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개요

자완속(Aster)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50종이 있으며

아시아, 유럽 및 북아프리카에 광범위하게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100종이 있는데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40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흑룡강, 길림, 요녕, 내몽골, 산서,

하북, 하남, 섬서 및 감숙에서 나며 한반도, 일본 및

러시아의 시베리아 동부에도 분포한다.

‘자완’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 많이 기재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자완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으로 수록했다.

주요산지는 하북의 안국(安國) 및

안휘의 보현(亳縣), 와양(渦陽)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자완을

“개미취(Aster tataricus Linne fil., 국화과)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 등재하고 있다.

개미취에는 주로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과

사이클로펩티드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시오논의 함량을 0.15% 이상으로,

자완 음편(飲片)의 경우 시오논의 함량을

0.1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미취에는

거담(祛痰), 진해(鎭咳), 항균,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자완은

윤폐하기(潤肺下氣),

화담지해(化痰止咳)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거담, 진해

자완의 열수 추출물, 시오논, 에피프리델린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호흡도 중의

페놀레드 분비를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자완에서 분리해 낸 butyl-D-ribuloside 배당체도 거담작용이 있다.

시오논, 에피프리델린을 위에 주입하면

암모니아수로 유발된 Mouse의 기침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2. 항미생물

In vitro 실험에서 자완은

대장간균, 이질간균, 변형간균, 상한간균,

부상한간균, 녹농간균과 콜레라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음과 동시에 항치병성 진균과

항인플루엔자바이러스 작용이 있다.

3. 항종양

자완에 함유된 에피프리델린은

Mouse의 에를리히복수암(EAC)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자완에 함유된 사이클로펩티드에도 항종양 활성이 있다.

4. 기타

자완에서 분리해 낸 쿠에르세틴, 캠페롤,

스코폴레틴과 에모딘은 초산유리기의 생성 및

지질과산화물(LPO)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쿠에르세틴과 캠페롤은 용혈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용도

자완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윤폐선폐[潤肺宣肺, 폐를 윤택하게 하고 폐기(肺氣)를 통하게 함],

화담지해[化痰止咳, 거담(祛痰)하여 기침을 그치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해수유담(咳嗽有痰, 기침할 때 소리도 나고 가래도 나오는 증상),

폐기불선(肺氣不宣, 폐의 기가 퍼지지 못하는 것)으로

야기된 폐옹(肺癰, 폐에 농양이 생긴 병증),

폐비[肺痹, 비증(痹證)의 하나], 소변불통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백일해, 만성 기관지염, 폐렴 및

요저류(尿瀦留, 소변이 모두 배출되지 않고 남아 있는 증상)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곰취속(Ligularia) 여러 가지 식물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중약 자완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통틀어 산자완(山紫菀)이라고 칭한다.

산자완의 약재에는 대부분

피롤리지딘 알칼로이드가 많이 함유되어 있는데,

최근에는 이미 중요한 식물성 간독성 유발성분으로

알려져 있다.

일부분의 산자완에는 또 돌연변이, 발암 및

기형 유발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산자완의 자원이 풍부하기 때문에

널리 사용되며 그 사용된 역사가 깊다.

현대약리연구를 통하여

산자완에는 부분적으로

뚜렷한 거담진해작용이 있음과 동시에

일정한 세포독성 및 살충 활성이 있음이 알려져 있다.

임상에서는 반드시 구별하여 사용해야 한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맨드라미속(Celos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60종이 있으며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의 아열대와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는 약 3종이 있다.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3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각 성에 분포하는데 야생과 재배가 모두 가능하다.

한반도, 일본, 인도, 베트남, 미얀마,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및 유럽 열대 지역에 모두 분포한다.

‘청상자’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하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청상자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했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대부분 지역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청상자를 “개맨드라미(Celosia argentea Linne, 비름과)의 씨”로

등재하고 있다.

개맨드라미의 지상부에는

주로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맨드라미의 씨는

안압강하, 혈압강하, 항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청상자는

거풍열(祛風熱), 청간화(清肝火),

명목퇴예(明目退翳) 등의 효능이 있다.

청상자는 인도 민간에서

당뇨병을 치료하는 데 사용한다.

약리작용

1. 눈에 대한 작용

청상자의 열수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정상적인 토끼의 안구내압을 낮출 수 있다.

in vitro 실험에서 청상자의 열수 추출물은

Rat 수정체의 항산화기능을 제고함과 동시에

결정체 상피세포의 괴사를 억제한다.

2. 간장 보호

청상자의 셀로시안은 사염화탄소(CCl4)로 인해

간장 손상이 유발된 Rat 및

D-갈락토사민/지질다당(LPS)으로 인해 간장 손상이 유발된

Mouse에 대해 모두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다.

또한 CCl4로 간장 손상이 유발된 Rat의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GPT),

글루타민산 옥살로초산 트랜스아미나제(GOT)와

젖산탈수소효소(LDH) 및 빌리루빈의 농도가

상승하는 것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3. 항당뇨병

청상자의 에탄올 추출물은 알록산으로 인해

당뇨병이 유발된 Rat의 혈당 농도를 뚜렷하게 낮춤과 동시에

당뇨병에 걸린 Rat의 체중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4. 항균

개맨드라미 잎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다양한 항균작용이 있고,

개맨드라미 잎의 에탄올 추출물은 화상으로 감염된

환자의 몸에서 추출한 병원체에 대해 비교적 강한 억제작용이 있다.

5. 기타

동물실험에서 청상자는 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다.

모로이딘은 모세혈관단백질의 결합작용을 억제시킬 수 있다.

개맨드라미 잎에 함유된 에탄올 추출물은

또 상처조직의 유합을 촉진시키는 작용이 있다.

개맨드라미의 추출물에는 면역조절 활성이 있으며

개맨드라미의 셀로시안은 Mouse의

체내 종양괴사인자-α(TNF-α)의 합성을 유도할 수 있다.

용도

청상자

청상자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설간화[清泄肝火, 간기(肝氣)의 기능항진으로 인해

발생하는 열상(熱象)을 청설하는 것],

명목퇴예[明目退翳,

눈을 밝게 하고 예막(瞖膜)을 치료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목적예장(目赤翳障, 눈이 충혈되고 눈의 겉부분에

예막이 없이 눈동자가 속으로 가려지는 병증)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또 야맹증, 홍채 · 모양체염증,

월경과다, 고혈압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청상(전초)

개맨드라미의 전초는

조습청열(燥濕淸熱, 습기를 말리고 열기를 식히는 효능),

살충지양(殺蟲止癢, 기생충을 제거하고 가려움증을 가라앉힘),

양혈지혈[凉血止血, 양혈(凉血)함으로써 지혈함]의 효능이 있으며,

습열대하[濕熱帶下, 몸 안에 습열(濕熱)이 성해서

대맥(帶脈)의 기능이 저하되어 생긴 대하 증상],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배출이 원활하지 못함),

뇨탁(尿濁, 소변이 뿌옇게 흐린 병증),

설사, 음양(陰癢, 음부의 가려움증),

창개(瘡疥, 살갗이 몹시 가려운 전염성 피부병으로, 즉 옴을 가리킴),

풍소신양[風騷身恙, 풍소(風瘙)로 인해 몸이 가려운 것],

치창(痔瘡, 항문에 군살이 밖으로 비집고 나오면서 분비물이 생기는 병증),

육혈(衄血, 코피가 나는 증상), 외상 출혈 등에 사용한다.

청상화

청상화는

양혈지혈, 청간제습(淸肝除濕)의 효능이 있으며

붕루(崩漏, 월경주기와 무관하게 불규칙적인 질 출혈이 일어나는 병증),

적리(赤痢, 어린아이의 설사한 변이 붉은색인 것) 등과 같은

모든 출혈증과

열림(熱淋, 임병의 하나로 오줌의 빛이 붉어지고 아랫배가 몹시 아픔),

백대[白帶, 여성의 질에서 분비되는 대하(帶下) 중 백색 점액 상태] 등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월경불순, 월경과다, 망막 출혈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개맨드라미의 전초와 화서는 약으로 쓴다.

전초에는 조습청열, 살충지양, 양혈지혈의 작용이 있다.

꽃에는 양혈지혈, 청간제습, 명목 등의 작용이 있다.

어린잎과 줄기는 채소로 식용할 수 있으며,

전초는 사료로 사용할 수 있다.

잎의 추출물은 피부를 희게 하고

보호하는 작용이 있어 화장품 제조에 사용된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청상자는 안압을 내리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임상에서는 녹내장, 백내장 등의 치료에 사용하며

특히 백내장을 치료하는 천연치료제로 전망이 밝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쑥속(Artemis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00종이 있으며

주로 아시아, 유럽 및 북아프리카의 온대,

한온대와 아열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 약 190종이 있는데

각지에 일반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서북, 화북, 동북 및 서남 각지에 가장 많으며

약 23종이 약으로 사용된다.

개똥쑥은 세계에 널리 분포하는 종으로

중국에서 해발 1,500m 이하의 지역으로부터

해발 3,650m의 청장고원까지 모두 분포되어 있다.

‘청호’란 약명은

《52병방(五十二病方)》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초호(草蒿)란 별명으로

하품에 수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청호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했다.

청호는 중국 각지에서 모두 자생한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청호를 "국화과에 속하는 개똥쑥(Artemisia annua Linne) 또는

개사철쑥(Artemisia apiacea Hance)의 지상부"로 등재하고 있다.

개똥쑥에는 주로 정유, 세스퀴테르펜락톤,

플라보노이드, 쿠마린 등 다양한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아르테미시닌을 대조품으로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청호에 대한

정성감별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개똥쑥은 해열, 항염, 진통, 항말라리아,

항혈흡충(抗血吸蟲), 면역조절, 항종양, 항균,

항바이러스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청호는

청열해서(清熱解暑), 제증(除蒸),

절학(截瘧)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항말라리아

개똥쑥에서 분리해 낸 아르테미시닌은

말라리아원충에 대하여 직접적인 살멸작용이 있다.

주요 작용은 말라리아원충의 막결합구조에 대해

선립체기능을 교란시킬 수 있다.

약을 주사한 후, 20시간이 되면

자살액포가 대량으로 집결되면서

말라리아원충의 와해를 유발하여 사망을 초래한다.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을 소량으로 사용하면

원숭이 체내의 말라리아원충을 제거할 수 있는데

그 의학적 원충 제거기능은 아르테수네이트를

정맥에 주사하는 것보다 강력하다.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알약은

발열을 완화시키고 말라리아원충을 제거하며

재발률을 억제하는 방면에서는

피페라퀸 인산염보다 우수하다.

2. 항균, 항바이러스

개똥쑥의 초제물(에칠에테르와 에탄올 추출 부위)과

아르테미신산은 in vitro에서 그람양성균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키리소스페레놀과 키리소스프렌네틴은

베르베린과 함께 사용하면

황색포도상구균 내성균주를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개똥쑥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단순포진과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막아 줄 수 있는데

그 항바이러스의 활성성분은 축합탄닌이다.

아르테미시닌과 그의 유도체 아르테메테르는

in vitro에서 비록 직접적으로 콕사키바이러스 B3(CVB3)을

사멸시키지 못하지만 CVB3에 감염된 뒤

유전자 복제 등의 절차에서 항바이러스작용을 발휘할 수 있다.

3. 항내독소

개똥쑥의 에탄올 추출물, 아르테미시닌을

위에 주입하면 Rat의 간선 지질과산화물(LPO),

산성인산가수분해효소(ACP), 내독소,

종양괴사인자-α(TNF-α),

세포색소 P450의 농도를 낮출 수 있으며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의 활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독소 쇼크로 인한

Mouse의 사망률을 낮출 수 있고

Mouse의 평균 생존시간을 연장할 수 있으며

간과 폐조직의 형태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다.

아르테수네이트는 in vitro에서

내독소 혹은 내독소 합병 인터페론으로 유발된

일산화질소(NO) 합성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Mouse의 근육에 아르테수네이트를 주사하면

복강대식세포의 내독소에 대한 반응성을 낮출 수 있고

내독소의 자극을 받아 생산된 NO의 수치를

뚜렷하게 감소할 수 있다.

4. 해열, 항염, 진통

개똥쑥의 줄기와 잎에 함유된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정상적인 Rat의 체온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물 추출물,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 및

부탄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신선한 효모로 인해 발열이 있는 Rat에게

뚜렷한 해열작용이 있다.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효모로 인한 Rat의 발바닥관절 종창,

단백질로 유발된 Mouse의 발바닥 종창,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 등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스코폴레틴을 위에 주입하면

효모로 유발된 Mouse의 발바닥관절 종창에도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경련 차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5. 항혈흡충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아르테에테르 혹은 아르테메테르를 위에 주입하면

일본혈흡충에 감염된 Mouse를 치료할 수 있고

Mouse의 체내에 있는 일본혈흡충 유충과 성충에 대해

살멸작용이 있다.

6. 항종양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유도체 아르테수네이트는

인체유선암세포 MCF-7의 세포주기를

뚜렷하게 변화시킬 수 있다.

아르테수네이트로 유발된

MCF-7세포의 자멸과 직접적인 세포독성작용은

아르테미시닌보다 현저하게 강력하다.

아르테수네이트는

위암세포의 생장을 현저하게 억제하는 동시에

위암세포의 자멸을 유도할 수 있다.

아르테미시닌의 합성유도체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과 낙산염을 함께 사용하면

인체종양세포의 자멸을 촉진할 수 있다.

아르테미시닌을 먹이면

7,12-디메칠벤즈안트라센(DMBA)으로 유발된

Rat의 유선암의 발전을 늦출 수 있다.

7. 기타

디하이드로-에피데옥시아르테아누인과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에는 항위궤양 활성이 있고,

아르테미시닌에는 항심박부절, 면역조절 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청호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허열(清虛熱, 허해서 나는 열을 깨끗이 제거함),

거골증(除骨蒸, 골증을 제거하는 것),

해서(解暑, 더위 먹은 것을 풀어 줌),

절학(截瘧, 말라리아의 발작을 미리 막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온사상음[溫邪傷陰, 온열병(溫熱病)으로 진음(眞陰)이 손상된 것],

야열조냉(夜熱早冷, 밤에 열이 나고 아침에 추위를 탐),

음허발열(陰虛發熱, 음허로 인한 발열),

노열골증

[勞熱骨蒸, 오후나 밤이 되면서 저열이 발생하여

마치 골내(骨內)에서 외부로 향하여

투발(透發)되는 듯한 열감이 있는 병증],

서사(暑邪),

발열로 인한 두통구갈[頭痛口渴,

머리가 아프며 화조(火燥)로 인한 갈증],

학질한열

(瘧疾寒熱, 말라리아에 걸려 오한과 발열이 왕래하는 증상),

황달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중서(中暑, 찬 기운을 받게 되어 일어나는 급성 병증),

치은염(齒齦炎, 잇몸에 생기는 염증),

코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개똥쑥은 세계에 널리 분포된 품종으로

《주후비급방(肘後備急方)》 및

후대의 의약서적들에 말라리아를

치료할 수 있는 것으로 기재되었다.

1970년대에 중국 과학자들은

개똥쑥에서 아르테미시닌을 분리하고 동시에

그 구조 및 항말라리아활성을 증명하였다.

이로부터 오직 생물알칼리 성분만이

항말라리아활성이 있다고 여기던 시각은 변화되었다.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합성유도체

아르테에테르, 아르테메테르, 아르테수네이트,

디하이드로아르테미시닌 등도 광범위하게 임상에서 사용된다.

개똥쑥 외에 쑥속 몇백 종 기타 식물 중에서는

아르테미시닌을 발견하지 못했고,

또 기타성분에 항말라리아활성이 있는 것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아르테미시닌 및 그의 합성유도체의 생산은

오직 천연자원에 의존한다.

그러나 세계 절대다수 지역에서 생장하는

개똥쑥 중의 아르테미시닌 함량은 아주 낮고

오직 소수 지역의 개똥쑥 중에만 아르테미시닌의 함량이

비교적 높은 편으로 공업적 생산가치가 있다.

개똥쑥 자원의 품질에는 생태 및 지역성이 있으며,

광범위한 야생자원 고찰을 반드시 진행하여

우수품종의 개똥쑥 품종을 선택하여야만

임상 수요를 만족시킬 수 있다.

따라서 아르테미시닌 및 유도체의

약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부단히 확대되어야 하며

이 분야의 연구는 이미 중요한 과학적 이슈가 되어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가시감초속(Glycyrrhiz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0종이 있으며

전 세계의 각 대주에 보편적으로 분포하지만

유라시아 대륙에 가장 많이 분포한다.

그중에서도 아시아 중부에 집중되어 있다.

중국에 약 8종이 있는데

주로 황하유역 이북의 각 성에 분포하며

개별적인 종은 운남 서북부에서도 볼 수 있다.

중국에서 약으로 사용되는 이 속은 6종이다.

이 종은 주로 중국의 동북, 화북, 서북의 각 성 및

산동에 분포하며 몽골 및 러시아의 시베리아 지역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감초’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 본초서적에 기록이 있다.

중국에서 고대로부터 오늘에까지 사용된

중약재 감초는 가시감초속의 여러 가지 식물이며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감초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 가운데 하나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내몽골, 감숙, 신강 등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감초를

“콩과에 속하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

광과감초(光果甘草, Glycyrrhiza glabra Linne) 또는

창과감초(脹果甘草, Glycyrrhiza inflata Batal.)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으로 등재하고 있다.

가시감초속 식물의 주요 활성성분은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감초 중 리퀴리틴의 함량을 0.50% 이상,

글리시리진산의 함량을 2.0% 이상으로,

음편(飲片) 중 두 성분 함량을 각각 0.45%, 1.8%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감초에는

부신피질호르몬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계통, 면역계통, 심혈관계에 다양한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감초에

보중익기(補中益氣), 완급지통(緩急止痛),

윤폐지해(潤肺止咳), 청열해독(淸熱解毒),

조화약성(調和藥性)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

감초 및 그의 제제 중에 함유된 글리시리진산과 글리시레트산은

신장의 11-β 하이드록시스테로이드탈수소효소(OHSD)의 활성을

억제할 수 있으며 신장국부의 코르티솔 또는

코르티코스테론의 농도를 높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국소의 알도스테론 초과수준을 유지하는 작용과

알도스테론 수용체로 생성된 무기질코르티코이드 유사작용이 있다.

이외에 당질코르티코이드 유사작용이 있다.

2. 소화계통에 대한 영향

글리시리직 비스무트칼륨을 위에 주입하면

초산, 수침스트레스 및 유문결찰로 유발된 Rat의 위궤양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위산분비를 억제시키고

위의 단백효소 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다.

감초의 열수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Rat의 위동력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데

이는 5-하이드록시트리프타민(5-HT), P-물질(SP),

혈관작동성장펩타이드(VIP) 등의 분비장애와 관련이 있다.

3. 항염

감초의 열수 추출물을 피하에 주사하면

파두유(巴豆油)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

초산으로 유발된 급성 삼출성 염증 및

만성 육아조직 증식으로 인한 염증 등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그중 글리시리진은 뇌하수체-부신의 효능을 증강시킬 수 있으며

아드레날린의 분비를 증가시켜 항염효과가 있다.

글리시레트산의 항염작용은 염증조직의 프로스타글란딘 E2의 합성 억제,

염증매개 히스타민 억제, 5-HT의 억제 등과 관련이 있다.

4. 항균, 항바이러스

In vitro 실험에서 감초의 열수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간균, 백색포도상구균,

B형 연쇄구균, 녹농간균 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메티실린 민감성 황색포도상구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마이크로코커스루테우스, 폐렴간균 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글리시레트산은

금황색포도상구균, B형 연쇄구균,

변형연쇄구균에 대해서도 억제작용이 있다.

글리시리진은

I형 단순포진바이러스(HSV-1),

중증 급성 호흡기증후군(SARS)바이러스,

대식세포바이러스(CMV) 및

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HIV) 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감초의 플라보노이드는

HIV의 증식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는데

글리시리진의 25배에 달한다.

감초의 열수 추출물은

호흡기세포융합바이러스(RSV)에 대해서도

억제작용이 있다.

5.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글리시리진은 Rat 동맥벽의

리소좀포스포리파아제 A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조직 및 혈관벽의 염증반응을 억제할 수 있으며

동맥경화의 발생 및 악화를 방지할 수 있다.

18β-소듐글리시리테이트를 복강에 주사하면

클로로포름으로 유발된 Mouse의 심실경련과

클로로포름-아드레날린으로 유발된 토끼의 심박실상을 억제할 수 있고

염화칼슘으로 유발된 Rat의 심실성 심박실상의 출현시간을

억제시키며 Rat와 토끼의 심박을 늦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부분적으로는 이소프레날린을 억제하여 심박을 가속시키는 작용이 있다.

그 밖에 감초의 물 추출물, 플라보노이드 및 글리시리진 등에는

모두 항심박실상작용이 있다.

6. 진해(鎭咳), 거담(祛痰)

감초의 플라보노이드, 글리시레트산 및 침고(浸膏)를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암모니아수에 의한 기침과

이산화황으로 인한 기침에 뚜렷한 진해작용이 있는데

그중에서 가장 강력한 것은 글리시레트산이다.

이러한 감초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의 진해작용은

중추 및 외주작용과 관련이 있다.

그 밖에 인후 및 기관지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으며

이로써 감초는 진해와 거담의 작용을 갖는다.

7. 해독

감초 및 그 제제는 특정 약물의 중독, 음식물 중독,

체내 대사산물에 의한 중독 등에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해독기전은 글리시리진이 독소와 결합하여

저독 혹은 무독물질로 전화시키는 작용과

글리시리진의 독소 흡착 및 아드레날린 작용

그리고 물에 용해된 후에 생성되는 글리시레트산과

글루쿠론산의 간 보호작용 등과 관련된다.

8. 항종양

글리시리진, 글리시리직산, 글리시레트산 등은

각기 다른 정도의 항종양작용이 있으며

그 작용기전은 종양세포괴사, 항산화, 항암유발,

항돌연변이 및 면역조절작용 등과 관련이 있다.

용도

감초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보중익기

(補中益氣, 비(脾)를 보양하고 아래로 쳐진 비기(脾氣)를 일으키는 효능),

완급지통

(緩急止痛, 급한 기운을 완화시키고 통증을 그치게 함),

윤폐지해

(潤肺止咳, 폐를 적셔 주고 기침을 멎게 함),

청열해독

(清熱解毒, 화열을 깨끗이 제거하고 몸의 독을 없이함),

조화약성

(調和藥性, 약이 가진 독성을 해독하며

약성을 조화시켜 완화작용을 나타내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심기부족(心氣不足)으로 인한 심맥결대와

비기허약[脾氣虛弱, 비기(脾氣)가 부족하거나 비위가 허약함]으로 인한

권태무력(倦怠無力, 피곤하여 힘을 쓰지 못하고

몸을 움직일 수 없어 마치 게으른 듯이 보이는 증상),

식소변당(食少便溏, 식사를 지나치게 적게 하여 대변이 무른 증상),

담다해수(痰多咳嗽, 가래가 많은 기침),

복부 및 사지의 통증,

열독창양[熱毒瘡瘍, 열독이 치성(熾盛)하여 장부(臟腑)에 쌓여 발생하는 창종],

인후종통(咽喉腫痛, 목 안이 붓고 아픈 증상),

약물이나 식중독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약성을 높여 주는 작용으로

한약처방에 들어간다.

현대임상에서는 십이지장궤양, 기관지염, 인후염,

만성 간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대극속(Euphorb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000종이 있으며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한다.

중국산이 약 80종인데 남북에서 모두 난다.

이속에서 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30종이며

중국 각지에서 모두 재배되는데 세계적으로 널리 분포하고 있다.

‘감수’라는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하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 많이 기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감수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섬서, 하남, 산서, 영하, 감숙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감수를 “감수(Euphorbia kansui Liou ex Wang, 대극과)의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감수의 주요 활성성분은

디테르페노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 중 유파디에놀의 함량을 0.12%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감수에는

설사 유발, 항생육, 면역억제, 항바이러스,

항염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감수는

사수축음(瀉水逐陰),

파적통변(破積通便)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설사 유발

생감수 혹은 구운[炙] 감수의 에탄올 추출물을

Mouse에 투여하면 설사를 유발한다.

2. 불임

감수의 알코올 추출액은 Mouse와 기니피그의

임신을 멈추게 할 수 있고 감수제제를 자궁 내에 주입하면

Mouse 혹은 집토끼 중기임신의 태아를 사망에 이르게 한다.

또한 감수 에탄올 용액을 임신부의

자궁내막에 주사하면 24~48시간 내에 유산을 초래할 수 있다.

감수의 임신 중기에 대한 유산 유발은 감수가

자궁 내 전립선효소의 합성과 분비를 증가시키고

전립선효소가 자궁을 자극하여 수축을 유도함으로써

유산을 일으키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면역기능 억제

복강주사용 감수제제는

면양적혈구(SRBC) 면역과 관련된

C57BL/6J Mouse 흉선 중량을 감소시키며

비장의 중량을 증가시키고 항면양적혈구 항체의

발현을 억제한다.

또한 in vitro에서

식물혈액응고효소(PHA)와 콘카나발린 A(Con A)로 유도된

Mouse 비장세포의 임파세포전화에 대해

중도억제 효과를 나타내며 지질다당(LPS)으로 유도된

임파세포전화에 대해 억제작용을 보임과 동시에

SRBC로 유도된 지발성과민반응(DTH)을 억제한다.

4. 항바이러스

감수의 물 추출물을

독감바이러스 적응주(FM1) Mouse의 위에 주입하면

그 극성이 비교적 큰 성분이 Mouse의 폐렴에

뚜렷한 억제작용을 보이며 저농도에서 Mouse의

T임파세포에 대한 증식작용이 있다.

칸수이포린 A 등 4종의 디테르페이노드 화합물은

적응주 Mouse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촉진하며

Con A로 유도된 임파세포의 증식을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5. 항종양

감수 중의 칸수이포린 A, B에는

Mouse P338 임파세포백혈병 억제활성이 있다.

감수의 테르페르페놀 성분은

7,12-디메칠벤즈안트라센(DMBA)과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TPA)로 유발된

Mouse 배부(背部)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

6. 항염

감수의 트리테르페놀 성분은

TPA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7. 기타

칸수이닌 E는 TrkA 수용체(신경성장인자의 기능성 수용체)의

신생으로 생성된 섬유세포의 생존기간을 연장한다.

생감수를 저용량으로 사용하면

개구리의 적출된 심장의 수축력을 증강하고

고용량으로 사용하면 억제한다.

칸수이닌 A, B에는 진통작용이 있다.

감수의 인게놀 성분은 RNA 합성을 조절하여

대식세포 γ의 단백질 Fc 수용체 발현을 촉진한다.

감수의 에테르와 에탄올 추출물은

열대집모기와 흰줄숲모기의 3~4령 유충에 대해

살충작용이 있다.

용도

감수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사수축음[瀉水逐陰, 수(水)를 없애고 음사(飮邪)를 배출시키는 효능],

소종산결[消腫散結,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힘] 등의

효능이 있으며,

수종창만(水腫脹滿, 몸이 붓고 배가 몹시 불러오면서 속이 그득한 증상),

흉협정음[胸脅停飮, 가슴과 양 옆구리에 머물러 있는 수음(水飮)],

풍담전간[風痰癲癎, 풍담(風痰)으로 인해 경련,

의식장애 등의 발작을 계속 되풀이하는 병증],

창옹종독(瘡癰腫毒, 부스럼의 빛깔이 밝고

껍질이 얇은 종기가 헌 곳 또는 헌데의 독)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장도경색, 장 속에 액체가 쌓여 부어오르고 아픈 것,

복수(腹水, 배에 물이 차는 증상), 임신 중기의 출산유도,

수술 후의 배뇨 곤란, 백일해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감수와 감초의 배합에 따른 독성과 작용

생감수는 홍콩상견독극중약[香港常見毒劇中藥]

31종(광물성 제외)의 목록에 수록되어 있으며

임상에서 사용 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한의이론 중에서

감수와 감초는 서로 배합을 금하고 있으며

이는 한의학의 “18반(十八反)” 배합금기에 해당하는 것이다.

일련의 선행연구에서

감수와 감초를 배합하여 사용했는데 그 결과는 서로 달랐다.

최근의 보고에서 감수와 감초의 배합사용은

Rat의 알라닌아미노기전이효소(ALT),

크레아틴포스포키나아제, 젖산탈수소효소(LDH),

γ-수산화부티레이트탈수소효소(γ-HBDH) 및

전체 단백 수준 등이 감수를 단독으로 사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높았으며 심장, 간장, 신장 등에 대한 독성도 증가되었다.

따라서 전통적으로 감수가 감초와 배합되지 않는다는

관점에 대해 일부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연구를 통해 보면

감수와 감초의 합제(合劑)는 Mouse의 S180 암종과

간암 HAC의 생장을 억제하고 종양조직의 괴사를 촉진한다.

그러므로 감수의 주요성분과 작용기전에 대한

연구를 더욱 깊게 수행하고 그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함으로써

감수에 대한 활용도를 제고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국화속(Chrysanthemum)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중국, 일본, 한반도,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 약 17종이 있는데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4종이며

중국 각지에 모두 분포한다.

감국은 ‘고의(苦薏)’란 명칭으로

《본초경집주(本草經集注)》에 맨 처음 기재되었고

《본초습유(本草拾遺)》에서 야국으로 기재되었다.

감국은 일종의 다형성적 종으로

생태적 혹은 지리적으로 군락을 형성한다.

형태(體態), 엽형(葉型), 엽서(葉序),

산형화서 양식 등으로 구별되며

경엽모피(莖葉毛被) 모양 등 다양한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은 내용은 역대의 본초서적에서도 묘사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

이 종을 중약 야국화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하였다.

중국 각지에서 모두 생산되며

주요산지는 호북, 안휘, 강소, 강서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감국을 “감국(Chrysanthemum indicum Linne,

국화과)의 꽃”으로 등재하고 있다.

감국에는 주로 정유성분,

플라보노이드, 테르페노이드 등이 함유되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리나린의 함량을 0.8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감국의 화서에는

항균, 항바이러스, 항염, 해열, 진통, 면역기능 제고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야국화는

소풍청열(疏風清熱),

해독소종(解毒消腫)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항병원미생물

야국화의 물 추출물과 정유성분은

in vitro에서 모두 뚜렷한 항균과 항바이러스작용이 있는데

특히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간균, 녹농간균,

플렉스네리이질간균 등과 바이러스를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물 추출물이 정유성분보다 대부분 효과가 강력한데

폐렴연쇄구균에 대한 효과는 정유성분이 더 좋다.

이소니아지드, 스트렙토마이신, 파라아미노살리실산,

내성균, 렙토스피라 등에 대해 모두 억제작용이 있다.

2. 항염, 면역조절

야국화의 정유성분을 위에 주입하면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고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단백질로 유발된 Rat의 발바닥 종창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야국화의 플라보노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

카라기난으로 유발된 Rat의 발바닥 종창 및

Rat의 면구육아종을 뚜렷하게 억제함과 동시에

농도 의존적으로 Rat의 복강대식세포의

프로스타글란딘 E2와 류코트리엔 B4(LTB4) 분비를 억

제할 수 있다.

야국화의 부탄올 추출물을

Mouse에 경구투여하면 비장세포의 항체수치 및

면양적혈구의 면역기능을 증강시킬 수 있다.

또한 Mouse 혈청 중의 면역글로불린 G(IgG)와

면역글로불린 M(IgM)의 수치를 뚜렷하게 제고시키며

면역기능이 저하된 Mouse의 체액성 면역 및

세포매개 면역기능을 제고할 수 있다.

야국화의 열수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집토끼의 III형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 조절작용이 있다.

3. 해열, 진통

야국화의 주사액을 정맥에 주사하면

트리플백신으로 인한 집토끼의 발열에 대해

뚜렷한 해열작용이 있다.

또한 야국화는 뚜렷한 진통작용이 있다.

4.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야국화의 주사액을 정맥에 주사하면

마취된 고양이의 관상동맥 혈류량을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심근의 산소 소모량을 낮출 수 있다.

개에 대한 심근혈액결핍 실험에서도

뚜렷한 심근 보호작용이 있다.

야국화의 에탄올 침고(浸膏) 수용액을

복강에 주사하거나 위에 주입하면

마취되지 않은 Rat 및 마취된 고양이와 개에 대해

모두 뚜렷한 혈압강하작용이 있다.

5. 혈소판응집에 대한 영향

야국화의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은 in vitro에서

아데노신이인산(ADP)으로 인한 혈소판응집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으며 그 활성성분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다.

6. 항산화

야국화의 다당은 in vitro에서

활성산소 유리기의 수준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야국화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Rat의

심장, 뇌, 간, 신장조직 등의 자동 지질과산화물(LPO)과

과산화수소로 유발된 적혈구 LPO 및 용혈현상을 억제할 수 있다.

물 추출액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글루타치온과산화효소(GSH-Px)와

카탈라아제의 활성을 뚜렷하게 제고시킬 수 있다.

7. 항종양

야국화의 주사액은 in vitro에서

인체전립선암세포 PC3과

인체전골수성 백혈병세포 HL-60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용도

야국화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열해독(淸熱解毒, 화열을 깨끗이 제거하고 몸의 독을 없이함),

옹저정절(癰疽疔癤, 악창과 부스럼)로 인한

인후종통(咽喉腫痛, 목 안이 붓고 아픈 증상),

습진 및 피부소양(皮膚瘙癢, 피부가 가려운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분강결핵(盆腔結核), 만성 분강염(盆腔炎, 골반내염),

급성 이질, 만성 전립선염, 다종의 악성 종양,

고혈압, 협심증 등에 사용한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개머루속(Ampelopsis)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아시아, 북아메리카와

중앙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중국에 17종이 있는데

이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13종이다.

이 종은 중국의 동북, 화북, 화동, 중남 및

서남 지역에 분포하며 일본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백렴’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하품으로 처음 기재되었다.

역대의 본초서적에 기재되었으며 오늘날의 약용품종과 일치한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백렴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하남, 호북, 강서, 안휘 등이다.

강소, 절강, 사천, 광서 등지에서도 생산되는 것이 있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백렴을 “가회톱(Ampelopsis japonica Makino,

포도과)의 덩이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가회톱에는 주로 안트라퀴논, 유기산, 타닌 등의 성분을 함유한다.

그중 피시온, 크리소파놀, 푸마르산, 몰식자산 등이

항균과 항진균 작용의 유효성분이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 이물, 수분, 총회분량,

산불용성회분량, 알코올 추출물 등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가회톱에는

항균, 항종양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백렴은

청열해독(清熱解毒), 소옹산결(消癰散結)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항균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신선한 백렴 및 백렴초탄(白蘞炒炭)과 그 열수 추출물은

황색포도상구균, 녹농간균, 플렉스네리이질간균과

대장간균 등에 대해 모두 일정한 항균작용이 있는데

포제품의 작용이 더욱 강하고 그중에서

백렴초탄의 작용이 가장 뛰어나다.

2. 항종양

In vitro 실험을 통해서 알 수 있듯이

백렴의 추출물은 인체자궁경부암세포 JTC-26을 억제할 수 있다.

백렴에 함유된 모몰딘 I은 인체전골수성 백혈병세포

HL-60의 자멸을 유도할 수 있다.

3. 면역증강

백렴의 알코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외주혈액임파세포,

α-나프틸아세테트산에스터가수분해효소(ANAE)의 촉진율,

비장임파세포의 증식기능과 대식세포의 탐식기능에 모두 촉진작용이 있다.

4. 기타

백렴은 혈액순환을 개선하는 작용이 양호하며

신경계통의 문란을 치료하는 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백렴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열해독(清熱解毒, 화열을 깨끗이 제거하고 몸의 독을 없이함),

소옹산결(消癰散結, 큰 종기나 상처가 부은 것을

삭아 없어지게 하고 뭉치거나 몰린 것을 헤치는 효능),

생기지통(生肌止痛, 새살이 돋아나게 하고 통증을 멈추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창옹종독(瘡癰腫毒, 부스럼의 빛깔이 밝고

껍질이 얇은 종기가 헌 곳 또는 헌데의 독),

수화탕상(水火燙傷, 끓는 물에 데어서 다친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외과염증, 피부염, 급 · 만성 세균성 이질,

상기도 출혈, 임파선염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가회톱의 함유성분과 약리작용은 향후 더욱 연구가 필요하다.

근래의 연구를 통하여 가회톱의 추출물은 피부에 대해 미백작용이 있기에

미용보호품의 첨가제로 사용되며 화장품 공업에서 아주 좋은 전망이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오갈피나무속(Acanthopanax)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5종이 있는데

모두 아시아에 분포하며 중국에 약 26종이 있다.

현재 약으로 쓰이는 것은 약 22종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흑룡강, 길림, 요녕, 하북, 산서 등이다.

한반도와 일본 및 러시아 원동 지역에도 분포한다.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만 오가피의 기록을 찾을 수 있다.

역대 본초서적에서 오가피의 형태에 대해 묘사한 것을 살펴보면,

오가피는 오갈피나무과 오갈피나무속

여러 종 식물로 가시오갈피나무도 여기에 포함된다.

근대에 와서도 가시오갈피나무의 뿌리껍질을

오가피의 대용으로 사용한 기록이 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자오가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요녕, 길림, 흑룡강성, 하북, 섬서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자오가를 “두릅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가시오갈피나무(Acanthopanax senticosus Harms)의

뿌리 및 뿌리줄기”로 등재하고 있다.

가시오갈피나무의 뿌리, 뿌리줄기, 줄기에는

주로 페닐프로파노이드 배당체, 다당,

플라보노이드 등의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정유의 함량을 0.05%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해서 가시오갈피나무는

진정, 뇌빈혈 보호, 항종양, 면역증강, 노화지연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자오가는 익기건비(益氣健脾),

보신안신(補腎安神)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중추신경에 대한 영향

자오가의 알코올 추출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의 자가활동이 뚜렷하게 감소하고

경궐의 잠복기와 수면시간을 연장하며 명확한 진정작용이 있다.

또 노쇠한 Rat의 문상체(紋狀體), 중뇌,

모노아민산화효소-B(MAO-B)의 활성을 감소시키며

시상하부 MAO-A의 활성을 증가시킨다.

자오가 알코올 추출물 혹은 물 추출물을

복강에 주사하면 펜토바르비탈나트륨으로 유도된

Mouse의 수면시간을 연장한다.

2. 뇌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1) 심장과 뇌에 대한 작용

가시오갈피나무 잎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혀 아래 정맥에 주사하면 Rat의 심근결혈 재관류 손상에 대해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고 심근경색 범위를 현저하게 축소시키며

크레아틴키나아제(CK), 젖산탈수소효소(LDH) 활성 및

지질과산화물(LPO)의 함량을 낮출 수 있고,

슈퍼옥시드디스무타아제(SOD) 및

글루타치온과산화효소(GSH-Px)의 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엔도셀린(ET), 안지오텐신 II 수용체(Ang II),

트롬복산 A2(TXA2) 등의 농도를 현저하게 낮추며

프로스타사이클린(PGI2) 및 PGI2/TXA2의 비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심근경색 부위 및

심근 유리지방산(FFA)의 함량을 뚜렷하게 낮춘다.

가시오갈피나무 잎에 함유된 사포닌을

복강에 주사하면 급성 심근경색이 있는 Rat의

심실기형을 억제하고 Rat의 심장기능을 정상화하는 작용이 있다.

가시오갈피나무 잎의 사포닌을

정맥에 주사하면 염화바륨으로 유발된 Rat의

심박 실상을 신속하게 회복시키고

기니피그의 우아바인에 대한 내성을 뚜렷하게 증가시키며

대량의 염화칼슘으로 유발된 Rat의 심실경련에 의한

사망에도 비교적 양호한 보호작용이 있다.

자오가의 추출물을 꼬리정맥에 주사하면

Mouse의 전뇌빈혈 및 Rat의 불완전뇌빈혈에 대한

보호작용이 있으며 Mouse의 호흡시간을 연장하는 동시에

Rat의 뇌수분함량, 뇌지수(腦指數) 및 LDH의 증가를 뚜렷이 억제한다.

가시오갈피나무 잎의 사포닌은

in vitro에서 결혈성 뉴런 손상 모형에 대한

뉴런의 생존율을 제고하고

LDH 및 일산화질소의 함량을 낮추며

결혈성 뉴런 손상에 보호작용이 있다.

2) 혈류량 변화에 대한 작용

자오가의 주사액을 정맥에 주사하면

견주망막하공출혈(SAH) 후에 ET의 수치가

올라가는 것을 뚜렷하게 억제한다.

또 SAH 후의 뇌혈관경련(CVS)과

뇌척수 속의 칼시토닌 유전자 관련 펩티드

(CGRP) 함량을 낮출 수 있다.

가시오갈피나무 잎의 사포닌을 복강에 주사하면

실험성 뇌허혈 모델 Rat의 혈류량 변화 및

혈소판효능의 이상변화에 뚜렷한 개선작용이 있고

전체 혈액점도, 혈장점도, 혈장섬유단백원 농도,

혈액침전, 적혈구 압착, 적혈구 응집지수,

적혈구 변성수치를 낮추며 혈소판 침착 및 응집효과를 억제한다.

3) 혈지(콜레스테롤) 감소

가시오갈피나무 잎의 사포닌을 복강에 주사하면

실험성 고혈지증이 있는 Rat의 혈청 중의 트리글리세라이드,

총콜레스테롤(TC), 저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LDL-C),

TXA2, LPO의 함량 등을 감소시키는 동시에

고밀도지단백콜레스테롤(HDL-C), PGI2

SOD의 활성을 향상시키고 TC/HDL-C 및

LDL-C/HDL-C의 비율을 낮추며

PGI2/TXA2의 비율을 높이는 동시에 간장지방 침착을 경감시킨다.

3. 면역조절

자오가다당(ASPS)을 복강에 주사하면

시클로포스파미드(Cy)에 의해 감소된

Mouse의 비장과 장계막임파절(腸系膜淋巴節)의

세포 수를 증가시키고 비장과 임파절피질(淋巴節皮質)의

총체적을 억제함으로써 면역효능을 증강시키는 작용이 있다.

강박수영으로 유발된 스트레스성 면역억제 Mouse에

자오가의 추출물을 경구투여하면 Mouse의

T임파세포와 B임파세포에 상호작용을 유발하며

세포살상 활성 및 비특이성 면역세포의 기능에 변화를 유발한다.

Mouse의 복강 내에 ASPS를 주사하면

Mouse의 세포면역효능 및 적혈구의

체액성 면역반응을 특이적으로 증강한다.

ASPS는 효과적으로 면역 강화작용이 있는

Mouse의 B임파세포 기능을 유효하게 촉진시키고

ASPS를 복강에 주사하면 이형 유전자 골수이식의

Mouse 비장세포가 콘카나발린 A와 지질다당(LPS)에 대한

증식반응을 강화하며 TNP-Ba의

용혈용균반형성세포(PFC) 반응을 증강한다.

자오가의 주사액을 Mouse의 꼬리정맥에 주사하면

그 망막내피계통의 탐식효능을 증강하고

면역기관의 중량수치도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다.

자오가의 다당 추출물을 귀 뒤의 정맥에 주사하면

Cy로 유발된 집토끼의 백혈구수치 감소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ASPS 및 그 배당체 B, D, E는 이상적인 인터페론 촉진제이다.

4. 노화지연, 비특이적 자극에 대한 작용

가시오갈피나무 뿌리 추출물을 복용시키면

기니피그 피부의 LPO 생성을 억제하고

콜라겐의 유실을 방지하며 외주혈액순환을 촉진하고

항피로작용이 있다.

자오가에 함유된 하이페린, 클로로겐산 및

dl-α-tocopherol은 Rat의 간미립체의

LPO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자오가의 총 배당체를 위에 주입하면

운동력을 증강하고 피로 생성을 방지하고

피로 회복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으며

Mouse의 유영가능 시간을 연장하고

Mouse의 운동내력을 증강시킨다.

수영 후의 Mouse의 LDH 활성 및

Mouse의 체내 근육당원과

간장당원(肝臟糖原)의 저장량을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Mouse 전체 혈액 중의 젖산과

혈청 중 요소암모니아의 함량을 낮춘다.

글리코시드 및 총 플라보노이드는

항산소부족, 항고저온, 항방사능, 항스트레스 반응,

항화학 및 생물독성 해독 등의 작용이 있다.

5. 내분비계에 대한 영향

자오가는 내분비계통의 문란을 조절하고

피질호르몬의 촉진으로 유발된 Rat의

아드레날린 분비 증가를 저해하고

코르티손으로 유발된 부신피질위축을 감소할 수 있다.

가시오갈피나무 잎에서 추출한 사포닌을

Mouse 혹은 Rat의 복강에 주사하면

포도당, 알록산 및 아드레날린으로 인한

고혈당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위에 주입하면 II형 당뇨병에 걸린 Rat의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며 동시에

공복 및 포도당을 복용한 후에 사용하면

글루카곤유사펩티드-1(Glp-1)의

분비를 높일 수 있으며 혈당수치를 낮출 수 있다.

자오가의 주사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건강한 수컷 Mouse의 고환중량이 증가하고

곡세정관의 직경, 정자 생성세포 및

정자의 수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자오가의 수액 및 포화부틸알코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인체정자의 운동효능을

뚜렷하게 개선하고 정자의 활력을 자극한다.

6. 물질대사 조절

자오가의 추출물을 피하에 주사하면

휴지상태의 Rat 근육 중의 젖산과

피루브산의 함량이 증가하고

간장 내의 당(糖)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자오가의 줄기껍질에서 추출한 약액을 복용하면

수컷 Rat의 장기적인 강제유영으로 유발된

간장당원의 하강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글리코시드는 유영 후의 수컷 Rat 혹은

국부뇌허혈이 있는 Rat의 단백질과

유전자의 합성을 촉진하고 지방의 대사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외에 자오가의 추출물을 근육에 주사하면

소의 무기염대사 추세를 정상화할 수 있다.

7. 항종양

가시오갈피나무의 줄기껍질에서 추출한 수액은

in vitro에서 위암세포 KATO III의

생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ASPS는 체외배양한 Mouse의 종양세포 S180과

인체백혈병세포 K562의 증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S180 세포막인지질 및 아라키돈산의 함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동시에 막 포스파티딜콜린의 전환을 억제할 수 있다.

ASPS를 위에 주입하면

종양을 이식한 Mouse의 S180

육종세포 사멸을 유도할 수 있는데

그 작용기전은 bax 유전자의 발현을 촉진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자오가의 잎에서 추출한 사포닌은

in vitro에서 간암세포 SMMC-7721의 증식을

억제함과 동시에 사멸을 유도할 수 있다.

자오가의 주사액을 Mouse의 복강에 주사하면

종양괴사인자(TNF)와 인터루킨-2의 생성을 유도하고

세포자살 활성을 증강할 수 있으며

종양의 생장을 억제하고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폐 조직과 혈장 중의 뇨자극 효소형 플라스미노겐활성인자(UPA)와

플라스미노겐활성억제인자-1(PAI-1)의 활성을 감소시킬 수 있고

실험용 Mouse의 폐암 침식과 전이과정에 관여한다.

8. 기타

자오가에 함유된 이소프락시딘은 항염작용이 있으며,

자오가의 주사액은 실험동물의 골성 관절염 관절효능을

개선해 주는 작용이 있다.

자오가의 알코올 침출액 혹은

달인 약액은 백색포도상구균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이외 자오가는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제거하며 항과민 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자오가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보신강요(補腎強腰, 신장을 보익하고 허리를 튼튼하게 함),

익기안신(益氣安神, 기를 보익하고 정신을 편안하게 함),

활혈통락(活血通絡, 혈의 운행을 활발히 하여 맥이 잘 소통되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신허체약(腎虛體弱, 신장이 허하여 체력이 약해진 것),

요슬산연(腰膝酸軟,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

소아행지(小兒行遲, 어린아이가 돌이 지나고, 2세가 되도록 걷지 못함),

비허핍력(脾虛乏力, 비장이 허하여 무기력함),

기허부종(氣虛浮腫, 기가 허약하여 부어오름),

실면다몽(失眠多夢, 잠을 잘 자지 못하고 꿈을 많이 꿈),

건망(健忘, 기억력 감퇴로 인해 쉽게 잊어버림),

흉비동통[胸痺疼痛, 흉비증(胸痺症)으로 가슴이 아픈 것],

풍한습비통(風寒濕痹痛, 풍한습으로 인해 관절 등이 저림),

질타종통(跌打腫痛, 넘어지거나 부딪쳐서 피부가 부으면서 동통이 있음),

식욕부진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풍습성 관절염, 고혈압, 저혈압, 관심병(冠心病, 관상동맥경화증),

심교통(心絞痛, 가슴이 쥐어짜는 것처럼 몹시 아픈 것),

고지혈증, 당뇨병, 만성 기관지염, 신경쇠약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