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모과]

 

 

모과란?

모과나무 Chaenomeles sinensis Koehne 또는

명자나무 Chaenomeles speciosa Nakai (장미과)의 잘 익은 열매이다.

전자를 추피목과(皺皮木瓜)라 하고 후자를 광피목과(光皮木瓜)라 부른다.

맛은 시고 떫으며(酸, 澁), 성질은 따뜻하다(溫).

작용장부는 간과 비(肝, 脾)이다.

약리작용

① 생쥐의 단백성관절염에 부종을 억제하는 작용이 현저하며,

② 복수암 세포의 억제 작용도 나타난다.

③ 토끼의 연골 조직을 부드럽게 하므로 추간판탈출증에 주사제로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주치(主治)

거습지통(祛濕止痛)

1. 모과는 각기에 쓰이는 중요한 약물이므로 한습각기(寒濕脚氣)에 속하면

소엽(蘇葉) . 오수유(吳茱萸) . 생강(生薑) 등을 함께 쓰고(鷄鳴散),

습열각기(濕熱脚氣)에 속하면 황백(黃柏) . 비해 . 석곡(石斛) 등을 넣어 쓴다.

유명한 처방인 계명산(鷄鳴散)은 木瓜를 군약(君藥)으로 쓴 것으로

각기치료의 주요처방이다.

모과에 의한 각기치료는 하지가 붓고 무거우며 시큰거리고 차지며

근육이 위축되고 걷지 못할 경우가 좋다.

만성화되면 증상이 심해지므로 조기에 木瓜를 쓰는 것이 좋다.

2. 모과는 風濕에 의해 일어나는 관절산통(關節酸痛)에 거습지통(祛濕止痛)의 효과가 있다.

특히 허리에서 다리에 걸쳐 나타나는 통증에 확실한 효과를 나타낸다.

관절염이 장기간 치료되지 않고 부종이나 근육위축등이 나타날 때

습사(濕邪)가 성(盛)하면 우슬,오가피,의이인(牛膝 . 五加皮 . 薏苡仁) 등을 함께 쓰고,

한사(寒邪)가 성(盛)하면 천오, 초오, 백지(川烏 . 草烏 . 白芷) 등을 넣어 쓰거나

천오, 초오, 마황, 계지, 당귀(川烏 . 草烏 . 麻黃 . 桂枝 . 當歸) 등을 넣어 쓰면 좋다.

단 효과는 극히 완만하게 나타난다.

3. 모과는 좌골신경통의 치료에 쓴다.

단순한 풍습성(風濕性)이나 척추병변(脊椎病變)으로 일어난 것일 때 쓰면

거습(祛濕)효과와 동시에 척추의 골조직이 증식하여 좌골신경을 압박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활혈화어약(活血化瘀藥)인 단삼, 천궁, 적작약(丹蔘 . 川芎 . 赤芍)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4. 다발성신경염으로 지체무력(肢體無力) . 감각이상이 일어나고

사지(四肢)의 이완성마비를 보이면 황기, 우슬, 진교, 백출(黃耆 . 牛膝 . 진교 . 白朮)을넣어 쓴다.

초기일수록 효과가 좋다.

장기간 하지가 마비되어 있을 때는 당삼, 황기, 부자, 육계(黨蔘 . 黃耆 . 附子 . 肉桂)를 넣어 쓸 필요가 있다.

5. 근육류머티스 . 말초신경염, 허리부위 근육손상에 의한 통증에는

모과와 방기, 오가피, 강활, 독활(防己 . 五加皮 . 羌活 . 獨活) 등을 넣고 술에 담근 후 복용하면 좋다.

6. 노인이 겨울철에 발작성 장근육경련을 일으키면

모과 3錢에 당귀, 천궁, 백작약(當歸 . 川芎 . 白芍) 각 3錢을 넣고 달여 복용하면좋다.

감각이 쇠퇴한 경우에는 부자(附子)를 더 넣어 쓴다.

화위지구(和胃止瀉)

1. 모과는 소화기의 질환을 치료하는 경우에도 중요한 약물이다.

소화흡수를 돕고 오염된 氣를 배설하며 설사와 구토를 멎게 한다.

여름철 더위나 습기 때문에 구토, 설사, 복통이 일어나고 심하면

비장근경련이 일어날 때는 의이인, 잠사, 황련, 오수유(薏苡仁 . 蠶砂 . 黃連 . 吳茱萸) 등을 넣어 쓰면 좋다.

심하지 않은 것은 곽향, 후박, 반하(藿香 . 厚朴 . 半夏) 등을 넣어 쓴다(六和湯).

급성장염에 심한 구토와 설사로 탈수증상을 보일 때도 이 방법을 쓰면 좋다.

2. 육류의 섭취과다로 흉복부가 팽창하고 통증이 있을 때는

木瓜 4錢, 山査 3錢, 枳實 2錢을 넣고 달여 진하게 달여 한번에 복용하면 좋다.

3. 모과는 소화기의 만성질환으로 흉복부가 답답하여 괴롭고 딸꾹질이 나고

식욕이 부진하며 과식하면 소화가안 되고 방귀가 잦으며

설태(舌苔)가 희고 끈적거리는 증상에는 모두 모과를 다른 약과 같이 쓰면 좋다.

4. 급성맹장염으로 끊어질 듯한 복통이 있을 때도

모과 3錢, 목향 2錢을 넣어 쓰면 효과가 있다.

이러한 증상에는 모과를 5∼8錢까지 써야 할 때도 있다.

단 충수염(蟲垂炎)이 원인일 때도 있으므로 남용하지 말고 신중하게 써야 한다.

임상보고

① 급성황달형간염에 개선 효과가 현저하였으며,

② 급성세균성이질에 유효한 반응을 나타냈다.

주의사항

소화성 위궤양에 의한 경련성 통증, 변비,

소변량이 적거나 붉은색을 띠는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잠사 - 누에똥]

 

 

잠사란?

누에나방 Bombyx mori (Linné) (누에나방과)이 2~3잠을 잘 때 배설한 분변이다.

맛은 달고 매우며(甘, 辛), 성질은 따뜻하다.(溫)

작용장부는 간,비,위(肝, 脾, 胃)이다.

주치(主治)

1. 화위화탁(和胃化濁): 비위장의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

2. 거풍제습(祛風除濕): 관절염, 사지마비

3. 활혈산풍(活血散風): 근육마비, 요통, 하지통증, (+두충, 모과)

4. 거풍지양(祛風止痒): 피부 가려움증, 아토피

용량

8-15g

금기

빈혈, 허약자에게는 주의한다.

p.s: 잠사는 여러가지 성분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지방과 엽록소, 그리고 비타민, 구리가 들어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쥐에게 아토피를 유발한 실험에서는 치료율이 90%에 이르기 때문에

추후 피부질환에 많이 사용되길 기대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초오 - 이삭바꽃]

 

 

초오란?

이삭바꽃 Aconitum kusnezoffii Reichenbach,

놋젖가락나물 Aconitum ciliare Decaisne

또는 세잎돌쩌귀 Aconitum triphyllum Nakai(미나리아재비과)의 덩이뿌리이다.

맛은 맵고 쓰며(辛,苦), 성질은 따뜻하다.(溫),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간,신(肺, 脾, 肝, 腎)이다.

주치(主治)

1. 수풍성습(搜風腥濕)

①. 풍습비통(風濕痺痛): 사지마비, 관절통증(법제를 하여 사용한다)

②. 중풍탄탄(中風癱瘓): 중풍으로 인한 편마비

③. 파상풍(破傷風)

2. 산한지통(散寒止痛): 머리가 너무 차가워서 오는 두통(법제를 하여 사용한다.)

①. 두통(頭痛): 천궁, 방풍, 천마, 백지를 더한다.

②. 아통(牙痛); 치통

③. 완복냉통(脘腹冷痛): 배가차서 생기는 복통 생리 못 봄

④. 설사(泄瀉)

3. 개담하기(開痰下氣): 몸이 차서 생기는 가래

몸에 수분대사가 떨어져서 생기는 증상.

4. 온신장양(溫腎壯陽): 강심, 체온상승

용량

0.5-6g (반드시 법제를 하여 사용하라)

배합예

1. +계지(桂枝): 사지마비

2. +세신(細辛): 찬바람이 머리에서 나는 경우

3. +창출(蒼朮), 천궁(川芎): 냉복통

5. +전갈(全蝎): 구안와사

초오의 법제방법

초오는 독초로 반드시 독성을 낮추는 법제과정을 거쳐야하는데

법제 방법은 혀끝에 마비감이 없어질 때까지 소금물에 담가 독성을 우려낸다.

이것을 감초, 검은콩(뿌리의 10퍼센트)과 함께 삶아서 말린 다음 가루낸다.

또는 증기로 6~8시간 찌거나 소금물에 15~30일 담갔다가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뿌리를 물에 찌거나 소금물에 오래 담가두면 독성이 약해진다.

생뿌리를 그대로 말린 것은 약으로 쓰지 못한다.

일부 외용약을 만들어 신경통에 바르기도 한다.

 

초오의 중독 증상

처음에 가려움증, 찌르는 듯한 아픔, 산통, 센 작열감, 어지러움,

부정맥, 숨가쁨, 게우기, 운동마비가 있다.

그리고 침분비항진, 동공축소, 핏줄확장, 눈물 등이 있다.

심하면 사망할 수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해동피 - 엄나무 껍질]

 

 

해동피란?

음나무 Kalopanax pictus Nakai (두릅나무과)의 줄기껍질이다.

「中華本草」에 따르면 해동피는

자동(刺桐) Erythrina variegata Linné (콩과)

또는 그 근연식물을 정품으로 기재하고 있고

음나무는 자추수피(刺楸樹皮)로 기재하고 있다.

국산 해동피는 음나무의 몸통 껍질을

수입 해동피는 자동의 몸통 껍질을 약용부위로 사용합니다.

아무래도 하나는 두릅나무과이고 하나는 콩과이다 보니

약리작용에 있어서는 차이가 있을 듯 하지만

실제 임상에서는 이 둘을 모두 해동피로 사용합니다.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간과 비(肝, 脾)이다.

주치

1. 거풍습 통경락(祛風濕, 通經絡 )

①. 풍습비증(風濕痺証): 풍습으로 사지마비와 관절염, 피부감각 이상

②. 사지구련(四肢拘攣): 팔다리가 당겨져 펴기 힘들 때

③. 요슬동통(腰膝疼痛): 요통과 관절염

2. 거습지리(祛濕止痢): 이질, 설사(효과 미미)

3. 살충지양(殺蟲止痒)

①. 개, 선창(疥, 癬瘡): 피부두드러기, 가려움(+사상자)

②. 습창(濕瘡): 피부가 짓무르는 경우

③. 아치충통(牙齒蟲痛): 충치

금기

허약하고 빈혈이 있는 사람에게는 사용시 주의.

배합예

1. +희렴초(豨薟草): 고혈압

2. +진교(秦艽): 사지마비, 감각이상

3. +강황(姜黃): 관절염, 관절통증

4. +강활(羌活), 독활(獨活): 오십견, 어깨결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진교 - 마화진교]

 

 

진교란?

큰잎용담 Gentiana macrophylla Pallas,

마화진교(麻花秦교) Gentiana straminea Maximowicz,

조경진교(粗莖秦艽) Gentiana crassicaulis Duthie ex Burk.

또는 소진교(小秦艽) Gentiana dahurica Fischer(용담과)의 뿌리이다.

앞의 3종은 뿌리를 햇볕에 쪼여 부드럽게 되면

이를 층층이 쌓아 바깥 면이 주황색~회황색이 될 때까지 발한(發汗)시킨 후에

펼쳐서 햇볕에 말리거나 또는 발한(發汗)시키지 않고 직접 햇볕에 건조시키며,

소진교는 신선할 때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간,위,담(肝, 胃, 膽)이다.

주치(主治)

1. 거풍성습(祛風腥濕): 관절염, 관절의 굴신이 되지 않을 경우

2. 통락치탄(通絡治癱): 한쪽마비로 반신불수

3. 청골증조열(淸骨蒸潮熱): 찌는듯한 열감(+지모, 지골피, 별갑을 더한다.)

4. 퇴습열황달(退濕熱黃疸): 황달

배합예

1. +방풍(防風): 근육과 관절의 경련과 당기는 증상

2. +별갑(鼈甲): 골증조열(骨蒸潮熱)

3. +방기(防己): 부종

4. +해동피, 위령선(海桐皮, 威靈仙): 신경장애와 마비, 관절통증이 심할 때

5. +당귀(當歸): 보혈활혈(補血活血), 관절부위 혈액순환 촉진

6. +인진(茵陳): 간염초기 황달

p.s: 진교의 다른 이름은 진구, 진범이라 불리는데

국내에서는 흰진범이라 불리는 식물이 있습니다.

이 흰진범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는 전혀 다른 식물인데,

이게 진범이라는 식물이름 때문에 약초 진교로 혼동하는 경우가

매우 많고 중독증상으로 매년 심심찮게 사고가 발생합니다.

약초 진교는 용담과이고

식물 진범(흰진범)은 미나리아재비과이니

절대로 혼동해서 사용하시면 안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방기]

 

 

방기란?

방기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새모래덩굴과)의 덩굴성줄기 및 뿌리줄기이다.

KP(국내 생약규격집)와 JP(일본약전)에는 생약명을 방기로 수재하고 있으나

CP(중국약전)에는 청풍등(靑風藤)으로 수재하고 있다.

맛은 쓰고(苦) 매우며(辛), 성질은 차다(寒)

작용장부는 방광, 폐, 비, 신(膀胱, 肺, 脾, 腎) 이다.

약리작용

① 중추 신경 계통의 흥분 작용이 있어서 진통 작용을 보이고,

② 관절염에 일정한 소염 작용이 있으며,

과민성 쇼크에 저항 능력이 높아서 해열제와 진통제로 쓰인다.

③ 관상 동맥의 혈류량을 현저히 증가시키며,

④ 횡문근의 이완 작용을 보인다.

⑤ 기관지 평활근에 작용하여 긴장력을 증가시키고,

⑥ 항균, 항원충, 항종양 작용을 나타낸다.

주치(主治)

1. 이수소종(利水消腫)

①. 풍수(風水): 전신이 붓는 증상

②. 피수(皮水): 부종

③. 담음병(痰飮病)

 

2. 청리습열(淸利濕熱): 미열과 붓는 증상

3. 거풍지통(祛風止痛): 관절염(무릎이 붓는 증상)

용량

5-9g

배합예

1. +계지(桂枝): 팔다리 통증

2. +황기(黃芪): 허약한 사람이 부종이 있을 때

임상보고

① 고혈압에 약침 제제로 사용하여 혈압을 내렸고,

② 관상 동맥 질환에도 정맥 주사제로 유효성을 높였으며,

③ 실험성 규폐증에도 효력을 보였다.

④ 폐암도 정맥 주사제로 치료하였다.

p.s: 방기는 크게 광방기와 분방기

그리고 목방기(댕댕이 덩굴)로 나눠서 사용합니다.

한때 광방기가 다이어트 제품에 들어가면서 신장암이 생기거나

신장기능이 매우 약해지는 등의 부작용이 사회적으로 문제가 되면서

광방기는 식품사용불가 원료로 지정되면서

방기라는 약 자체가 사용하기가 어렵게 되었습니다.

광방기와 분방기는 사실 육안으로 구별이 불가능할 정도로

모양이 비슷하기에 이 둘을 모두 사용하지 않고 있습니다.

그래서 대신할 약재로 청풍등이나 목통을 사용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방기자체는 워낙에 이뇨작용이 강하기 때문에

사용할때 매우 주의해야 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위령선]

 

 

위령선이란?

으아리 Clematis manshurica Ruprecht.,

가는잎사위질빵 Clematis hexapetala Pallas 또는

위령선(威靈仙) Clematis chinensis Osbeck (미나리아재비과)의 뿌리 및 뿌리줄기이다.

철선련(鐵線連)이라고도 한다.

약리작용

1, 순환 계통에 대한 작용

마취한 개의 혈압을 내리고 신장의 용적을 축소시키지만 탕제의 약효는 침제의 절반 이하이다.

두꺼비의 적출 심장에 대해서는 먼저 억제하고 후에 흥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이 작용에 대한 침제의 약효는 탕제 약효의 약 3~5배이다.

이 강압 작용은 심장에 대한 억제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2, 평활근에 대한 작용

마우스의 적출 장관에 대해 뚜렷한 흥분 작용이 있지만

이것은 평활근에 대한 직접 작용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마우스의 적출 자궁에 대한 작용도 뚜렷하지 않다.

 

3, 항이뇨 작용

mouse, rat, guinea pig에 대해 현저한 항이뇨 작용이 있다.

이 작용은 침제나 탕제 모두 비슷하다.

 

4, 혈당 저하 작용

위령선(威靈仙)의 침제는 정상적인 rat에 대해 포도당의 동화 작용을 현저히 증강시키기 때문에

(즉 rat에 대량의 포도당을 먹인 다음 요당 시험을 한 결과 음성이었다)

현저한 혈당 저하 작용이 있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5, 기타 작용

위령선(威靈仙: 품종은 일정하지 않다)의 탕제

0.025g/10g(최소 치사량의 1/8)을 마우스에게 복강 주사하면

통각(痛覺) 역치가 높아지기 때문에(열판법:熱板法) 진통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1:3 침제는 in vitro에서 피부 진균에 대해 약간의 억제 작용이 있다.

화중위령선(華中威靈仙 즉 백화등:白花藤, 품종은 감정하지 않았다)에서

뽑은 성분인 anemonin에는 항균 작용이 있다.

 

 

맛은 맵고(辛), 짜며(鹹), 성질은 따뜻하다.(溫)

작용장부는 방광(膀胱)이다.

주치(主治)

1. 거풍제습(祛風除濕)

①. 풍한습비(風寒濕痺)

②. 사지구급(四肢拘急): 팔다리의 마비, 감각이상

③. 요척통(腰脊痛): 허리통증

④. 반신불수(半身不遂): 중풍

2. 연견산결(軟堅散結)

①. 징가적취(癥瘕積聚)

②. 제골경인(諸骨骾咽): 목구멍에 가시가 박혀 걸리는 경우

용량

6-9g

금기

허약자, 간기능이 약한 사람

배합예

1. +상기생(桑寄生): 고혈압, 마비와 통증

2. +강활(羌活), 우슬(牛膝)(허리 이하): 마비증상

p.s

신경통, 관절염, 근육통 일체의 마비되고 아픈 증상에

강활, 독활, 우슬을 가미한다.

급성간염, 황달에 사용

간기능이 약한 사람에게는 간수치가 올라갈 수 있으니 주의한다.

임상보고

1.관절염

위령선 1근을 잘 게 썰어 백주(白酒) 3근과 섞어서

그릇과 함께 물을 넣은 가마에 넣어서 30분 정도달이고 꺼내어 여과한다.

1회에 10~20ml, 1일에 3~4회 복용한다.

치료한 15례에서 증상 개선의 효과가 나타났다. [중약대사전]

 

 

2.골경(骨鯁: 목에 생선 가시가 걸린데)

위령선 1냥에 물 2사발을 넣고 1사발이 되게 달인 것을

천천히 삼키며 30분~1시간 내에 모두 복용한다.

1일 1~2첩 복용한다.

만약 가시가 식도에 있으면 액체를 보충하고 항감염제를 적당히 사용한다.

치료한 104례 중에서 복용후 90례는 순조롭게 없어졌지만

14례는 효과가 없었기 때문에 인후경이나 식도경을 사용하여 꺼냈다.

유효율은 85% 정도이며 그 중 인후부에 가시가 걸린 32례(모두 생선 가시) 중에서

1~3첩을 복용해서 순조롭게 없어진 것이 27례였다.

식도에 가시가 걸린 72례(35례는 정도는 다르지만 감염 증상이 나타났다)는

항생물질을 사용하고 보액(補液), 절식했다.

1~8첩을 복용하고 효과가 없었던 8례를 제외하고

X-선 투시로 재검사한 결과 바륨의 통과가 순조로워 합병증이 나타난 것은 1례도 없었다.

관찰에 의하면 치료 효과는

이물질의 크기, 걸린 부위, 이물질이 연조직에 들어간 깊이 등과 관계가 있는 듯하다.

동물실험과 임상 결과를 통해 보면 위령선이 목에 가시가 걸린 것에 대한 작용은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① 평활근에 직접 작용하여 흥분성을 높이고 율동적 수축으로부터 연동으로 이행한다.

 

② 목에 가시가 걸린 다음 국소가 경련 수축하는데 위령선을 적당히 사용하면

항히스타민 작용에 의해 국소를 이완시켜 연동을 변화시킴에 따라 가시가 빠지기 쉽게 된다.

식도의 상단은 횡문근이고 중하단은 모두 평활근이기 때문에

가시가 걸린 것이 중하단에 있을 때 효과가 비교적 좋은 것은 이것과 관계가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③ 위령선은 가시에 대해 직접적인 연화 작용이 없지만

인후 식도의 분비액은 산성을 나타내므로 치료 효과를 돕는다.

그러나 약을 4첩 복용해도 효과가 없을 때는 이물질의 종류, 걸린 부위 등을 고려하여,

수술에 의한 적출도 생각해야 하므로 병의 상태를 잘못 판단하면 안된다.

이 외에 위령선 5돈에 쌀 식초 적당량을 섞어서 달인 것을 천천히 삼키는 방법도

인후에 걸린 각종 생선 가시의 치료에 효과가 있다. [중약대사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독활]

 

 

독활이란?

독활 Aralia continentalis Kitagawa (두릅나무과)의 뿌리이다.

독활은 크게 Angelica속, Heracleum속 및 Araria속이 기원식물로 알려져 있다.

Angelica속은 CP에 수재된 중치모당귀(重齒毛當歸)로 대표되고,

Heracleum속은 우미독활(牛尾獨活)로 대표되며,

Araria속은 구안독활(九眼獨活)로 대표된다.

이 중 국내에서 사용되는 국산독활은

「本草綱目」의 구안독활 다음에 수재된 식용토당귀 Aralia cordata Thunberg에 해당된다.

그러나 정품은 Angelica속에 속하는 중치모당귀(重齒毛當歸)로 보는 것이 지배적이다.

중국약전에는 중치모당귀를 수재하고 있다.

맛은 맵고(辛), 쓰며(苦), 성질은 따뜻하다(溫)

작용장부는 신, 방광이다.(腎, 膀胱)

약리작용

1. 진정, 최면, 진통작용

2. 심장과 혈관계통에 영향

3. 경련억제작용

4. 항균작용

5. 항궤양, 항종양 작용

주치(主治)

1. 풍한표실증(風寒表實證)

감기(風寒, 皮膚實證) 감기치료. 코가 막힘

몸이 무거우면서 붓는 증상

2. 거풍습(祛風濕)

하지마비, 감각이상

노동으로 인한 관절염, 염증에 관한 모든 질환

3. 소비산종(消痺散腫)

환부가 마비되면서 부어있을때.

4. 조습지양(燥濕止痒)

피부질환(두드러기, 가려움증)

배합예

1. +강활(羌活): 관절통증

2. +상기생(桑寄生): 무릎과 발의 근력이 없으면서 힘이 없을 때

3. +세신(細辛): 두통

4. +방풍(防風): 일체의 풍증

5. +포공영(公英): 종양, 물혹

6. +지부자(地膚子): 피부가려움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