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모든 체한 증상에

불환금정기산(不換金正氣散)을 가감해서 치료한다.

불환금정기산은 사계절의 內傷飮食, 七情 및

外感六氣風寒暑濕燥火를 치료한다.

처방 내용은

蒼朮 二錢 陳皮, 厚朴, 藿香 半夏 各一錢. 薑三棗二이다.

○ 食滯 加神曲, 砂仁 一錢, 靑木香 七分.

○ 綵素滯 加枳殼 七分, 蘇葉 二分, 山査 七分, 神曲, 麥芽, 陳皮, 半夏, 黃連 各一錢, 薑三片.

○ 麵滯 加蘿葍子 一錢, 砂仁 五分.

○ 餠滯 加麥芽, 神曲, 香附子, 砂仁 各八分.

○ 酒滯 去甘草 加葛根, 神曲, 枳實 各一錢, 陳皮加二倍.

○ 水滯 加川芎, 赤茯苓, 枳實, 白芥子炒硏 各八分, 杏仁, 靑皮 各五分.

○ 黃肉滯 加山査 二錢, 枳實, 草果 各一錢.

○ 猪肉滯 加白蝦 鹽 一匙, 山査, 唐木香, 草果 各一錢.

○ 鷄肉滯 加山査, 枳實, 菊花 一錢, 草果 七分.

○ 狗肉滯 加山査, 杏仁, 菊花, 荳葉 各一錢五分.

○ 馬肉滯 加益母草 一錢, 枳實, 山査 七分.

○ 雉肉滯 加枳殼, 吳茱萸, 丁香 七分.

○ 羊肉滯 加雄鼠 七梅, 木香 七分.

○ 鶉肉滯 加牛胃 一片, 草果, 檳榔 一錢.

○ 鴨肉滯 加蘿葍子炒硏 一錢, 靑皮, 枳殼 八分.

○ 生熟豆腐滯 加海水一鍾子, 瓜蔞仁 一錢, 木香 五分.

○ 鹿肉鹿血滯 加香附子, 食鹽, 砂仁硏 各一錢.

○ 鮒魚滯 加蓼花 一錢, 無則荳葉代之.

○ 秀魚滯 加吳茱萸, 川芎 一錢, 枳殼 七分.

(同道親睦會, 『經驗秘方』第一集, 1975년)

 

부가설명

주정훈(朱楨焄) 선생은 함경남도 출신으로서

서울시 성북구 삼선동에서 장수한의원을 운영하였다.

그는 선친이 한의사로서 함경남도에서 활동한

유지를 받들어 한의사의 길을 걷게 된다.

1962년, 1968년, 1970년 3회에 걸쳐서

대한한의사협회에서 표창을 받았다.

그는 특히 連珠瘡, 恐水病, 胃腸病 등을 잘 치료하였다.

위의 기록은 醫案이라기보다는 滯症에 대한 경험방인

不換金正氣散加減方을 정리하여 소개한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환자명 양○○. 남자 6세.

6세 양군의 소아마비와

11세 우군의 결핵성척추염을

최단시일내애 치료한 경험.

치료처방은 곽향정기산가감방(藿香正氣散加減方).

처방내용은 藿香 一錢半, 蘇葉 一錢,

白芷, 柴胡, 防風, 桂枝, 木果 各一錢,

大腹皮, 白茯苓, 厚朴, 白朮, 陳皮, 半夏, 桔梗, 炙甘草 各五分,

附子炮 七分, 薑三棗二.

침치료는 風市, 독비, 상성, 절골, 신맥, 독음.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부가설명

신경희(申卿熙) 선생(1919-2000)은 뛰어난 서예가로서

『蒼濟證方』(1990년 간행)으로 유명한 한의사이다.

그는 1965년에는 인천시 한의사회 회장,

1971년에는 경기도 한의사회 회장,

1972년에는 東西醫學會理事, 대한한의사협회 중앙회이사 등을

역임하면서 한의계의 중심 인물로 활약하였다.

『蒼濟證方』은 병증별로 특효한 처방들을 모아 놓은

평생 동안의 임상 경험집으로서 호평을 받는 서적이다.

위의 醫案은 그가 다년간 소아마비계통의 질환을 치료하면서

가장 효과가 좋았던 藿香正氣散加減方을 소개하는 내용이다.

구체적인 치료 기간과 용법에 대한 내용은 보이지 않지만

그는 다년간 이 질환을 치료하면서 효과가 뛰어났던 처방으로

藿香正氣散을 소개하고 있는 것이다.

구체적인 내용은 1964년 간행된 『醫林』 제43호에서

申卿熙先生의 自作 論文인 「小兒痲痺에 대하여」라는 글에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특히 微熱感氣와 유사한 정도로 熱이 발생하며

嘔吐 혹은 泄瀉가 있을 때, 藿香正氣散 本方에

柴胡, 防風, 桂枝, 木果, 白芷 各一錢을 加해서 사용하면

24시간 이내에 解熱은 물론 좋은 效果가 나타난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환자 45세된 신경질적 부인인데,

오래된 병으로 인하여

전신은 창백허약하고 권태무력하였다.

3년전 신경쇠약에 걸려

소화불량, 어지럼증, 두통, 수면불안,

수족냉증, 마비, 도한(盜汗), 구토 등과

항상 우울하고 생각이 많고,

심화충동(心火衝動)으로 불안하였다.

많은 의사들의 치료를 받았다.

그러나 오히려 발병 2년 후 어지럼증이 심하여

머리가 어지럽거나 두통과 함께으로부터

안면신경경련감이 있게 되었다.

그후 1개월후 하루 몇차례씩

안면신경경련이 일어나게 되었다.

경련이 일어날 때 신체의 다른 부분의 이상은 없었으며

정신도 명쾌하고 의식상실이 나타난 적도 없었다.

발작시간은 수분내지 한시간정도였고

진정된 후에 도한(盜汗)과 미열,

두통과 정신이 명쾌하지 못하였다.

그 발작횟수는 하루에 한두차례였다.

좌맥(左脈)은 미삽(微濇)하고

우맥(右脈)은 허이무력(虛而無力)하였다.

기혈쌍보(氣血雙補)에

겸치풍치담급화혈진정지제(兼治風治痰及和血鎭靜之劑)를 가입한

가미익기탕(加味益氣湯)으로 10일간 투약시켜

1년간 계속 이어진 증상을 진정시켰다.

다시 1제를 20일간 투약하여 완치시켰다.

처방의 구성은

黃耆蜜炙炒 二錢,

熟地黃, 當歸身, 白芍藥酒炒, 川芎, 白茯苓 各一錢,

人蔘, 白朮, 石菖蒲去毛, 蓁芃, 羌活, 防風, 半夏薑製,

南星炮, 天麻, 白附子, 麥門冬去心 各一錢,

桂枝, 升麻, 荊芥, 甘草各七分,

柴胡 五分,

五味子二十粒,

紅花酒洗 三分,

薑三棗二이다.

(「顔面神經痙攣의 臨床經驗方」,

『大韓漢醫學會報』제2권 제4호, 통권11호, 대한한의학회 발행, 1964)

 

부가설명

조충희(趙忠熙) 선생(1891∼?)은

충남한의사회장, 대전시한의사회장,

대한한의사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여

한의계 조직을 위해 활동한 한의사이다.

위의 처방에서 언급하고 있는 안면신경경련에 대해서

그는 “한방의학상에서 안면신경경련은

두면풍(頭面風)이라 칭하는 병으로 그 원인은

두면부(頭面部) 영혈위기(營血衛氣)의

순환의 병적 장애로 생긴다.”고 진단하고

가미익기탕(加味益氣湯)을 처방하고 있다.

이 처방을 2제 복용시킨 후 완치시킨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환자의 이름 ○○○. ×세. 하루 사용하여 완치.

◎ 연탄까스중독.

石菖蒲 二錢, 當歸, 川芎, 白芍藥, 乾地黃 各一錢五分,

玄蔘 一錢, 遠志, 甘草 各七分.

◎ 통유방(通乳方).

四物湯 加 木通 一兩, 小茴香 三錢.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부가설명

김장범(金長凡) 선생(1908∼?)은

함경북도 북청군 출신의 한의사이다.

그는 1959년 한의사가 된 이래로 종로구 숭인동에

壽世局한의원을 개원하여 진료활동을 하였다.

그에 대해 “온후하고 겸손하며 사명감과

연구력을 지닌 신뢰받는 의료인”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위의 醫案은 시의성이 있는 경험방들을 소개한 것이다.

특히 연탄까스 중독은 1980년대까지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있었던 사망 원인의 하나였다.

金長凡先生은 다년간 이 질환을 연구하는 과정에

四物湯에 石菖蒲, 遠志, 玄蔘, 甘草를 가한 처방을 찾아낸 것이다.

그야말로 無에서 有를 찾아내었다고 할만한 明方이다.

아울러 通乳의 처방을 찾아내었는데,

四物湯에 木通과 茴香을 가한 처방이다.

그의 노력에 대해서 『漢醫師治驗寶鑑』에서는

다음과 같이 평가하고 있다. “

‘藥能殺人, 病不能殺人’이라는 말로서 단적으로 표현하고 있는

金長凡院長은 또한 ‘醫者는 仁術이다.

貧富 어떠한 患者를 不問하고 오로지 病만을 고치겠다는 정신으로

치료에 임하면 어떠한 난치병의 경우도 如氷解消’라고도 말하여

醫者로서의 기본자세를 천명하고 있다.

…40여년의 임상경험을 종합집성한다면

훌륭한 한의학方典이 되고도 남을 것이다.

이번에 발표하는 치험예를 빙산의 일각으로 하는

金院長의 底力에 기대되는 바 크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① 제반 축농증인데 오래되지 않은 축농증에는

6첩 내지 한두첩이면 효과 반응이 좋게 나타나는데

대개 20첩이면 완치되는 처방

가미갈근탕(加味葛根湯)이 있다.

갈근 12g, 마황(탕포), 길경, 석고 각 8g,

백작약 4~20g, 황금, 백작, 신이 일전. 감초 각 4~20g

강3 조3. 이상 수전복.

대인은 1일 2첩, 10세 미안 아이는 1일 1첩을

오전오후에 분복한다.

만성에는 20첩 내지 30첩이면 완치가 된다고 한다.

② 건수(乾嗽: 마른기침)한 것은 글자 그대로

가래가 별로 없으면서 마른 기침 소리를 내면서

양방병원 치료를 받아도 좀처럼 낫지 않는 기침을 말한다고 한다.

이와 같은 기침과 소아천식에 잘 듯는다고 한다.

마른기침 처방

熟地黃 三∼五錢,

當歸, 白茯苓, 貝母, 桔梗 二錢,

桑白皮, 地骨皮, 陳皮 一錢半,

麥門冬去心, 瓜蔞仁, 杏仁, 五味子, 甘草 一錢半,

白芥子 七分. 生薑五片.

以上 수전복, 1일 1첩씩 오래된 마른 기침에도

40첩이면 완치된다고 한다.

소아천식에는 금수육군전(金水六君煎)에

오물탕(五物湯)을 합방 사용하면 잘 듣는다고 한다.

약량은 본방양에서 반을 줄이고

반하대신 패모를 넣어 사용한다고 한다.

(許在淑, 治驗愛用方, 『醫林』제154호, 1983)

부가설명

허재숙(許在淑) 선생(1918∼?)은

전라북도 진안 출신으로서 서울시 보광동에서

이제한의원을 운영하였다.

위의 醫案은 의안이라기 보다는

허재숙선생이 평소에 많이 사용했던 경험방으로서

자신있게 독자들에게 소개하고 있는 것들이다.

이 의안들에 대해

『醫林』제154호 편집자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허재숙선생은 치험애용방이면서

효율이 60% 이상가진 치험방을 발표하하였다.

발표에 앞서 오늘 발표하는 치험방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한두번 사용하여 효과반응이 없다 하여

실망감을 가지면서 단념하지 마시고

계속 집념으로 여러번 사용하면

반드시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며

효과를 얻게 되면 자신이 생겨

더욱 사용할 의욕이 생기고

임상연구가 새로워질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환자 車○○. 연령 45세. 남.

약120일간 완치. 증상은 중중의 위궤양 환자.

유명 양방병원에서 비수술 불치(不治)로 진단받음.

처방

貝粉煆 二錢,

鷄內金, 香附子, 赤茯苓, 唐山査, 蘿葍子,

玄胡索, 麥芽, 澤瀉, 烏藥, 威靈仙 各一錢,

藿香, 枳實麩炒, 砂仁, 元甘草 各七分.

刺痛者는 元肉二錢加함.

水煎食後溫服.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부가설명

어영목(魚永穆) 선생(1914〜?)은 충남 출신이다.

경희대 한의대 8회의 만학으로 1959년 졸업하였다.

그는 충남 논산군 연무읍 안심리에서

십자한의원 원장으로 활동하였다.

어영목 선생은 만주에서 12년간 牧丹江市에서

병원을 경영한 경력이 있으며 또한 육군병원에서

군의관으로 근무한 경력도 있다.

그리하여 연무지구의 퇴역장교 동지회의

회장으로 일하기도 하였다.

그가 전문으로 치료한 분야는 소화기계통의 질환이었으며,

특히 위궤양에 대해서 일가견을 가지고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1964년 『대한한의학회보』제8호에서

위장병에 대해서 지상에서 토론하면서 다음과 같이 논하고 있다.

“그 첫째 식욕이 전무하고

오른쪽 옆구리 아래 압통(壓痛)이 심하다는데서

위 또는 십이지장병으로 보겠습니다.

위에 궤양이 있다면 소위 닛세란 곡선이 투시되였을 것이오.

유문(幽門)에 궤양이 있다면 유착된 부분이 생기어서

음식물을 먹으면 바로 구토가 있을터인데 그렇지도 아니함은

십지이장에 궤양이 생기었다고 보겠습니다.”

위의 醫案은 그가 위궤양 환자를

치료하면서 얻은 경험방을 공개한 것이다.

行氣와 消導, 健脾, 破瘀 등의 작용을 하는 약물들을 배합하여

그가 창안한 처방으로 생각된다.

그가 오랜 기간 활용하여 크게 효험을 본 처방일 것이다.

45세의 남성 위궤양 환자를 12제의 분량에 해당하는

120일간의 치료로서 완치해낸 그의 성과는

매우 놀라운 것이라고 할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金○○外 다수인(多數人). 남녀.

치료기간은 5∼10일 복용시켜 완치.

이 처방은 위경련 및 담석증이 아닌

제적취증(諸積聚症)에 사용한다.

玄蔘, 地骨皮 各一錢半,

白芍藥 一錢三分,

當歸 一錢二分,

鼈甲酒炒, 白朮, 麥門冬, 熟地黃 一錢,

生地黃酒炒 八分, 枳實, 靑皮 各七分,

知母鹽水炒, 黃栢鹽水炒, 甘草炙 各五分.

薑三棗二.

그간 많은 시술을 통하여 연구검토된 경험처방중에서

복내적취유동동통을 5일∼10일간에

치료할 수 있는 처방을 이번에 발표하고 있는데,

30여년의 임상 역사 뒤안길에 숨어 있는

견원장의 수많은 경험방들에 관한 기대가

매우 크고 중요한 것을 곁들여 지적해두고 싶다.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부가설명

견영종(甄永鍾) 선생(1917∼?)은 경기도 출신으로서,

일제 강점기 아버님의 뜻을 받들어 한의사가 되었다.

한의사가 된 후로 32세부터

만보당한의원을 개원하여 진료를 시작하였다.

만보당 한의원은

서울시 영등포구 당산동1가에 위치하고 있었다.

위의 처방은 위경련 및 담석증이 아닌

모든 적취(積聚) 증상을 치료한 처방을 공개한 것으로서

그는 이 병을 복내적취유동동통(腹內積聚流動疼痛)이라고

명명하였다.

처방으로서

生地黃, 當歸, 白芍藥, 玄蔘, 地骨皮 등은

滋陰補血湯의 맥락이며,

四物湯에서 川芎을 빼고 知母, 黃栢을 가한 것은

知柏四物湯의 변방이 된다.

枳實, 靑皮, 鼈甲은 積聚에 多用하는 약재이다.

이외에도 그는 1972년에 간행된 『醫林』제94호에서

효과가 좋은 처방으로 꼽는 것으로

小兒急驚風에 少商, 人中, 湧泉 등에 침을 놓고,

우황을 주사와 나이에 맞추어 적당한 양을 혼합해서

豬脂煎化水와 혼합해서 하루에 3복용하게 하는 것이다.

또한 婦人의 營血不足, 子宮虛冷으로

腹痛, 腰脚弱痛, 或 食慾減退, 消化不良, 眩暈頭痛 등의 증상에

大營煎에 香附子童便炒, 陳皮, 砂仁, 續斷 등을 가하는 처방을 권한다.

견영종 선생이 기억에 남는 환자로

1971년 42세의 부인 환자를 꼽았다.

肥滿으로 月經不快出量少, 下腹或有痛, 前陰或有重壓,

或小便頻數, 微發寒熱朝起時全身少有浮腫(이상 1개월간),

前陰多痒或腰痛(이상 약1개월간) 등이었다.

이에 曲池, 支溝, 三里, 三陰交에 침을 놓고,

加味逍遙散에 香附子, 鱉甲, 竹茹를 집어넣어

6첩을 공복에 복용시키니 신기한 효과가 있었다고 한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35세 되는 부인으로서

여자 기술학교 교사로서 2남 1녀의 어머니였다.

약 2년전부터 약간의 이명증(耳鳴症)이 초래되었는데,

약 5-6개월전부터 난청(難聽)이 수반되어

교사생활이나 수화기(受話器)로

언어를 더욱 감별치 못하고 있었다 한다.

환장의 증상은 심하부(心下部)가 답답하고

상충(上衝)과 가슴두근거림, 불면, 변비, 소변량 감소와

백대하(白帶下)를 겸하고 있었다. 특히 놀라기를 잘한다.

이상과 같은 증상을 수반하고 있기에

이 환자에 시호가용골모려탕(柴胡加龍骨牡蠣湯)을

본방(本方)대로 40첩을 투여하였더니

백대하와 소변량 감소 그리고 불면증은 완전히 치료되었고,

이명(耳鳴)과 난청(難聽)은 약 절반정도 좋아졌다.

겨울즈음에 20첩을 더 투여하였더니

이명과 난청이 완절히 소실되었고,

가슴두근거림, 상충증(上衝症), 변비 등의

모든 증상이 완전히 없어졌다.

이 환자는 양방 이비인후과와 정신과 진료를 보았지만

조금도 차도가 없기에 마지막으로 본 한의원에서

진료를 받아도 차도가 없을경우

직장도 사직할 수 밖에 없다고 하였는데,

병이 완치되고 보니 더욱 보람차게 살아보겠다고

굳은 결심하였다고 한다.

(李相漸, 「難聽症(耳聾)과 柴胡加龍骨牡蠣湯에 대하여」, 『대한한의학회지』, 1967)

 

부가설명

이상점(李相漸, 1931-1983) 교수님은

흥남출신으로 중학교를 졸업한 후

한국전쟁이 터져 남쪽으로 내려온 후

동양의약대학 6기로 입학하여 졸업한 한의사로서,

원광대학교 한의과대학 초대학장을 역임하고

『한방안이비인후과학』, 『한방약물학』, 『한의학용어사전』,

『신경통의 한방요법』, 『한의학개론』, 『한방신경정신과학』,

『한방처방해설과 응용의 묘결』, 『최신한방약물학』등

각종 저술들을 多作한 한의학자이다.

처음에는 종로 5가에 개업을 하였다가

公醫로 전라북도 임실군 삼계면, 익산군 여산리, 북일면 등에서

2년간 근무하고 서울로 올라와 제기동에서 약 10년간 개원하다가

1976년부터 회기동으로 와서 개원하였다.

위의 醫案은 柴胡加龍骨牡蠣湯으로 耳聾의 症狀을 치료한 기록이다.

이 處方은 柴胡 二錢半, 半夏 二錢, 黃芩, 大棗, 生薑, 人蔘,

龍骨, 牡蠣 各 一錢三分, 大黃 五分으로 구성되어 있다고

李相漸先生이 적고 있다.

그리고 이 처방의 主治로서

“上衝과 心悸亢進症, 不眠, 煩悶, 便秘, 尿利減少

그리고 놀라기 쉬운 증상에 쓰이며,

心下部 膨滿感과 臍上에 動悸를 目標로 하고 投與하게 된다”고

밝히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