖)쪽으로 점차 경사져 있는
형국으로,주변의 산지와 중남부 구릉지대,

파양호(鄱陽湖) 평원으로 세 개의 지형구역으로 나뉜다.
산지가 35.8%, 구릉이 42.3%, 평원이 21.8%를 차지 하고 있다. 

동부의 무이산맥(武夷山脈)은 강서성과 복건성의

경계를 따라 500km나 이어져 있고

해발 1000~1500m가 된다.

 

동북의 회옥산맥(懷玉山脈)은 

해발 500~1500m로 주봉이 1817m가 된다.

 

남부의 구연산맥(九連山脈)과 대수령(大廋嶺)은

해발 600~800m이다.

 

서남부의 제광산(諸廣山)과 만양산(萬洋山), 나소산맥(羅霄山脈)은

해발 1000~1500m로 정강산(井崗山)이 나소산맥(羅霄山脈)의

중단(中段)에 위치하고 있다.

 

중남부 구릉은 나소산맥(羅霄山脈)의 동쪽,

무이산맥(武夷山脈)의 서쪽에 있다.

 

구연산맥(九連山脈) 이북의 주변산지 내측과

파양호(鄱陽湖) 평원 이남의 광대한 지구안쪽은

저산구릉(低山丘陵)과 강구저지(崗丘低地), 

산간분지(山間盆地)가 교차로 분포하고 있고

해발 50~500m 정도 된다.

 

분지에는 길태분지(吉泰盆地), 감주분지(竷州盆地),

흥국분지(興國盆地), 신풍분지(信豊盆地),

서금분지(瑞金盆地), 남풍분지(南豊盆地), 

익양분지(弋糧盆地) 등이 있다.

 

주요하천으로는 감강(竷江), 무하(撫河), 요하(饒河),

신하(信河), 수하(修河) 등이 있다.

 

모두 파양호(鄱陽湖)로 유입된다.

파양호(鄱陽湖) 평원은 하천의 충적과

호수의 침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호반의 지세는 낮고 평평하며 사주(沙洲)는 광활하다.

강서성(江西省)은 기후가 온화하고 강수량과

일조량이 풍부하고 무상기(無霜期)가 길다.

다만, 봄에 춥고 여름에 가물다. 

 

연평균기온은 16~20℃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4~9℃,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8~30℃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600~2100 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240~300일이다.

연강수량은 340~1930㎜이다.

토양은8개의 토양으로 그 중 홍양(紅壤)의

분포범위가 가장 넓고 그 다음이 황양(黃壤),
황종양(黃棕壤), 초전토(草甸土), 조토(潮土)이다.

식생은 대개 낙엽활엽림과 상록활엽림이다.

[강서성의 지역]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성 전체의 약용식물은 1959종,약용동물은 155종,

광물약은 15종으로  총 2129종의 약재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양식하고 있는 약재는70여 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이

2.6만 무(亩)이고 연간 생산량은 460만kg이다.

수매약재는 500여 종으로 연간 수매량이 800만kg 된다.
 
주산품종
지각(枳殼) : 주산지는 신간(新干), 풍성(豊城), 익양(弋阳), 악평(樂平) 등의 현(县)이다. 

상품은 껍질이 푸르고 과육질이 두터우며

색이 희고 잡냄새 없이 향이 깔끔하다. 

강서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20% 정도를 차지,

전국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향유(香薷) : 명산지약재 중의 하나이다. 

주산지는 신여(新余), 의춘(宜春) 등 지역인데

그 중 분의(分宜) 현(县)의 생산량이 가장 많다. 

재배 역사가 길고, 품질이 우수하다.

줄기가가늘고 가지가 많아 화수(花穗)가 촘촘하며

향이 순수한 것이 특징이다. 

ʻ강향유(江香薷)ˮ 라고 불린다.

치자(梔子) : 성 전체 각지에서 재배하거나 야생으로 자라고 있다.

주산지는 평향(萍鄕), 풍성(豊城),의춘(宜春), 길수(吉水),

동향(東鄕), 안원(安遠), 익양(弋阳), 길안(吉安) 등의 현과시이다.
본 성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20%이상을 차지,

전국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차전자(車前子) : 
주산지는 길안(吉安) 지역의 태화(泰和), 길안(吉安), 길수(吉水) 현(县)이다.
재배 역사가 매우 길다. 상품은 흑갈색으로 입자가 크고

풍만하며 광택이 나고 점액이있다.

본 성의 재배생산량이 전국의 생산량 중

비교적 큰 비중을 차지한다.

만형자(蔓荊子) 
야생은 감강(竷江), 무하(撫河), 파양호(鄱陽湖) 연안의 모래톱에 분포하고 있다.
70년대에 신건(新建), 도창(都昌), 영수(永修) 등의 현에서 

야생을 재배하는데 성공한 후 지금은 재배면적이 2만 무(亩)에 달하는

전국 주요생산지 중의 하나가 되었다.

백출(白朮) : 주산지는 수수(修水), 동고(銅鼓), 익양(弋阳), 여천(黎川),

안복(安福), 상고(上高),영수(永修) 등의 현(县)이다.

진피(陳皮) 
주산지는 길안(吉安), 의춘(宜春), 무주(撫州) 등 지역이다.
재배역사가 길다.

상품은 피판(皮瓣. 껍질조각)이 완전하고

윤기가 있으며 향이 짙다. 

택사(澤瀉) : 
주산지는 광창(廣昌), 영도(寧都), 우도(于都),

남강(南康), 길안(吉安), 신풍(新豊) 등의 현과 시이다.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이 황백색으로

곱고 부드러운 전분 가루 성분이 있다.

후박(厚朴) : 주산지는 평향(萍鄕), 상요(上饒), 무주(撫州), 구강(九江), 길안(吉安) 등이다.
 
상술한 약재 외에도 형개(荊芥), 박하(薄荷), 전호(前胡), 연자(蓮子),

고본(藁本), 삼릉(三稜),백전(白前), 현삼(玄參), 검실(芡實),

관중(貫衆), 방기(防己), 오계(烏鷄), 하천무(夏天無) 등도
강서성(江西省) 내외에서의 대량으로 거래되는 약재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