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한약의 배합원리는 매우 중요한 한의학 이론 중 하나다.

처방을 구성하는 한약들은 ‘약의 칠정’ 원리에 의해

서로 상승작용도 일으키기도 하고 제어작용을 일으키기도 하면서

치료효과를 높이거나 부작용을 줄인다. 

배합원리가 중요하기 때문에 탕제를 만들 때에도

처방 구성약재를 한꺼번에 넣고 달여야

효과가 더 높아질 것으로 생각하기 쉽다. 

 

과연 십전대보탕은 인삼, 백출, 복령, 감초, 당귀,

천궁, 작약, 지황, 황기, 감초를 한꺼번에 넣고 달이는 것이

구성약물 하나하나를 달인 다음에 합하는 것보다 효과가 좋을까? 

한약을 함께 달이면 구성 한약재 중 유효물질이 더 많이 추출되기도 한다.

백호탕에서 갱미를 넣으면 석고만 넣고 달일 때보다 유효물질이 더 많이 추출된다.

또 배합약물에 따라 유효물질의 추출량이 달라진다는 일본의 연구도 있다. 

필자도 오래 전에 대황의 유효물질이 처방의 종류에 따라서

추출율이 다르게 나타나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하지만 이런 부류의 연구들은 좀 더 많은 연구결과들이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 연구들에서 분석한 유효물질의 함량이 미량이어서

배합에 따른 유효물질의 추출율 차이는 의미가 크지 않다.

또 어떤 약물과 함께 전탕하느냐에 따라 효능차이를 나타낸다는 연구들도 있다. 

계지탕(桂枝湯)은 개별약재들을 전탕하여 모은 것보다 한꺼번에 전탕한 것이

유행성 바이러스성 폐염의 억제 작용과 소염, 진통 등의 작용이 크다

 

일본 키타사토연구소의 야마다 박사는 십전대보탕을 함께 전탕한 것이 효과가 더 높은 것을 관찰하였다.

하지만 이 부류의 연구들도 복합전탕이나 개별전탕 그룹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다.

사실 개별전탕과 복합전탕에 대한 연구는 우리나라가 가장 많다

경희대 한의대에서는 1980년대 초부터 박사학위 실험을 할 때 동일한 처방이지만

개별한약재를 따로 전탕한 후 합하여 만든 처방과

약물을 함께 전탕하여 만든 처방으로 비교실험을 하도록 하였다. 

 

본초학교실에서 이렇게 10여년간 진행된 약 50여건의 이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 

개별한약재 전탕이나 처방을 복합하여 전탕한 것이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이 연구결과는 우리나라에서 한방의료보험을 시행할 당시

개별 엑스산제를 사용하게 되는 중요한 근거로 쓰였다.

지금도 한의원에서는 개별 엑스산제를 쓰고 있는 이유가 바로 이 연구결과가 토대가 된 것이다. 

중국에서는 이 문제로 논쟁이 크게 있다고 하니 이 방면에서는 우리가 앞서 있는 셈이다.

한약을 전탕하는 과정에서는 구성 성분끼리 화학적인 상호작용이 일어나기는 어렵다.

이보다는 물에 의한 가수분해가 가장 큰 변화일 것이다. 

만약 전탕과정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면 환제나 산제는

전탕과정이 없기 때문에 상호작용을 설명할 수 없게 된다.

환산제로 만들 때에는 함께 끓이는 과정이 없어도 상호작용이 나타나지 않는가?

그렇다면 한약의 상호작용은 어떤 과정에서 일어나는 것일까? 

전탕하는 과정보다는 약물이 인체 내에 흡수된 후

서로 상호작용을 일으킨다. 

예를 들면 약동학적으로 약물의 대사과정에서 하나의 약물이

다른 약물의 배설을 방해하거나 촉진함으로써 혈중 농도를 높이거나 낮춘다.

또 약력학적으로 수용체에 함께 작용함으로써 상호작용을 나타낸다

결론적으로 복합전탕을 하면 개별전탕보다 약간 나을 수는 있으나 그 차이가 의미 있게 크지는 않다.
 

로컬한의원에서는 굳이 개별전탕을 할 이유는 없겠지만

대량으로 전탕하는 산업화를 할 때는 복합전탕하면 구성약물들을 표준화하기 어렵다.

이때는 개별전탕을 하여도 상호작용에는 크게 영향을 끼치지 않으리라고 생각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