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대전시 대동 조○○. 여자. 37세.

비대한 편도 수척한 편도 아닌

중간정도의 체격을 가진 4남매를 출산한 부인이다.

맹렬한 편두통으로 약1주일간 고통 끝에

두통이 약간 감소했지만 왼쪽 눈가 부위가

눈을 뜰 수 없을 정도로 붓고 쑤시고 아프다고 하며

간간이 더 쑤시고 더 아픈 때가 있고

약간의 어지럼움과 메쓰거움이 있다고 한다.

기타 소화나 대소변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 .

10여일간을 양방, 한방을 찾아서

주사도 맞고 한약과 침치료도 받았으나

조금 좋아지다가 다시 그대로 돌아온다고 한다.

頭痛과 痰飮을 목적으로

淸上蠲痛湯合二陳湯으로 十貼을 주었더니

5-6일 후에 다시 내원하였다.

극심한 두통이 없어지고 안검부종도 반이상 소실되었다.

다시 전 처방대로 두제에 완치되어

현재도 몸에 이상 있으면 자주 내원한다.

(宋壎, 「청상견통탕합이진탕 응용례」, 『醫林』제108호, 1975년)

부가설명

송훈(宋壎) 선생은 충청남도 한의사회

회장을 역임한 한의계의 지도자였다.

그의 조부는 유명한 한의사셨고,

仲父 宋埈憲先生도 한의사로서

김천시 평화동에서 일청한의원을 운영하였다.

宋壎先生은 대전시에서

1964∼1965년간 한의사회장,

1966년에는 충청남도 지부로 개편되었을 때

지부장으로 선출되었다.

1969년에는 회관건립을 위한 기금운동을 시작하여

1971년에 회관 준공식을 하였다.

위의 醫案은 淸上蠲痛湯에 二陳湯을 합한 처방으로

극심한 편두통에 左側眼瞼部位가 붓고 쑤시고 아프고

眩氣와 惡心症가 있는 증상을 치료한 기록이다.

淸上蠲痛湯은 『韓方臨床處方大全』

「경희의료원(慶熙醫療院) 한방병원(韓方病院)

원내처방편(院內處方篇)」에 나오는 처방으로서

風熱로 인한 頭痛이 왼쪽 혹은 오른쪽에 생기는 등의 증상으로,

『東醫寶鑑』에 나오는 9종의 頭痛에 적응증이 되지 않는

頭痛을 通治한다.

羌活․防風․黃芩 각 5.65g,

獨活․蒼朮․川芎․白芷․麥門冬․當歸 각 3.75g,

蔓荊子․甘菊․薄荷․甘草 각 1.875g,

細辛 1.875g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에 頭痛, 惡心의 증상에서

痰飮을 원인으로 지목하여 二陳湯을 合方하여

치료를 성공적으로 수행한 것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玄○○. 40세. 남자. 아래의 처방으로 60일만에 완치.

◎ 처방 이름: 대금은전 大金銀煎

처방 내용:

金銀花 五錢, 蒲公英 三錢,

當歸, 白芷 各二錢 五分, 玄蔘, 牛蒡子, 連翹, 大黃 各一錢七分

◎ 외용약 外用藥

苦蔘 五兩 女子溺에 달여서 苦蔘을 去滓하고

其煎水에 眞米飯을 乳腫上에 付 一日二回換付.

*女子溺이 무엇인지 도통 모르겠습니다.

◎ 특기사항: 內腫, 痰腫, 走馬痰에 神效.

輕患者 5貼, 重患者 10貼 煎服. 酒水相半煎服 一日三回.

 

부가설명

송준헌 宋埈憲 선생(1910∼1989)은

경희대 한의대 교수를 역임한

송효정교수님(경희대 58학번)의 부친으로서

경상북도 김천시에서 一淸한의원의 원장이었다.

송효정교수님의 설명에 따르면

송교수님의 집안은 할아버지부터 아버지,

송교수님 본인으로 이어져 한의학을 가문의 학문으로 이어가셨다.

할아버님께서 처음에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한의원을 시작한 이래로

아버님 송준헌 선생께서 처갓집이 있었던

경상북도 김천으로 한의원을 이전 개원하여 가업을 이었고,

송효정 교수님께서

경희대 한의대에 입학하셔서 학문을 잇게 되었다.

위의 醫案은 담종주마담 痰腫走馬痰을 치료하여

효과를 보았던 처방을 공개한 것이다.

담종 痰腫은 담음 痰飮으로 인하여 생겨난 종기腫氣를 말하며

주마담 走馬痰은 달리는 말처럼 빠른 속도로 퍼져나가는 것을

형용한 용어이다.

이 처방은 옹저 癰疽계통을 치료하는

금은화, 포공영, 연교, 당귀, 현삼, 우방자,

백지, 대황 등약물로 처방을 구성하여 다년간 효과를 본

송준헌선생 개인 창방 創方이다.

고삼 苦蔘으로 만든 외용제도

앞으로 연구해볼만한 처방이라고 생각된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① 무릎 관절염 치험예. 구○○. 65세.

1개월전 등산으로 인하여 오른쪽 무릎관절이 붓고,

작열감, 극심한 통증으로 야간 불면증,

수차례의 침치료도 효과없다면서 고통이 심해

선방활명음 가미방 仙方活命飮加味方 20첩(매일 2첩씩)과

무릎에 붙이는 용도로

생양제근 生羊蹄根(소리쟁이), 마치현 馬齒莧(쇠비름)을

갈아 술과섞은 다음 무릎에 바르길 3∼4일 계속하여 이 환자가 치료되었다.

仙方活命飮加減方.

金銀花七錢,

當歸尾, 赤芍藥, 皁角子, 牛膝酒洗, 木果, 陳皮 各一錢半,

乳香, 貝母, 天花粉, 白芷, 酒大黃, 羌活, 日防風 各一錢,

沒藥, 穿山甲炒, 甘草各七分, 薑七棗二.

② 다발성관절염. 여성 57세 고○○.

오른쪽 무릎관절통증, 양손 관절염, 구갈 口渴, 다음 多飮.

加味大補湯 20첩 大效.

加味大補湯.

薏苡仁二錢半, 乾栗, 山藥 各二錢,

蘿葍子, 元肉, 酸棗仁炒, 熟地黃 各一錢半,

當歸, 鹿茸, 山査肉, 白朮, 防風, 牛膝酒洗各一錢,

神曲炒, 麥芽炒各八分, 肉桂, 甘草各五分,

薑三棗二.

(朴炳昆, 『漢方臨床四十年』, 대광문화사, 1971)

 

부가설명

박병곤 朴炳昆(1912∼1989)선생은

경희대 한의대 교수로 봉직하면서 동서의학연구소 제1연구실장,

한방병원 중풍센타실장, 부속시내한방병원원장 등을

역임한 인물로서 1971년에 40여년간의 임상경험을

『漢方臨床四十年』이라는 책으로 엮어낸 바가 있다.

위의 두 醫案은 박병곤선생이 관

절염을 치료한 기록으로서

첫 번째의 것은 膝關節炎에 대해서

仙方活命飮加減方을 사용해서 치료한 것이다.

이 처방은 仙方活命飮에

목과, 주대황, 강활, 일방풍을 가한 처방이며

이것은 슬관절 표피에 나온 腫脹의 기운을

날려주기 위한 것으로 판단된다.

게다가 生羊蹄根(소로쟁이), 馬齒莧(쇠비름)은

癤腫, 外痔, 頭風白屑, 白禿, 頑癬, 疥瘡, 火傷 등에

외용으로 사용하여 효과가 있는 약물들이다.

이것으로 外治의 효과를 아울러 거둔 것이다.

두 번째 것은 多發性關節炎에

加味大補湯 20첩을 사용해서 크게 효과를 본 케이스이다.

이 처방은 박병곤선생의 창방으로서

老人虛症에 사용하는 처방으로 立方된 것으로 보인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서울 돈암동 거주 34세의 남자.

1973년 3월 8일 부모와 같이 왔는데

김빠진 맥주처럼 기운없이 활기없는 표정으로 들어왔다.

심맥 心脈이 부긴활 浮緊滑하다.

심장은 빨랐다 늘어졌다 한다.

문진 問診에 환자는 횡설수설의 대답만 한다.

부모님 말씀에 2, 3년전부터 발병하여

정신병원에 입원치료를 한두번 한 것이 아니라고 한다.

환자와 주고받은 문진 問診그리고 맥진 脈診

기타 診斷을 종합한 결과 성적신경쇠약증 性的神經衰弱症이 지나쳐서

정신이상 精神異常이 일어나 정신우울증 精神憂鬱症이

일어난 것으로 판정을 내렸다.

본래 성격이 내성적이며 얌전한 편이었는데,

고등학교시절에 지나친 자위행위를 하였던 것이었다.

처방을 신경강장중심 神經强壯中心으로

人蔘, 山茱萸, 山藥, 五味子, 白茯苓, 破古紙 一錢,

酸棗仁炒 三錢, 川芎, 甘菊, 柴胡, 砂仁 一錢, 附子 5分.

이상 처방약 달인 물에 朱砂末 5分씩 혼합하여

1일 2첩씩 食間 100첩 한정으로 복용하도록 하여 치료를 시작하였다.

100첩을 거의 다 먹은 현재에 와서는

누가나 인정할 정도로 호전되었으며

앞으로 약2개월만 더 계속하면 완치가 되리라 믿습니다.

(裵元植, 「精神憂鬱症의 治驗例」『醫林』 제99호, 1973)

부가설명

배원식(裵元植) 선생(1914〜2006)은

경남 진해에서 출신의 한의사로서

1954년 한의학 학술잡지인 『醫林』을 창간하여

현대 한의학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한 인물이다.

1956년에는 동방의학회 회장, 1960년에는 동방장학회 회장,

1968년에는 대한한의사협회 회장, 1976년에 일본동아의학협회 고문,

제1회 국제동양의학학술대회(ICOM) 대회장,

1999년에는 국제동양의학회 회장 등을 역임하게 된다.

위의 의안 醫案은 우울증에 빠져

수차례 정신병원에 입퇴원을 반복해온

34세의 남성환자의 질환을 치료한 기록이다.

이 환자는 지나친 성적 性的 일탈에 의해

우울증이 발생하였기에 처방구성을

신음 腎陰을 보 補하면서 심화 心火를 안정시켜

상화 相火가 망동 妄動되지 않도록 하는 약물로 하여 치료한 것이다.

배원식 선생은 이 처방을 해방 후

중국에서 입수한 것임을 밝히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과대학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환자 문○○. 59세. 남자.

처방

黃耆, 羌活, 人蔘, 白朮, 升麻, 葛根, 當歸, 甘草 各一錢,

柴胡, 白芍藥 各七分,

防風, 白茯苓, 五味子, 乾薑 各五分.

黃芩, 黃連 各五分 粉末調服.

日本 富山大學에서 수학하기도 한

임경숙 한의원 원장은 경희대 한의학과를 최종 졸업하고

개원한지 15년의 경력을 쌓아오고 있다.

온후, 인자한 인술의 길은

모성적으로 따스하고 섬세한 여의사로서의

임원장의 그것과 공명 共鳴되는 바도 있다.

임경숙 원장은 문모씨의

백내장에 관하여 치료한 사실을 발표하고 있는데,

안과질환의 일종으로서 한방의 대상으로 하고 있는 것은

노인성 백내장과 당뇨병성 백내장의 경우가 많다고 한다.

문모씨의 경우도 59세의 노인층에 속해 있는 경우인 것이 눈에 띤다.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설명

임경숙 林暻淑 선생(1937∼?)은

한의학의 생명관에 매료되어 한의사의 길을 택한 여자 한의사이다.

수도의과대학(고려대 의대의 전신) 2학년 시기에

한국전쟁을 만나 학업을 중단하지 않을 수 없었다.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게 될 무렵에

그녀는 현대의학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갖게 되어

한의학으로 진로를 돌리게 된다.

그녀는 경희대 한의대에 다시 입학하여

1957년 제6회로 졸업하고 한의사가 된다.

위의 의안 醫案은 59세 남자환자의

백내장을 치료한 경험방을 공개한 것이다.

위의 처방은 『東醫寶鑑』眼門의

內障을 치료하는 약물로 제시된 冲和養胃湯으로 보인다.

『東醫寶鑑』에서는 冲和養胃湯의 主治를

“治內障眼得之脾胃虛弱心火與三焦俱盛上爲此疾”라고

언급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① A례. 47세 여자. 3회 출산 경험 41세 때 위경련 발병.

44세 때 담석증 발병으로 수술. 2년후 위경련 재발.

30일간 복약. 재발하지 않음. 현재 53세.

② B례. 45세 여자. 4회 출산 경험.

38세 때 위경련 발병. 1년에 1회 발작.

41세 때 자궁적출수술. 9개월후 위경련 재발.

35일간 치료. 현재 50세 재발하지 않음.

발작시 갑작스런 발작과 전구증상으로서

두통, 어지럼증, 메스꺼움, 가슴답답증 등의

불쾌감과 가슴앓이 발작의 예감을 갖는 환자도 있다.

시일은 짧게는 1, 2일, 길게는 10여일까지

발작이 반복되는 수는 일정치 않고

이 때 정신적 영향은 밀접한 관계를 갖는다.

발병중 구토는 경미하며 열은없고, 변비,

음식물은 통증을 증가시키며 격통시는

안면창백, 수족궐냉, 똑바로 누울수 없으며

돌이나 기와장을 구운 후에

위장부위를 따뜻하게 하여 일시적 진통이 되는 수가 있다.

발병시는 체한 정도 생각하다가

3, 4회 재발됨으로 정밀검사의 진단을 받는 예를 많이 볼 수 있다.

위경련의 치료에 사용한 처방은 다양하나

그중 일시 진통 목적으로 선용한 처방이

부자이중탕 附子理中湯, 부양조위탕 扶陽助胃湯,

계지사칠탕 桂枝四七湯, 삼출건비탕蔘朮健脾湯 등이 있으나

효과가 저조한 편이며 부자 附子가 오히려

상기 上氣될 때가 있어 부적합한 경우가 있다.

온토탕 溫土湯은 진통은 물론

진통후 계속해서 30일간 복용시켜며 재발예방(根治)가 된다.

溫土湯.

白朮 18.7g, 牛膝, 白茯苓 11.25g,

枳實, 山査肉, 人蔘 7.7g, 牡蠣粉, 肉桂 3.7g.

檳榔, 木香 1.9g, 烏梅 2개.

(朴致陽, 「習慣性 胃痙攣에 對한 治驗例」, 『醫林』제138호, 1980년)

 

부가설명

박치양선생은 부산시 영도구 남항동

民盛한의원 원장으로서 제11대 부산광역시

한의사회회장을 역임한 한의사이다.

위에 소개한 溫土湯은 본인의 창방 創方으로서

습관성위경련을 전문적으로 치료하는 처방이다.

사군자탕 四君子湯에 파적 破積시키는 약물들을

가감 加減한 처방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만성 간경화증으로 인한 흑달 黑疸.

36세의 남자 환자 김○○을 40일만에 완치함.

간경화증에 흑달 黑疸의 합병증으로

서울 및 광주의 유명 양방병원의 진단과 치료를 받았으나

불치로 판단되었으며, 사람을 분간치 못하는 의식을 가진

중화상태重化狀態.

두 개의 처방.

① 薏苡仁, 茵蔯 各五錢, 當歸身 三錢, 澤瀉, 車前子,

木通, 猪苓 各二錢, 白茯苓, 半夏, 地殼, 靑皮, 赤芍藥,

肉桂, 玄胡索, 山査肉, 枸杞子 各一錢,

元甘草, 草果 各八分.

② 茵蔯 五錢, 草決明, 薏苡仁 各三錢,

澤瀉, 藿香, 白茯苓, 白朮, 白芍藥, 猪苓, 木通 各二錢,

山梔子, 靑皮, 紫檀香, 地殼, 玄胡索, 肉桂, 枸杞子, 川芎 各一錢,

元甘草 七分.

위 환자는 완치된 후 재발없이 건강하게 공무에 충실하고 있음.

36세 김씨의 악성간경화증으로 인한 흑달 黑疸을

약 40일간의 진단, 치유 로써 치유한 치험예를 발표하고 있는데,

전국각지의 유명병원을 전전하며 치료한 보람없이

의식불명의 중태에 빠진 것을 허원장이 회생시킨 사실은

교육위원회에 재직중인 당자가 입증하고 있다.

(『漢醫師治驗寶鑑』, 漢醫師治驗寶鑑編纂部, 韓國書院, 1975)

 

부가설명

허필성 (許弼聲) 선생(생몰년대 미상)은

20여년간 전라남도 한의사회장으로

봉사한 한의계의 지도자이다.

그는 1963년부터 20여년간

전남 한의사회 회장을 3대부터 11대까지 맡았다.

그는 ‘한의사협보’(한의신문의 전신)에

수차례 수필을 써서 게재하는데 한의계에 도움이 되는 덕담들이었다.

위의 의안 醫案은 악성 간경화증에 해당되는

흑달 黑疸을 40일간 치료해낸 기록이다.

두 처방은 인진오령산 茵蔯五苓散을

기본으로 하여 가감하고 있다.

『東醫寶鑑』에서는 잡병편 雜病篇 황달문 黃疸門의

【흑달난치黑疸難治】에서 “비와 신이 모두 병든 것을

흑달, 색달이라 하니, 여로달이라고도 한다.

몸이 노랗게 되고 이마가 검어진다.

(脾與腎俱病爲黑疸色疸又名女勞疸身黃額黑)”라고

증상을 설명하고 치료가 어렵다는 것을 강조하고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내용

1963년 1월경 왕진을 갔다.

35세 가량의 남자로서 진단해보니 신장결석이었다.

나중에 알게 된 것이 그 환자가 모 의과대학의 교수였다. 실

제로 이 환자는 대학병원에서 3일간의 종합진단으로

신장결석이라는 진단을 받아 수술이 필요하다고 했다는 것이었다.

그래서 약을 3첩을 보냈다.

그런데 나중에 전해 듣기로 그 환자가 완치되었다고 하였다.

신장결석의 증후는 신장에 결석이 존재하면서

신우(腎盂)를 자극하는 때에는 신방광(腎膀胱) 반사작용으로 인하여

뇨의(尿意)가 자주 느껴지지만 결석이 작을때는 뇨의를 자주느끼지는 않는다.

신장결석의 특성은 통증이 매우 심하면서

피가섞인 소변이 나오면서 극심한 통증을 느낀다.

혹은 혈뇨(血尿)가 없이 통증만 생길때도 있다.

(朱甲悳, 「腎石症의 治驗例」『醫林』제45호, 1964년의 내용을 요약함.)

치료법내용

혈뇨(血尿)가 심하면

五苓散合黃連解毒湯에 加阿膠三錢.

신장부위가 종창(腫脹), 발적(發赤),

동통(疼痛), 발열(發熱), 변비에 대하여는

增加五積散 或 大柴胡湯 加金銀花五錢, 桂枝三錢.

만성으로 열이 없는 증상에는

加味地黃湯 加半夏瀉心湯을 合方한다.

增加五積散에 加減하여 많이 사용하였다.

增加五積散의 처방은

金銀花, 白芍藥 各五錢, 白茯苓 三錢, 當歸, 蒼朮 各二錢,

澤瀉, 山茱萸 各三錢, 阿膠, 滑石 各二錢,

陳皮, 厚朴, 玄胡索 各一錢, 大黃 二錢,

桔梗, 枳殼 各八分, 川芎, 白芷, 半夏, 桂枝, 甘草 各七分이다.

부가설명

주갑덕(朱甲德) 선생(1920〜?)은 함경남도 북청출신으로서

일제 강점기에 중동중고교를 졸업하고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

물리학교를 졸업하였고, 경기도 의생강습소를 졸업하고 의생(醫生)이 되었다.

1939년 소화공업학교 기계과를 나와서

항공회사의 기사로 재직했다가 해방후 1946년에

경기도에서 실시한 제1차 한약종상시험에 합격하였고,

한국전쟁 직후 동양의약대학(경희대 한의대 전신)에 입학하여

1957년에 졸업을 하였다.

위의 처방은 35세 남자의 신장결석을 치료한 기록이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