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대영전 大營煎의 처방 의미]

중국의 경악전서 景岳全書에 기록된 처방으로,

이후 우리나라의 방약합편 등에 기재돼 있다.

처방명의 대영 大營은 ‘크게 영기 營氣를 보태준다’는 뜻이며,

전 煎은 일부 처방에서 환제 丸劑를 의미한 경우도 있지만(예:厚朴煎)

주로 탕 湯의 의미로 많이 응용돼 왔다.

방약합편과 동의방제학(尹吉永) 등에서

부인문 婦人門의 경지 經遲와 허로 虛勞의 통치 通治에서

응용된 처방이다.

[대영전 大營煎의 구성]

처방을 구성하고 있는 7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溫性3(熱性1) 平性3으로서

전체적으로 따뜻한 약물로 구성되어 있다.

2)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甘味6, 辛味3, 苦味1, 酸味1로서 주로 甘辛 2味인데

여기에서 辛味는 甘味의 보조로서 수록돼 주된 맛은 甘味로 볼 수 있다.

3)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肝5 腎5(膀胱1) 心4 脾3(胃1) 肺2 등으로서

주로 肝腎心 3經이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補益(補血2 補陰1 補陽1 溫下焦1) 活血祛瘀1 補氣1로서

補益性에 맞춰져 있다.

대영전 大營煎 구성약물의 본초학적 내용을

생리통 生理痛을 기준으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기미:

氣를 보면 전체적으로 溫性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본 처방이 寒性에 적용됨을 의미하고 있다.

아울러 味에서 滋補,和中,緩急의 효능인 甘味가 주를 이루고 있고

行氣滋養의 효능인 辛味가 보조를 보이고 있음은

본 처방이 虛性에 적용됨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본 처방은 虛寒性의 질환에 적응됨을 알 수 있다.

2)귀경:

주된 귀경이 肝腎心 3經인 것은

肝(肝藏血) 腎(先天之精) 心(心主血)으로 설명되는데,

특히 肝腎의 경우 모두 下焦에 해당되며 精血同源이라는 점에서,

역시 下焦의 虛性질환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3)효능:

본 처방은 주된 목표점이 補益임을 알 수 있는데,

특히 補血을 포함한 補陰群3과 補氣와 溫下焦를 포함한

補陽群3 및 活血祛瘀性1로 정리한다면

補益의 목표점이 더욱 뚜렷해진다.

즉 虛寒性의 질환에서

진액과 혈액보충인 補陰群의 약물이 기본적으로 자리를 잡고,

生氣의 목적으로 補陽群의 약물이 배합되어져 있는데

특히 肉桂의 경우 溫下焦의 약물로서 引火歸源의 효능을 나타내어,

전체적으로 陰生陽長의 원칙에 부합됨을 알 수 있다.

4)보다 높은 약효 발현을 위한 약물 선택:

牛膝의 경우 종류와 수치법에 따른 효능의 차이가

뚜렷함에 근거하여 응용방법을 선택해야 할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유통되는 牛膝의 경우

수입된 회우슬 懷牛膝 Achyranthes bidentata은

보간신 補肝腎 강근골 强筋骨효능을 가지고 있으며,

국내산인 토우슬 土牛膝 Achyranthes japonica은

청열해독 淸熱解毒 이뇨 利尿의 효능을 나타낸다는 점에

근거하여 선택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수치법에 따라 전체적으로는

생용산어혈소옹종 生用散瘀血消癰腫,

주제보간신강근골 酒制補肝腎强筋骨의 원칙이

적용된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虛寒性의 생리통에 주로 적용될 본 처방의 경우,

아직도 瘀血性의 모양이 나타나고 있다면

土牛膝을 사용하는 것이 합당하고

(실제 대부분의 생리통의 원인이 瘀血이라는 점에서 응용된 방법),

虛寒性에 초점을 맞춘다면

懷牛膝의 酒蒸 사용이 바람직하다고 정리할 수 있다.

5)주지하다시피 生理痛은

血滯가 원인인 生理前痛과 生理中痛 및

血虛가 원인인 生理後痛으로 나뉜다는 점에서,

본 처방 대상은

生理後痛(양이 적고 빛이 淡한 것)에 더욱 적합하며

주된 치료대상이 虛寒性임을 알 수 있다.

즉 補陰의 처방으로서 부인병의 虛證의 통용되어

貧血, 筋骨痛, 心腹痛, 月經不順, 帶下에 사용되는데

특히 冷證에 적합하다고 정리되어진다.

하지만 생리전통의 경우에도

虛症인 경우에는 ‘通經之劑만 사용하지 말고

補血行血약물을 같이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라서

본 처방사용이 가능하다고 본다.

6)한편 본 처방은

血少 즉 월경의 분량이 적은 경우에도 응용이 가능하며,

생식기의 발육부전과 난소의 기능장애,

자궁점막의 위축 등의 경우 등으로 응용범위를 확대할 수 있을 것이다.

2.추가 약물에 대한 분석

1)經脈에 寒邪가 머물러

氣血이 소통되지 않는 심한 筋骨疼痛에

製附子 3∼6g을 추가:

溫下焦의 약물로서 補火散寒除濕의 효능을 가진

附子는 배합의미에는 적합하나, 독성약물이라는 점에서

오히려 大營煎의 구성약물 중 溫下焦효능을 가진

肉桂의 용량 증대를 우선적으로 검토하도록 하고,

附子의 추가는 마지막 사용약물로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한다.

2)帶下가 濁하고 腹痛인 경우에는 補骨脂 3g을 추가:

역시 溫腎助陽하는 약물로서 溫脾止瀉하는 효능을 가진

補骨脂의 배합의미는 적합하다.

이러한 배합은 寒腹痛에 대한 단기간의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겠지만,

帶下의 경우에는 溫脾>溫腎시키는 益智仁을 相須약물로 배합함이

더욱 효과적일 것으로 생각된다.

3)氣虛에는 人蔘 白朮을 추가:

補血 補陰의 약물이 가지는

膩滯(소화장애)의 극복을 위한 방법으로

順氣 혹은 補氣시키는 약물배합이

이상적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아울러 大營煎의 구성약물 중

熟地黃과 當歸 등이 가지고 있는 소화장애를 보완하기 위해서도

順氣약물인 砂仁 陳皮의 추가배합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4)中氣虛寒으로 인해 惡心嘔吐하는 경우에는 乾薑炒 3∼6g을 추가:

溫中焦약물로서 溫中逐寒, 回陽通脈하는

효능을 가진 乾薑의 배합의미는 적합하다.

이러한 경우에도 ‘肉桂와 乾薑의 배합은

附子의 역할을 일부 대신할 수 있다’는 점에서

1)의 製附子 추가 의미를 갖추고 있다고 볼 수 있다.

5)陽虛多寒와 寒滯로 인한 經遲에서 大營煎去牛膝한 경우:

여기에서 牛膝은 利血劑로서

婦人病의 難産과 惡血阻滯 등에 응용되는

活血祛瘀효능에 집중한 것으로 사료된다.

하지만 이는 生用시의 효능에 근거한 것

(生用卽能去惡血引血下行)으로,

熟用시의 효능(得酒卽能補肝腎强筋骨)을 감안하면

牛膝을 수치하여 사용함이 더욱 마땅하다.

즉 牛膝酒蒸을 하여 기대효능을

더욱 확실하게 나타낼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아울러 추가한 川芎은 當歸와 배합되어

補血의 기능 보강을 기약할 수 있으며,

기타 補氣藥인 白朮과 溫中焦藥인 乾薑,

溫下焦藥인 吳茱萸의 추가배합도

위에 언급한 배합원칙에 합당한 설명이 가능하다.

3.大營煎의 실체

이상을 근거로 大營煎의 생리통 사용근거는 다음과 같다.

1)大營煎의 적응증으로 서술된

‘眞陰虧損及婦人經遲血少 筋骨心腹疼’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방약합편 등의 婦人門의 ‘經遲’와 虛勞의 ‘通治’에서 소개되어 있는데,

大營煎은 虛寒性생리통에 응용된 補陰血처방으로 정리된다,

2)아울러 生理痛 이외에도

일반적인 부인병의 虛寒性질환에서

補血 및 補陰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광범위하게 활용되어질 수 있는 처방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거풍제습탕 祛風除濕湯의 처방의미]

명 明나라의 공정현 龔廷賢이 저술한

만병회춘 萬病回春에서 제시된 처방으로,

풍습 風濕을 제거해준다는(祛風除濕) 의미의 이름이다.

동의보감을 비롯한 기타 문헌에서 해당 처방을

중풍 中風의 오른쪽 반신불수 半身不遂에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거풍제습탕 祛風除濕湯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반신불수 半身不遂의 다양한 증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처방(四君子湯, 二陳湯)을 비롯하여,

처방의미에 맞게 청열조습 淸熱燥濕, 보혈 補血, 거담 祛痰,

거풍지통 祛風止痛 등의 구성약물이 추가된 복방 複方이다.

관련 기타 문헌에서도 처방기록은 모두 동일하다.

2)한편 祛痰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본 처방은 도담탕 導痰湯(동의보감-世醫得效方),

청열도담탕 淸熱導痰湯, 거풍도담탕 祛風導痰湯의 의미를

모두 포괄하고 있다고 정리되어진다.

위의 구성 한약재

(첨가약물로서 반하 半夏 독성에 대한

상외 相畏의 배합인 생강편 生薑片 포함)에 대하여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溫性13 寒性2 凉性2 平性2 로서,

대부분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辛味12 苦味9 甘味7 淡味1 등으로 되어 있다.

3)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및 臟腑表裏 포함),

脾12(胃8) 肺11(大腸4) 肝7(膽2) 心5(小腸1,心包1) 腎3(膀胱3) 등으로

주로 비폐간경 脾肺肝經에 집중되어 있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補益藥4(補氣藥3,補血藥1) 解表藥4 理氣藥3

淸熱藥3 化痰藥2 利水藥1 芳香性化濕藥1

理血藥1로 구성되어 있다.

2. 처방 내용 분석 및 정리

1)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본 처방은 寒閉의 기본증상인 ‘面淸 身凉 苔白 脈遲’의 상태로서

溫開法과 祛寒行氣藥을 사용해야 하는 단계라는 점에서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寒性과 凉性약물은

모두 君藥이 아닌 보조약으로서 反佐의 역할로 사용되었으며,

黃連 黃芩의 경우 酒炒를 하여 寒性을 감약시키고 있다.

2) 辛味 苦味 甘味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점:

‘辛味는 發散行氣, 苦味는 淸熱降火燥濕,

甘味는 滋補和中緩急’에 부합하는 것으로,

辛味는 혈액순환 촉진을 통한 發汗을,

苦味는 불필요한 부종인 濕에 대처한 通便을,

甘味는 虛弱에 대비한 것으로

주로 君藥으로 사용되어 補에 대한 집중 배려를 하고 있다.

3) 歸經에서, 脾肺肝經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歸經論의 대전제인

‘脾主四末 脾惡濕, 肺主氣 , 肝主風’의 내용에 부합한다.

기타 ‘心主血 心藏神, 腎主水 膀胱主一身之表’의 내용으로

보완될 수 있겠다.

한의학적으로 오른쪽 半身不遂를

氣虛와 痰濁에 의한 것으로 보고 있다는 점에서,

氣虛에 대한 대처로 후천의 水穀之氣를 관장(脾爲運化之器)하며

四肢의 운동장애(脾主四末)와 관련이 있는

脾臟이 주를 이루고 있는 것이다.

痰濁에 대하여는 祛痰을 해야 하는데

이에 관련이 있는 肺臟(肺主氣, 肺爲貯痰之器)이

그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다.

뇌신경계통질환에 대한 肝臟(肝主風)과

血行장애개선에 대한 心臟(心主血)의 역할로 구분할 수 있다.

4)효능에서, 補益藥(補氣藥3과 補血藥1),

解表藥, 理氣藥, 淸熱藥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

전통적으로 ‘오른쪽을 쓰지 못하는 것은 瘓이라 하니--

氣虛하면 痰火가 오른쪽으로 流注하여 右瘓이 된다…

治法은 右瘓에는 마땅히 補氣하고 겸하여 痰을 흩어야 하니…’ 의

오른쪽 半身不遂(右瘓)의 치료원칙과 약한 發汗을 통한

혈액순환 촉진의 목적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정리하자면 본 처방은 전통한방의

우측반신불수 右側半身不遂의 원인에 따른 치법 治法인

보기 補氣(四君子湯-人蔘 白朮 白茯苓 甘草)와

화담 化痰(二陳湯-半夏 陳皮 赤茯苓 甘草 및 桔梗)에

기본조건을 맞춘 것임을 알 수 있다.

1)이중 보기 補氣에 대한 보완으로,

특히 후천의 水穀의 정기인 補脾氣를 확실히 보좌하기 위해서

脾惡濕의 원리에 맞춘 온성거위습 溫性去胃濕(蒼朮)

한성거중초습열 寒性去中焦濕熱(黃連),

순비기 順脾氣(陳皮 枳殼 烏藥)약물을 배치하고 있다.

2)화담 化痰에 대한 複方차원의 분석을 하면,

기본처방인 二陳湯(半夏 陳皮 赤茯苓 甘草)

-> 導痰湯(二陳湯加 南星 枳殼)

->淸熱導痰湯(導痰湯加 黃芩 黃連)과

祛風導痰湯(導痰湯加 羌活 白朮)의 순서를 밟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中風痰厥에 化痰을 위해서

위의 모든 처방의 적응증인

化痰 淸濕熱 止痛 除濕의 방법이 망라된 처방이다.

3)한편 기타증상의 호전을 위한 방안으로,

發散止痛(羌活 防風 白芷),

補血活血(當歸 川芎 赤芍藥),

寒性의 去上焦濕熱(黃芩)을 배려한

標本兼施의 처방인 것이다.

①이중 發散止痛의 경우를 설명하면,

본 처방은 의학입문에서 기술하고 있는

‘痛症이 있는 것은 實症이니 우선 二陳湯을 쓰고∼

痛症이 없는 것은 虛症이니∼右瘓에는 四君子湯을 쓰는데∼’의

원칙에 부합되는 처방으로 해석된다

②寒性약물인 黃連과 黃芩은

대부분의 溫性약물로 구성된 본 처방의 反佐의 배합이면서도,

酒炒를 하여 寒性의 감약을 유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맥락에서 甘草의 炙 역시 溫性의 추가로 정리된다.

3. 거풍제습탕 祛風除濕湯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반신불수 半身不遂에 응용되는

거풍제습탕 祛風除濕湯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중풍후유증인 반신불스 半身不遂가 기간이 경과하여

허증 虛症의 모습, 구체적으로는 기허 氣虛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보기 補氣 특히 보비기 補脾氣에 집중된 처방이고,

중풍 中風의 원인인

담탁 痰濁에 대하여도 거담 祛痰을 동시 목표로 하는 처방으로서,

반신불수 半身不遂 후유증의 중기 中期

특히 비기허 脾氣虛에 응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정리된다.

2)아울러 부수증상에 대처하기 위해서 기타약물이 배합되었고,

이러한 배합 역시 오른쪽 반신불수 半身不遂의 원인이라고 보았던

기허 氣虛와 담탁 痰濁에 대처한 원칙에서 벗어나지 않고 있다.

한편 본 처방중 유독성인 반하 半夏의 수치 修治는 필수적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가미보익탕 加味補益湯의 처방 의미]

박병곤 朴炳昆의 ‘한방임상 40년’에 소개된 처방으로,

중초 中焦(脾胃)를 보 補하고 기운을 더해준다는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의 가미 加味 처방이다.

 보비기 補脾氣의 대표처방인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을 활용해

중풍 中風의 구안와사 口眼喎斜 말기 허증 虛症에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가미보익탕 加味補益湯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구안와사口眼喎斜의 다양한 증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본방으로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을 선택했으며

여기에 여러 처방(사물탕 四物湯, 이진탕 二陳湯, 작약감초탕 芍藥甘草湯)과

처방의미에 맞게 견정산 牽正散 구성약물 중 일부가 사용된 복방 複方이다.

한편 선생은

초기 실증 實症 처방으로 가미거풍이기탕 加味祛風理氣湯,

말기 허증 虛症 처방으로 본 처방을 제시하고 있다.

참고로 본 처방은 동의보감 눈질환에서

비위 脾胃의 허약과 심화 心火와 삼초 三焦가 함께

성 盛하고 상충 上衝하여 생긴 내장 內障에 사용된

충화양위탕 沖和養胃湯 등과 유사한 것을 볼 수 있는데,

두 처방 모두 주된 목표점을

비위허약 脾胃虛弱의 치료로 삼고 있다는 점에서

같은 맥락으로 해석할 수 있다.

위의 약물구성 중 첨가약물 혹은

반하 半夏독성에 대한 상외 相畏의 배합인 생강편 生薑片을 포함하여

20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溫性12 凉性4 平性4로서, 대부분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辛味13 甘味9 苦味8 酸味1 淡味1 鹹味1 有毒3으로 되어 있다.

3)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脾12(胃5) 肝11(膽3) 肺10(大腸1) 心6 腎3(膀胱2) 등으로

脾肝肺經에 집중되어 있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補益藥7(補氣4,補血3), 解表藥5(發散風寒3,發散風熱2)

化痰藥(溫化寒痰)2, 平肝藥(平肝熄風)2, 理血藥(活血祛瘀)1,

理氣藥(順脾氣)1, 利水滲濕藥(利水退腫)1,

祛風濕藥(祛風濕止痺痛)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처방의 적용질병이 구안와사 口眼喎斜라는 점에서,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성 溫性 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1차적으로 본 처방은 보비위 補脾胃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는 점에서

‘비위상요온 脾胃常要溫’의 원칙에 부합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2차적으로는 ‘풍 風이 외중 外中하여∼

구안와사 口眼喎斜’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실제적으로도 현재 말초성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대부분이

한사 寒邪 접촉이라는 점과 상통한다.

아울러 량성 凉性의 4종 약물은 반좌 反佐의 배합이라는 점은

기존의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 처방해석과 일치한다.

특히 시호 柴胡와 승마 升麻는

“삼기비차인지불능상행

蔘芪非此引之不能上行

동시호승마인생발지기상행

同柴胡升麻引生發之氣上行”에서 알 수 있듯이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의 승거양기 升擧陽氣에

결정적인 반좌反佐약물이며,

더구나 주세 酒洗하여 사용하는 것은

효력의 상행 上行유도를 위한 수치법 修治法으로 해석된다.

2) 신미 辛味, 감미 甘味, 고미 苦味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기미론 氣味論의 대전제인

‘신미 辛味는 발산행기 發散行氣하며

감미 甘味는 자보화중환급 滋補和中緩急하며

고미 苦味는 청열강화조습 淸熱降火燥濕한다’는

내용에 부합한다.

하지만 제일 많은 빈도수를 나타내는

신미 辛味의 경우에는 대상약물이 모두

좌약 佐藥과 사약 使藥에 속하며 합계용량 자체가

소량이라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이는 본 처방에서 신미 辛味약물의 역할이

회복기에 아직도 남아 있는 증상의 호전을 위하여

발한 發汗을 통한 행기 行氣와 경련해제(平肝熄風)에

두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적으로는 군약 君藥과 신약 臣藥의 주를 이루고 있는

감미 甘味가 본 처방의 목적에 매우 부합한 것이며,

고미 苦味는 조습 燥濕의 역할로써 ‘비오습 脾惡濕’의

부수적이고 보완적인 효과를 노리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3)비간폐경 脾肝肺經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전체적으로 귀경론 歸經論의 대전제인

‘비주기육 비오습 脾主肌肉 脾惡濕,

간주풍 소간 肝主風 疏肝,

폐주기 폐주피모 폐위저담지기 肺主氣 肺主皮毛 肺爲貯痰之器’의

내용에 부합한다.

특히 주된 경락인 비경 脾經과

표리 表裏관계에 있는 위경 胃經의 비중이 높은 것은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한방병인을 ‘족양명경 담탁 足陽明經 痰濁이

안면부에 발생한 경련성마비질환’으로 보았다는 점과,

실제로 초기치료기간을 경과한 회복기와 말기의

만성화된 구안와사 口眼喎斜처방의 대부분이 보비위 補脾胃

관련 처방이라는 점과 일치한다.

아울러 간경 肝經과 표리 表裏관계에 있는 담경 膽經과

폐경 肺經과 표리 表裏관계에 있는 대장경 大腸經의 비중이

그 다음으로 높은 것은,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원인인

풍담 風痰을 치료함에 있어 뚜렷한 진정 鎭靜, 진경 鎭痙,

거담 祛痰의 효능을 기대함에 기인한다.

4) 보익약 補益藥, 해표약 解表藥,

화담약 化痰藥, 평간약 平肝藥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위의 기미 氣味, 귀경 歸經 등의 연장선상에서 추론이 가능하다.

특히 보익약 補益藥의 경우 감초 甘草를 배제한다면

보기약 補氣藥 3와 보혈약 補血藥 3으로

동시에 기능적인 보기 補氣와 기질적인 보혈 補血을 동시에 이행하였는데,

주된 목표점인 보기 補氣를 통하여 생혈 生血하고

정기 正氣를 배양하여 중기허약 中氣虛弱, 노역태심 勞役太甚으로 인한

병증에 응용되었던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의 취지를

충분히 살리고 있는 비율이 된다.

여기에 황기 黃芪의 밀자 蜜炙(治一切氣衰血虛之證)와

감초자 甘草炙(炙溫作)는 보중익기 補中益氣의 효력을

상승시키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아울러 해표약 解表藥은 대상약물이 모두

좌약 佐藥과 사약 使藥으로 합계용량 자체가 소량이라는 점에서

부수증상의 호전과 배려를 목적으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풍약중 風藥中에 윤제 潤劑이며

발산약중 發散藥中에 보제 補劑”인 방풍 防風과 진교 秦艽의 배합은

허증 虛症에 대한 깊은 배려를 나타내고 있는데,

이는 두약물이 풍사 風邪를 없애주어

치풍 治風에 통용되는 거풍지주약 祛風之主藥이나

완만한 발한 發汗과 치풍 治風으로

진액 津液을 손상시키지 않는 약물이라는 의미에서 더욱 그러하다.

한편 황기 黃芪와 방풍 防風의 배합은

‘황기 黃芪의 용량이 방풍 防風보다 많을 때

방풍 防風의 해표력 解表力으로 고표 固表를 도와준다

(黃芪得防風其功愈大)’는 의미에 비추어 볼 때

보비기 補脾氣의 효력증대를 위한 배합으로 해석된다(예:玉屛風散).

화담약 化痰藥, 평간약 平肝藥의 경우 역시

노폐물(脾胃經의 寒濕痰-半夏, 肝經의 風痰-南星)로 인한 후유증인

마비 麻痹와 경련 痙攣에 대처하는 것으로,

특히 평간약 平肝藥으로 사용된 약물은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기본방인 견정산 牽正散의 사용목적을 포함하고 있다.

아울러 통락지통 通絡止痛의 약물(羌活 秦艽)로서

통증 痛症에 대비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본 처방에서 신미 辛味약물의 역할과 일치하고 있다.

2. 가미보익탕 加味補益湯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현재 구안와사 口眼喎斜에서 응용되는

가미보익탕 加味補益湯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 가미보익탕 加味補益湯은 중초 中焦의

보비기 補脾氣를 위한 보중익기탕 補中益氣湯에

보혈 補血(四物湯)을 추가했며,

아직도 남아있는 원인에 대한 거담 祛痰(二陳湯)과

경련 등의 증상에 대한 거풍 祛風(牽正散, 芍藥甘草湯)의

약물이 배합된 처방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처방은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허증 虛症(회복기의 후유증)에

응용될 수 있는 통용방으로 정리된다.

2)한편 본 처방 중에는

거풍한담 祛風寒痰을 다스리는 반하 半夏와 남성 南星,

경련해제(平肝熄風)을 위한 전갈 全蝎이 응용되는 바,

이들이 가지고 있는 불필요한 독성관리를 위한

수치 修治를 거치는 것이 필수적인 사항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처방 의미]

중국의 고금의감 古今醫鑑에 기록된 처방으로,

이후 우리나라의 동의보감에기재돼 있다.

처방명의 청열 淸熱은 ‘열 熱을 청설 淸泄시킨다’는 의미이며,

조혈 調血은 ‘혈액 血液을 조절한다’는 의미로서,

동의보감 부인문 婦人門에서 월경부조 月經不調에 사용된 처방이다.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구성]

처방을 구성하고 있는 11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온성 溫性5, 량성 凉性4, 평성 平性2로서,

한열 寒熱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2) 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신미 辛味7, 고미 苦味7, 감미 甘味4, 산미 酸味1로서

주로 신고감 辛苦甘 3 味이다.

3) 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肝(膽)12 心6 脾5 腎2 등으로서

주로 肝心脾 3經이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활혈거어성 活血祛瘀性5, 청열성 淸熱性3,

보익성 補益性2, 이기 理氣(순기 順氣)性1로

구성돼 있다.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 구성약물의 본초학적 내용을

생리통 生理痛을 기준으로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1)기미:

기 氣를 보면 상대적으로 약간의 온성 溫性을 띠고 있으나

전반적으로 한열 寒熱의 균형을 맞추고 있는데,

이는 본 처방이 청열 淸熱과 조혈 調血의 각각에 적합한

기 氣를 확보하고자 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주된 味가 辛苦甘 3味인 것은

辛(行氣) 苦(淸熱降火) 甘(緩急滋補)의 역할이

충분히 반영된 내용이다.

2)귀경:

주된 귀경이 肝心脾 3經인 것은

肝(간장혈 肝藏血), 心(심주혈 心主血),

脾(비통혈 脾統血)에서 보듯이,

血에 대한 주관 귀경을 뚜렷하게 제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효능:

본 처방의 주된 목표점이

활혈거어 活血祛瘀임을 알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생리통 生理痛은

혈체 血滯가 원인인 생리전통 生理前痛과 생리중통 生理中痛 및

혈허 血虛(생리양이 적고 색깔이 淡한 것)가 원인인

생리후통 生理後痛으로 나뉜다는 점에서,

본 처방 대상은 생리전통 生理前痛이며

주된 치료대상이 혈체 血滯(어혈 瘀血)로서

‘혈체즉통 血滯卽痛’ 원리에 부합함을 알 수 있다.

실제 동의보감에서도 본 처방을 설명함에 있어

‘경수 經水가 올 때에 복중 腹中이 진통 陣痛한 것은

기혈 氣血이 모두 허 實한 증상’에 해당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4)아울러 단계심법 丹溪心法에서 언급하고 있는,

‘월사 月事가 고르지 못한데

통증 痛症을 겸한 증 症이 있고

발열 發熱이 되는 수도 있으며…

생리주기가 정상간격보다 빠른 것은 열熱이요…

동통 疼痛이 일상적이거나

생리 전에 통증 痛症이 심한 것은 혈적 血積한 증 症이요…

생리 중에 발열 發熱하는 것이 있으니,

생리주기가 정상간격보다 빠른 것은

혈허 血虛하여 적 積이 있는 증 症이요’,

‘월경 때에 복통 腹痛이 있는 증은 혈삽 血澁한 것이니…’

등의 내용을 근간으로,

본 처방내용을 재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즉 생리전통 生理前痛은 기본적으로 혈적 血積(血滯, 血澁)이며,

동반하는 발열 發熱과 생리주기가 빨라지는 것은 혈허 血虛(血澁)로 인한

혈적 血積에 해당된다고 귀결된다.

5)또한 동의학사전 및 한의학대사전의

‘기혈 氣血이 장애되고 어혈 瘀血이 생겨

달거리가 있기 전과 있을 때에 아랫배가 아프고

피색이 검붉으면서 덩어리가 섞여 나오는데 쓴다’에 기준하면,

당연히 생리 중에 어혈 瘀血을 수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은

월경 전 생리통(生理前痛)의 원인인

혈체 血滯(瘀血)를 없애기 위한 활혈거어 活血祛瘀의 처방이다,

아울러 생리주기가 빨라지고

발열 發熱이 나타나는 것과 같은 부수증상은

혈허 血虛(血澁)으로 인한 혈적 血積이니,

이에 대처하기 위해서 보혈 補血을 목적으로 하는

사물탕 四物湯에서 숙지황 熟地黃을 생건지황 生乾地黃으로 바꾸고

성질이 차가운 약재를 배합하고 있다.

1)구체적으로는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대상약물을 재분류하면,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

(川芎 桃仁 紅花 蓬朮 玄胡索)으로

혈체 血滯(瘀血)에 대응했으며,

보혈약 補血藥(四物湯-當歸 川芎 白芍藥 生乾地黃)으로

혈허 血虛(血澁)에 대응했고,

청열약 淸熱藥(生乾地黃, 黃連, 牧丹皮)으로

생리주기가 빨라지는 것과 발열 發熱에 대응했다.

또한 기병 氣病의 총사 總司요 부인과의 주사主師로서

순간기울체약 順肝氣鬱滯藥으로 조경지통 調經止痛하는

향부자 香附子를 사용했는데, 이는 기 氣는 혈 血의 사 師가 되므로

기행 氣行하면 혈행 血行하고 간기 肝氣가 조화 調和하면

혈행 血行하여 울체 鬱滯의 질환이 없어지게 되어,

간기 肝氣가 울체 鬱滯되어 생긴 흉협완복창통 胸脇脘腹脹痛과

부녀 婦女의 월경부조 月經不調, 통경 痛經과 태전후 胎前後의

모든질환에 사용 常用하는 요약 要藥인 원리에 부합된다.

따라서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은 생리통

특히 생리전통 生理前痛을 비롯한

경폐통용방 經閉通用方에 해당된다고 정리되어진다.

2)유일하게 ‘ 열 熱이 있는 경우에는

시호 柴胡, 황금 黃芩을 추가’하라는 언급이 있는

동양의학대사전의 내용 분석:

시호 柴胡는 발산풍열약 發散風熱藥으로서

간감소양경 肝膽少陽經의 한열왕래 寒熱往來의 주약 主藥이며,

황금 黃芩은 청열조습약 淸熱燥濕藥으로

청심폐화 淸心肺火의 약물로서 여기에서는

같은 효능군의 황련 黃連의 청열강화 淸熱降火를 보완한다는 점에서,

생리전통 生理前痛 중의 발열 發熱에 대처하기 위한

의미있는 배합으로 생각된다.

3)보다 높은 약효발현을 위한 약물 선택

① 당귀 當歸:

당귀 當歸 3종류의 효능에서,

활혈지통 活血止痛의 강도는 우리나라의

토당귀土當歸 Angelica gigas > 일당귀 A. acutiloba >

중국당귀 A. sinensis 의 순서이므로,

본 처방에서는 土當歸(참당귀)를

사용함이 처방취지에 합당하다.

하지만 정상범위를 넘어서는 혈허 血虛로 인한 혈삽 血澁이라면

보혈력 補血力이 강한 일당귀 혹은 중국당귀로의 변환이 가능할 것이다.

이는 생리전통 生理前痛이 심해지면서 혈허 虛症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통경지제 通經之劑만 사용하지 말고 보혈행혈 補血行血약물을

같이 사용해야 한다는 원칙에 따른 것이다.

② 생건지황 生乾地黃:

지황 Rehmannia glutinosa은 생품인 생지황 生地黃,

자연조건에서 건조한 생건지황 生乾地黃,

인위적인 열을 가하여 건조한 건생지황 乾生地黃,

술과 진피 陳皮, 사인 砂仁 등을 섞어

여러 번 주증 酒蒸한 숙지황 熟地黃으로 구분하고 있다.

위의 순서대로 한의학적 기미 氣味는

한 寒→ 미온 微溫 고 苦→ 감甘으로 변하며,

효능은 청열량혈 淸熱凉血→ 자음보혈 滋陰補血로 바뀐다는 점에서,

이의 원리를 본 처방에 적용함이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즉 본 처방에서의 생건지황 生乾地黃이

조혈 調血, 통경 通經, 량혈 凉血의 목적에 부응하고 있지만,

량혈 凉血에 치중한다면 생지황 生地黃사용을,

혈허 血虛로 인한 혈삽 血澁이라면

보혈력 補血力이 강한 숙지황 熟地黃으로 변환이 가능할 것이다.

2.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실체

이상을 근거로

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생리통 사용근거는 다음과 같다.

1)청열조혈탕 淸熱調血湯의 적응증으로 서술된

‘경수 經水가 올 때에 복중 腹中이 진통 陣痛한 것은

기혈 氣血이 구허 俱實한 증 症’에 맞춰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의보감 포문 胞門의 ‘조혈치법 調血治法’에 소개되어 있으며,

이는 월경 전 생리통(生理前痛)에 해당되는 처방으로 최종 정리된다.

2)아울러 생리시 나타나는 부수증상

(생리주기가 빨라지고 발열감 發熱感 등)이 있는 경우

추가약물(柴胡 黃芩 등)의 사용이 권장된다.

아울러 생리통이 심해져서

지절통 肢節痛, 두통 頭痛에 까지 미칠 경우에는,

일상적인 삼릉 三稜, 우슬 牛膝 등을 포함한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을 적극 활용한다면

생리통 치료를 위한 본 처방의 효능발현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 가감윤조탕 加減潤燥湯의 처방 의미]

명 明나라의 공정현 龔廷賢이 저술한

만병회춘 萬病回春에서 제시된 처방이며,

건조한 것을 축축하게(潤燥) 해준다는 뜻의 이름으로,

유풍윤조탕 愈風潤燥湯( 의감 醫鑑)으로 부르기도 한다.

동의보감을 비롯한 기타 문헌에서

해당 처방을 중풍 中風의 반신불수 半身不遂에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한편 여러 문헌에서 등장하는 윤조탕 潤燥湯은

구성약물과 적응질병이 중풍 中風이 아닌 것으로 되어 있어,

본 처방과의 관련성은 없다.

[ 가감윤조탕 加減潤燥湯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 반신불수 半身不遂의 다양한 증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처방(四物湯, 二陳湯)을 비롯하여,

처방의미에 맞게 활혈거어 活血祛瘀, 청열조습 淸熱燥濕 등의

구성약물이 추가된 복방 複方이다.

 

2)관련 기타 문헌에서도 처방기록은 모두 동일하다.

다만 기타 의견으로, 중의처방대사전 中醫處方大辭典에서

수불수 手不隨에는 황금 黃芩과 박계 薄桂,

족불수 足不隨에는 황금 黃柏, 우슬 牛膝의 용량을

증가시킨 경우가 유일하다.

위의 구성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온성 溫性11, 열성 熱性1, 한성 寒性3, 량성 凉性2, 평성 平性6으로,

대부분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감미 甘味12, 신미 辛味10, 고미 苦味9, 산미 酸味3 등으로 되어 있다.

3) 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및 臟腑表裏 포함),

간 肝13(담 膽3), 비 脾10(위 胃6), 심 心12, 신 腎7(방광 膀胱4),

폐 肺4(대장 大腸3) 등으로 주로 폐비심경 肝脾心經에 집중되어 있다.

4) 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보혈약 補血藥5, 이혈약 理血藥(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4,

화담약 化痰藥3(온화 溫化2, 청화 淸化1), 청열약 淸熱藥3,

해표약 解表藥3, 평간약 平肝藥1, 안신약 安神藥1, 온리약 溫裏藥1,

이수약 利水藥1, 이기약 理氣藥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처방을 본초학적 내용에 근간하여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주지하다시피 풍병 風病은

폐증 閉證의 열폐 熱閉에서 시작하여

한폐 寒閉를 거쳐 탈증 脫證으로 진행된다.

본 처방은 한폐 寒閉의 기본증상인

‘면청 面淸, 신량 身凉, 태백 苔白, 맥지 脈遲’의 상태로서

온개법 溫開法과 거한행기약 祛寒行氣藥을

사용해야 하는 단계라는 점에서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더구나 반좌 反佐의 역할로 사용된

한성 寒性과 량성 凉性약물의 경우

소량사용되는 죽력 竹瀝을 제외하고는

모두 열 熱을 가하는 수치 수치 修治를 시행하여

온성 溫性을 보완하고 있다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다.

2) 감미 甘味와 신미辛味, 고미 苦味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점:

‘ 감미 甘味는 자보화중환급 滋補和中緩急,

신미 辛味는 발산행기 發散行氣,

고미 苦味는 청열강화조습 淸熱降火燥濕’에 부합하는 것으로,

허약 虛弱을 보 補하고 발한 發汗을 통한 해열 解熱의 목적으로 설명된다.

3) 귀경 歸經에서, 간비심경 肝脾心經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귀경론 歸經論의 대전제인 ‘간주풍 肝主風 소간 疏肝,

비주사말 脾主四末 비오습 脾惡濕,

심주혈 心主血 심장신 心藏神’의 내용에 부합한다.

즉 반신불수 半身不遂는 뇌신경계통질환으로(肝主風)

사지 四肢의 운동장애(脾主四末)와

혈행 血行장애(心主血)를 나타내는 점을 확인하고 있다.

4)효능에서, 보혈약 補血藥, 이혈약 理血藥(活血祛瘀藥),

화담약 化痰藥(溫化 및 淸化), 청열약 淸熱藥, 해표약 解表藥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전통적으로 ‘왼쪽을 쓰지 못하는 것은 탄 癱이라 하고…

혈허 血虛하면 담화 痰火가 왼쪽으로 유주 流注하여 좌탄 左癱이 되고…

치법 治法은 좌탄 左癱에는 마땅히 보혈 補血하고 겸하여 담 痰을 흩어야 하니…’의

좌측반신불수 左側半身不遂(좌탄 左癱)의 치료원칙과

약한 발한 發汗을 통한 해열 解熱의 목적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정리하자면 본 처방은

전통한방의 좌측반신불수 左側半身不遂의 원인에 따른 치법 治法인

보혈 補血(四物湯-當歸 川芎 白芍藥 熟地黃)

화담 化痰(二陳湯-半夏 陳皮 白茯苓 甘草)에 맞추고,

어혈 瘀血에 대한 대처(桃仁 紅花 등)를

주된 목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한담 寒痰의 보강(南星) 및 경련성 열담 熱痰대처(竹瀝),

어혈 瘀血의 보강 및 하지 下肢마비 대처(牛膝)를 통해

목표를 더욱 강화하고 있다.

한편 기타 증상의 호전을 위한 방안으로,

약한 발한 發汗을 통한 해표 解表(羌活 防風 薄桂 生薑),

소화력 보강(白朮 陳皮), 평간 平肝(天麻),

청열 淸熱 및 온성 溫性에 대한 반좌 反佐(生地黃 黃芩 黃柏),

안신 安神(酸棗仁) 등의 조치를 시행한 표본겸시 標本兼施의 처방인 것이다.

다양한 수치법 修治法을 분석하면,

① 술을 사용한 수치법 修治法:

한성 寒性의 감약과 활혈통락 活血通絡의 목적으로 정리되며,

② 생강즙을 사용한 수치법 修治法:

한성 寒性의 감약, 독소감약을 목적으로 한 경우(南星 半夏)와

행기해표 行氣解表의 목적(熟地黃)으로 정리되고,

③ 염수세鹽水洗(陳皮)와 초자 炒炙(酸棗仁 甘草):

염수 鹽水는 청열 淸熱의 의미 부여이며,

산조인초 酸棗仁炒의 경우 종자류 한약재의 용해도 증가와

소화장애 보완을 위한 것이고,

감초 甘草의 자 炙는 온성 溫性의 추가로 정리된다.

2. 기타 약물가감(中醫處方大辭典)에 대한 내용 분석

1) 수불수 手不隨에는 배 倍 黃芩, 薄桂:

황금 黃芩의 청상초 淸上焦효능과

박계 薄桂의 통혈맥 通血脈 효능에 근거한 것이나,

황금 黃芩은 온성 溫性에 대한

반좌 反佐의 목적이라는 점에 근거하면

용량 증대가 그리 바람직하다고 볼 수 없다.

박계 薄桂 역시 통혈맥 通血脈의 목적을 염두에 둔 것이라면

박계 薄桂보다는 계지 桂枝를 추가하는 것이 휠씬 효율적일 것이다.

2) 족불수 足不隨에는 배 倍 黃柏 牛膝:

황백 黃柏의 청하초 淸下焦 효능과

우슬 牛膝의 인혈하행 引血下行에 근거한 것이나,

황백 黃柏 역시 온성 溫性에 대한 반좌 反佐라는 점에서

용량 증대가 바람직하지 않다.

다만 우슬 牛膝의 경우에는 주세 酒洗하여

활혈거어 活血祛瘀를 보강하였다는 점에서

족불수 足不隨에 우슬 牛膝 용량의 증대는

의미가 있다고 보여진다.

3. 가감윤조탕 加減潤燥湯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반신불수 半身不遂에 응용되는

가감윤조탕 加減潤燥湯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중풍후유증인 반신불수 半身不遂가 기간이 경과하여

허증 虛症의 모습, 구체적으로는 혈허 血虛의 증상을 나타내는 경우에

보혈 補血과 기존의 거담 祛痰, 활혈거어 活血祛瘀를 동시 목표로 하는 처방으로,

반신불수 半身不遂 후유증의 중기 中期에 응용될 수 있는 처방으로 정리된다.

2)아울러 구성약물에서 사용된 수치법 修治法의 주된 목표는

온성 溫性 및 활혈통락 活血通絡의 강화에 맞춰져 있다.

각각의 수치법 修治法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대상약물을 일괄적으로

수치 修治보료물(술과 생강 등)에 담근 후 자 炙하는 방법도

원래 수치 修治의 취지에 어긋나지 않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한다.

한편 본 처방중 유독성인

반하 半夏와 남성 南星의 수치 修治는 필수적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처방의미]

명 明나라의 공정현 龔廷賢이 저술한

고금의감 古今醫鑑에서 제시된 처방으로,

기 氣 순환을 순조롭게 하여(理氣) 풍 風을 없앤다(祛風)는 뜻의 이름이다.

동의보감, 방약합편 등을 비롯한 모든 문헌에서

해당 처방을 중풍 中風의 구안와사 口眼喎斜에 사용한다고 기술하고 있다.

[理氣祛風散의 구성]

도표의 내용을 정리하면,

1)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다양한 증후에 대처하기 위한 목적으로

여러 처방(甘桔湯, 芍藥甘草湯)을 비롯하여,

처방의미에 맞게 이진탕 二陳湯, 오약순기산 烏藥順氣散 등의

구성약물이 주로 사용된 복방 複方이다.

2)관련 모든 문헌에서의 처방기록은 동일하다.

다만 기타 의견으로,

① 처방용량을 제시한 경우(임상방제학, 中醫處方大辭典)

② 견정산 牽正散과의 합방 合方 혹은 가감의 경우가 있었다.

위의 약물 구성 중 조화약물로서의 감초 甘草와,

첨가약물 혹은 반하 半夏독성에 대한 상외 相畏의 배합인

생강편 生薑片을 제외한 15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온성 溫性11, 량성 凉性2, 평성 平性2로서,

대부분이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다.

2) 미 味를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신미 辛味13, 고미 苦味6, 감미 甘味3 등으로 되어 있다.

3) 귀경 歸經을 기준으로 분석하면(중복 포함),

폐 肺 8, 간 肝 8, 비 脾 8, 방광 膀胱 4, 신 腎 3 등으로

폐,간,비경 肺,肝,脾經에 집중되어 있다.

4)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해표약 解表藥 4, 이기약 理氣藥 4(順脾氣3 順肝氣1)

화담약 化痰藥 3, 거풍습약 祛風濕藥 1, 평간약 平肝藥 1,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 1, 보혈약 補血藥 1로 구성되어 있다.

본 처방의 적용질병이 구안와사 口眼喎斜라는 점에서,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온성 溫性약물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風이 外中하여∼口眼喎斜’에 해당되는 사항으로,

실제적으로도 현재 말초성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대부분이

한사 寒邪 접촉이라는 점과 상통한다.

즉 발표산한 發表散寒 거풍승습 祛風勝濕의 기전에 작용한다.

2) 신미 辛味와 고미 苦味가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기미론 氣味論의 대전제인 ‘신미 辛味는 발산행기 發散行氣하며

고미 苦味는 청열강화조습 淸熱降火燥濕한다’는 내용에 부합하는 것으로,

발한 發汗을 통한 해열 解熱의 목적으로 설명된다.

3) 폐간비경 肺肝脾經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귀경론 歸經論의 대전제인

‘肺主氣 肺主皮毛 肝主風 疏肝 脾主肌肉 脾惡濕’의 내용에 부합한다.

즉 구안와사 口眼喎斜가 안면부에 발생하는

경련성 마비질환이라는 점에서 더욱 그러하고,

특히 비경 脾經의 경우는 표리 表裏관계에 있는

위경 胃經의 분포가 ‘足陽明經에 痰濁이 內蓄’

‘胃土와 風木이 모자라고 金이 便乘한 것’으로 보는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병인 病因을 반영하고 있다는 점을

유의할 필요가 있다.

실제로 초기치료에 실패하여

만성화된 구안와사 口眼喎斜처방의 대부분이

보비위 補脾胃 관련 처방이라는 점에서

더욱 근거가 있다고 설명된다.

4) 해표약 解表藥, 이기약 理氣藥,

화담약 化痰藥이 주를 이루고 있는 점

위의 기미 氣味, 귀경 歸經 등의 연장선상에서 추론이 가능하다.

즉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병인 病因에서

‘풍담 風痰이 두면 頭面의 경락 經絡중

족양명경 足陽明經에 담탁 痰濁이 내축 內蓄하고

태양 太陽에 풍 風이 외중 外中하여 ---->

풍담 風痰이 경락 經絡을 손상시켜 근육이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므로

구안와사 口眼喎斜가 되고 심하면 두면 頭面의 기육 肌肉이 추동 抽動한다’고 한

전제에 부합된다.

다시 말하면 풍한사 風寒邪에 감촉되어 발생한

병적인 노폐물(風痰)이 족양명위경 足陽明胃經의 분포부위인

안면부위에 이상을 초래한 것으로,

주된 증상이 한쪽으로 쏠리는 마비와 경련에 대처하는 것이며

부수적으로 통락지통 通絡止痛의 약물(강활 羌活, 독활 獨活)로서

통증에 대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2. 기타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가감 내용 분석

위의 분석내용에 근거하면,

기타의 합방 合方 및 약물가감에 대한 내용도 쉽게 해석되어 진다.

1)(金永勳 선생-晴崗醫鑑)에서,

견정산 牽正散(白附子 白殭蠶 全蝎) 합방 合方한 내용:

이는 견정산 牽正散의 투약목표인

항경련 抗痙攣 및 진통 鎭痛의 작용을 추가하고자 한 것이며,

구안와사 口眼喎斜의 증상발현 중 해당 부위에

강직성 경련 및 통증 발현이 심한 경우에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2)(朴炳昆-한방임상40년)에서,

견정산 牽正散 합방 合方 후 여기에서

거 去 백작약 白芍藥

가 加 조구등 釣鉤藤, 건강 乾薑,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한 내용:

조구등 釣鉤藤은 평간식풍약 平肝熄風藥으로

천마 天麻의 효능보강 차원으로,

건강 乾薑은 온리약 溫裏藥으로

온중초 溫中焦 순비기 順脾氣의 보강 차원으로 해석된다.

특이하게 모든 문헌과 달리

형개 荊芥를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하여 사용하라 한 내용은,

형개 荊芥의 ‘풍병혈병지요약 風病血病之要藥’ 내용 중

혈병 血病에는 ‘필히 초 炒 혹은 탄 炭’하라고 했던 관련 문헌내용과 일치한다.

일견 혈액순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에

비중을 높인다는 의미로서 설명될 수 있겠지만,

사실 형개 荊芥의 초흑 炒黑내용이

지혈 止血이라는 현대적인 개념으로 재평가하면

형개수초흑 荊芥穗炒黑은 의미없는 내용이 된다.

3.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실체

이상 최종적으로 현재 구안와사 口眼喎斜에서 응용되는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의 내용을 현대적으로 재정리하면,

1) 이기거풍산 理氣祛風散은 약한 발한 發汗을 통한

순기 順氣 ---> 화담 祛痰 ---> 거풍 祛風의 단계를 밟는 처방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처방은 구안와사 口眼喎斜 초기의

실증 實症에 응용될 수 있는 통용방으로 정리된다.

2)아울러 일부 대표문헌에서 인용된

견정산 牽正散과의 합방 合方은

경련 痙攣과 통증 痛症 발현시

즉시 고려될 수 있는 내용이다.

3)한편 본 처방 중에는 검담 祛痰약물인

반하 半夏와 남성 南星이 응용되는 바,

이들이 가지고 있는 독성을 관리하기 위해서 반드시

수치 修治를 거친 약물사용이 필수적이라는 점을

인지해야 할 것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편저자 주 :

첩약건강보험 시범사업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여기에 해당되는 처방 및 Ext제제등에 대하여

본초학적 입장에서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치료약으로서의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아울러 해당처방에서의 논란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코자 한다.

[통경탕 通經湯의 처방의미]

중국의 고금의감 古今醫鑑과 심씨존생서 沈氏尊生書에 기록된 처방으로,

이후 우리나라의 동의보감·방약합편 등에 기재되어 있다.

처방명의 통경 通經은 ‘생리를 잘 통하게 해준다’는 의미로서,

동의보감 및 방약합편 등의 한방문헌에서

부인문 婦人門 혈폐 血閉의 치월폐治月閉에 사용된 처방이다.

[통경탕 通經湯의 구성]

위의 약물 구성에서,

첨가된 3종 한약재(生薑, 大棗, 烏梅)를 제외한

12종 한약재의 본초학적인 특징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 기 氣를 기준으로 분석하면,

온성 溫性5, 량성 凉性6, 평성 平性1로서,

한열 寒熱의 균형을 맞추고 있다.

2)효능을 기준으로 분석하면,

보익성 補益性3, 방향화습성 芳香性化濕性3,

청열성 淸熱性2, 활열거어성 活血祛瘀性2,

사하성 瀉下性1, 온리성 溫裏性1로 구성되어 있다.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월경 때의 대부분의 여성은 권태 倦怠, 두통 頭痛, 현훈 眩暈

혹은 요복통 腰腹痛이 있으며 신경이 좀 날카로워지는 현상을 나타낸다.

이와 같은 증상 발현이

가벼운 정도가 아니고 경련성인 산통 疝痛발작을 일으켜

일상작업이 방해되는 상황이 생리통이며 치료대상이 된다.

주지하다시피

생리통은 생리가 시작되면서 통증이 생기는

혈체 血滯가 원인인 생리전통 生理前痛과 생리중통 生理中痛 및

혈허 血虛(생리양이 적고 색깔이 淡한 것)가 원인인

생리후통 生理後痛으로 나뉜다.

2) 통경탕 通經湯은 사물탕 四物湯을 근간으로 하는

행혈순기통체 行血順氣通滯의 처방으로서,

보혈 補血을 목적으로 하는 사물탕 四物湯에서

숙지황 熟地黃을 생건지황 生乾地黃으로 바꾸고

대황 大黃, 관계 官桂, 후박 厚朴, 지각 枳殼,

지실 枳實, 황금 黃芩, 소목 蘇木, 홍화 紅花를 추가한 처방으로

조혈 調血, 통경 通經의 목적을 가지고 있다.

대개 실증 實症이고 통경지제 通經之劑가 이에 해당하는

생리전통 生理前痛에 응용되어질 수 있는 처방이다.

많은 문헌에서 응용되어진

가미도사탕 加味桃四湯, 가미통경탕 加味通經湯,

오적산가산사현호색 五積散加山査玄胡索(經來身痛),

도핵승기탕 桃核承氣湯 등이 이에 해당된다.

하지만 이후 생리전통 生理前痛이 심해지면서

허증 虛症으로 변하는 생리후통 生理後痛에는

보혈행혈 補血行血의 처방(예:加味八物湯, 大營煎 등)으로

변환해야 할 것이다.

3)구체적으로는 통경탕 通經湯의 적응증으로 서술된

‘기체혈어 氣滯血瘀로 현훈 眩暈, 심계 心悸, 소복창만 小腹脹滿,

변비 便秘, 무월경 無月經’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즉 생리통에 적용하여 증상과 대상약물을 분류하면,

기체혈어 氣滯血瘀(천궁, 소목, 홍화)

온하초 溫下焦(계피)

혈허 血虛발현증상(현훈 眩暈, 무월경 無月經 - 당귀, 천궁, 백작약, 생건지황)

상초 上焦발현증상(심계 心悸 - 황금, 황련)

하초 下焦발현증상(소복창만 小腹脹滿, 변비 - 대황, 지실, 지각)

순비기 順脾氣(후박, 지각, 지실)로 분류된다.

따라서 통경탕 通經湯은 생리통

특히 생리전통 生理前痛을 비롯한

경폐통용방 經閉通用方에 해당된다고 정리되어진다.

4)적응증에 언급된 부수증상의 발현이 없을 경우,

통경탕 通經湯 구성약물에 대한 재정리가 필요하다.

①변비 便秘가 없는 경우

대황 大黃은 생용 生用의 경우 공하 攻下효능이 있고,

주증 酒烝의 경우 사하력 사하력 瀉下力이 완만해지면서

활혈거어 活血祛瘀작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변비가 없는 경우에는

주증대황 酒烝大黃을 사용하여

통경 通經의 효력을 증대해야 할 것이다.

② 상초 上焦발현증상인 심계 心悸가 없는 경우

단계심법 丹溪心法에서는

‘기 氣가 위로 폐 肺를 상박 上迫하므로

월경이 오지 않는 증 症은 도담강화 導痰降火하면

심기 心氣가 하통 下通하여 월경이 오니

통경탕 通經湯을 주제 主劑로 한다’라고 되어 있다.

아울러 ‘심기 心氣가 하통 下通하지 못하여

월경이 오지 않는데는 황련 黃連 7分, 후박 厚朴을 써서

도담강화 導痰降火하면 월경이 온다’라고 설명하고 있다.

이는 청상초폐열 淸上焦肺熱하는 황금 黃芩의 사용과

청심열 淸心熱하는 황련 黃連의 사용근거로 설명되어질 수 있겠다.

 월폐 月閉에 겸하여 나타나는 흉격부발열감이나

두근거림 등의 증상이 있다면

황금 黃芩, 황련 黃連의 사용이 검토될 수 있겠다.

하지만 상초 上焦발현증상이 없는 월폐 月閉처방으로서의

황금 黃芩, 황련 黃連의 사용은 청하초신화 淸下焦腎火하는

황백 黃柏으로 바꾸는 것을 적극 검토하여야 함이 마땅하다.

만일에 원래의 황금 黃芩을

기본처방의 준수차원에서 고수한다면

체중하달 體重下達, 청대장열 淸大腸熱하는

신근 新根인 조금 條芩을 사용해야 할 것이다.

5)첨가된 3종 한약재(생강 生薑, 대조 大棗, 오매 烏梅)의 분석

기본적으로 한약처방에서 응용된

강 薑3(溫胃和中), 조 棗2(養營)는

약물 흡수촉진을 위한 순환 및 소화 증진으로 해석하면 된다.

또 다른 첨가약물인 매 梅1의 경우에는

변비 便秘증상에 대한 생대황 生大黃 사용시

대황 大黃의 주된 효능인 사하 瀉下에 대한 견제목적으로

위장관 유동 억제(止瀉)를 시킨 것으로,

변비 便秘 증상이 없어 대황 大黃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사용의미가 없다.

6)기타 청강의감 晴崗醫鑑에 수록된

추가 약물 및 처방 등에 대한 분석

대부분의 모든 약물이

효능분류상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에 속하며,

기타 順氣藥(香附子), 補陽藥(續斷), 消食藥(麥芽,)

利水藥(瞿麥 木通), 瀉下藥(大麻仁) 등의 경우에도

어혈 瘀血을 기준으로 모두 설명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생리전통 生理前痛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2.통경탕 通經湯의 실체

이상을 근거로

통경탕 通經湯의 생리통 사용근거는 다음과 같다.

1)통경탕 通經湯의 적응증으로 서술된

‘기체혈어 氣滯血瘀로 현훈 眩暈, 심계 心悸, 소복창만 小腹脹滿,

변비 便秘, 무월경 無月經’에 맞추어져 있음을 알 수 있다.

동의보감, 방약합편 등 부인문 婦人門의 혈폐 血閉에서

‘치월폐治月閉’의 범주에 속하는 생리전통 生理前痛에 해당된다.

2)하지만 생리시 나타나는 부수증상(便秘 心悸 등)이 없어

해당약물(大黃 黃芩 등) 사용의미가 없거나 적은 경우,

해당약물의 제거(大黃) 변환(黃芩의 條芩사용) 혹은

대체(黃芩대신 黃柏사용) 등의 가감을 적극적으로

모색해야 할 것이다.

3)기타 추가약물로 고려된

대부분의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을 적극 활용한다면,

생리통 치료를 위한 통경탕 通經湯의 효능발현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출처: 한의신문

주영승 교수(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편저자 주 :

첩약건강보험 시범사업을 앞두고 있는 시점에서,

여기에 해당되는 처방 및 Ext제제등에 대하여

본초학적 입장에서 객관적인 분석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치료약으로서의 한약의 활용도를 높이고자 기획됐다.

아울러 해당처방에서의 논란대상 한약재 1종의

관능감별point를 중점적으로 제시코자 한다.

[만금탕 萬金湯의 처방의미]

중국의 청나라 때

심씨존생서 沈氏尊生書에서 최초의 기록을 보인 이래,

우리나라의 기록으로는 동의보감·제중신편·

방약합편·향약집성방 등에 기재돼 있다.

처방명의 만금 萬金은 ‘대단히 귀하다’는 의미로,

동의보감 및 방약합편 등의 문헌에서

중풍의 허증 虛症과 풍비 風痹에 사용된 처방이다.

[만금탕 萬金湯의 구성]

위의 약물 구성에 대해

본초학적으로 특징적인 모습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주된 한약재는

속단, 두충, 방풍, 백복령, 우슬, 인삼, 세신, 계피, 당귀, 감초이고,

보조 한약재는 천궁, 독활, 진교, 숙지황이다

2)대부분이 온성 溫性인 약물로 구성되어 있으며,

주된 귀경 歸經이 간 肝, 신 腎인데

이는 간주근 肝主筋 신주골 腎主骨의 원칙에 따른

근골 筋骨 관련 처방이다.

3)보익약 補益藥 중

보양약 補陽藥 강근골 强筋骨(속단, 두충, 우슬 숙용熟用),

온하약 溫下焦(계피), 보기약 補氣藥(인삼),

보혈약 補血藥(당귀, 숙지황),

활혈거아약 活血祛瘀藥(천궁 川芎, 우슬 牛膝),

통혈맥활혈 通血脈活血(방풍, 세신),

거풍습지비통약 祛風濕止痺痛藥(독활, 진교),

이수퇴종 利水退腫(백복령),

풍약 風藥 중에서 윤제 潤劑로서

소통락맥 疏通絡脈(방풍, 진교)으로 구성돼 있다.

이는 1차적으로 보근골 補筋骨 보기혈 補氣血하고,

2차적으로 이의 활성을 위한 활혈 活血과

부수증상인 통증제압의 거풍습 祛風濕으로

요약되는 처방이다.

이상의 본초학적 내용을 근간으로

처방을 분석하면 다음과 같다.

1)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 처방에서

상기생, 백작약을 빼고 속단을 추가한 처방으로 설명된다.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의 주된 적응증은

풍습 風濕을 없애주어 비통 痺痛을 그치게 하는

보간신 보기혈 補肝腎 補氣血의 처방이다.

이를 근거로 만금탕 萬金湯을 재해석하면,

보가신 補肝腎 즉 강근골 强筋骨시키는

보양약 補陽藥인 속단과 두충을

주된 군약 君藥으로 하면서

보기혈 補氣血과 거풍습 祛風濕을 보조로 하는

처방으로 해석된다.

2)또한 팔물탕 八物湯에서

백출, 백작약을 제외하고

속단, 두충, 방풍, 우슬, 세신, 계피,

독활, 진교를 추가한 처방으로도 설명된다.

여기에서도 만금탕 萬金湯을 재해석하면,

보기 補氣(사군자탕 四君子湯),

보혈 補血(사물탕 四物湯)의 처방인

팔물탕 八物湯이 보간신 강근글 補肝腎 强筋骨시키는

처방으로의 역할변화로 해석된다.

2.기타 추가 약물에 대한 분석

1)기허 마비 氣虛 麻痺 : 인삼 2배 증량, (추가) 부자 소량

여기에서의 인삼의 용량증대는 비기허 脾氣虛로서

전신무력감과 식욕불량의 증상발현에

응용할 수 있는 추가방안이다.

또한 부자 소량의 추가는 온하초 溫下焦시키는 약물로서

만금탕 萬金湯에서의 계피 의 역할을 도와주지만,

한편으로 부자의 독성에 대한 경계를 갖도록 해야 할 것이다.

2)풍담 자통 風痰 刺痛 : (추가)- 천산갑(土炒), 전갈

활혈거어약 活血祛瘀藥인 천산갑의 추가는

만금탕 萬金湯의 천궁과 우슬의 역할을 상승시키며,

평간식풍약 平肝熄風藥인 전갈의 추가는

만금탕 萬金湯의 독활, 진교의 거풍습지비통 祛風濕止痺痛에

항경련 抗痙攣의 효능추가로 해석된다.

이런 면에서 풍담 자통 風痰 刺痛은

한응혈체 寒凝血滯→ 통증발현의 기전으로 설명되며

이에 대응하는 약물추가방안이 된다.

위에서 분석한 독활기생탕 獨活寄生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3)좌측마비에 백작약, 진피 추가와,

우측마비에 황기 黃芪(蜜炙), 사삼, 백출, 백작약,

오약, 강활, 목과, 부자, 목향의 추가

이는 전적으로 전통한방의

‘중풍 中風- 좌혈우기 左血右氣이론’에

부응한 것으로 해석된다.

이론에 맞게 좌측마비에는

혈가 血家의 약물인 백작약을 추가하고

혈가 血家약물이 갖는 부작용인 점니 粘膩에 대처하기 위한

진피 (행기약 行脾氣)의 추가인 것이다.

반면 우측마비의 경우에는

기가 氣家의 약물인 황기, 백출과

순기약 順氣藥인 오약과 목향

여기에 음양쌍보 陰陽雙補를 감안하여 사삼과 백작약

지통서근 止痺痛舒筋의 강활, 모과

온하초 溫下焦의 부자 추가로 설명되어 진다.

위에서 분석한 팔물탕 八物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4)유중풍 類中風,

산후의 영허營虛로 인한 언어장애 및

수족부인 手足不仁 : 황기, 백출, 백작약, 모과 추가

이는 기가 氣家의 약물인

보기약 補氣藥의 황기, 백출과

혈가 血家의 약물인 백작약(보혈약 補血藥)을 추가하고

여기에 서근활락 舒筋活絡의 모과를 추가한 처방이다.

즉 보기혈 補氣血의 강화처방으로서,

위에서 분석한 팔물탕 八物湯처방의

강화의미를 가지고 있다.

3.만금탕 萬金湯의 실체

이상을 근거로 만금탕 萬金湯의

뇌혈관질환후유증의 사용근거는

다음과 같다.

1)동의보감, 방약합편 등 문헌상의 설명인

‘治風 補虛 及手足風 累驗, 若手指無力 不半劑而愈’의 내용

①뇌혈관질환의 발병이 상당기간 경과한

허증 虛症( 중풍허증 中風虛症)의 반신불수 半身不遂로,

기혈 氣血이 부족하여 수족 手足에 힘이 없어

손발을 떨고 손가락에 힘이 없어 잘 쓰지 못하는 경우 및

위증 痿證으로 인해 팔다리에 힘이 없고

마비감이 있는 수족무력증 手足無力症에 적응처방이 된다.

②다만 뇌혈관질환이

고혈압에 기인한 경우와 고혈압인 상태에서는,

구성약물 중 인삼과 추가약물에서의

황기 등이 가지고 있는 승양 升陽작용으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사용에 신중을 요한다.

고혈압인 경우에는 인삼 대신

만삼으로 대체함이 원칙적으로 타당하며,

구건 口乾, 인건 咽乾등 양음윤폐 養陰淸肺의 필요성이 있다면

사삼으로 대체하는 것도 무방하겠다.

굳이 인삼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동량의 맥문동을 추가하여 견제하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되겠다.

 

주영승 교수

(우석대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한의신문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