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약용작물 관련자료/약용작물 작목기술정보'에 해당되는 글 39

  1. 2020.02.02 구기자 - 주요성분
  2. 2020.01.19 고본 - 고본의 성상 및 재배기술
  3. 2020.01.12 결명자 - 결명자의 성장 및 재배법
  4. 2020.01.05 강활 - 강활 재배기술
  5. 2019.12.22 감초 - 감초의 성상 재배기술
  6. 2019.12.08 감초 - 성분 및 용도
  7. 2019.11.27 감초 - 재배내력 및 분포
728x90

1. 구기자 일반성분

구기자의 성분으로 일반 및 무기성분 외에 주요 약효성분은

베타인, 루틴, 구꼬아민 A, 베타-시스테롤 등과

불포화지방산 및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2. 주요 약효성분

가. 베타인(Betaine)

베타인은 콜린이 산화되어 베타인 알데히드가 되고,

이것이 다시 산화되면서 인체에 중요한 생리기능을 가진

메틸기의 공급원인 베타인이 된다.

구기자의 베타인은 간장과 위장의 기능촉진, 동맥경화와 고혈압 예방,

근골강화와 빈혈예방에 효과가 있다.

베타인이 구기자에는 6~11㎎/g이 함유되어 있다.

나. 루틴(Rutin)

Rutin은 최초로 메밀에서 분리되었으며 구기엽에 소량 함유되어 있다.

Rutin의 주요 효능은 항고혈압성 기능이 높다.

즉, 혈당과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효과가 강해 성인병 예방에 좋으며

rutin과 유사한 flavonoid계 화합물은 지질대사 조절기능과 항산화 활성이 강하다.

루틴의 함량은 가을 구기엽이 봄과 여름에 열린 구기엽보다 루틴함량이 높다.

다. 구꼬아민 A(Kukoamine A)

구꼬아민 A는 지골피에서 분리한 성분으로

쥐를 이용한 동물실험에서 저혈압을 유도하는 성분으로 확인되었다.

즉, 고농도의 후락토스를 급여하여 고혈압을 유도한 쥐에 대하여

혈압을 강하시키는 성분이며, 체온 강하작용과 해열작용이 있다.

라.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베타시토스테롤은 콜레스테롤의 흡수억제 효과가 뛰어나

전립선 비대의 의학적 치료, 고지단백질 형성 억제 등의 효과가 있어

콜레스테롤 및 고지방에 의한 성인병의 치료 및 예방 효과가 있다.

3. 기타 기능성 성분

가. 지방산 조성

지방산은 식품에서 중요한 영양성분이며 기능성이 높은 성분이다.

포화지방산과 불포화지방산으로 나누어지는데

동물성보다는 식물성 지방산이 불포화도가 높다.

이는 식물성 기름에는 불포화지방산인 리놀렌산 및

리놀레인산 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이다.

 

 

 

나. 유기산 조성

유기산은 체내 에너지 대사과정 중 나타나며

서로 효소적 반응에 의하여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유기산이 많으면 피로회복 촉진과 신진대사를 촉진시켜 주며

노화방지에도 효과가 있다.

 

 

 

다. 아미노산 조성

열매와 열매에서 분리한 씨를 구분하여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

구기자에서는 17종이 확인되었고, 간 기능에 효과가 있는

스레오닌과 메치오닌도 많이 함유되어 있다.

그리고 다른 생약류에 비해 함유량이 높아 건강식품으로도 우수하다

 

 

 

라. 당조성

구기자의 당조성은 후락토스와 글루코스가 98% 이상을 차지하고

슈크로스와 말토스가 미량 존재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식물명 고본(산형과 Umbelliferae)

*생약명 : 고본(藁本)

*학명 및 식물기원 :

고본 Angelica tenuissima Nakai (=Ligusticum tenuissimum Kitagawa),

중국고본(中國藁本) Ligusticum sinense Oliv.

또는 요고본(遼藁本) Ligusticum jeholense Nakai et Kitagawa

*이용부위 : 뿌리

2. 식물의 성상

 

가. 재배식물의 성상

고본은 다년생초본으로 줄기는 곧게 서고,

키는 60~80cm, 굵기 10mm, 마디수 8개 전후로,

아랫부분은 암자색, 윗부분은 녹자색을 띤다.

잎은 뿌리에서 올라오는 근생엽(根生葉)과 줄기에서 나오는 정상엽(正常葉)이 있다.

 

줄기의 잎겨드랑이(葉序)에서 4개정도의 가지가 발생하고,

원줄기와 가지 끝에서 꽃이 핀다. 꽃은 양성화로 꽃밥은 농자색이고 수술 5개, 암술 1개이다.

꽃잎은 총 5개로 크기는 2.5×2.5mm인데 가운데 가장자리에서 깊이 1mm의 홈이 파져 있다.

과실은 분과(分果)로서 10월 중하순경에 성숙하여 암갈색을 띠고

쌍현과(雙懸果)의 모양은 타원판과 같으나 분과는 긴 반타원형이다.

뿌리는 비대하면 직경이 20mm 이상이나 되는 것도 있다.

외피는 암갈색이고 속살은 황갈색의 점이 있다.

 

나. 주요 성분 및 용도

고본의 뿌리에는 주로 리구스티리데콜(ligustilidecol), 센큐노리드(senkyunolid),

뷰티리덴프싸리드(butylidenphthalide) 등의 정유성분이 들어있다.

종자에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프란고라린(prangolar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뿌리에는 진통작용,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Influenza virus)작용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한방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특히 고본은 향기와 색소가 좋아 술이나 차로 개발, 이용할 가치가 높은 식물이다.

3. 재배환경

가. 기 후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기 때문에 중북부의 산간고랭지에서 재배되고 있다.

중북부평야지에서 고랭지까지 재배 범위는 비교적 넓다.

나. 토 양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으며, 물빠짐이 좋은 식양토~사양토가 적당하다.

물빠짐이 좋지 않으면 뿌리가 썩기 쉽고 토심이 얕거나 모래땅에서는

잔뿌리의 발생이 많고 뿌리 비대가 저하되어 수량성이 낮다.

연작을 싫어하므로 화본과 작물과 윤작재배를 하는 것이 좋다.

4. 재배법

가. 품 종

주로 자생되고 있는 고본의 뿌리를 채취하여 이용하다가 재배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육종기관에서 육성 보급된 품종은 없고

자연생 종자를 채취하여 이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나. 재배기술

본 밭에 직접 종자를 파종하는 직파재배와

묘상에서 묘를 길러 본 밭에 옮겨 심는 육묘이식재배법이 있다.

직파재배는 생력화는 되지만 수량성이 낮고 규격품 생산이 어렵기 때문에

육묘이식재배로 2년생 근으로 수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 채종 및 종자처리

 

가) 채 종

종자는 병해충이나 다른 재해를 받지 않은

건실한 3년생 포기에서 성숙된 종자를 채취하는 것이 좋다.

2년생에서도 추대가 되어 종자가 맺히는 것도 있지만 건실하지 못하므로 피한다.

10월 중하순경 잘 여문 종자를 채취하여 건조시킨 후

11월 초순에 파종하거나 노천매장(露天埋臟)했다가 봄에 일찍 파종한다.

 

나) 종자처리

종자는 건조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발아까지 기간이 길뿐만 아니라 발아율이 떨어진다.

그러므로 채종 후 즉시 가을파종을 하거나 종자를 가는 모래와 섞어서

물빠짐이 잘되는 장소에 충분히 물을 주고 묻어 놓았다가 얼음이 풀리면 꺼내서 파종한다.

채종 후 상온에서 이듬해 봄까지 보관한 종자는 흐르는 물에

3~4일간 침지하여 축축한 상태로 냉장고(2~5℃)에서

48시간 이상 저온처리한 후 파종하면 발아율이 높아진다.

2) 모기르기

가) 육묘상 만들기

육묘상은 비교적 물빠짐이 좋고 수분유지가 잘되는 곳으로 물관리가 편리해야 좋다.

묘상은 본포 10a당 약 30㎡ 정도로 하여 33㎡ 완숙퇴비 50kg과

토양살충제를 뿌린 후 깊이갈이를 하여 전층시비가 되도록 하고

너비 1.2~1.5m의 넓은 두둑을 만들고 흙을 잘 부수면서 평탄 작업을 한다.

나) 파종시기

파종은 10월하순~11월상순에 할 수 있으나

가을에 파종하게 되면 땅이 얼었다가 녹으면서 종자가 땅위로 드러나서

말라죽는 것이 많으므로 짚으로 두껍게 피복하였다가 싹이 나올 때 걷어주는 것이 좋다.

봄 파종은 3월하순~4월중순에 하는데 지역에 따라 해빙과 동시에 하는 것이 유리하다.

만약 파종이 늦어지면 묘의 생육이 충실치 못하여 정식 후 활착이 늦고 수량성도 떨어진다.

다) 파종량 및 파종방법

파종량은 30㎡에 약 3ℓ 정도 파종하면 10a에 심을 수 있는 묘를 생산할 수 있다.

파종방법은 흩어 뿌리거나 줄뿌림으로 한다.

흩어뿌림을 고르게 잘 해주는 것이 줄뿌림보다 묘의 생육이 고르게 되므로 유리하다.

종자를 파종한 후에는 상토나 잘 썩은 부엽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고 짚이나 건초를 덮어 건조를 방지한다.

만약 가뭄으로 건조피해가 우려될 때는 물을 준다.

라) 묘상 관리

추대율이 낮고 품질이 우수하며 수량성이 높은 중묘를 많이 생산하려면

토양의 비옥도가 중간 정도의 밭에 웃거름을 주지 않고 묘를 약간 베게 심어야 한다.

거름을 지나치게 많이 주면 줄기와 잎이 무성해지고 개체 간 생육차이가 커지는데,

묘가 큰 대묘를 정식하면 추대하기 쉽고, 소묘는 활착이 불량하여

관리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수량도 크게 낮아진다.

본엽이 2~3매 정도 될 때 너무 밴 곳은 솎아 주고

김매기를 해서 잡초와 경합되지 않도록 해준다.

마) 묘의 선별 및 가식저장

가을에 묘의 지상부 잎이 시들면 즉시 캐내어

대묘(직경 0.8cm 이상), 중묘(직경 0.5~0.7cm), 소묘(직경 0.5cm이하)로

선별 구분하고 20~30개를 한 단으로 묶어서 땅속에 가식 저장하였다가

가을이나 다음해 봄에 묘의 크기에 따라서 정식하면 관리에 편리하다.

3) 정식

가) 정식 시기

고랭지에서는 4월상순에 땅이 풀리는 대로 곧바로 심는 것이 좋으나

중산간지에서는 늦가을(11월상순경)에 심는 것이 좋다.

정식은 흐리고 바람이 불지 않는 날을 택하여 심고 심을 때

묘가 마르지 않도록 해서 활착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나) 정식 방법

재식거리는 줄 사이 30cm 간격으로 깊은 골을 치고 포기사이는 10cm 간격으로 심는다.

묘는 크기별로 구분하여 중묘를 한개씩 심고 묘가 부족하면 소묘를 심는데 2개씩 심는다.

대묘는 가능하면 심지 않는 것이 좋다.

정식할 때는 묘두(苗頭)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흙을 덮어주고

가볍게 눌러주어야 모세관현상에 의하여 수분유지가 잘된다.

가을에 심을 때는 비교적 흙을 두껍게 덮어주어야

동해를 적게 받고 안전한 월동이 가능하다.

그러나 봄에 심을 때는 엷게 덮어주어야 싹이 곧바로 땅위로 올라와 생육도 잘 된다.

다) 거름주기

거름은 심는 거리, 토양, 기상환경 등에 따라 다른데,

10a당 퇴비 1,500kg, 질소 4kg, 인산 6kg, 칼리 6kg을

밭갈이 전에 밭 전면에 골고루 뿌린 후 경운한다.

추비는 6월중순과 8월상순에 준다.

추비 시에는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골 사이를 파고 뿌린 후

묻어 주어야 비료의 유실을 방지할 수 있다.

10a당 추비량은 질소비료 2kg 정도가 알맞다.

5. 병해충 방제

병해에는 흰가루병, 노균병이 발생되고 충해는 토양선충이 발생된다.

토양선충은 뿌리에 기생하여 뿌리혹을 형성하면 품질이 나빠지고

뿌리 비대도 저해되어 수량이 감소된다.

방제법으로는 화본과 작물과 윤작재배를 한다.

선충, 흰가루병, 노균병은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한다.

(등록약제 확인경로 : 농사로 → 농자재 → 농약 → 농약등록현황)

6. 수확 및 조제

수확은 정식을 한 당년 가을, 줄기와 잎이 누렇게 변한

10월 말에서 11월 초에 하는데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수확해서

흙을 털고 지상부를 잘라버린다.

수확한 뿌리는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햇볕에 말리는데 비나 이슬을 맞지 않도록 한다.

어느 정도 마르면 뿌리를 곧게 펴고 잔뿌리는 적당한 크기로 묶어서

다시 건조기에 넣고 60℃이하의 온도에서 완전히 건조시킨다.

7. 생약의 특성 및 품질

이 약은 고르지 않게 갈라진 긴 원주형이고

길이 5~9cm, 지름 7~20mm,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다.

바깥면은 회갈색~갈색이고 질은 단단하다.

꺽은 면은 황백색이며 꺼칠꺼칠하고, 중심부가 비어 있는 것도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맛은 맵다.

순도 : 잔경과 그 밖의 이물이 8.0% 이상 섞여 있어서는 안된다.

건조감량 : 11.0% 이하

회분 : 9.0% 이하

산불용성회분 : 3.5%이하

정유함량 : 0.3ml, (50g), 물엑스 18.0% 이상,

묽은 에탄올엑스 21.0% 이상

등급 : 겉이 밝은 갈색이며 꺽은면의 중심부에 황색점이 있는 것이어야 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식물명

긴강남차, 결명 (콩과 Leguminosae)

생약명 : 결명자(決明子)

학명 및 식물기원 : 긴강남차 Cassia tora Linne 또는 결명 Cassia obtusifolia Linne

이용부위 : 종자

2. 식물의 성상

가. 재배 식물의 성상

 

 

 

결명자는 1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50~150cm정도로 자란다.

원줄기에서 4~1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도 다시 가지가 발생한다.

원줄기의 굵기는 직경 1.5cm까지 자라며 표면은 녹색이다.

길이로 4줄의 무늬가 있는데 잘라보면 속살은 황백색을 띤다.

 

잎에는 털이 없고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며,

우수 2회우상복엽(偶數二回羽狀複葉)이다.

엽축(葉軸) 끝의 작은 잎은 1회 복엽보다 2.5배 정도 크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총상으로 핀다.

양성화(兩性花)로 수술은 10개인데 크기와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모두가 약웅예(弱雄)로 따로 떨어져 있다.

갈구리 형태인 암술은 1개로서 반대로 구부러져 안쪽으로 향해 있고

암술머리는 황록색의 둔한 바늘형이다.

 

과실은 좁고 긴 4각기둥형의 황갈~암갈색 꼬투리다.

크기는 180×4×4㎜이며 45°로 구부러진다.

종자는 한 꼬투리 속에 15~33립이 종열한다.

종자의 크기는 6×3×3㎜ 정도이고 100립의 무게는 2.0~2.5g이다.

네모진 방추형이고 암갈색을 띠는데 광택이 있다.

나. 주요 성분 및 이용

결명자에는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카시아시드(cassiaside), 에모딘(emodin),

토라락톤(toralactone), 피시온(physcion), 오부투시포린(obutusifolin),

카로틴(carotin) 등의 주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결명자에는 소염(消炎), 사하(瀉下: 설사를 내리게 함),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또한 청간(淸: 간을 맑게 함), 명목(明目:눈을 밝게 함)에도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도 쓰인다.

볶아서 결명차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요즈음에는 가공차로도 나오고 있다.

3. 재배환경

가. 기 후

우리나라의 따뜻한 중남부의 평야지대 재배적지로 잘 여물어서 수량과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중북부의 평야지에서도 재배는 가능하지만 주로 한여름 더위의 고온에서 생육이 좋은 작물이다.

나. 토 양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지만 과습하거나 그늘진 곳,

너무 비옥한 곳에서는 줄기와 잎만 무성하고 결실기가 늦어져서

잘 여물지 않아 수량성이 낮으므로 재배를 피하는 것이 좋다.

산성토양에서 생육이 불량하므로 야산개간지 같은 곳에 심을 때는

석회를 반드시 사용한 후에 재배하도록 한다.

이어짓기는 가능하지만 수량이 감소될 우려가 크고

지력소모도 심하므로 후작재배지에는 비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4. 재배기술

가. 파종기

묵은 종자는 발아가 잘 안되므로 잘 여문 햇 종자를 파종하도록 한다.

파종에 적합한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4월 말부터 5월 상순이 적기이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기온이 낮아서 발아하는데 시일이 오래 걸리고

발아상태가 균일하지 못하므로 적기에 파종해야 한다.

또한 결명자는 껍질이 단단한 경실종자(硬實種子)이므로 그대로 파종하면 수분침투가 잘 안된다.

따라서 종자를 맑은 물에 24시간이상 담궜다가 물기를 제거하고 파종하도록 한다.

나. 파종방법

파종하기 전에 밑거름을 밭에 고루 뿌리고 깊이 갈아 쇄토한다.

50㎝ 간격으로 물이 잘 빠지도록 골을 타고 25㎝ 간격으로 3~4립씩 2~3㎝ 깊이로 점파한 후 복토한다.

파종량은 10a당 1kg 정도의 종자가 소요된다.

토양비옥도가 낮은 곳에서는 이보다 더 밀식하고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는 좀더 드물게 심는 것이 좋다.

다. 시비량 및 시비방법

밑거름은 10a당 질소 4kg, 인산 10kg, 칼리 7kg, 퇴비 1,000kg을

밭을 갈기 전에 고루 뿌려주거나 퇴비 2,200kg, 계분 200kg,

콩복비 30kg을 밭 전면에 고르게 뿌려준다.

웃거름은 생육상태를 관찰하면서 8월 초순에

10a당 질소 2~4kg과 칼리 3kg을 시용한다.

척박한 땅이거나 모래땅에서는 시비량을 증가시켜서

웃거름 주는 횟수를 늘려 비절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산성토양에서는 기비를 주기 2주전에 석회를 넣고 갈이 하였다가 파종하도록 유의한다.

라. 주요 관리

1) 솎 음

본엽이 2~3매 되었을 때 2대 이상 되는 포기는 솎아준다.

키가 15cm 정도 자라면 1대만 남기고 솎아내고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북주기를 한다.

2) 김매기

잡초 방제는 생육초기부터 실시하여 2~3회 정도 김매기를 해 준다.

생육 후기에는 결명자의 생육이 왕성하여 잡초는 문제되지 않는다.

마. 병해충 방제

충해로는 생육초기에 뿌리를 갉아 먹는 거세미, 굼벵이, 땅강아지 등이 있다.

잘 썩은 퇴비를 사용하고 발생이 심한 경우는 에토프입제나 폭심입제를 뿌려

방제하는데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농약잔류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서 사용한다.

병해로는 여름철 장마기에 줄기 윗부분이 검게 썩는 병이 발생하여

수량을 감소시키는데 아직 병명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연작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질소 시비량을 줄여서 재배하면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수확 및 조제

결명자는 생육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서리가 내릴 때까지 개화가 계속된다.

개화 후 60일 정도가 경과된 꼬투리는 성숙하는데

콩이나 녹두처럼 꼬투리가 튀는 것이 아니므로 그대로 두었다가

늦가을에 아랫잎이 말라 떨어지고 윗잎도 대부분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적기이다.

맑은 날을 택하여 뽑거나 낫으로 베어서 수확한다.

수확 후에는 2~3일간 밭에 널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다발을 지어서 세워 놓고 건조시킨다.

건조가 끝나면 탈곡기를 이용하여 종자를 탈곡하여 불순물이 없도록 정선하고

1~2일간 햇볕에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하였다가 출하한다.

6. 생약의 특성 및 품질

가. 생약의 특성

이 약은 짧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 3~6 mm, 지름 2~3.5 mm이고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 쪽 끝은 매끈하다.

양쪽의 옆에 황갈색의 넓은 세로줄 및 띠가 있고 질은 단단하다.

횡절면은 원형 또는 둔한 다각형이고 확대경으로 보면 배유 중에 구부러진 어두운 색의 자엽이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다.

나. 품질

순도시험 이물 이 약은 이물이 1.0 % 이상 섞여 있지 않다.

회 분 5.0 % 이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羌活)

- 식물명 : 강활(산형과 Umbelliferae)

- 생약명 : 강활(羌活)

- 학명 및 식물기원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또는 중국강활(Notopterygium incisum Ting),

관엽강활(Notopterygium forbesii Boissier)

- 이용부위 : 뿌리줄기 및 뿌리

 

가. 식물의 성상

 

(1) 재배식물의 성상

[강활 - 꽃과 줄기]

 

 

강활은 다년생 숙근 초본식물로 줄기가 곧게 자라서

키가 1~2m 정도 되며 멧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根生葉)의 잎자루는 적자색이고

잎은 어긋나며 2회 3출엽이다.

갈라진 잎 조각은 난상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이가 빠진 톱니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복산형화서(複散形花序)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피는데

10~30개의 소산경(小散莖)으로 갈라져 8~9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꽃잎은 5개이며 수술도 5개이다.

수술이 먼저 성숙해서 타화수정을 하며 종자는 9~10월에 익는다.

모양은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둘레에는 날개가 있다.

뿌리는 직근성이며 짧고 굵다.

그러나 꽃대가 올라오면 뿌리의 저장양분이

꽃대로 이동하면서 목질화되어 한약재로 사용할 수 없다.

 

(2) 동속식물

 

강활에는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중국강활(Notopterygiumincisum Ting),

관엽강활(N. forbesii Boissier), 천강활(N. franchetii Boissier),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Chung)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활이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다.

중국강활과 관엽강활, 천강활은

중국의 사천, 감숙, 운남 등의 산에 자라고

우리나라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지리강활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산에 분포하며,

뿌리는 굵고 흰 즙이 들어 있고 약간 악취가 나며

독성이 있어서 약으로 쓰지 못한다.

 

(3) 주요성분 및 용도

 

강활의 뿌리에는 리모넨(Limonen), 크레졸(0-cresol),

알파-피네네(α-pinene)등의 정유성분과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e),

옥시퓨시다닌(oxypeucedanine), 오스톨(osthol) 등의

쿠마린(Coumarin)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발한해열작용(發汗解熱作用), 진통작용(鎭痛作用),

항균작용(抗菌作用)이 있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진경(鎭痙), 진통, 신경통에 쓰이고 있다.

 

나. 재배환경

 

(1) 재배적지

 

(가) 기후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강원도를 비록한 중북부지역의 준고랭지~고랭지가 재배적지이다. 남부 평야지에서는 한여름에 하고(夏枯)현상을 일으키므로 재배하기 어렵다.

 

(나) 토양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은 사양토~식양토가 좋다. 약간 그늘진 곳이 좋으며 남향이거나 습기가 적은 곳은 생육이 불량하기 쉽다. 그러나 토양이 배수가 불량해서 과습하게 되면 뿌리가 썩는다.

 

다. 재배법

 

(1) 채종

 

종자 채종포는 서북향으로 배수가 잘되며

수분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사양토~식양토를 선택한다.

9월 중하순경에는 대부분의 종자가 결실되므로

종자가 떨어지기 전에 베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자를 털어서 정선한다.

정선된 종자는 다시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이봉지나 마대에 넣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파종용 종자로 쓴다.

(2) 재배양식

 

본밭에 바로 종자를 뿌려서 재배하는 직파 재배와

묘판에서 1년간 육묘한 후 본밭에 옮겨 심는 육묘이식 재배가 있다.

그리고 뿌리 정단부의 노두(蘆頭)를 가을에 수확해서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심는 방법도 있다.

직파재배는 1년간 재배해서는 규격품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2년간 재배하는데 이 경우 재배환경에 따라 추대가 많아지면

수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육묘이식 재배에 비해 생산 노력은 적게 든다.

육묘이식 재배는 파종, 육묘, 이식 등의 노력비가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이식하기 전에 뿌리가 가늘거나 또는 지나치게 굵어

추대될 우려가 있는 묘는 골라내고 심게 되므로 뿌리가 크고

잔뿌리 발생이 적어 상품성이 높고 수량도 높아 소득에서 가장 유리한 재배법이다.

 

(3) 육묘이식재배

 

(가) 묘 기르기(育苗)

묘상 준비는 배수가 잘되고 수분이 적당한 사양토나

식양토를 택하여 서북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묘상면적은 본포 10a당 33㎡ 정도가 필요하다.

육묘상은 뿌리가 잘 자라도록 깊이 갈고 정지작업을 한 다음

폭 1.2~1.5m 정도의 두둑을 동서로 깊게 만든 후

약간의 비료와 토양살충제를 뿌린 다음 흩어뿌림이나 줄뿌림을 한다.

묘는 지나치게 크면 본포에서 추대가 많아지고

수량이 떨어지므로 적당한 크기의 묘를 생산해야 한다.

묘가 클수록 추대율이 증가하므로

직경이 0.5cm 정도의 묘를 많이 생산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비옥도가 중 정도인 묘상에는 거름을 줄 필요가 없으나,

묘상이 척박하면 퇴비를 33㎡당 40kg 정도 뿌려주고

생육상태에 따라 화학비료를 약간 준다.

묘상 파종은 가을에 채종 후 축축한 모래와 섞어서

노천매장 했다가 파종하는 것이 출아율이 높다.

노천매장하지 않고 건조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발아가 고르지 못하므로 종자를 2~3일간 흐르는 냉수에

침종하였다가 물기를 뺀 다음 48시간 정도 저온처리(2~5℃)하여 파종한다.

파종 시기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이 적기이다.

이 시기에 파종이 어려우면 이듬해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량은 33㎡에 6ℓ(1.0~1.2kg) 정도가 적당하다.

파종은 상면에 고르게 종자를 흩어 뿌린 후

체로 친 부드러운 부엽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은 다음 짚을 덮고 물을 충분히 뿌린다.

복토가 깊거나 흙이 단단하면 싹이 트지 못하고 썩어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파종 후 싹이 나기 시작하면 덮어 주었던 짚을 즉시 걷어준다.

싹이 많이 올라올때까지 그대로 두면 도장하고

짚 사이로 새싹들이 끼어들어 짚을 걷어줄 때 어린싹이 손상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잡초는 생육초기에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제초작업이 늦어져 잡초가 크면 풀을 뽑아줄 때 주변 묘도 뽑힐 염려가 있다.

솎음은 아주 심하게 밴 곳만 조금씩 해준다.

 

(나) 정식

묘선별은 묘상파종 당년 가을 10월 중하순에 종근을 파내어

흙을 털고 묘의 크기에 따라서 대묘(묘 직경 0.9cm 이상),

중묘(묘 직경 0.6~0.8cm), 소묘(묘 직경 0.5cm 이하)로 구분하고

소묘와 중묘를 정식한다.

묘는 크기별로 심는 것이 관리하기 편하며,

대묘는 추대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심지 않는 것이 좋다.

정식은 가을에 정식할 경우는 가능하면 묘를 굴취한 후

바로 심어서 뿌리가 활착된 후 월동시킨다.

봄에 정식할 경우는 20뿌리씩 묶어서 저장했다가

3월 하순~4월 상순에 심는다.

심는 거리는 토양의 비옥도, 위치, 시비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이랑 너비 45cm, 포기 사이 20cm로 한다.

골을 깊이 파고 1포기씩 세워서 심는데,

아주 작은 묘(묘 직경 0.3cm 이하)는 2개씩 심는다.

뿌리 끝이 구부러지게 심으면

뿌리가 제대로 뻗지 못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와 품질이 떨어진다.

가을에 심을 때는 흙을 약간 두껍게 덮어주고

가볍게 눌러주어 서리의 피해를 막아주도록 한다.

 

(다) 거름주기

본밭의 시비량은 10a당

질소 4kg, 인산 8kg, 칼륨 4kg, 퇴비 1,000kg 정도로 한다.

퇴비, 인산, 칼륨은 전량 밑거름으로 전층 시비한다.

그러나 질소비료를 밑거름으로 주거나

5~6월에 일찍 웃거름으로 많이 주면 지상부 생육이 무성하고

꽃대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전량 웃거름으로 나누어 준다.

초기 생육을 억제시켜 추대를 줄이고

8월 초순 이후에 질소질비료를 생육상태에 따라서

2회로 나누어 주어 뿌리의 비대 생장을 돕도록 한다.

 

(4) 본밭 관리

 

새싹이 어느 정도 올라온 후 김매기를 겸해서 배토해 주고

헛골에는 제초제가 식물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서 뿌려준다.

7월 초부터 8월 초까지 꽃대가 발생하여 꽃이 피게 된다.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면 뿌리가 목질화(木質化)되어

약재로 쓸 수 없게 되므로 꽃대는 발견 즉시 제거해 준다.

 

라. 병해충 방제

 

강활의 병해충은 아직 크게 문제되지 않고 있으나

뿌리썩음병과 토양해충(거세미, 굼벵이) 등의 피해가 가끔 나타나고 있다.

방제는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한다.

(등록약제 확인경로 : 농사로 → 농자재 → 농약 → 농약등록현황)

마. 수확 및 조제

 

(1) 수확

 

수확은 정식 당년 가을 10월 말~11월 초에 지상부를 베어내고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해서 수확한다.

수확한 뿌리는 흙을 털고 물로 세척하여 햇볕에 건조시킨다.

 

(2) 조제

 

햇볕에 반 정도 건조되어 부드러워지면

잔뿌리를 아랫부분의 원뿌리와 함께 모아 보기 좋게

구부려 형태를 잡은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품질이 좋은 상품의 강활은 수분함량이 12% 이하이고,

부드러우며 겉은 황갈색, 속은 황백색이다.

또 길이 20cm, 직경이 3cm 이상인 것이 상등품이다.

등외품은 별로도 포장하여 출하해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

 

바. 생약의 특성과 품질

 

(1) 특성

 

가루 1g에 에텔 10㎖를 넣어 상온에서 침출한 액은

자외선을 쪼일 때 강한 형광을 나타낸다.

강활은 방추형의 주근과 여러 개의 곁뿌리로 이루어지고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으며

그 둘레에 자색의 측아가 2~5개 붙어 있다.

길이 15~30cm, 지름 2~5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군데군데 잔뿌리 자국이 남아 있다.

꺾은 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은 엷은 황색이고

목부는 황색이며 갈색의 형성층이 뚜렷하다.

횡절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 아래 후각조직이 있고

수지도가 동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관은 방사상으로 발달되었으며

모든 유조직에는 전분립이 들어 있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달고 시원하며 뒤에는 조금 쓰다.

중국강활은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원추형으로

길이는 3~10cm, 지름이 0.5~2.0cm이다.

때로는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다.

표면은 황갈색~암갈색을 띤다.

뿌리줄기의 꼭대기에는 약간 원형의 줄기 흔적이 있고,

때때로 짧은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으며,

표면에는 도드라진 마디가 있고 마디 사이가 보통 짧다.

마디에는 혹 모양의 뿌리 흔적이 있다.

뿌리의 바깥 면에는 조잡한 세로의 주름 및 혹모양의 잔뿌리 흔적이 있다.

질은 가볍고 약간 약하여 쉽게 끊어진다.

횡절면은 방사상의 갈라진 무늬가 있고 피층은 황갈색~갈색이며

목부는 담황색~엷은 회황색을 띠고 수부는 회백색~담갈색을 띤다.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 및 수부에 갈색의 가느다란 유점(油點)이 있다.

특이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시다가 뒤에는 약간 맵고 알알하다.

관엽강활은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뿌리줄기는

원주상이고 위쪽 끝은 줄기 및 엽초의 흔적이 나와 있으며

뿌리는 원추형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이 있다.

표면은 갈색이고 뿌리줄기 가까운 곳에는

비교적 치밀한 환형 무늬가 있다.

길이는 4~13cm, 지름은 0.6~2.5cm이다.

어떤 것은 뿌리줄기가 거칠고 크며 불규칙한 결절상으로

위쪽 끝에는 여러 개의 줄기 기저부가 있고 뿌리는 비교적 가늘다.

뿌리는 쉽게 꺾인다.

절면은 약간 평탄하며 껍질은 엷은 회흙갈색이고 목부는 황백색이다.

맛은 약간 쓰고 비교적 담백하다.

 

(2) 품질

 

○ 순도 : 잔경 및 그 밖의 이물이 5.0% 이상 섞여 있지 않음

○ 건조감량 : 12.0% 이하

○ 회분 : 10.0% 이하

○ 산불용성회분 : 2.0% 이하

○ 정유함량 : 0.2㎖ 이상 (50.0g)

○ 엑스함량 : 묽은 에탄올엑스 20.0% 이상

○ 수량은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약 15~68% 증가하였으며,

종근 크기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식물명 : 감초(콩과 Leguminosae)

생약명 : 감초(甘草)

학명 및 식물기원 : 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광과감초 (光果甘草) Glycyrrhiza glabra Linne 또는

창과감초(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

이용부위 :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

2. 식물의 성상

 

가. 재배식물의 성상

감초는 다년생 초본식물로 줄기는 곧추 서고 1m 정도 자라며,

능선이 지고 총엽병과 더불어 백색 털이 밀생하며 회백색의 선이 생긴다.

잎은 엇갈려 나고 기수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7개로 끝은 짧고 뾰쪽한 난형 또는 넓은 난형으로 길이 2~5㎝,

너비 1~3㎝로서 양면에 백색 털과 선점이 있으며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나며, 남자색으로 7~8월에 피고,

길이 1.4~2.5㎝, 총상화서로 꽃받침은 끝이 5개로 갈라진다.

꼬투리는 편평한 선형이고 활처럼 굽으며 길이 3~4㎝, 너비 8㎜ 정도로

겉에 가시 같은 선모가 있고 종자는 6~8개씩 들어 있으며 신장형이다.

 

뿌리는 종자에서 나오는 근이 주근으로 생장하면서

길이, 굵기가 커지고 무게가 증가한다.

포복경은 땅속에서 옆으로 뻗으며 마디에서 액아가 형성되고

액아에서 새로운 식물체를 형성하므로 번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나. 동속 식물

생약재로 쓰이는 Glycyrrhiza속 식물은 감초(G. uralensis)와

광과감초(G. glabra)와 창과감초(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가 있다.

감초는 우랄감초, 만주감초라고도 하며 중국동북부, 화북부 및 서북부,

내몽고,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감숙성에 야생 또는 재배된다.

광과감초는 유럽감초 또는 스페인감초라 하며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의 신강성에 분포되어 있으며 잎모양과 뿌리껍질 색깔이 감초와 다르다.

변종으로 러시아감초(G. glabra var. typica),

페르시아감초(G. glabra var. glanduliferra) 등이 있다.

다. 주요 성분 및 이용

주요 성분은 트리터페노이드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인

글리시리진(glycyrrhizic acid)을 함유하며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글루코오스(glucose), 만니톨(mannitol), 말산(malic acid),

엘-아스파라긴(L-asparag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은 대부분의 한약처방에 들어갈 정도로

다양하게 쓰이는 약재로 해독작용, 천연 항생제 역할로

땀띠나 여드름 치료, 염증을 진정시키는 소염작용을 하고,

감초 특유의 노란색을 나타내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전립선암과 유방암 예방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3. 재배환경

가. 기후

감초는 일조량이 충분하고 강하며,

강우량이 적고 건조하거나 반 건조한 지역에서 잘 자란다.

내한성이 강하므로 남부지역에서 중북부산간지까지 넓은 지역에 재배 할 수 있다.

나. 토양

토양은 지하수위가 낮아 건조하고 토심이 깊은 사토~사양토가 적합하다.

지하수위가 높아서 토심이 낮은 알칼리성 토양은

지근이 많고 뿌리가 짧으며 근경이 지표에 가로로 자라고

섬유가 세밀하고 약하며 글리시리진(glycyrrhizin) 함량이 적다.

그러므로 토심이 50㎝ 이상 되는 사토 또는 사양토에서 재배하여야

주근 비대가 촉진되고, 글리시리진 함량이 높고 단 맛이 강하며

섬유가 적고 분질이 많은 상품성이 높은 감초를 수확할 수 있다.

 

4. 재배법

가. 번 식

종자번식과 포복경을 이용한 영양번식이 가능하지만 국

내 기후에서는 개화 결실이 잘 되지 않으므로 포복경을 이용한다.

나. 실생육묘

1)종자처리

감초 번식은 직파재배가 가능하지만 파종량이 많이 들고,

발아기에 수분관리가 어려우므로

묘상에서 1년간 기른 묘를 이식재배 하는 것이 유리하다.

종자는 경실종자로 종자껍질이 단단하여

수분흡수가 되지 않아서 휴면하는 특성이 있으므로

파종 전에 반드시 종피에 상처를 주어야 발아율이 높아지고 입모가 고르게 된다.

종피에 상처를 주는 방법은 돌절구에 넣고 빻거나

소형 도정기에 넣고 자엽이 손상되지 않도록 처리한다.

2) 육 묘

파종은 4월하순~5월상순에 파종한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모잘록병 발병율이 높다.

햇볕이 잘 들고 배수가 잘 되는 밭에 높이 30㎝ 이상으로 묘상을 만든 다음

줄 사이 8㎝, 포기사이 8㎝로 하여 4~5립의 종자를 점뿌림한 후

1㎝ 정도 흙을 덮고 가볍게 준다. 발아 후에는 잡초를 제거해 준다.

이듬해 봄에 본밭에 정식 할 수 있다.

 

다. 포복경 재배

포복경을 이용한 묘는 가을 또는 해동 후 출아하기 전에 근경을 채취하여

1~2개의 눈을 기준하여 길이 10㎝로 잘라 정식 전까지 건조되지 않게 저장한다.

저장 방법은 사양토에 묘상 넓이 90cm, 높이를 30㎝ 이상으로 만들고

종근의 선단부가 지상부에 1㎝ 정도 나오게 수직으로 하여 가식한다.

가식할 때의 밀도는 ㎡당 200본정도 심으면 적당하다.

라. 정식

1) 밑거름 주기

밑거름은 밭갈이하기 전에 질소 18㎏, 인산 10㎏, 칼리 10㎏와

퇴비 2,000kg을 골고루 뿌리고 깊이갈이를 하고 정지하여 이랑을 만든다.

이랑은 넓이 90cm, 높이 30cm 이상으로 만들고 비닐을 피복한다.

비닐을 피복하면 적당한 수분 유지와 잡초발생을 막을 수 있다.

2) 정식 시기 및 방법

묘 정식 시기는 4월 중순이 적합하다.

심는 거리는 줄 사이 45㎝, 포기사이는 30㎝로 심으며,

묘의 길이가 20㎝ 이상으로 길어 수직으로 심기가 어려우므로 15°로 빗겨 심기를 한다.

 

묘가 땅속에 완전히 묻히게 하는 방법과,

머리가 지표면으로 0.5㎝ 정도 나오게 심는 방법이 있다.

묘가 완전히 땅속에 들어가게 했을 경우에는 정단부에서 포복경이 발생하며,

머리를 노출한 경우에는 포복경이 발생하지 않는 반면 뿌리 수량은 증가한다.

포복경은 상품성은 낮으나 번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다.

마. 본밭 관리

감초는 정식 후 생육상태에 따라 다르나 보통 1~3년에 수확한다.

2, 3년째에는 1년째와 같이 4월 상순경에 3요소 비료를 시비하고 김매기를 한다.

파종 또는 정식한 후 가물 때는 관수하여야 하며, 생육중기에는 가뭄에 견디는 힘이 강하다.

5. 병해충 방제

가. 병

 

1) 모잘록병

병원균은 Rhizoctonia solani, Fusarium sp.이다.

5~6월경에 종자 발아기에서 본엽 3기 정도까지 종자 파종 시에 주로 발생한다.

 

 

2) 갈색점무늬병

병원균은 Phoma sp.이다.

5월~7월까지 발생하며 심하면 잎이 갈색으로 변하여 조기 낙엽진다.

심하면 63.6%가 이병되는 병이다.

약제 방제는 디페노코나졸유제(10%), 아족시스트로빈수화제,

타로닐수화제를 안전사용기준에 따라 처리하여 방제한다.

3) 뿌리썩음병

주로 장마기에 습기가 많은 포장에서 발생하며

지제부와 뿌리부분이 물러 썩고

지상부는 건전주에 비하여 일찍 고사한다.

 

나. 해 충

1) 진딧물

5월 중순경에 발생하여 장마기 이전에 최대 발생을 보인 후 장마기에는 감소한다.

방제 약제는 아세타미프리드수화제, 이미다클로프리드수화제,

치아메톡삼입상수화제, 피메트로진수화제 등이 있다.

2) 응애류

응애류는 점박이응애, 차먼지응애 등이 발생하며,

점박이응애 피해가 가장 심하여 최대 70마리/엽 정도 발생한다.

5월하순부터 발생하여 6~7월에 피해가 심하다.

방제약제는 아바멕틴유제(1.8%), 페나자퀸유제, 펜피록시메이트액상수화제,

플루페녹수론분산성액제를 안전사용 기준에 따라 처리한다.

3) 파총채벌레

6월 하순에 발생하여 8월경까지 지속적으로 피해를 준다.

6. 수확 및 조제

가. 수 확

묘는 정식 후 2~3년, 종자는 파종 후 3~4년에 수확할 수 있으며,

뿌리의 생육 상태 및 가격을 고려하여 4~5년까지 재배할 수 있다.

가을에 지상부 잎이 시들어 떨어진 후,

뿌리의 단맛이 강하고 약효성분이 높아지는 때가 수확적기이다.

그러나 필요에 따라서는 10월 중순부터 12월 상순까지 할 수 있다.

봄에 싹이 트기 전에 수확하는 것은 품질이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뿌리 수량도 감소한다.

수확 방법은 지상부의 줄기를 베어내고 포크레인으로 굴취한다.

 

나. 건조 및 조제

수확한 감초는 오염되지 않은 물로 세척하고,

열풍 건조기에서 30~60℃로 6~12시간 건조한 후

절단하고 다시 10~18시간 건조한다.

이렇게 하면 완전히 건조시키고 수침, 절단한 다음

재건조 하는 것보다 건조노력 시간이 70% 이상 절감된다.

절단기를 사용할 때 유의할 점은

감초의 뿌리는 섬유질이 많기 때문에 직각 절단기에 절단할 때는 문제가 없지만

원방기에서 사편으로 절단할 때는 칼날을 숫돌에 자

주 연마하거나 교체해 주어야 고르고 원활하게 절단된다.

 

다. 저 장

저장 중에 공기 중의 수분을 흡수해서 곰팡이가 발생하기 쉽고,

해충의 피해도 발생되어 상품성이 저하되기 때문에 적합한 저장조건이 요구된다.

따라서 감초는 수분함량이 12%이하가 되도록 완전 건조시키고

10℃ 이하의 온도에 저장하여야 한다.

저장 중에 방습을 완전하게 하려면 자주 햇볕을 쬐거나,

화력을 이용하여 다시 건조한다.

7. 생약의 특성과 품질

가. 생약의 특성

이 약은 정량할 때 환산한 건조물에 대하여

글리시리진산(C42H62O16 : 822.93) 2.5 % 이상 및

리퀴리틴(C21H22O9 : 418.39) 1.0 % 이상을 함유한다.

이 약은 거의 원주형이며 지름 5~30㎜이고, 길이는 1m가 넘는 것도 있다.

껍질이 붙어 있는 감초는 바깥면이 어두운 갈색~적갈색이며

세로의 주름이 있고 때때로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 벗긴 감초는 바깥면이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이 약을 가로로 자른 면은 피부와 목부의 경계가 거의 분명하고

방사상의 구조를 나타내며, 때때로 방사상으로 찢어진 곳이 있다.

수는 뿌리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주출경에서는 보인다.

이 약의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껍질이 붙어 있는 감초에는 황갈색이고

여러 개의 코르크층과 그 안쪽에는 1~3 층의 세포층으로 된 코르크층이 있다.

피부에는 후막화 되고 목화가 불충분한 인피섬유속과 그 주위에는 결정세포열이 있다.

형성층에 가까운 곳에 있는 사관은 똑똑히 보이나

오래 된 것은 대체로 퇴화되어 잘 보이지 않는다.

수선은 반경성으로 연장 된 세포열로 형성층을 뚫고

피부까지 이르렀고 전분립이 가득 들어 있다.

도관은 크고 단독 또는 무리를 이루어서 수선사이에 방사선으로 배열되었고

결정세포열에 둘러싸인 목부섬유속은 도관과 도관사이에 흩어져 있다.

주출경을 쓰는 감초는 유세포성의 수가 있다.

피부 및 목부의 유세포 중에는 수산칼슘의 단정과 전분립이 있다.

껍질 벗긴 감초에는 주피 및 사부의 일부가 없다.

이약은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

나. 품질규격

글리시리진산(C42H62O16 : 822.93) : 2.5% 이상

건조감량 : 12.0%이하(6시간)

회 분 : 7.0% 이하

산불용성회분 : 2.0% 이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한약재로서의 감초 규격

감초는 유럽감초(Glycyrrhiza glabra Linne),

만주감초 (Glycyrrhiza uralensis Fisch)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뿌리와 포복경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이 약을 건조한 것의 glycyrrhizin은 2.5% 이상을 함유한다.

외형은 거의 원주형이며, 지름 5~30㎜이고, 길이는 1m가 넘는 것도 있다.

껍질이 붙어 있는 감초는 겉이 어두운 갈색~적갈색이며

세로의 주름이 있고 때로는 피목, 싹눈 및 비늘잎이 붙어 있다.

껍질을 벗긴 감초는 표피가 엷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가로로 자른 면은 피부와 목부의 경계가 거의 분명하고 방사상의 구조를 나타내며,

때로는 방사상으로 찢어진 곳이 있다.

수(髓)는 뿌리에서는 보이지 않으나 포복경에서는 보인다.

횡단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껍질이 붙어있는 감초는 황갈색이고

여러 개의 코르크층과 그 안쪽에는 1~3층의 세포층으로 된 코르크층이 있다.

피부에는 후막화되고 목화가 불충분한 인피섬유속과

그 주위에는 결정세포열이 있다.

형성층에 가까운 곳에 있는 사관은 똑똑히 보이나

오래된 것은 대체로 퇴화되어 잘 보이지 않는다.

수선은 반경성으로 연장된 세포열로

형성층을 뚫고 피부까지 이르렀고, 전분립이 가득 들어있다.

도관은 크고, 단독 또는 무리를 이루어서 수선사이에 방사선으로 배열되었고,

결정세포열에 둘러쌓인 목부섬유속은 도관과 도관사이에 흩어져 있다.

포복경을 쓰는 감초는 유세포성의 수가 있다.

피부 및 목부의 유세포 중에는 수산칼슘의 단정과 전분립이 있다.

껍질 벗긴 감초에는 주피 및 사부의 일부가 없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다.

6시간 건조시 건조감량 12.0% 이하, 회분 7.0% 이하,

산불용성 회분 2.0% 이하여야 한다.

2. 성분

감초의 주성분은 triterpene계 saponin인 Glycyrrhizin(GL)이며,

그 구조는 18-β- glycyrrhetic acid(GA)의 3번 탄소에

D-glucuronyl-β-1, 2-D-glucuronic acid가 포함된 구조를 갖고 있다.

triterpenoid saponin인 glycyrrhizic acid를

3.63~13.06% 함유하며 그 외 여러 종류의 flavone 화합물이 있다.

뿌리는 가수분해 중에 uralen산이 추출되는데 이것이 18α-glycyrrhetin산으로 밝혀졌다.

 

중국감초 18종을 분석한 결과

수용성 물질이 18.7~40.54%, lycyrrhigin산 3.63~13.0%,

환원당 3.38~13.67%, 전분 및 colloid 2.04~6.32%,

수분 6.04~8.44%, 회분3.35~6.68%였다

(정보섭, 신민교. 1990. 도해 향약(생약)대사전).

 

뿌리줄기와 뿌리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여름보다 가을에 높다.

2년생 감초의 글리시리진 함량은 4월에 3.8%, 5월에 3.7%, 6월에 3.5%,

7월에 3.3%, 8월에 3.8%, 9월에 5%, 10월에 6%이다.

 

뿌리부위의 따르는 글리시리진 함량은 2년생 감초의 주근에 6.91%, 지근에 8.04%이다.

그러므로 주근과 포복경만을 약으로 쓸것이 아니라 지근도 이용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또한 근피부(13.06%)가 목질부나 심부(10.42%)보다 그 함량이 높다.

따라서 껍질을 벗길 때에는 코르크화된 껍질만을 벗기고 되도록 속껍질을 상하지 않게 하여야 한다.

3. 효능

감초는 오장의 한열사기를 주치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근육 이완 및 강화와 금속체에 의한 상처를 치료한다(신농본초).

 

약물을 해독하며 모든 약을 조화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구워 쓰면 비위허약, 식욕부진, 페결핵의 해수, 심계항진을 치료하며,

생것을 쓰면 목구멍이 붓고 아픈 증세, 소화성 궤양, 약물중독 식중독을 예방한다(본초강목).

정신을 안정시키는 효능이 있으며 오로칠상을 보양하고

일체의 쇠약해진 증상, 번민, 건망증을 치료한다.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글리시리진은

사탕의 약 40~50배 정도로 단맛이 있으며

그 단맛은 10만배의 희석액에서도 느낄 수 있다.

물 용액은 흔들면 거품이 생기지만

일반사포닌 보다 약하게 일고 용혈작용은 없거나 약하다(칼리움염은 1:400).

글리시리진의 물 분해에 의하여 생긴 글리시레틴산은 단맛이 없고 용혈작용이 있다.

그리하여 감초의 거담작용은 글리시레틴산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글리시리진은 또한 호흡기도를 완화시킨다.

 

감초는 주로 약재의 조화와 제독을 목적으로 쓰이나,

독립적인 약으로도 효과가 크며, 장기간 복용할 경우 부작용이 일어나기도 한다.

그 효능은 해독 작용이 있고, 비장의 기능과 기력을 돕고,

종기를 제거하는 등 여러 가지 약을 고르게 조화시켜 준다고 알려져 있으며

감초는 무엇보다도 해독의 효과가 뛰어난데, 식중독이나 갖가지 약물 중독,

항암제의 독성을 푸는데 그 효과가 매우 뛰어나다.

 

감초뿌리엑스, 글리시리진은 독성이 없고

포수클로랄, 스티리크닌, 요힘빈, 코카인, 모르핀,

코데인, 아트로핀, 루미날 등에 의한 중독을 풀어준다.

세균독과 비루스독 예를 들면 파상풍독소, 디프테리아독소, 뱀독을 풀어준다.

 

아세틸콜린, 히스타민, 알레르기를 일으키는 물질과는

길항작용을 하며 아드레날린과 비슷한 강심작용도 있다.

 

글리시리진의 해독작용은 물분해산물인 글루쿠론산과 관계된다.

글루쿠론산은 동식물계에 널리 들어있는 성분으로서

간에서 유독한 물질과 결합되여 글루쿠로니드를 형성하고 오줌으로 배설된다.

그러므로 글루크론산은 약물중독, 알콜중독, 식중독, 황달,

간경변증, 만성간장애, 류마치스, 관절아픔, 신경아픔 등에 쓰이고 있다.

글리시리진의 해독작용은 글루쿠론산에만 의한 것으로 생각되지 않으며

글리시리진이 신상성피질호르몬과 비슷한 작용을 하는 것과도 관계된다.

글리시리진은 신상선 피질호르몬인 데스옥시코르티코스테론과 같은 효과가 있다.

 

감초뿌리엑스가 소화성 위궤양에 치료효과 있다는 것은 1950년대에 알려졌다.

그리하여 감초뿌리에서 항궤양성 물질을 찾아내기 위한 많은 실험들이 진행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와서 플라보노이드를 얻어내고

그 성분들이 진경작용을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최근에 많은 실험들을 통하여 진경작용 뿐 아니라

항염증작용, 항궤양작용이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민간에서는 감초뿌리에 오징어뼈를 같은 양을 섞어서 가루내어

위십이장궤양 때 먹거나(한번량 5g) 알콜엑스를 만들어 중이염에 쓴다.

4. 수급현황

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감초의 99% 이상은 수입에 의존하며

연간 3천톤 이상이 한약재의 원료로 수입이 되고 있으며,

5천톤 이상이 식품용으로 국내에 수입이 되고 있는 실정이며

이것은 거의 전량을 주로 중국에서 수입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중국의 야생자원 남획으로

자생지 면적 및 품질이 점차 낮아지고 있어, 인공재배를 하고 있다.

 

중국의 감초생산지는 신강성, 내몽고자치주, 영하 회족자치주 등

북위 40°이북에 주로 분포하며 중국의 연간 감초 생산량은 20,000여톤으로

내몽고자치주, 신강성에서 주로 생산되는 것으로 보여진다.

참 고 문 헌

김창민 외. 1997. 완역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88-103.

농촌진흥청. 1994. 약초재배, 표준영농교본-7. 25-258.

박인현 외. 1983. 약초식물재배. 선진문화사. 서울. 67-240.

박철호 외. 2000. 감초재배기술. 120-123.

안덕균. 1998.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662.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기원

감초(Glycyrrhiza ssp.)는 콩과(Leguminocae)의 다년생 초본 식물로

영명은 Licorice, 생약명은 감초(甘草),

이명은 밀감(蜜甘), 국로(國老), 영통(靈通), 봉초(棒草)이다.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30~80㎝로 직립하거나(G. glabra)약간포복하고(G. uralensis),

기부는 목질화 하며 가지가 많이 생긴다. 어린줄기에는 털이 있다.

뿌리는 직근으로 깊게 뻗고 포복경은 옆으로 뻗으며 부정아에서 새로운 줄기가 발생한다.

 

잎은 단수우상복엽으로 엽장 5~20㎝, 소엽 5~17매이며,

엽병에는 섬모가 밀생한다. 꽃은 총상화서로 액생하며 길이 2~10㎝이고,

화색은 자색, 백색 또는 황색이며 꽃은 길이 10~24㎜이다.

 

국내에서는 주로 만주감초(G. uralensis)를 한약재로 이용해 왔으며 재배연구의 중점이다.

유럽감초(G. glabra)는 줄기가 직립성이고 뿌리가 만주감초(G. uralensis)보다 크다.

 

2. 재배내력

우리 나라의 감초재배 유래는 조선왕조실록에 나타난다.

『감초는 우리 나라에서 생산되지 아니하여 세종조에

중국에서 구해 상림원(上林園)에 심게 하였다가 마침내 여러 도에 나누어 심게 하다.

문종 때는 감초재배를 소홀히 한 전라도 광양의 관리에게 죄를 주도록 하였으며,

성종 때 절종 위기에 있는 감초의 배양상황을 살펴보게 하였다』

또한 동의보감 감초편에 보면,

“중국으로부터 이식하였으나 번식이 잘 안되고 오직 함경도 산이 가장 좋다”고 한 것으로 보아

선조 때와 광해군 때까지도 생산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근래에는 1970년대 이천의 풍림농원에서

이태리 시실리에서 유럽감초(G. glabra)로 추정되는 감초를 들여와

종근을 고가로 판매하였으나 번식기술이 부족하여 널리 전파되지 못하였다.

1992년 중국과의 국교가 열리면서 한약재 무역이 성행하였고

이에 따라 감초에 대한 관심도 높아졌으며

1997년에는 중국에서 종자를 들여와 국내재배 및 연구가 시작되었다.

 

3. 분류 및 분포

Glycyrrhiza uralensis는 우랄감초라 하며

중국동북부, 화북부 및 서북부, 몽고, 시베리아에 분포하고 있다.

G. glabra는 스페인감초라 하며

남유럽, 중앙아시아, 중국에 분포되어 있으며

변종으로 var. typica(러시아감초), var. glanduliferra(페르시아감초),

var. violacea 및 var. pallida가 있다.

러시아감초는 스페인, 이탈리아에 야생하고 있으며

스페인, 독일, 영국, 시리아에서 재배되며,

페르시아감초는 러시아, 소아시아, 시리아, 중국 남부에 야생하고,

var. violacea 및 var. pallida는 이란에 분포한다.

 

중국에서 재배되는 감초의 종류는 G. uralensis, G. glabra, G. inflata,

G. eurgcarpa, G. yumnanensis, G. pallidiflora, G. squamulosa 등 8종이 있으며,

주로 재배되는 것은 G. uralensis, G. glabra, G. inflata이다.

이러한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외피는 적갈색 내지 암갈색을 띠며 중국 동북부, 몽고지방에 분포하는 생약으로서

그 뿌리와 근경을 약으로 사용한다.

그 동속 식물로는

유럽감초 G. glabra L. var glandulifera Regel et Helder,

스페인 감초 G. glabra L.,

황감초 G. kansuensis Chang et Peng,

창과감초 G. inflata Batal, G. echinata

그밖에 변종 G. glabra var tipica 등이 있다.

참 고 문 헌

김창민 외. 1997. 완역중약대사전. 도서출판 정담. 8 : 8-103.

농촌진흥청. 1994. 약초재배, 표준영농교본-7. 25-258.

박인현 외 1983. 약초식물재배. 선진문화사. 서울. 67-240.

박철호 외. 2000. 감초재배기술. 120-123.

안덕균. 1998. 한국본초도감. 교학사. 662.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