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흔히 ‘인진쑥’이라고도 알려진 ‘인진호’는 오래 전에

식물기원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 적이 있습니다.

 

물론 증거는 불충분했습니다.

반면 최근에는 담즙 정체성 황달에 대한

치료효과가 보고되기도 했지요.

 

2007년 식약청에서 서울대병원에 발주한 연구에는

‘인진호’에 대한 13주 반복투여 독성시험이 있었습니다.

첫해에는 14일 반복투여 용량 결정시험을 했었는데,

특이적인 변화는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고 보고서에 씌어 있습니다.

즉 쥐가 보이는 임상증상, 폐사율, 체중의 변화 등에서

별다른 이상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2차년도에 90일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했으며,

최고 용량은 2000mg/kg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 실험에서도 임상증상, 사망률, 체중변화, 사료와 음수 섭취량의 변화,

혈액학 및 혈액생화학적 이상, 수컷의 생식기관 및 정자 검사,

암컷의 성주기에는 별다른 특이변화가 없었습니다.

 

육안적 부검소견과 병리조직학적 병변도

마찬가지로 문제가 없어서 달리 표적장기를

정의할 수도 없었습니다.

유전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복귀 돌연변이시험과 체외 염색체 이상시험,

체내 소핵시험을 실시했는데 염색체 이상시험에서

1차에서는 양성으로 판정되었다가

2차 확인시험 결과 재현성이 나타나지 않아

음성으로 판정되었습니다.

 

이 때문에 보고서의 끝에는

인진호 추출물의 유전독성은 추가적인

시험을 통해 확인해야 할 것으로 나와 있습니다.

하지만 그 후로 지금까지 별다른 독성보고가 없는 실정입니다.

출처: 민족의학신문 약초 독성 칼럼

참고사항:

인진쑥이 가을 쯤 되면 동글동글한 모양이 있습니다.

이 동그란 것을 [호]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그래서 가을에 채취하는 인진쑥을 인진호라고 부릅니다.

반면, 어린 인진쑥은 그 부드러움이

마치 비단과 같다고 해서

[면인진]이라고 부릅니다.

중국에서는 면인진을 인진쑥으로 사용하지만

국내에서는 면인진과 인진호 두가지를

모두 인진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인진쑥과 비슷하지만 다른 [더위지기]라는 식물이 있는데,

이 더위지기는 [한인진]이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다가,

인진쑥 만큼의 효능이 없다는게 밝혀지면서

시장에서 유통이 되고 있지 않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