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한국기원종 석창포·중국기원종 석창포 효력 동일

 

수창포는 약효면에서 석창포보다 떨어지므로 사용 자제해야

 

천남성과(Araceae)에 속한

식물의 뿌리줄기인 창포(菖蒲)는

화담개규(化痰開竅)·화습행기(化濕行氣)·

거풍이비(祛風利痺)·소종지통(消腫止痛)의 효능으로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다.

아울러 독특한 허브향을 활용한

생활용품(예 : 洗劑 및 방향성 벽지 등)으로 사용되어져 왔고,

최근 더욱 그 활용도가 다양해지고 있다.

1.창포류(菖蒲類)의기원

대표적인 식물성 방향성개규약(芳香性開竅藥)인

창포류(菖蒲類)는 해당 국가에 따라 기원식물을 달리하고 있다.

우리나라(KHP)와 대만(THP)·북한(DKP)의 경우

석창포(Acorus gramineus)의 뿌리줄기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중국(CP)은 石菖蒲(A. tatarinowii)와

수창포(藏菖蒲) A. calamus의 뿌리줄기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한국의 약재시장에서도

수창포(藏菖蒲) A. calamus가 유통되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약재시장에서는 미나리아재비과(毛 科)에 속한

구절창포(九節菖蒲) Anemone altaica가

대량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등 전체적으로 4종으로 분류되어진다.

논란의 대상으로

①우리나라의 석창포(Acorus gramineus)와

중국의 석창포(石菖蒲 , A. tatarinowii)의 동일성여부

②전체4종의약효상의차이로압축된다.

산출지역을 보면,

석창포 Acorus gramineus는 주로

우리나라의 중남부 지역(전남, 제주)과

중국의 華東(浙江, 江蘇)·西南(四川)·華中(江西)

그리고 일본과 시베리아 지역에 분포한다.

석창포(石菖蒲) A. tatarinowii는

중국의華東(江蘇·浙江)·西南(四川) 지역에 주로 분포한다.

한편 수창포(水菖蒲) A. calamus는

한국의 중남부 지역과 중국의 전 지역에 고루 분포하며,

구절창포 (九節菖蒲) Anemone altaica는

중국의 西北(陜西, 甘肅, 新彊)·華北(河南, 山西)·華中(湖北)·

西南(四川)·北部(內蒙古) 지역에 분포한다.

 

2.약효상의차이

이를종합하여세분하면

①기미(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면,

한국기원종인 석창포 Acorus gramineus와

중국기원종인 石菖蒲 A. tatarinowii의 약효는

많은 문헌 및 실험보고 등을 종합하면

동일한 것으로 귀결되어진다.

일부 학자들의 경우 식물자체를 동일종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②수창포(藏菖蒲) A. calamus는

개규약(開竅藥)으로서의 창포(菖蒲)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나,

약효면에서 석창포에 비해 떨어진다(稍遜).

이런 면에서 開竅藥으로서의 창포는

한국기원종인 석창포 Acorus gramineus와

중국기원종인 石菖蒲 A. tatarinowii를 사용하는 것이 타당하다.

반면에 다양한 휘발성정유물질(1.5∼3.5%)을 함유하고 있는

수창포(藏菖蒲) A. calamus는 이를 이용한

기능성제품 개발쪽에 활용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본다.

③한편 한약재로서의 구절창포(九節菖蒲)는

정통 石菖蒲 중 마디 사이가 조밀하게 짧게 형성된

최상품을 지칭하는말(一寸九節者良-名醫別綠)이었음에

유념해야할 것이다.

즉, 현재 중국시장에서 대량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九節菖蒲 Anemone altaica는 기본적으로 정품(正品)이 아니며,

일부 문헌의 약효기술에서 石菖蒲와 유사하게 기록되어 있으나

이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진 기록이 없고

심지어 일부 문헌의 약효기록은 石菖蒲의 효력을

복사한 것으로보기도한다.

정확한 효력검증이 될 때까지 약물로서의 사용은 고려해야 할 것이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Fig.1).

2.약재상태의구분

菖蒲類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Fig.2).

1)석창포 Acorus gramineus

①全形 약재는 扁圓柱形이고, 표피는 棕褐色∼灰棕色이고

마디가 環節을 형성하며 마디사이는 0.2~1.0㎝로서

A. tatarinowii에비해길다.

②절단 약재는 절단면이 섬유성이며 類白色 혹은 微紅色이고,

根脈點 혹은 環狀의 내피층이 있다.

③향기가 비교적 강하며 맛은 맵다.

2)석창포(石菖蒲) A. tatarinowii

①석창포 Acorus gramineus와 상당부분 유사하나,

마디 사이가 0.2~0.8cm로서 상대적으로 짧다

3)수창포(藏菖蒲) A. calamus

①全形 약재는 扁圓柱形이며 비교적 굵고 크다.

표면은 黃棕色 類白色으로 環節이 있으며 마디사이는 1~3cm이다.

②절단약재는 절단면이 성글고 海綿모양이며

類白色 혹은 淡棕色에 가깝고 다수의 작은구멍(小空洞)과 維管束小點을 볼 수 있다.

③비교적 강한 특이한 냄새(역겨운냄새)가 있으며 맛은 맵다.

4)구절창포(九節菖蒲) Anemone altaica

①全形약재는紡錘形이고, 다수의半環狀으로 돌출된

鱗葉痕이 교차로 배열되어 마디를 이룬다.

②절단약재는 절단면이 평탄하며 顆粒性이고 類白色-黃白色이다.

③냄새는 없으며 맛은 담담하나 약간 시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한국당귀(土當歸)는

보혈(補血)보다 활혈거어(活血祛瘀) 효능으로 사용

 

보혈(補血) 목적으로는

일본당귀(왜당귀·東當歸) 활용‘바람직

 

당귀는 대표적인 보혈약(補血藥)으로서

보혈화혈(補血和血)·조경지통(調經止痛)·

윤조활장(潤燥滑腸)의 효능으로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구분에 있어

논란이 지속되어왔던 한약재이기도 하다.

한의학적 효능 분류에서 당귀는

보익약(補益藥)중 보혈약(補血藥)에 속하며

溫 甘辛 無毒하고, 肝 心 脾經에 귀경(歸經)한다고

기록되어있다.

당귀는 일반적으로 재배한지 2년차 되는

가을철에 채취하여 잔뿌리와 흙을 제거한 후

수분을 약간 증발시키고(2∼3일) 다발로 묶어

시렁에 넣고 서서히 말려 사용한다.

1.당귀류(當歸類)의 기원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대표적인 한약재임에도 불구하고

당귀는 해당국가에 따라 기원식물을 달리하고 있다.

우리나라(KP)와 북한(DKP)의 경우

한국당귀(참당귀, 土當歸Angelica gigas)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며,

중국(CP)과 대만(THP)은 當歸 Angelica sinensis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일본(JP)은 왜당귀(トウキ. 東當歸 Angelica acutiloba) 또는

홋카이당귀(ホッカイトウキ. Angelica acutiloba var.sugiyamae)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즉 논란의 중심에 있는 종류는

한국 당귀(참당귀)인 Angelica gigas와

중국 당귀인 Angelica sinensis 그리고

일본 당귀인 Angelica acutiloba로 구분되어 진다.

산출지역을 보면,

한국 당귀(참당귀)Angelica gigas는 주로

우리나라에 분포하고 중국의 동북 지역과 하남,

사천의 일부 지역 그리고 일본에 분포한다.

중국 당귀(當歸)Angelica sinensis는

중국의 서북(甘肅, 陜西, 寧夏, 靑海)과

서남(四川·雲南, 貴州), 화중(湖北)에 분포한다.

일본당귀 Angelica acutiloba는

일본에 주로 분포하며 우리나라에서는

많은양이 재배되어지고 있으며 기타로

중국의 동북지역에 분포한다.

 

2.약효상의 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기미(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여 보혈(補血)에는

중국당귀나 일본당귀를 쓰고, 활혈거여(活血祛瘀)에는

한국당귀(土當歸)를 써야 한다.

보혈력(補血力)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당귀>일당귀>한국당귀(土當歸)이고,

활혈거어력(活血祛瘀力)을 기준으로 보면

중국당귀<일당귀<한국당귀(土當歸)로 설명되어진다.

따라서 한국당귀(土當歸)Angelica gigas는

보혈(補血)의 효능보다는 활혈거어(活血祛瘀)의

효능에 사용되어져야 한다.

②성분적으로도 조혈(造血)작용이 있는 V-B12가

중국당귀와 일본당귀에는 함유되어 있다.

반면 한국당귀(土當歸)에는 V-B12가 없으며,

휘발성 성분이 많아 해열진통작용이

우수하다는 보고가 있다.

③전통적으로 당귀는부위에 따른 약효를 설명하고 있고,

실제 임상에서도 많은 부분이 이를 근거로 하여

사용되었음을 볼 수 있다.

즉 그의 총강은

귀두보혈(歸頭補血)

귀신양혈 (歸身養血)

귀미파혈(歸尾破血)

전용활혈(全用活血)의

원칙에 따랐음을 알 수 있다.

 

1. 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한국당귀(참당귀) Angelica gigas

①절단전의 표피는 흑갈색이며, 절단면은 백색이고

형성층에 의하여 목부(木部)와 피부(皮部)의 구별이 되지만

뚜렷하지 않으며, 형성층 부근은 어두운 황색이나

나머지 부분은 백색과 비슷하다.

②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달지만 뒤에 맵고 쓰다.

2)중국당귀(當歸) A. sinensis

①절단 전의 표피는 황종색(黃棕色) 에서 종갈색(棕褐色)이며,

절단면은 황백색 또는 담황갈색이고

목부와 피부의 구별이확실하며,

‘국화심(菊花心)’이라 불리는 방사상무늬가 있다.

찢어진 틈새 및 여러개의 갈색점 모양의

분비공(分泌腔 -油室, 油管)이 있고

목부는 색깔이 비교적 연하며

작은 갈색의 분비공이 보이고

형성층은 황갈색으로 환상(環狀)이다.

②진한향기가있으며, 맛은달고매우며약간쓰다.

3)일본당귀(왜당귀, 東當歸) Angelica acutiloba

①절단 전의 표피는 암갈색에서 적갈색이고

절단면은 연한 황백색이며 목부와 피부의 구별이 확실한데,

피부는 회백색이고 목부는 황백색 혹은 황종색이다.

②특유의 냄새가 있고 맛은 약간 달지만 뒤에 맵고 쓰다.

전체적으로정리하면,

1)우리나라의 경우, 신토불이의 개념으로

오랫동안 통용되어 왔고 지역특산작물이기도 한

한국당귀(土當歸)Angelica gigas의 정확한

약효 구분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당귀의 통상적인 주효능인

보혈력(補血力)에 있어서

문헌상·실험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타의 기원종인 중국당귀(當歸)A. sinensis와

일본당귀(왜당귀, 東當歸) Angelica acutiloba에 비해

떨어지는것을볼수있다.

대신 한국당귀(土當歸)는

활혈거어력(活血祛瘀力)에서는

기타 2종에 비해 탁월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거어혈(祛瘀血)→생신혈(生新血)의 효능에

활용되어져야할 것이다.

즉 기본적으로 타박(打撲)을 포함한

기존의 당귀 활용처방에 적극적으로

한국당귀(土當歸)의 활용을 고려해야 할 것이고,

나아가서 현재 시대적인 관심사인

어혈(瘀血)질환(예 : 협십증등)에 대한

적극적인 활용방안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보혈(補血)의 목적으로

당귀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에,

우리나라의 경우 많은 재배를 하고 있는

일본당귀(왜당귀, 東當歸) Angelica acutiloba를

활용하면 될 것이다.

2)약재상태의 구분은

절단면의 색깔이 백색(油室의 분포가 적음)이며

목부(木部)와 피부(皮部)의 구분이 뚜렷하지 않은

한국당귀(土當歸) Angelica gigas와,

목부와 피부의 구분이 뚜렷하고

油室의 분포가 많아 절단면의 색깔이

황백색(중국당귀), 연한 황백색(일본당귀)인 것으로

구분된다.

또한 씹어보았을때 상대적으로

단맛이 강하고 매운맛인 중국당귀와,

단맛이 약하며 쓴맛인 일본당귀를 구분할 수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온리력(溫裏力)은

부자(附子)>천오(川烏)>초오(草烏)

거풍습력(祛風濕力)은

초오(草烏)>천오(川烏)>부자(附子) 순으로 사용

 

 

까마귀머리 모양의 천오(川烏)와 초오(草烏)의 구별

…초오(草烏)는 수부(髓部)가 크고 구멍이 특징

 

부자(附子), 천오(川烏), 초오(草烏)는

대표적인 독성 함유 한약재로서

오랜 기간 동안 사용되어 왔다.

모두 Aconitum속(屬)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를

말하며, 주된 독성물질은 Aconitine으로 되어 있다.

이에 속하는 식물로

한국은 27종, 일본 2종, 중국 160종이 보고되어 있으며,

이중 약물로 이용되는 것은 40여종에 이른다.

부자(附子), 천오(川烏), 초오(草烏) 이외

에 한의계에서 익히 사용되고 있는 Aconitum속(屬) 한약재는

대표적으로 백부자(白附子,關白附 A. koreanum)가 있고

위품(僞品)으로 분류되는 글명진교(오독도기) A. loczyanum 등이 있다.

부자(附子)와 천오(川烏)

온리약(溫裏藥)에 등록되어 있으며,

초오(草烏)는 거풍습지비통(祛風濕止痺痛藥)으로분류되어 있다.

비록강한독성을나타내고있지만,

특수효능을 필요로 하는 수많은 처방에서 활용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독성문제로 인하여 다양한 수치(修治)방법이

시대 및 인물에 따라 소개되고 있으며,

아울러 이에 해당하는 이름을 갖고 있다(예: 附子, 白附片 등).

초오(川烏)의 경우에는 동급으로 사용되는

이명(異名)을 가지고 있는데 오두(烏頭)혹은

천웅(天雄-川烏중크기가큰것) 등이이에속한다.

1. 부자(附子), 천오(川烏), 초오(草烏)의 기원

공정서(Table1) 및 각종 문헌에 수록된

부자(附子), 천오(川烏), 초오(草烏)의 기원식물은

모두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한

Aconitum屬식물의 뿌리이다.

이중 부자(附子)는

‘오두(烏頭) Aconitum carmichaeli DEBX. 의

자근(子根)을 가공한 것(KP CP JP DKP)’이며,

천오(川烏)는

‘오두(烏頭) A. carmichaeli DEBX. 의 모근(母根)’이고,

초오(草烏)는

①이삭바꽃(北烏頭) Aconitum kusnezoffii REICHB. 의

덩이뿌리(KHP CP DKP)

②놋젓가락나물 Aconitum ciliare DECNE.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덩이뿌리(KHP)

③세잎돌쩌귀(Aconitum triphyllum Nakai)의 덩이뿌리(KHP)

④나도싹눈바꽃(Aconitum pseudoproliferum)의

덩이뿌리(DKP)로 규정하고 있다.

정리하면,

부자(附子)와 천오(川烏)는

Aconitum carmichaeli 식물의

子根(附子)과 母根(川烏)을말하며,

草烏는 Aconitum kusnezoffii 및 기타의 많은

Aconitum屬 식물의 뿌리가 혼입되어 있고

실제 유통에서 이러한 모습이 발견되어 진다.

이중 부자(附子)는 학자와 시대에 따라

다양한 수치(修治)방법에 따른 이름을 갖게 된다.

채취된 생부자가 식용염화마그네슘수용액(食用膽巴液) 및

식염 처리과정을 거쳐 부자(附子)의 바깥면에 소금결정이

생기고 단단해진 것인 염부자(鹽附子)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1)전통한방 수치(修治)기법 중의 하나인

감두탕(甘豆湯) 등을 추가한 것이 담부편(淡附片),

여기에 다시 열을 가하여 볶는 과정을 거친 것을

부자(附子)라 부른다.

2)부자(附子)도 시행한 장소에 따라

중국에서 만든 것을 당포부자(唐包附子)라 하고,

우리나라에서 만든 것을 경포부자(京包附子)라 하였다.

기타로 크기가 작은 附子를 修治한 것을 편부자(片附子)라 부른다.

이는 모두 부자(附子)의 독성에 대한

대처방법 차이에 따른 분류이고,

실제로는 위의 방법이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고

섞여서 응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실제적으로

①鹽附子 ②京包附子 ③唐包附子 ④片附子의 형태로 유통되어지며,

이중 附子의 경우 껍질을 벗기지 않은 경우(흑순편,黑順片)와

껍질을 벗긴 경우(백부편, 白附片)가 있다고 보면 된다.

유통상황을 보면 한국에서는 附子와 川烏를 수입하며

草烏의 경우 일부 국내에서 충당하고있다.

반면에 중국의경우에는 四川에서 생산되는

Aconitum carmichaeli의 뿌리를 부위에 따라

附子,川烏, 筒川烏(미성숙 子根) 등으로 부르며,

이외 기타 Aconitum屬의 뿌리는 모두 草烏로 사용하고 있기도 하다.

 

2. 효능의 차이

부자(附子), 천오(川烏), 초오(草烏)의

한방효능 차이는 표(Table 2)와 같다.

1)古人은“附子는 逐寒하고 川烏는 祛風한다”거나

“川烏는 逐寒하고草烏는祛風한다”등으로

비교하여 설명하고 있는데,

2)草烏의 경우 性味와 效能이 川烏와 비슷하나,

補陽시키는 效能은 川烏에 미치지 못하며,

祛風通痺시키는 효능은 川烏보다 우수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3)이상의 내용을 종합하면

溫裏藥에 속해 있는 附子와 川烏는

裏寒證에 사용되며, 草烏는 風寒濕痺에 사용된다고 정리된다.

전체적으로

【溫裏力】을 비교하면 附子> 川烏> 草烏로 설명되며,

【祛風濕力】을비교하면草烏> 川烏> 附子로정리할수있다.

4)아울러 이들의 사용은 기본적으로

1)低毒에서 增毒으로

(예 :附子의 경우 片附子→唐包附子→京包附子→鹽附子)

2)小量에서 大量으로

3)冷服에서溫服의원칙을준수해야할것이다.

 

3. 자연 상태의 감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검색표(identificationkey)를제시한다.

 

4. 약재 상태의 감별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 부자(附子)(Fig 1,2)

1)염부자(鹽附子)

①절단 전의 全形 모습은, 圓錐形으로 鹽霜에 덮혀 있으며,

윗부분에는 함몰된 芽痕이 있으며,

옆부분에는 특징적으로 혹모양의 돌기된支根(釘角)

혹은支根痕이 있다.

②절단 후의 모습은 횡단면이 灰褐色이며

바탕은 소금으로 가득 차 있으나 작은 빈틈이 있으며,

形成層은 다각형으로 環紋이 있고 筋脈(導管束)이 보인다.

2)경포부자(京包附子) 및 당포부자(唐包附子)

①修治방법 및 과정의 정도에 따라 분류한 것이며,

보통 京包附子가 唐包附子에 비해 상대적으로

거칠은 공정과정을 거친다는 점에서 독성이 더욱 강하다고 인식된다.

②대개 1/2절단되어 있는 京 附子의 경우,

전체적으로 留皮되어 있고 불규칙한 삼각형이며

切斷面은 暗黃色으로 기름기가 있고 光澤이 나며

半透明狀이고 세로로 뻗은 筋脈(導管束)이 보인다.

③보다 얇게 절단된 唐 附子의경우,

留皮 되어있는 것은 불규칙한 삼각형이나

修治과정의 熱로 인해 쭈글쭈글해진 모습이고,

去皮된 것은(白附片) 절단면이 黃白色이며

半透明하고 세로로 뻗은 筋脈(導管束)이 보인다.

(2)천오(川烏)(Fig 3)

①유통 중인 川烏는 크게 2종류로 나뉜다.

A. carmichaeli의 母根(正品)과, 子根인 附子가

완전히 성숙하기 전에 채취한 종류(非正品)가있다.

②A. carmichaeli의 母根(正品)은,

전체 형태가 불규칙한 圓錐形∼紡錘形으로

약간 구부러지고 한쪽으로 부풀어 있다(烏鴉頭).

겉표면은 灰褐色∼黑褐色이며 단면은 類白色인데

형성층은 環紋으로 多角形을 이룬다.

③A. carmichaeli의 미성숙 子根,

즉 장차 附子로 성숙할 부위를 보통 筒川烏라 부른다.

전체 형태는 倒圓錐形이며 옆부분에

母根으로부터 분리된 흔적이 있다.

겉표면은 茶棕色이며 단면은 類白色 혹은

약간의 黃色을 띠며 粉性이 많고 다각형의 紋理가 보인다.

(3)草烏(Fig 4)

①Aconitum屬에 속하는 기타의 많은 종류가 혼입되어

유통 중에있으며, 기본적인 모양은 비슷하다.

②전체 형태는 고르지 않은 長圓錐形으로

약간 구부러져 烏鴉頭모양(烏喙)이다.

절단면은 灰白色이며 形成層 環紋은

多角形의 고리 무늬의 층을 이루고 있으며

髓部가 크거나 구멍이 있다.

(특징).

위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여 附子,川烏,草烏의

한약재 상태의 검색표(identification-key)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전호(前胡)대신 아삼(峨參)을 사용해서는 안돼

 

단면에 油點 많고 향기 진한 것‘上品’

기원식물은 백화전호로 보는 것이 타당

 

전호(前胡)는 한방치료에 있어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의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에 속하며,

효능은 거담강기(祛痰降氣)·선산풍열(宣散風熱)하여

풍열해수담다(風熱咳嗽痰多),열담천만(痰熱喘滿),

담황조(痰黃稠)등에 사용되어온 응용빈도수가 높은 한약재이다.

명의별록(名醫別錄)에 최초로 기재된 이래로 많은 문헌이

이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으며, 본초서의 대표서적 중 하나인

본초강목에서도‘前胡有數種’이라 하여

지역 및 시대에 따라 많은 종류가 있다고 하였다.

현재 한국과 중국에서 유통되는前胡중 중국산지 또는

중국산으로 추정되는 약재를 외부형태와 Chemical fingerprint,

in vitro활성효능 등을 중심으로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많은 수에서 기원부적합의 모양과

약재간 심한 편차를 나타내고 있다고 하였다

(2012년김정훈-우석대 박사논문).

여기에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한글명‘전호’인 식물의 뿌리가 전호(前胡)로

유통되어지고 있어 그 혼란의 정도가 더욱 심각한 것이 현실이다.

습관적으로 겨울철에 채취한 것이 質이 단단하고 부드러우며,

白色이고 粉質이 많아 上品으로 하였으며,

그래서‘冬前胡’, ‘粉前胡’‘白前胡’ , 등의 이명(異名)을가지고있다.

1.前胡類의기원

동양권 모든 나라의 공정서에서

산형과(Umbelliferae)에 속한

백화전호(白花前胡)

Peucedanum praeruptorum(KHP,CP, JP, THP)와

자화전호 (紫 花 前 胡 )

Angelicadecursiva(=Peucedanum decursivum)

(KHP, CP, JP, THP,DKP)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문헌에 따라 동속근연종(同屬近緣種)이

기록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이하게 DKP(북한약전)에서 식물분류 체계 및 약효에서

전호(前胡)와 확연히 다른 Anthriscis屬에 속하는

생치나물 Anthriscis aemula과

털생치나물 Anthriscis aemula var. hirtifructus이 기재되어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Anthriscis屬에 속하는

한글명‘전호’(섬전호, 土前胡, 사향채, 한약명-峨參)가

한약재 前胡로 매우 높은 비율로 유통되어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나라의 울릉도에서 생산되며

봄철에는 특산봄나물로 사용되고

가을에는 뿌리를‘백전호’라는 이름으로 사용되는 것의

대부분이 한글명 ‘전호’(한약명-峨參)에 해당된다.

 

2.약효상의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많은 문헌에서

백화전호(白花前胡) Peucedanumpraeruptorum와

자화전호(紫花前胡) Angelica decursiva(=Peucedanum decursivum)의

효능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다.

Peucedanum屬과 Angelica屬이 근연(近緣)이며

학자에 따라서 구분하지 않고 통용된다는 점

(예 :Peucedanum decursivum MAX=Angelica decursiva FR. etSAV.)에서

학명별로 구분하는 것은 큰 의미가 없다고 본다.

이런 면에서 2種은 식물분류상

최소한 유사하게 설명되어질수있으며,

화담지해평천약(化痰止咳平喘藥)중 청화열담약(淸化熱痰藥)에속한다.

반면 Anthriscis屬에 속하는 식물명‘전호(한약명 : 峨參)’

Anthriscis sylvestris은 보익약(補益藥) 중 보기약(補氣藥)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식물명‘전호(한약명 : 峨參)’ Anthriscis sylvestris은

한약재 전호(前胡)의 효능으로 사용되어서는 안된다.

②문헌의 기록을 추적하면 한약재 前胡의 기원식물은

백화전호(白花前胡) Peucedanum praeruptorum이며,

이후 자화전호(紫花前胡) Angelica decursiva가

‘土當歸’라는 이름으로 혼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이2種간의 효능에 대한 비교검증은 학계의 역할로

남아있다고 말할 수 있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전호류(前胡類)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백화전호Peucedanum praeruptorum

1)절단전

①根頭部(1cm 이상)에는 莖痕과 섬유상의 葉 의 殘基가 남아있고,

上端에는 가는環紋이 밀집(蚓頭)되어 명확하다.

2)절단후

①靭皮部>木質部(1/2기준)이며,

皮部에는 黃褐色의 油點이 많고(특징),

木質部에 淡黃色의 국화무늬(菊花紋)가 있다.

②形成層은 褐色의 環紋으로 放射狀의 射線으로 되어있다.

③맛은 달고 뒷맛이 약간 쓰고 맵다.

2.자화전호P. decursivum

1)절단전

①根頭頂端에 莖基가 殘留되어있고(1cm 이하)

莖基주위에는 膜狀으로 된 葉의 基部가

남아있기도하고 環紋이 불명확하다.

2)절단후

①靭皮部<木質部(1/2기준)이며, 皮部가 비교적 좁고

油點이 적으며, 木部는뿌리전체의1/2정도이다.

②섬유속이 거칠고(엉성), 射線은 뚜렷하지 않다.

③맛은 담담하며 뒷맛이 약간 쓰고 맵다.

3.전호(峨蔘) Anthriscis sylvestris

1)절단전

①根頭頂端에 莖基의 흔적이 있으며 基部는 약간 뾰족하거나

혹은 瘤狀으로 돌기되어 있으며, 윗부분에는 세밀한 環紋이 있다.

②皮孔이 돌출되어 있다.

2)절단후

①단면은 類白色∼微黃色이며 角質모양이고 粉性이 많다.

②맛은 약간 매우며 마비감이 있다.

전체적으로정리하면,

1)위품(僞品)인

식물명 전호(한약재명-峨蔘 Anthriscis sylvestris)와

한약재명 전호(前胡)와의 구분은,

①외표면 皮孔의 돌출상태

②절단면의 粉性의 많고 적음

③油點의 유무

④맛으로 구분이가능하다.

즉 皮孔이 돌출되어 있으며,

단면은 白色으로 粉性이많고 油點이 없으며

맛이 매우면 僞品인 식물명 전호이다.

2)백화전호 Peucedanum praeruptorum와

자화전호 P.decursivum는 문헌추적의 결과로 보면,

백화전호Peucedanum praeruptorum를 上品으로 한다.

2種간의 구분은

①뿌리 윗부분의 環紋의 상태

②단면의 油點의 많고 적음

③단면의 射線의 선명도

④맛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즉 뿌리 윗부분에 環紋이뚜렷하며

(이를 지렁이를 닮았다하여 蚓頭라 부른다),

단면의 油點이 많고, 射線이 방사상으로 뚜렷하며,

처음 씹었을 때 맛이 약간 단맛이 나는 것이

백화전호Peucedanum praeruptorum이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속단(續斷) 효능으로

한속단(韓續斷, Phlomis umbrosa) 사용해선 안돼

절단된 한속단(韓續斷)은 절단면이 자동차수레바퀴모양

…찢어진 틈이 많은 것으로 구분

 

 

續斷은 한방치료의 補法에 해당되는 한약재로서

補肝腎 强筋骨하여肝腎不足으로인한腰膝 痛의要藥이되며

아울러 安胎작용을 나타낸다(傷科 婦科常用之品).

神農本草經의 上品에 續折接骨之效로 명명된 이후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에 있어 正品·僞品의 논란이

지속되어왔던 한약재이기도 하다.

한의학적효능분류에서,

續斷은 補益藥중 補陽藥에 속하며

微溫 苦辛 無毒하고,

肝 腎經에 歸經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續斷은 약용 부위가 2년 이상된 뿌리이며,

가을에 채취하여 微火로 烘乾하여 반쯤 마르면 쌓아놓아

發汗시켜 내부가 綠色이 되게 한다.

보통 햇볕에 말리지 않고 發汗 과정을 거치는데,

햇볕에 말리면 단단해져 절단이 용이하지 않은 이유라고 한다.

이후 다시 烘乾하는 과정을 밟으면 이상적인 건조과정이라 볼 수 있다.

 

1. 속단류(續斷類)의기원

한국과 중국 및 대만의 공정서 모두

산토끼꽃과(Dipsacaceae)에 속한

천속단(川續斷, Dipsacus asperoides)의 뿌리를 기원으로 하고 있으나,

이름 및 모양의 유사한 이유로 기타 2종이 유통되어지고 있다.

한국의 경우 KHP(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과

DKP(북한약전)에서 식물분류 체계가 다른 꿀풀과(Labiatae)의

한속단(韓續斷, 중국명- 蘇) Phlomisumbrosa이 따로 기재되어 있으며,

기타로 산토끼꽃과(Dipsacaceae)에 속한

속단(續斷, Dipsacus japonicus)이 토속단(土續斷)이라는

이름으로 한국과 중국에서 유통되기도 한다.

산출지역을 보면 천속단은 중국에서,

한속단과 토속단은 한국과 중국 모두 분포한다.

 

2. 약효상의차이

 

이를종합하여세분하면

①많은 문헌에서 천속단(川續斷, Dipsacus asperoides)과

토속단(土續斷, Dipsacus japonicus)의 효능을 구분하지 않고

동일하게 기록되어 있다.

이런 면에서 속단은 식물분류로 동일하게 설명되어질 수 있다.

 Dipsacus속(屬)에 속하는 천속단과 토속단 종류는

補益藥 중 補陽藥에 속한다.

반면 Phlomis속(屬)에 속하는

한속단(韓續斷,Phlomisumbrosa)은

淸熱藥 중 淸熱燥濕藥으로 분류된다.

따라서 한속단은 속단의 효능에 사용되어서는 안될것이다.

②향후 천속단과 토속단의 효능에 대한 비교검증은

학계의 역할로 남아있다고 말할 수 있다.

⑴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⑵약재상태의구분

속단류(續斷類)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같다

1)천속단(川續斷, Dipsacus asperoides)

①圓柱形으로약간납작하고,

표면은 黃褐色 혹은 灰褐色이며 複條이 경우가 많다.

②質이 연하여 쉽게 절단되며,

절단면은 황갈색이며 導管이 방사상으로 배열된다.

2)토속단(土續斷,Dipsacus japonicus)

①외견상 川續斷 Dipsacus asperoides과 유사하나,

표면이 土棕色이며 單條로 반듯하다.

②質은 비교적 단단하며 쉽게 잘라지지 않으며,

절단면은 棕黑色의 環紋이 있다.

 

3)한속단(韓續斷, 蘇根, Phlomis umbrosa)

①전체적으로 윗부분이 가늘고

아랫부분으로 올수록 굵어지는 특징적인 모습이다.

②質은 약하여 쉽게 절단되며,

절단면은 皮部가 좁고 木部가 넓으며

髓線이 자동차 수레바퀴모양(輻狀)이며 찢어진 틈이 많다.

 

전체적으로정리하면,

1)천속단과 한속단은 절단 전

複條(川續斷)와 單條(土續斷)로 구분이 가능하며,

절단 후에는 절단면의 방사상 髓線(川續斷)과

棕黑色의 環紋(土續斷)으로 구분이 가능하다.

*條: 세로 주름

2)한속단의경우, 절단전에는

전체적으로 윗부분이 가늘고 아랫부분으로 올수록

굵어지는 특징적인 모습으로 구분된다.

절단 후에는 절단면의 髓線이 자동차 수레바퀴 모양(輻狀)이며

찢어진 틈이 많은것으로 구분된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전분립 많고 적음에 따라 白朮·蒼朮 구분

蒼朮, 침모양 결정과 油點(朱砂點) 많고 적음으로 구분

유황훈증은 신맛과 오래 씹으면 나는 쓴맛으로 구별

백출과 창출은 각각

보기약(補氣藥)과 방향화습약(芳香性化濕藥)에 등록되어 있으며,

사용빈도가 매우 높은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

창출과 백출의 구분은

도홍경(陶弘景)에 의해서 구분되기 시작하였으나,

현재까지도 임상에서 혼용되며 공정서 기준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그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용어의 혼란을 피하기 위해,

Atractylodes속(屬) 식물기원의 한약재를 출류(朮類)로 총칭할 것이며,

기원에 따라 삽주 Atractylodes japonica의 뿌리는‘삽주백출(關蒼朮)’로,

백출(白朮) A. macrocephala의 뿌리는‘중국백출(中國白朮)’로 표기하며,

기타 모창출(茅蒼朮) A.lancea과 북창출(北蒼朮) A. chinensis로

구분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1. 출류(朮類)의기원

공정서(Table1)에 백출은‘국화과(Compositae)에속한

삽주(關蒼朮) Atractylodes japonica 또는

중국백출(中國白朮) A. macrocephala의 뿌리줄기(根莖)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KP, JP)으로,

창출은‘모창출(茅蒼朮)A. lancea 또는

북창출(北蒼朮) A. chinensis의 뿌리줄기(根莖)’로

규정(KP, CP, JP)하고있다.

한편 백출의 경우 중국약전(CP)과 대만약전(THP)에서는

‘중국백출(中國白朮) A. macrocephala의 뿌리줄기(根莖)’

한가지만을 기술하고 있고, 창출의 경우 북한약전(DKP)에서는

‘조선삽주A. koreana’만을기술하고있다.

특이하게도 우리나라에서는

삽주백출(關蒼朮)Atractylodes japonica의

당해연도의 뿌리줄기를 백출로,

지난 해의 뿌리줄기를 창출로 유통되고 있다.

참고로 우리나라의 경우

삽주백출(關蒼朮) Atractylodes japonica과

모창출(茅蒼朮) A. lancea이 재배되고 있으며,

최근에 농진청에서 중국 백출(中國白朮) A. macrocephala과

삽주백출(關蒼朮) Atractylodes japonica의 교잡종을

시험재배하여 각 농가에 분양하고있다.

2. 효능의차이

백출과 창출의 한방효능 차이는 표(Table 2)와 같다.

기원과 한방효능에 대한 내용을 총괄하여 서술하면,

① 백출과 창출 모두 Atractylodes屬에 속하는

식물의 뿌리줄기(根莖)로서 모두 소화기계통의 약물이다.

백출은 補虛益氣藥으로 虛證에 사용되는 약물이고,

창출은 祛實燥濕藥으로 實證에사용되는약물이다.

전체적으로 백출은 補脾>燥濕하며,

창출은 運脾<燥濕 하다고 구분지을 수 있다.

② 우리나라에서 관습적으로 삽주백출(關蒼朮)

Atractylodes japonica의 新生根莖과 舊根莖을 각

각 백출과 창출로 별개로 구분하여 사용하고 있는데

그 구체적인 내용은 표(Table 3)와 같다.

 

또한 약용 부위의 전분질함량을 기준으로

효능을 구분하고자 한다면,

新生根莖(白朮)의 경우

중국백출(中國白朮) A.macrocephala에 비해 補脾力이 약한 반면,

舊根莖(蒼朮)은 모창출(茅蒼朮) A. lancea

또는 북창출(北蒼朮) A. chinensis에 비해 化濕力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한편 중국의 경우

茅蒼朮이 北蒼朮보다 약효가 우수하다고 인식하는 경향이 있기도 하다.

이러한 효능의 세부적인 차이는 향후 연구를 통하여 보충해야 할 부분이다.

 

 

3. 자연상태의감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검색표(identification-key)를제시한다.

 

 

4. 약재상태의감별

약재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 중국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 (Fig1)

① 절단 전 약재의 표면에는 사마귀모양의 작은 돌기가 있으며,

땅위의 줄기와 연결되는 부분(朮腿)이 특징적이다.

② 절단 후의 모습은 생으로 말린 것은 색깔이 옅고 틈이 적으며

菊花무늬 및 棕黃色 油點이 흩어져 있다.

불에 말린 것은 색깔이 진하고 틈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2) 삽주백출 A. japonica (Fig2)

① 新根莖(白朮)

a : 절단 전의 모습은 불규칙한 結節狀으로 淡黃白色이다.

b : 절단 후의 모습은 단면이 평탄하며 섬유성이 적고 黃白色이며,

틈(裂隙)이 적고 油點이 많다.

② 舊根莖(蒼朮) :

a : 절단 전의 모습은 구부러진 圓柱形으로 길며 棕褐色이다.

b : 절단 후의 모습은 단면이 평탄하지 않으며 섬유성이 많고 黃色이며,

틈(裂隙)이 많고 油點이 적다.

3) 모창출 A. lancea (Fig3)

① 절단 전의 모습은 불규칙한 구슬모양(連珠狀)이며 灰褐色이다.

② 절단 후의 모습은 赤褐色의 朱砂點이 많으며,

공기에 노출되면 흰색의 침모양 결정(起霜, 白毛)이 보인다.

4) 북창출 A. chinensis (Fig4)

① 절단 전의 모습은 結節狀이며 黑褐色이다.

② 절단 후의 모습은 단면이 푸석푸석하고 섬유성이 강하며

淡黃白色이고 黃褐色油點이 있다.

 

 

 

절단후의모습을기준으로약재상태를정리하면,

1) 白朮類에 있어 중국백출 Atractylodes macrocephala과

삽주백출 A.japonica의 新根莖(白朮)은 전분립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삽주백출A. japonica의 경우

전분립과 섬유성의 많고 적음에 따라 白朮과 蒼朮로 구분된다.

2) 蒼朮類는 油點이 많은 경향을 보인다.

모창출 A. lancea는 흰색의 침모양 결정(起霜, 白毛)이 특징적이며,

기타 절단면의 틈(裂隙)과 油點(朱砂點) 그리고 섬유성의 많고 적음에 따라

북창출 A. chinensis과 삽주백출 A. japonica의 舊 根莖(蒼朮)으로 구분된다.

3) 한편 유황훈증한 후 스팀에 쪄서 절단된 불량품의경우,

유황 특유의 신맛과 오래씹으면 쓴맛이 나고 혀를 자극하는 것으로구별이가능하다.

위와 같은 내용을 정리하여 朮類의 한약재상태의

검색표(identification-key)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금문계대황(錦紋系大黃)만을

대황(大黃)으로 사용해야 한다

錦紋系大黃은 根莖의 단면에 특징적인

성점(星點) 있어…

가능하면 크게 썰어진 상태서 감별해야 함

 

한방 치료의 下法에 해당되는 대표적인 한약재로서

攻積,瀉火, 逐瘀의 要藥인 大黃은

아주 오래 전부터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고,

동속근연종이 많은 관계로 正品·僞品의 논란이

지속되어왔던 한약재이기도 하다.

한의학적 효능 분류에서,

大黃은 瀉下藥에 속하며 寒 苦 無毒하고,

脾 胃 大腸 肝 心包經에 歸經한다.

大黃類는 모두 3년 이상된 뿌리줄기(根莖) 및

뿌리(根)를 약용으로 하며, 늦가을∼이른 봄

(지상부가 누렇게마른 뒤부터 봄철에 발아하기 이전까지)에 걸쳐

채취하여 사용한다.

1.대황류(大黃類)의 기원

동양권의 많은 공정서에서

장엽대황(掌葉大黃) Rheumpalmatum L.,

탕구트대황 R. tanguticum Max ex Balf 또는

약용대황(藥用大黃) R. officinale Baill.의

뿌리줄기(根莖) 및 뿌리(根)을 기원으로 하고 있으며,

기타로 일부에서

장군풀 R.coreanum Nakai(JP, DKP) 및 종간교잡종(JP),

혹은 기타 동속식물(TP,THP)을 기원 혹은 추가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종대황이라는 이름으로 R. undulatum L. 을 구분하여 추가하고 있다.

이와 같이 大黃類에 속하는 식물의 기원은 모두Rheum屬에 속하며,

기타 많은 種이 위품 혹은 대체품으로 일부지역에서

유통되어지고있는것을볼 수 있다.

 

한국과 중국시장에서 大黃類로 유통되어지는 것은,

뿌리줄기에 錦紋을 나타내는 특징에 의해

錦紋系大黃이라고 불리우는 掌葉大黃, 탕구트大黃, 藥用大黃과,

土大黃系로 불리우는種大黃이 있다.

錦紋系大黃 중 掌葉大黃과 탕구트大黃은 중

국의 靑海 甘肅지역이 주산지인 관계로

西北大黃(北大黃, 西大黃)이라불리우며,

藥用大黃은중국의湖北四川지역이주산지인 관계로

南大黃(雅黃, 馬蹄大黃)이라 불려지기도 하였다.

한편 掌葉大黃 Rheum palmatum과

탕구트大黃 R. tanguticum은 자생 및 재배지역이 유사한관계로

식물상태의 혼종이 이루어지고 있어

약재상태의 구분에서 커다란 의미를 찾기는 힘들다 고말할수있겠다(Fig 1).

또한종대황Rheum undulatum 은

한국과중국, 일본등지의 田圃에재배되고있다.

 

2.약효상의 차이

이를종합하여세분하면

①攻下藥으로서의 大黃은

錦紋系大黃(掌葉大黃, 탕구트大黃, 藥用大黃)이 적합하다.

3종의 錦紋系大黃의 瀉下작용을 비교한 보고에 의하면

錦紋系大黃 중 탕구트大黃이 비교적 우수하다고 한다

(탕구트大黃>掌葉大黃>藥用大黃).

하지만 실제 재배지역에서

掌葉大黃과 탕구트大黃이 혼종되어지고 있는 현실에서

掌葉大黃과 탕구트大黃의 효능 구분은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되며,

藥用大黃과의구분은 의미가 있다고사 료된다.

②土大黃系인 種大黃 Rheum undulatum의 경우,

약효분류군에서淸熱藥으로분류되어질수있는바,

大黃의 약효로서의 사용은 적합하지 않다고 생각된다.

瀉下力의 부분에서도 錦紋系大黃에 비해서

매우 약하다는 보고와 일치하며,

이에근거하면 土大黃類의 약효는 淸熱瀉火燥濕의 효능에

瀉下力의 보조효능을 갖춘약물로 정리되어질 수 있겠다.

③한편 土大黃類에 있어 일부 지역에서 혼입되어지고 있는

Rumex屬 식물의 뿌리 역시 약간의 瀉下力은 나타내고 있지만,

大黃으로서의 약용은 불가하다고 말할수있다.

1.자연상태의 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 구분

大黃類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 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掌葉大黃Rheum palmatum

①바깥껍질을 제거한 것은 바깥면이 황갈색이고

그물모양의무늬(錦紋)를 볼 수 있다.

단면은 黃棕色이고 약한 방사상 갈색星點이있다.

②根莖의 끝부분 가까운 곳을 자른 것은 星點이 뚜렷하며

두줄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그 아래에 한 줄이 있거나 흩어져 있다.

③質은 단단하며 뿌리의 횡단면에는 星點이없다.

2)탕구트大黃R. tanguticum

①외견상掌葉大黃Rheum palmatum과 유사하다.

②根莖의 끝부분 가까운 곳을 자른 것은 星點이 1∼2줄의

고리를 이루고 있고 그 아래에는 한줄이며 점차 흩어진다.

③質은 掌葉大黃에 비해 단단하지 않으며, 안쪽색도 옅고,

錦紋역시 뚜렷하지 않은 편이다.

3)藥用大黃R. officinale

①말발꿈형(馬蹄)에 가깝고 거친 껍질은 다듬어졌다.

②根莖의 횡단면에는 星點이 볼록하게 나와 있고

고리를 이루거나 흩어져 있다.

星點은 장엽대황·당고특대황에 비해

크고 배열은 불규칙한 편이다.

③단면은 黃褐色이고 빈 틈이 많으며 質은 疏 하고 섬유성이 많다.

4)種大黃R. undulatum

①특유하고불쾌한냄새가있으며맛은떫고쓰다.

이를 씹으면 모래를 씹는것 같고 침을노랗게 물들인다.

②錦紋과 星點이 없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금문계대황에 비해 무겁고 단단하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1)錦紋系大黃(掌葉大黃, 탕구트大黃, 藥用大黃)은

특징적인 星點(異常維管束)이根莖에만있으며

(절단면에검은점들이별처럼 박혀 있음),

根에 방사상 무늬와 形成層環이 뚜렷하다.

錦紋系大黃은 크고 가볍고 황갈색이며

형광반응에서 갈색반응인반면,

種大黃은 작고 딱딱하고무거우며 적갈색이고

형광반응에서 남자색반응을나타낸다.

2)錦紋系大黃은 겉표면이 黃棕色이고 錦紋과 星點이 뚜렷하며

質이 단단하고,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약간 떫으며,

씹으면 치아에 달라붙는 것이 좋다.

특히 잘게 썰어 있으면 錦紋系인지土大黃系인지

구별이 곤란하므로 가능하면 크게 썰어진 상태에서 감별하여야한다.

'연한갈색에質이가볍고 떫은 맛이 나는 것은 下品이며,

특히 酒蒸한 것도 아닌데 검은 색을 띠는것은

건조과정에 문제가있는 것으로감별을 요한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계지는 사절(斜切, 엇썰기) 혹은 단(段) 형태가‘바람직’

 

계피는 칼로 긁었을 때 기름층 확연히 드러나야

 

 

임상에서의 사용빈도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계피나무는 주된 약용 부위가 어린가지인 계지(桂枝)와

수피(樹皮)인 육계(肉桂)로 크게 나눌수있다.

한의학적 효능 분류에서 계지는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에 속하며

辛甘溫 無毒하고, 육계(계피,계심(桂心))는

온리약(溫裏藥)에 속하며

辛甘熱 無毒하여 사용빈도수가 높은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

그 기원은 동양권의 공정서(KHP, CP, JP,DKP)에서

모두 Cinnamomum cassia Presl.(녹나무과 Lauraceae) 1종을

기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기타 과거 문헌상 桂로 쓰였던 동속근연식물로는

월남계피(越南肉桂) Cinnamomumloureiri Ness.,

스리랑카육계(錫蘭肉桂) C.zeylanicum Blume,

대엽청화계(大葉淸化桂) C. cassia var.macrophyllum Chu 등이있다.

그 산지를 보면 기원종인 Cinnamomumcassia Presl.는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인도 등의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華南(廣東·廣西·福建), 臺灣, 海南島, 西南(雲南)

지역에서 산출되고 있다.

 

 

1.자연상태의 구분

기원종인Cinnamomum cassia Presl.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 관계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원품이 아닌

越南肉桂 Cinnamomum loureiriNess.가제주도에일부자생하고있다.

기원종인 Cinnamomum cassia Presl.는 상록교목(常綠喬木)이며,

잎의 특징으로 主脈이 평행으로 3出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열매는

직경 9mm 정도의 타원형이다(그림 1참조).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제시한다.

 

1.가지가 四稜形이고 黃褐色이다

2.잎이 互生 혹은 近對生하며,

아랫면에 黃色의 短絨毛가 있으며

꽃이 白色이다---------- Cinnamomum cassia

1.잎이 互生하며 털이 없고, 꽃이 黃綠色이다

----------------- C. loureiri

1.가지가 약간 四稜形이고 灰色이며 白斑이있다

2.잎이 對生 혹은 近對生이며 털이 없고, 꽃이 黃色이다

------- C. zeylanicum

 

 

2.계지(桂枝)에 대하여

보통 심은지 2년 지난 후의 어린 가지나,

육계나무의 樹皮(桂皮)를 채취하기 위하여 벌목할 때 나오는

작은 가지를 3∼7월(春∼夏秋)에채취한것이다.

보통 절단의 경우 直切과 斜切을 하며,

한국에서 유통되는 계지는 直切(길이 0.5∼1.5cm),

偏斜切(길이2cm), 斜切(길이1.5cm)등 모양이 다양하며,

이중 直切한 경우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향기에서 보면 껍질 부분이 더욱 진하며,

直切의 경우 껍질의 많은 부분이 손실되므로

약효면에서 차이가 있을 개연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다음의 내용을 제안한다(그림2 참조).

1)실제로 桂枝의 지표물질인

Cinnamicacid와 Cinnamaldehyde의

부위별 정량을 해보면 皮層部의 함량에서

월등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표성분을 기준으로 한다면 당연히 斜切

혹은 段(1.5∼2cm)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2011년 대한본초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p101∼109).

2)계지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찌면(蒸)

계지냄새가 많이나게 된다.

원래 자연상태의 것은 잘라놓아도

계지냄새가 처음에는 그리 강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면(3개월 정도) 냄새가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찌지(蒸)않고 절단하는 것이 더욱 이상적이다.

3)심지어 어떤 경우 계지의 향기를 내기위해서

桂皮油를 뿌린 것이 간혹 유통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계지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

(discrimination key)는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의 검색표A]

1.표면은 棕色∼紅棕色이며, 皮部는 얇고 棕褐色이고

木部는 黃白色이며 髓部는 方形이다

--------Cinnamomum cassia

[약재상태의 검색표B]

1.直切(길이 0.5∼1.5cm), 偏斜切(길이 2cm), 斜切(1.5cm) 등

모양이 다양하고, 맛이 달며 조금 맵고 특이한 향기가 있다

------------Cinnamomum cassia

 

 

 

3.계피(桂皮)에 대하여

桂皮의 경우 10년 이상된 나무의

樹皮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약용의 경우 대개 15∼20년된 樹皮를 사용한다.

특징적인 것은 樹皮의 경우

표면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은

하얀반점이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는데

(그림 1의 왼쪽 全形 참조),

이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약재감별에서 가끔 불순물로 오해받기도 한다.

절단 전의 모습을 상품규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기도 한다.

①계심(桂心, 周皮와 外皮層을 제거한 것)

긴판상∼관상이고 길이는 10∼20cm이며

두께는 고르지 않다.

②기변걔(企邊桂)

10년 이상된 수피로서,

양쪽끝을 약간 깍아 桂心이 보이게 한 것으로,

나무로 된 틀(桂夾)에 넣어 눌러 압착한 것으로

양쪽 끝이 약간 말려들어 판상을나타내어붙인 이름.

③관계(官桂, 桂筒 혹은 桂通이라고도 부름)

재배한지 5∼6년된

어린 나무의 수피+粗枝皮+오래된 나무의 樹皮 등을,

자연적으로(加壓하지 않고) 말려 통모양이 된 것.

실제 유통에 있어 계피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베트남산의 경우 계피유의 %에 따라

등급(YB)을 결정하고 있다.

즉 樹皮層에서 油層비율에 따라

YB1등급(50% 이상),YB2등급(40~50%),

YB3등급(30~40%),YB4등급(30% 이하-수정과 제조용)

으로 나누고 있다.

이중 YB4등급의 경우 계피나무의 윗부분 樹皮에서 채취되며,

가격 경쟁에서 유리하여 우리나라에 수입되어지고 있는 종류이기도 하다.

한편 두께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두께가 3mm 이상이면 A,

2.5mm은 B, 2mm 이하는 C로 유통되기도한다.

이런 점에서 다음의 내용을 제안한다(그림 3 참조).

1)桂皮는 15∼20년된 樹皮로서,

겉의 표피를 칼로 긁었을 때

기름층이 확연히 드러나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종류가 훨씬 강한 향기와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림 3의 오른쪽윗부분사진: 油層이뚜렷).

2)한편, 식물의 연수가 오래되어 약용가치가 저하된 육계는

원래 식품용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간혹 수입과정에서

약용으로 둔갑되기도 하므로 주의한다

(그림 3의 오른쪽 아래부분 사진: 油層이 없음-약효면에서 검토 요망).

이는 오래된 年數의 계피나무의 樹皮가

훨씬 더 많은 유효물질과 효능을 나타낼 지도 모른다는

정서상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식물의 樹皮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효물질이 전혀 없는 粗皮를 형성하며,

노후된 樹皮層은 유효물질의 함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全形한약재는 물론이고 절단되어 유통되는 계피도,

칼로 단면을 잘라보아 油層의 존재를 관찰하는 손쉬운 방법으로

양질의 계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계피를 자연상태에서 확인되어 채취된 한약재와

유통 중의 한약재를 비교감별한후,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key)는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의 검색표A]

1. 향기가 진하며 맛이 달고 맵고 껍질이 두꺼우면 油性이 많다

----------Cinnamomum cassia

2. 栓皮層이 있다

3. 卷筒狀이거나 중앙부분이 움푹패인 槽狀으로 씹으면 찌꺼기가 많다

-------------官桂 C. cassia

3. 長槽狀으로 중앙부분이 약간 패였으며씹으면 찌꺼기가 적다

-------------企邊桂 C. cassia

2. 栓 皮 層 이 제 거 되 어 없 다------桂心 C. cassia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