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약재 생산정보 - 강소성 약초야 놀자/중국약재 지역별 생산정보2019. 7. 8. 10:39
자연환경
평원이 광활하고 하천과 호수가 많으며 수로망이 촘촘히 분포하고 있다.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50m이하지역이다.
북부의 노남산(魯南山)지역은 해발 100~300m,
서남 지역의 저산 구릉지역은 해발 20~400m이다.
동부의 황해에 임한 해안선은 총 953km에 달하고
성내의 크고 작은 하천이 2100여개에 달한다.
주요 하천으로는 장강(長江), 회하(淮河), 경항대운하(京杭大運河), 태호(太湖),
홍택호(洪澤湖) 등이 있다. 때문에 ʻ수향(水鄕물의 고향)ˮ이라고도 불린다.
본 성은 온난대에서 아열대로 가는 과도기후 지역으로
기후가 온화하고 강우량이 적정하며 사계절의 구분이 명확하다.
연평균기온은 13~16℃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2~4℃,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6~28℃가 된다.
연간 일조시간은 1900~2240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210~245일 이며 연간 강수량은 800~1200㎜이다.
토양은 종양(棕壤), 황종양(黃棕壤), 홍양(紅壤), 황양(黃壤),
임용갈토(淋溶褐土), 충적평원(沖積平原), 초전토(草甸土),소택토(沼澤土)등이 있다.
수림은 난온대 활엽수림과 북아열대 낙엽상록활엽혼교림,
상록활엽림으로 이루어져 있다.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약용식물 1384종, 약용동물 110종, 광물약 23종,
기타 3종 등 모두 1520종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00여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은 6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550만kg이 된다.
수매 약재는 450종, 연간 수매량은 1,300만kg에 이른다.
주산품종
박하(薄荷) : 전통적인 명산지약재로 소박하(蘇薄荷)라고도 한다.
주산지는 소주시(蘇州市)의 태창(太倉) 현(县)이다.
재배역사가 유구하고 품질이 우수하여 국내외로 판매되고 있다.
섬수(蟾酥) : 성 전체 지역에서 채취하는 관습이 있다.
그중 계동(啓東) 현(县)은 ʻ섬수지향(섬수의 고향)ˮ이라 불리고 있다.
본 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30%이상으로 전국 1위를차지한다.
모창출(茅蒼朮) : 명산지약재다.
주산지는 구용(句容), 금단(金壇), 율양(漂阳), 율수(漂水) 등의 현(县)이다.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에ʻ주사점(朱砂点)ˮ이 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자충(土鱉蟲) : 주산지는 무석(無錫), 강음(江陰), 의흥(宜興), 무진(武進) 등의 현과 시이다.
대부분 양식하고 있다.
크기가 크고, 배가 납작하며 자홍색(紫紅色)을 띄고 있고
윤기가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절패모(浙貝母) : 70년대에 재배에 성공했다.
남통(南通), 해문(海門), 장가항(張家港) 등의 시와 현(县)이 주산지이다.
강소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진주(珍珠), 태자삼(太子參) 등이 있다.
'약초야 놀자 > 중국약재 지역별 생산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약재 생산정보 - 귀주성 약재 (0) | 2019.07.20 |
---|---|
중국 약재 생산정보 - 광서장족자치구 약재 (0) | 2019.07.15 |
중국 약재 생산정보 - 광동,해남성 (0) | 2019.07.11 |
중국 약재 생산정보 - 강서성의 주산품종 (0) | 2019.06.30 |
중국 약재 생산정보 - 감숙성의 주산품종 (0) | 2019.06.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