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짧은 전탕으로는 유효물질이 완전히

추출되지 않을 것 같은 불안감이나

오래 전탕하면 물질이 많이 추출될 것이라는

막연한 기대감으로 필요 이상

오래 끓이는 한의사들이 꽤 있다.

 

실제로 일부 한약재들은 짧은 시간에

효율적으로 추출되지 않을 수도 있는데

그렇다고 하여 처방에 들어있는 모든 한약재를 한꺼번에

오래 끓이는 것은 권할 만한 전탕법은 아니다. 

 

오래 끓일 때 유효물질의 추출이 줄어드는

한약재들이 꽤 있기 때문이다.

이때는 이 약재들만 따로 모아 ‘선전(先煎)’한 후에

다른 약재들을 넣고 전탕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선전’이란 일부 한약재들을 다른 한약재보다

30분~1시간 먼저 물에 넣고 끓임으로서

전탕시간을 오래 하고자 하는 전통 한약 전탕 방법이다. 

 

한약을 잘 달이기 위해서는 지난 시간에 이야기한 ‘후하’뿐

아니라 ‘선전’ 역시 잘 지켜야 한다.


유효물질이 쉽게 추출되지 않는 한약재들로는 

주로 재질이 딱딱한 石膏, 赤石脂, 磁石, 代 石, 自然銅 등의 광석류,

牡蠣, 石決明, 珍珠母, 蛤粉 등의 패각류,

그리고 龜板, 鼈甲, 穿山甲, 龍骨, 虎骨 등이 있다.

또 厚味 滋補藥 들도 센 불로 오랫동안 전탕하여야 한다. 

선전을 해야 하는 또 다른 중요한 이유가 있다. 

약재의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이다.

온리약에 속하는 ‘부자(附子)’가 대표적인 케이스다. 

 

생부자(生附子)는 aconitine, hypac onitine, mesaconitine 등

진통효과를 나타내는 알칼로이드 성분을 함유하고 있는데

이들은 또한 심장독성을 가지고 있다.

 

심근세포의 나트륨이온통로를 열어서

나트륨이온이 세포 내로 들어오게 하여

세포막을 탈분극시킴으로써 심근세포의 반응성이

빠르게 하여 심장박동 이상을 일으킨다. 

이 때문에 부자를 과량 사용하면 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

오심, 구토, 복통, 설사 등이 나타나고 현기증과 함께

입이나 혀 또는 사지와 전신의 마비, 오한 등의 증상을 일으킨다.

 

심하면 동공산대, 시각모호, 호흡곤란, 떨림, 대소변실금,

혈압 및 체온하강 등이 나타나고 기외수축과 빈맥에 이은

심실세동 등이 나타난다.

 

그런데 aconitine은 열에 약하여 물에 넣고 끓이면 진통효과는

그대로지만 독성은 훨씬 작은 benzoylaconine으로 바뀌게 된다

이 성분은 aconitine에 비하여 급성 독성이

1/10~1/100정도이기 때문에 상용량에서는 중독되지 않는다. 

또 계속하여 물에 끓이면 aconine으로 바뀌는데

그 독성은 aconitine의 1/2000 정도이다.

전통적으로 부자를 포제할 때 자법(煮法)을 하는 이유도

바로 이렇게 독성을 줄이고자 한 것이다. 

독성을 줄이기 위해서 선전하는 한약재로는

부자 외에도 상륙(商陸) 등이 있다.

그리고 천축황(天竺黃)이나 마자인(麻子仁) 등은

선전하면 효능이 더 높아진다.

 

석곡(石斛)도 lactone류의 alkaloids를 함유하고 있어서

선전하면 가수분해산물이 더욱 더 많아져 효능이 높아진다.

선전은 매우 중요한 전탕 방법이기는 하지만

이것이 번거롭다면 포제법을 잘 지키는 것도

독성을 줄이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부자나 대황을 포제하여 만든 ‘숙부자’나 ‘주증대황’은

독성이나 부작용을 줄여주기 때문이다

또 포제 외에도 선전으로 만든 고형추출물을

처방 전탕액에 녹여 사용하는 것도

선전의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한 대안의 하나가 될 수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