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금불초, 선복화]

 

개요

금불초속(Inul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00종이 있으며

유럽, 아프리카, 아시아에 분포한다.

주로 지중해 지역에 분포하며

러시아의 시베리아 서부로부터

몽골 북부와 북아메리카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중국에 20여 종과 다수의 변이종이 있다.

이 속에서 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17종이며

이 종의 주요 분포지역은 중국의 동북부, 북부, 동부이다.

일본에도 있다.

‘선복화’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하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 본초서적에 다수 기록되었다.

중국에서 사용해 온 중약 선복화는

국화과의 여러 종 식물의 화서이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선복화의 법정기원식물의 하나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하남, 강소, 하북, 절강이다.

하남에 생산량이 가장 많고

강소와 절강에서 나는 것의 품질이 가장 우수하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선복화를 “국화과에 속하는 금불초(Inula japonica Thunberg)

또는 구아선복화(歐亞旋覆花, Inula britannica Linne)의 꽃”으로

등재하고 있다.

금불초에는 주로 세스퀴테르펜락톤과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성미,

박층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약재를 관리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선복화에는

진해(鎭咳), 거담(祛痰),

항염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선복화는

강기소염(降氣消炎),

행수지구(行水止嘔)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지해(止咳), 거담(祛痰), 평천(平喘)

Mouse의 아황산가스 기침 유발 모델에서

선복화를 달인 약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진해작용이 나타난다.

페놀레드 시험에서 선복화는 아주 양호한 거담작용이 있다.

선복화의 플라보노이드는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기니피그의 기관지 경련성 천식에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고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기니피그의 기관지 경련에 길항작용이 있다.

2. 항염

선복화를 달인 약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파두유(巴豆油)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In vitro RAW264.7 대식세포 항염실험에서

1-O-acetylbritannilatone은 핵전사인자 NF-κB가

타깃 유전자의 프로모터에 결합함으로써 항염반응을 나타내며

사이클로옥시게나제-2와

유도성 산화질소합성효소(iNOS)의 유전자발현을 억제함으로써,

프로스타글란딘 E2와 일산화질소의 합성을 억제하여

항염작용을 유도한다.

에고라이드, 2,3-디하이드로아로마티신, 비겔로빈은

지질다당(LPS)으로 유도된 산화질소합성 활성에 대하여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이눌리신에도 항염작용이 있다.

3. 항균

In vitro 실험에서 선복화의 에탄올 추출물은

대장간균, 황색포도상구균, 고초간균 등에 대하여

모두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이는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

주요 항균성분이기 때문일 것으로 생각된다.

4. 간 보호

선복화 열수 추출물을 주사로 투여하면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와 LPS로 유발된

간 손상 Mouse의 생존율을 제고할 수 있는데

그 유효성분은 타락사스테롤이다.

5. 혈당강하

선복화의 수액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알록산으로 유발되어 당뇨가 유도된 Mouse의

혈청 중성지방(TG) 함량을 낮추고

혈장 중의 인슐린 농도를 높이며

물과 식물의 소모량을 대폭 감소시킨다.

또한 혈당을 뚜렷하게 낮출 뿐만 아니라

정상적인 Mouse의 혈당에 대한 영향을 아주 작게 한다.

6. 항종양

In vitro 실험에서 브리타닐라이드와 에레모브리타닐린은

인체백혈병 P388 세포주의 생장을 억제한다.

1,6-O,O-디아세틸브리타닐락톤도

종양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나타난다.

7. 기타

선복화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돼지 알도스 환원효소에 대해 비교적 양호한 억제작용이 있으며

당성 백내장에 대해 예방효과가 있다.

선복화 에탄올 추출물은

동물성 유지에 대해서도

비교적 양호한 항산화작용이 있다.

이눌리신에는 중추신경계통 자극효과가 있고

장평활근운동, 항궤양, 이뇨, 심장박동억제 등의 약리활성이 있다.

용도

선복화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강기화담(降氣化痰, 기가 역상하는 것을 끌어내리고 가래를 없앰),

*강역지구(降逆止嘔, 기가 치솟은 것을 내리고 구토를 멈추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해수담다(咳嗽痰多, 기침할 때 소리가 나고 많은 가래도 나오는 증상),

*담음적체(痰飮積滯)로 인한

흉격비만(胸膈痞滿, 가슴이 더부룩하고 그득한 감이 있는 증상),

*트림, 구토, 흉협통(胸脇痛, 가슴과 옆구리가 아픈 증상)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급 · 만성 기관지염, 기관지 천식 등에 사용한다.

해설

《중국약전》에서 규정한 선복화의 정식 내원종은

금불초와 유라시아선복화(歐亞旋覆花, Inula britannica L.)의

꽃으로 한정하고 있다.

금불초와 유라시아선복화는 매우 유사한데

잎의 모양과 잔털로 겨우 구별할 수 있다.

함유성분과 약리작용도 큰 차이가 없다.

가는금불초(條葉旋覆花, I. linariifolia Turcz.)도

습성과 분포가 선복화와 유라시아선복화에 가깝고

식물형태도 유사하기 때문에 채집과정에 쉽게 혼용될 수 있다.

가는금불초의 꽃은 임상에서 사용할 때

과다한 구토의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금불초의 약용으로 적합하지 않으며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하다.

일본에서 금불초는 위를 튼튼하게 하고 가래를 풀고

소변을 이롭게 하는 약으로 쓰인다.

민간에서는 진토(鎭吐)를 위해 사용한다.

러시아에서는 유라시아선복화를 해경제(解痙劑)로 사용하고

위장동통, 풍습, 치질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그 밖에 전초 혹은 뿌리줄기를

거담, 이뇨, 발한, 설사약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신선한 잎을 외상에 바르면 피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유과(幼果) 혹은 미성숙한 열매의

열매껍질을 말려 약으로 사용하는데

청피(青皮)라고 한다.

귤의 흰색 섬유질을 제거한 외층 열매껍질 및

성숙된 씨를 말려 약으로 사용하는데

각각 귤홍(橘紅)과 귤핵(橘核)이라고 한다.

귤나무속(Citrus)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0종이 있는데

원산지는 아시아 동남부와 남부이며

현재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모두 재배된다.

중국에 약 15종이 있는데 그중 대다수는

재배종으로 모두 약으로 사용한다.

귤은 주로 중국의 남부 지역에 분포한다.

진피는 ‘귤피(橘皮)’란 명칭으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청피란 명칭은 《진주낭(珍珠囊)》에 처음 기재되었다.

중국에서 오늘날까지

중약 진피, 청피의 약재로 사용된 것은

모두 귤 및 그 재배변종(栽培變種)이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귤 및 그 재배변종을 중약 진피, 청피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하였으며

주요산지는 중국의 강소, 안휘, 절강, 광동, 사천,

호북, 호남, 복건, 대만 등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진피를

“운향과에 속하는 귤나무(Citrus unshiu Markovich)

또는 귤(Citrus reticulata Blanco)의 잘 익은 열매껍질”로,

청피를 같은 식물의 “덜 익은 열매껍질”로 등재하고 있다.

귤나무속 식물에는 주로

정유와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함유되어 있으며

이 속 식물에 일반적으로 함유된 활성성분은 헤스페리딘이다.

《중국약전》에서는 헤스페리딘을 대조품으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진피 약재에 함유된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3.5% 이상으로,

청피 약재에 함유된 헤스페리딘의 함량을 5.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진피에는 위장운동 촉진, 항위궤양 등의 작용이 있다.

청피에는 위장평활근 억제, 항위궤양, 심혈관계 흥분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진피는 이기건비(理氣健脾), 조습화담(燥濕化痰) 등의 효능이 있고

청피에 소간파기(疏肝破氣), 소적화체(消積化滯)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진피(陳皮)

1. 거담(祛痰), 평천(平喘), 지해(止咳)

진피의 정유 및 리모넨은 자극성 거담작용이 있고

진피의 알코올 추출물은 히스타민으로 유발된

기니피그의 적출기관의 수축을 길항할 수 있다.

진피의 열수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Mouse 기관지의 효소분비량을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다.

2. 위장운동 조절

진피의 열수 추출물을 복용하면

네오스티그민으로 유발된 Mouse의

위장공복 촉진과 소장 추진운동 항진을 길항할 수 있고

아트로핀 및 아드레날린으로 유발된 Mouse의

위장공복 촉진을 억제하는 등 위장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

그와 반대로 진피의 열수 추출물을 복용하였을 때

Mouse의 위장공복 및 소장추진운동을 촉진할 수도 있으며

아트로핀으로 유발된 장추진운동 억제를 길항할 수 있다.

3. 평활근에 대한 작용

진피의 열수 추출물은 Mouse, Rat의 적출된

결장평활근의 수축폭과 빈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토끼의 적출된 주동맥평활근 수축력을 제고할 수 있는데

이는 농도 의존적으로 작용한다.

4. 혈압 상승

진피의 수용성 알칼로이드는

Rat의 혈압을 뚜렷하게 높일 수 있는데

일정 농도 범위 내에서 농도와 시간에 비례한다.

5. 활성산소 제거 및 항산화

진피의 75% 추출물, 에탄올 추출물, 정유성분에는

뚜렷한 활성산소 제거와 항산화 활성이 있다.

6. 항종양

진피의 추출물(주요성분은 노피레틴)은

in vitro에서 인체폐암세포, 인체직장암세포 및

신장암세포에 대해 모두 뚜렷한 생장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의식성 종양인

육종 S180과 간암의 생장을 억제함과 동시에

암세포의 자멸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7. 기타

귤즙은 Rat의 죽상동맥경화를 억제할 수 있고

콜레스테롤과 중성지방의 함량을 낮출 수 있다.

귤 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은

Mouse의 간장에 대한 만손주혈흡충의 감염을

뚜렷하게 감소시킬 수 있다.

청피(靑皮)

1. 위장운동 조절

청피 및 그 초제(醋製) 열수 추출물은

Rat의 적출된 십이지장의 자발활동을 억제할 수 있고

아세틸콜린으로 유발된 위장관 수축작용을 뚜렷하게

길항할 수 있으며 소장을 이완시킬 수 있다.

2. 평활근에 대한 작용

청피와 진피는 모두 Rat 실험 소장평활근 수축곡선의

평균 진폭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청피의 작용이 진피보다 강하다.

청피의 열수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Rat의 적출된 자궁평활근의 수축활동을 억제할 수 있다.

3. 혈압 상승

청피의 주사액을 복강에 주사하면

국부뇌허혈이 있는 Rat의 혈압을 뚜렷하게 상승시키고

뇌경색조직을 축소시킬 수 있으며 뇌수종을 감소시킬 수 있는 등

뚜렷한 뇌 보호작용이 있다.

4. 보간이담(保肝利膽)

청피의 열수 추출물을 십이지장에 주입하면

Rat의 담즙분비량을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고

사염화탄소로 손상된 Rat의 담즙분비를 촉진함과 동시에

간세포기능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5. 진통

청피 및 그 포제품 물 추출물을 복용하면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자극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고

열판자극으로 유발된 통증에 대해 뚜렷한 통증역치 상승이 나타나는데

초제품(醋製品)의 진통작용이 가장 탁월하다.

용도

귤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진피

이기건비

[理氣健脾, 이기하고 비허(脾虛)로 인한 운화기능 감퇴를 치료함],

조습화담

[燥濕化痰, 습사(濕邪)를 제거하고 가래를 없애는 것] 등의 효능이 있으며,

비위기체(脾胃氣滯, 비위의 기가 막힌 것),

습담[濕痰, 습하고 탁한 것이 체내에 오래 정체되어 생기는 담(痰)]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급성 유선암 등의 병증에 진피를 사용한다.

진피의 추출물은 혈압을 상승시키는데

그의 주요 활성성분은 시네프린으로

감염성 쇼크와 유행성 출혈열로 인한 저혈압의 병증에 사용한다.

청피

소간파기

[疏肝破氣, 간기(肝氣)가 울결(鬱結)된 것을

흩어트리고 없애는 효능] 등의 효능이 있으며,

기체혈어(氣滯血瘀, 기가 몰린 지 오래되어 어혈이 생긴 것)의

징가적취[癥瘕積聚, 여성 생식기에 발생하는 종괴(腫塊)로 인한 동통]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쇼크의 병증에 사용하는데

예를 들면 출혈열 저혈압 쇼크, 감염성 쇼크,

심원성 쇼크, 과민성 쇼크와 신경원성 쇼크이다.

해설

귤의 건조한 외층 과일 껍질은

약으로 쓰는데 귤홍(橘紅)이라고 한다.

또한 잘 익은 씨를 말려 약으로 쓰는데

귤핵(橘核)이라고 한다.

귤홍은 산한(散寒), 조습(燥濕),

이기(利氣), 소담(消痰) 등의 작용이 있으며

귤핵(橘核)은 이기(理氣), 산결(散結),

지통(止痛) 등의 작용이 있다.

귤은 중국에서 광범위하게 재배되는데

귤잎도 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열매는 주로 식용으로 이용되는데

풍부한 비타민과 기타 인체에 유용한 물질이 있다.

따라서 귤은 약용가치와 경제가치가 매우 높은 식물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국화속(Chrysanthemum) 식물은

전 세계에 약 30종이 있으며

중국, 일본, 한반도, 러시아 등지에 분포한다.

중국에 약 17종이 있는데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4종으로 중국의 각 성에서 모두 난다.

국화(菊花)는 ‘국화(鞠華)’란 약명으로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도 많이 기재되었는데

그 기원식물은 모두 국화 및 재배로 변화된 종이다.

중국은 역사적으로

예국(藝菊)과 약국(藥菊)의 재배가 평행하게 발전되어 왔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국화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하였으며

주요산지는 섬서, 감숙, 하남, 안휘, 절강, 강서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국화를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국화(Chrysanthemum morifolium Ramatuelle)의 꽃”으로

등재하고 있다.

국화에는 주로 정유, 플라보노이드,

세스퀴테르페노이드, 트리테르페노이드 등의 성분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 중 클로로겐산의 함량을 0.20% 이상으로,

루테올로시드의 함량을 0.080% 이상으로,

3,5-디카페오일 퀸산(3,5-dicaffeoyl quinic acid)의 함량을

0.7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국화에는 해열, 항염, 항균, 항바이러스,

항산화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국화는

산풍청열(散風清熱),

평간명목(平肝明目)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해열

국화의 침고(浸膏)를 복강에 주사하면

발열된 집토끼에 대해 해열작용이 있다.

2. 항염

국화의 추출물을 Mouse의 복강에 주사하면

피하에 히스타민을 주사하여 유발된

모세혈관 투과성의 증가를 길항할 수 있다.

국화에서 분리해 낸 타락사스테롤, 파라디올, 헬리안트리올 등은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TPA)로 유발된

Mouse의 염증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3. 항병원미생물

국화에 함유된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은

검은 곰팡이균, 녹농간균 등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국화에 함유된

Apigenin-7-O-β-D-(4’-caffeoyl)glucuronide,

Acacetin-7-O-β-D-galactopyranoside 등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은 항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anti-HIV)의 작용이 있다.

국화의 에탄올 추출물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의 접종말라리아원충의 생장발육을 억제할 수 있고

클로로포름 추출물을 복강에 주사하면 Rat의

접종말라리아원충의 포자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4.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국화의 물 추출물은 혈액결핍성 재관류로 유발된

Rat의 심근수축기능 및 관상동맥 혈류량 감소를 길항할 수 있으며

심근혈액부족 혹은 혈액부족에 대해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다.

국화의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은

페닐레프린으로 유발된 Rat의 혈관수축을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할 수 있고 명확한

혈관이완작용이 있다.

국화의 알코올 추출액은 in vitro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어린 소의 혈관평활근 세포괴사를

억제할 수 있다.

5. 항산화, 항노화

국화의 물 추출물 및 플라보노이드에는

뚜렷한 항산화 활성이 있다.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혈중 글루타치온과산화효소(GSH-Px)의 활성을

뚜렷하게 증강할 수 있고 D-갈락토오스로 유발된

지질과산화(LPO)를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다.

인체세포의 유리기에 대한

제거작용을 증강할 수 있으며 노화를 억제시킬 수 있다.

6. 항종양, 항돌연변이

국화에서 분리해 낸 트리테르페노이드 성분은

TPA로 유발된 Mouse의 피하종양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고

인체암세포에 대해 세포독성이 있다.

국화의 메탄올 추출물에는 항돌연변이작용이 있다.

7. 기타

국화의 에탄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Rat의 사이토크롬 P450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용도

국화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소산풍열[疏散風熱, 풍사(風邪)와 열사(熱邪)를 소산(消散)시키는 것],

*풍열감모[風熱感冒, 감모(感冒)의 하나로 풍열사(風熱邪)로 인해 생긴 감기],

*정창종독[疔瘡腫毒, 독기를 감수하여 생긴

정창(疔瘡)이 진행되면서 붓고 아픈 것]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결막염, 고혈압, 관상동맥죽상경화증,

심교통(心絞痛, 가슴이 쥐어짜는 것처럼 몹시 아픈 것)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국화는 중국위생부에서 규정한 약식동원품목의 하나이며

화서 외에도 줄기, 잎, 뿌리 모두를 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2,000여 년의 재배과정에서

산지와 생태 및 가공방법이 상이함에 따라

8대 주류상품으로 나뉘는데

절강 동향(桐鄉)과 해녕(海寧)의 항국(杭菊),

안휘 보현(亳縣)의 보국(亳菊),

하북 안국(安國)의 기국(祁菊),

안휘 저현(滁縣)의 저국(滁菊),

하북 무척(武陟)의 회국(懷菊),

안휘 흡현(歙縣)의 공국(貢菊),

절강의 황국(黃菊),

산동 제녕(濟寧)의 제국(濟菊) 등이다.

그중 생산량과 판매량이 가장 많은 것은

약차(藥茶)가 병행되는 항국이다.

근래 각국에서는

국화의 함유성분에 대한 연구가 비교적 많아졌다.

하지만 상이한 품종의 국화는

산지, 지형, 채집 등 방법에 따라 용도와 효능이 다르다.

그들의 성분, 약용효과가 동일한지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국화의 에탄올과 클로로포름 추출물은

항말라리아원충작용이 있기 때문에

말라리아 치료의 새로운 약으로

개발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주목할 필요가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바디나물속(Angelic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80종이 있는데 중국에 약 26종, 변이종 1종이 있다.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약 16종이다.

구릿대는 주로 중국의 하북, 하남 두 성에서 재배되는데

기타 북방의 각 성에도 흔히 재배된다.

‘백지’의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중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의 본초서적에도 많이 수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백지의 법정기원식물 중 하나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하남의 우현(禹縣), 장갈(長葛),

상구(商丘) 및 하북의 안국(安國) 등이다.

상품명으로는 우백지(禹白芷)와 기백지(祁白芷)가 있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백지를

“산형과에 속하는 구릿대(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f.)

또는 항백지(杭白芷, Angelica dahurica Bentham et Hooker f.

var. formosana Shan et Yuan)의 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구릿대에는 주로 쿠마린과 방향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쿠마린 화합물은 구릿대의 주요 활성성분이다.

《중국약전》에서는 임페라토린을 대조품으로 하여

백지에 함유된 임페라토린의 함량을 0.08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구릿대는

해열, 진통, 항염, 혈관확장 혹은 수축, 광과민,

지방분해 촉진, 지방합성 억제, 해경(解痙),

항미생물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백지에 산풍제습(散風除濕),

통규지통(通竅止痛), 소종배농(消腫排膿)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해열, 항염, 진통

배부피하(背部皮下)에 펩톤을 주사하여

발열이 유발된 집토끼에 백지의

열수 추출물을 경구투여하면 뚜렷한 해열작용이 있다.

디메틸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고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경련반응을

억제함과 동시에 통증역치를 뚜렷하게 증가시킨다.

백지의 초임계 추출물 유제(乳劑)를

코의 점막에 넣으면 비교적 빠르게

뇌의 보호벽을 투과하여 Rat의 뇌조직 안으로 들어가는데

이는 비강에 약을 주입하였을 때 편두통을 치료할 수 있는

근거를 뒷받침한다고 할 수 있다.

2. 심혈관 및 혈액계통에 대한 영향

백지의 쿠마린 성분인 바이아칸겔리신은

관상혈관을 확장시킬 수 있고

이소임페라토린은 실험 개구리의 심장수축력을

낮출 수 있다.

In vitro 실험에서 표명하다시피

백지의 에테르 용해성 성분은

혈관을 확장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수용성 성분은 혈관을 수축하는 작용이 있다.

백지 수용성 성분을 위에 주입하면

Mouse 응혈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3. 피부에 대한 작용

백지에 함유된 푸로쿠마린 화합물은

광과민작용이 있기에 광화학요법을 사용하여

마른버짐을 치료할 수 있다.

광민활성은 임페라토린이 가장 강한데

그다음으로 크산토톡솔, 이소임페라토린, 펠로프테린이다.

백지의 에탄올 추출물은

체외배양의 멜라닌세포의 침착과 전이를

뚜렷하게 증가시킬 수 있는데

이로써 백전풍(白癜風)에 대한 치료작용을 나타낸다.

백지의 물 추출물은

체외배양의 Mouse의 촉발모낭에 대해

뚜렷한 생장 촉진작용이 있다.

4. 평활근에 대한 영향

백지의 에테르 용액과 수용성 성분은

모두 실험용 집토끼의 소장 자발성 운동을 억제할 수 있고

염화바륨으로 인한 강직성 수축을 억제할 수 있다.

에테르 용해성분은

또 피소스티그민과 메칠프로스티그민으로 유발된

장관 강직성 수축을 길항할 수 있다.

5. 항종양

백지는 독소호르몬-L로 유도된

악성 종양의 발현을 뚜렷하게 억제할 수 있는데

백지 중에서 분리해 낸 임페라토린은

독소호르몬-L로 유도된 지방분해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백지 열매에 함유된 에르고스테롤 과산화물은

3종의 종양세포에 대해 강력한 억제활성을 나타내며

3-hydroxy-p-methyl-1-alkene-6-ketone은

마우스 흑색종양세포 B16-F10의 증식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다.

백지 및 그 속에 함유된 임페라토린과 이소임페라토린은

in vitro에서 종양 촉진제

12-O-tetradecanoylphorbol-13-acetate의 활성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다.

6. 기타

백지는 또한 중추신경계통을 흥분시킬 수 있다.

백지에 함유된 임페라토린과 바이아칸겔리신에는

뚜렷한 간 보호작용이 있다.

백지의 헥산 및 에스테르 추출물은

간장약물대사효소 대해 억제작용이 있지만

백지 중에서 분리해 낸 펠로프테린과 바이아칸겔리신은

간장약물효소에 대해 억제와 상향작용을 유도한다.

백지에서 분리해 낸 바이아칸겔리신 및

tert-O-methylbyakangelicin은

알도오스 환원효소를 억제할 수 있고

Rat의 백내장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다.

용도

백지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해표산풍[解表散風, 풍사(風邪)를 인체 밖으로 내보내는 것],

*통규[通竅, 구규(九竅)를 막히지 않게 소통시키는 효능],

*소종배농[消腫排膿, 옹저(癰疽)나 상처가 부은 것을 가라앉힘] 등의

효능이 있으며,

외감풍한[外感風寒, 외감(外感) 중

풍사와 한사(寒邪)가 인체 내로 침입한 증상],

두통, 비색(鼻塞, 코 막힘),

양명두통(陽明頭痛, 상한양명병(傷寒陽明病) 때 나는 두통),

치통, 비연(鼻淵, 코에서 끈적하고 더러운 콧물이 흘러나오는 병증),

풍습비통(風濕痹痛, 풍습으로 인해 관절이 아프고, 통증이 심해지는 증상),

대하과다[帶下過多, 생식기의 점막을 습윤(濕潤)하는 분비물인 대하(帶下)가 과다한 증상],

창옹종독(瘡癰腫毒, 부스럼의 빛깔이 밝고 껍질이 얇은 종기가 헌 곳 또는 헌데의 독),

피부풍습소양[皮膚風濕瘙癢, 풍사와 습사(濕邪)가 겹친 것으로 관절이 아프고,

만지면 통증이 심해져서 피부가 가려운 증상],

독사에 물린 상처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소화성 궤양, 충수염(蟲垂炎),

월경불순, 월경통, 분강염(盆腔炎, 골반내염),

관절낭적수(關節囊積水, 관절낭 내에 물이 고임),

고환내막적수(睪丸內膜積水, 고환의 내막 안에 물이 고임),

간경화복수(肝硬化腹水, 간경화로 인해 배에 물이 차는 것),

백내장, 화상,

좌창[痤瘡, 여드름 등으로 얼굴 등의 피부에

가시 같은 구진(丘疹)이 생긴 것],

황갈반(黃褐斑, 여성들 안면의 광대뼈 부위,

이마, 코에 황갈색 반점이 나타나는 병증),

은설병[銀屑病, 홍반(紅斑)과 구진으로 인하여

피부 표면에 여러 층으로 된 백색 비늘가루가 생기는 병증],

백전풍(白癜風, 피부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탈모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또한 화장품과 향수의 원료로도 사용한다.

해설

구릿대는 중국위생부에서 규정한

약식동원품목중 하나이다.

《중국약전》에서는 또 동속식물 항백지

(杭白芷, Angelica dahurica (Fisch. ex Hoffm.) Benth.

et Hook. f. var. formosana (Boiss.) Shan et Yuan)를 수록하고 있는데

이 역시 중약 백지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사천, 절강 등이며

그 함유성분은 백지와 대체적으로 유사하다.

구릿대를 원식물로 하는 백지 약재로는

중국 하남의 우현, 장갈, 상구를 주요산지로 하는 우백지,

하북의 안국을 주요산지로 하는 기백지가 있다.

항백지를 기원식물로 하는 백지로는

중국의 사천을 주요산지로 하는 천백지,

절강을 주요산지로 하는 항백지가 있다.

현재 사천의 수녕에는 이미

구릿대의 대규모 재배단지가 조성되어 있다.

구릿대도 훌륭한 향료와 조미료의 식물자원이다.

역대의 본초서적에서는

‘백지는 얼굴을 촉촉하게 하고 얼굴의 흠집을 제거한다’라고 기재했다.

현대의 연구를 통하여 백지는 확실히 햇볕을 차단하고

자외선을 막아 주며 타이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작용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문헌에서도 백지는

피부광독성(皮膚光毒性)에 대한 방어능력이 있다고 보도했다.

때문에 이 방면의 약리연구가 추가적으로 진행되어야 하며

이를 통하여 구릿대 자원의 다양한 개발과 이용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곡궐속(Drynar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6종이 있으며

주로 아시아에서부터 대양주에 걸쳐 분포한다.

중국에 약 9종이 있는데 약으로 사용되는 것이 5종이다.

이 종은 양자강 이남 각 성에 분포하며

베트남, 라오스, 캄보디아, 태국, 인도에도 분포하는 것이 있다.

‘골쇄보’란 약명은

《약성론(藥性論)》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이

중약 골쇄보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호남, 절강, 광서, 강서 등이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골쇄보를

“곡궐(Drynaria fortunei J. Smith, 고란초과)의 뿌리줄기로서

그대로 또는 비늘조각을 태워 제거한 것”으로 등재하고 있다.

곡궐에는 플라보노이드와 트리테르페노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중 나린진은 손상된 뼈에 대해 뚜렷한 유합작용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나린진의 함량을 0.5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골쇄보는

보신강골(補腎強骨), 속상지통(續傷止痛)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골격에 대한 영향

1) 골격생장발육 촉진

골쇄보의 추출액은

병아리의 골격발육성장에 뚜렷한 촉진작용이 있는데

약물투여군의 대퇴골의 수분 함량, 체적, 단위 피질골 내의

칼슘, 인, 하이드록시프롤린 및 헥소사민의 함량이

대조군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

골쇄보의 주사액은 배양 중인 닭의 골배아조직에서

칼슘과 인의 축적을 촉진시킬 수 있고

배양조직 중의 알칼리포스파타제(ALP)의 활성을 촉진하며

당단백의 합성을 촉진할 수 있다.

동시에 당단백의 합성 촉진이

칼슘화를 촉진하는 주요요인임이 증명되었다.

2) 골절부 유합 촉진

골쇄보를 달인 약액은 Rat의

실험성 뒷다리 골절의 유합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는데

나린진이 주요 활성성분이다.

골쇄보가 골절 유합을 촉진하는 원리는

혈중 칼슘과 인 농도의 증가, 혈청 ALP의 활성,

골구조조직의 형질전환생장인자-β1(TGF-β1)

발현 증가 등과 관련이 있다.

3) 항골다공증

골쇄보를 달인 약액은 아세트산코르티손으로 유발된

Rat의 골질 손실에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난소 제거로 유발된 Rat의 골질 감소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골쇄보를 달인 약액은 골소주(骨小柱)의 너비와 밀도를 증가시키며

골소주의 간극을 감소시킴으로써 골다공증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2. 항아미노글리코사이드 및 항생소독성

골쇄보는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유발된

기니피그 달팽이관의 1, 2차 모세포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한 스트렙토마이신으로 유발된 Mouse의 운동평행기능 실조,

체중저하, 신장기능 손상 등 독성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다.

골쇄보와 카나마이신을 함께 사용했을 때

카나마이신은 기니피그 달팽이관의 독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데

그 해독작용의 기전은 아마도 신장과 심장에 대한

보호작용을 통하여 발현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항염

골쇄보의 플라보노이드는 디메칠벤젠으로 유발된

Mouse의 귓바퀴 종창과 단백으로 유발된 Rat의 발바닥 종창 및

면구육아종에 대하여 억제작용이 있다.

또한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복강세포혈관확장과 삼투율 증가에 대해서도 길항작용이 있다.

4. 진통

골쇄보의 플라보노이드는

자극통증에 대한 역치값을 상승시킬 수 있고

초산으로 유발된 Mouse의 자극반응과

열판자극으로 인한 통증에도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5. 강혈지(降血脂)

골쇄보 주사액은 고지혈증이 있는

집토끼의 혈지, 콜레스테롤, 트리글리세리드를 감소시킴과 동시에

동맥죽상경화로 인한 반괴의 형성을 방지할 수도 있다.

6. 항급성 신장기능 감퇴

골쇄보의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을

돼지 혹은 Mouse의 근육에 주사하면 신장독성을 예방할 수 있고

신장기능을 촉진할 수 있으며 신장상피소관세포의 재생을 촉진하는 작용이 있다.

급성 신장기능 감퇴에 대해서도 보호작용이 있다.

7. 기타

골쇄보의 디하이드로플라보노이드 배당체에는 진통작용이 있다.

용도

골쇄보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보신강골[補腎强骨, 신(腎)을 보하고 뼈를 강하게 함]의 효능이 있으며,

타박좌상, 근골의 손상,

혈어종통(血瘀腫痛, 피가 맺혀서 피부가 부으면서 쑤시고 아픔),

신허로 인한 요슬산연(腰膝酸軟, 허리와 무릎이 시큰거리고 힘이 없어지는 증상),

이명(耳鳴, 귀울림)과 이롱(耳聾, 소리를 듣지 못하는 증상),

치아가 흔들리는 것, 치통, 오랜 설사, 원형탈모증,

백전풍(白癜風, 피부에 흰 반점이 생기는 병증)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원발성 골다공증, 골절,

퇴행성 골관절염, 스트렙토마이신 부작용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홍콩과 광동 지역 등 골쇄보를 습관적으로 사용하는 지역에서는

수룡골과 식물인 애강궐(崖姜蕨, Pseudodrynaria coronans (Wall.) Ching)의

뿌리줄기를 사용하는데 중약명은 대쇄보(大碎補)이다.

효능은 골쇄보와 유사하며 《광동중약지(廣東中藥志)》에 수록되어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차풀속(Cass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600종이 있고

세계의 열대와 아열대 지역에 주로 분포하며

소수가 온대 지역에 분포한다.

중국에서 자생하는 것은 10여 종이고

파종하여 재배되는 것은 총 20여 종이다.

이 속에서 현재 약으로 사용되는 것은

대략 20종이며 이 종은 중국의 각 성에서 모두 재배된다.

‘결명자’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중국에서 오늘날까지 사용해 온 중약 결명자는

모두 이 속의 여러 종 식물이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서는 이 종을

중약 결명자의 법정기원식물 내원종 가운데 하나로 수록하였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강소, 안휘, 사천 등이며

상술한 지역의 생산량도 비교적 많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결명자를 “콩과에 속하는 결명자(Cassia tora Linne)

또는 결명(Cassia obtusifolia Linne)의 잘 익은 씨”로 등재하고 있다.

차풀속 식물의 주요 활성성분은 안트라퀴논 유도체이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 중 크리소파놀의 함량을 0.20% 이상,

아우란티오 옵투신의 함량을 0.080% 이상으로,

음편(飲片) 중 두 성분의 함량을

각각 0.12%, 0.08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결명자에는 강압, 혈지조절, 간장 보호,

면역조절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결명자는

청간명목(清肝明目),

윤장통변(潤腸通便)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혈압강하

결명자의 수침액(水浸液), 알코올 물 침출액 및

에탄올 침출액을 위에 주입하면 마취된 개, 고양이,

토끼 및 Rat에 대해 모두 항혈압 작용이 있고

자발성 유전성 고혈압이 있는 Rat의

수축혈압과 이완혈압을 동시에 낮출 수 있는데

그 강압 유효물질은 안트라퀴논 배당체 및 올리고당일 것으로 예상된다.

2. 혈지조절

결명자 가루,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

부탄올 추출물과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모두 고지혈증이 있는 Rat의 총콜레스테롤(TC)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고 고밀도지단백(HDL)의 수치를

뚜렷하게 높일 수 있는데 그 주요 활성성분은 배당체,

단백질 및 다당 등인 것으로 보인다.

In vitro 실험에서 결명자의 종자침고(種子浸膏)는

콜레스테롤의 합성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3. 항균

In vitro 실험에서 결명자의 에칠에스테르 추출액 및

초산에탄올 추출액은 황색포도상구균, 대장간균, 고초간균,

산기간균 등에 대해 모두 비교적 강한 억제작용이 있다.

4. 간장 보호

결명자의 물 추출물은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Rat의 간장 손상과

D-갈락토오스 혹은 지질다당(LPS)으로 유발된

Mouse의 간장 손상에 대해 모두 뚜렷한 보호작용이 있다.

5. 면역조절

결명자의 열수 추출 알코올침제를 피하에 주사하면

Mouse의 흉선을 뚜렷하게 위축시킬 수 있고

외주임파세포의 a-나프틸아세트산에스터가수분해효소(ANAE)의

염색양성률을 뚜렷하게 낮출 수 있다.

또한 2,4-디니트로클로로벤젠(DNCB)으로 유발된

Mouse 피부의 지발성과민반응(DTH)을 억제시키지만

혈청 용혈효소의 형성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 밖에 결명자의 열수 추출 알코올침제는

Mouse의 복강대식세포의 탐식계 적혈구 백분율과

탐식지수를 뚜렷하게 제고시킬 수 있으며

용혈효소의 수치도 뚜렷하게 제고시킬 수 있다.

이로써 결명자는 세포면역기능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고

체액면역기능에 대해서는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지만

대식세포의 탐식기능에 대해 증강작용이 있음을 알 수 있다.

6. 항혈소판응집

결명자의 글루코-옵투신페린,

글루코-크리소-옵투신 및 글루코-아우란터-옵투신은

아데노신이인산(ADP), 아라키도닉산(AA)

혹은 콜라겐으로 유발된 혈소판응집에 대해 강렬한 억제작용이 있다.

7. 기타

결명자에는 윤장통변, 명목(明目),

유문나선간균 억제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결명자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청간명목(清肝明目, 간열을 식혀서 눈을 맑게 함),

*윤장통변[潤腸通便, 장(腸)을 적셔 주고 대변을 통하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목적목암(目赤目暗, 눈 흰자위가 충혈되고

눈이 어두워 주위를 잘 분간하지 못하는 병증),

*장조변비(腸燥便秘,

*대장의 진액이 줄어들어 대변이 굳어진 것)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각막염, 고혈압, 부정맥 및

고지혈증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결명자는 중국위생부에서 규정한

약식동원품목의 하나이다.

《중국약전》에서는 이 종 외에도

동속식물 소결명(小決明, Cassia tora L.)을

중약 결명자의 법정기원식물로 수록하고 있다.

결명자의 함유성분 연구에서 알 수 있듯이

결명자와 소결명 사이의 성분 차이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동일한 조건하에서 두 가지 품종의 함유성분과 약효를

비교하여 연구할 필요가 있다.

결명자는 넓게 분포하기 때문에

자원을 확보하기 쉬우며 다양한 약용가치가 있다.

특히 고혈압, 고지혈, 습관성 변비 등의 치료에

비교적 좋은 효과가 있다.

아직까지는 이런 질병을 치료하는 특효약물이 없기 때문에

결명자는 이 부분에 전망이 아주 좋다.

그 밖에 결명자에는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와

여러 종의 기능유전자가 풍부히 들어 있어

양호한 약식동원건강식품의 원료라고 할 수 있다.

결명자를 구워 말리면 짙은 커피향이 나고

유화성(乳化性)과 가공성이 모두 비교적 좋다.

따라서 다양한 형태의 건강식품을 만들 수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새삼속(Cuscut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170종이 있으며

전 세계의 난 · 온대 지역에 넓게 분포한다.

주요산지는 아메리카이며 중국에 9종이 있다.

이 속 식물 중에서 약재로 사용되는 것이 4종이다.

갯실새삼은 중국 각지에 대부분 분포하는데 북방의 각 성에 주로 분포한다.

‘토사자’의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상품으로 처음 기재되었으며,

역대 본초서적에 많이 수록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토사자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주요산지는 중국의 산동, 하북, 산서, 섬서, 강소 등이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토사자를 “갯실새삼(Cuscuta chinensis Lamark, 메꽃과)의 씨”로

등재하고 있다.

갯실새삼에 주로 함유된 성분은

플라보노이드 화합물이며

그 외에 리그난, 쿠마린 등의 성분이 있다.

그중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갯실새삼의 주요 약리활성성분이다.

대다수 갯실새삼에 대한 연구에서는 플라보노이드 성분인

쿠에르세틴과 캠페롤을 지표성분으로 하여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건조시료 중 히페로시드의 함량을 0.1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갯실새삼에는

성기능 증강, 정자운동 촉진, 면역력 조절, 간 보호,

항노화 및 눈을 밝게 하는 작용이 있다.

한의학에서 토사자는

보간신(補肝腎), 명목(明目), 익정(益精),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생식계통에 대한 작용

토사자를 달인 약액은

초파리에 대해 성활력작용이 있다.

토사자는 인체의 정자운동을 촉진한다.

토사자의 플라보노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Rat의 뇌하수체, 난소, 자궁중량을 증가시키며

난소융모자극호르몬/황체형성호르몬의 분비 및

뇌하수체에 대한 생식선자극호르몬 방출호르몬의

반응성을 증강시킨다.

토사자의 플라보노이드는

미성년 수컷 Mouse의 고환 및 부고환의 중량을 증가시킨다.

체외배양된 인체조임융모 조직의 분비 및

Rat의 적출고환간질 세포에서 테스토스테론의 분비를 촉진한다.

토사자의 플라보노이드를 위에 주입하면

스트레스성 Rat 하구뇌신경전달물질인

β-아드레날린을 감소시키고

뇌하수체의 LH 수준을 상승시키는데,

이는 토사자의 플라보노이드가

뇌하구-뇌하수체-성선축의 기능을 조절함으로써

발현되는 것으로 보인다.

2. 면역조절

토사자의 유효성분인

하이페린의 중용량(300mg/kg & 150mg/kg)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의 흉선중량, 복강대식세포의 탐식기능,

비장 T임파세포 및 B임파세포의 증식 등에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소용량(50mg/kg)을 주사하면

Mouse의 비장 T임파세포, B임파세포의 증식반응과

복강대식세포의 탐식기능 증강이 뚜렷하다.

In vitro 실험에서도

적당한 농도의 하이페린이

면역세포의 기능을 증강하는 효과가

뚜렷하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3. 항노화

토사자를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D-갈락토오스로 유발된 노화모델 Mouse의

적혈구 C3b수용체화환율(RBC · C3bRR)을 높이고

Mouse의 면역복합물화환율(ICR)을 저해한다.

노화모델 Mouse의 적혈구 면역효능을

뚜렷하게 증강하고 노화작용을 지연시키는 작용이 있다.

4. 간 보호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Mouse의 간 손상에

토사자 추출액을 주입하면

혈청 글루타민산 피루빈산 트랜스아미나제(GPT),

혈중 젖산, 초성포도산 등의 수준을 낮추고

간의 당원과 부신의 아스코르브산 수준을 높여 준다.

이와 같은 작용으로

토사자는 간 보호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5. 명목작용

토사자를 위에 주입하면 D-갈락토오스로 유발된

Rat의 백내장 형성을 늦출 수 있는데 그 작용기전은

알도스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고 다원알코올탈수소효소,

헥소키나아제, 포도당-6-인산탈수소효소 등의

활성을 증강시킴으로써 발현한다.

토사자는 또한 백내장에 걸린 Rat의 수정체 중의

효소이상변화를 억제하거나 바로잡을 수 있다.

6. 기타

Mouse의 유영 및 산소결핍 내성 실험에서

토사자를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비특이성 저항력을 증강시킬 수 있다.

용도

토사자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보신고정[補腎固精, 신기(腎氣)가 견고하지 못해 발생하는

유정(遺精), 활설(滑泄)을 치료함],

*양간명목[養肝明目, 간(肝)의 음액(陰液)을 보태어 주어 눈을 밝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신허요통(腎虛腰痛, 신장의 기능이 허약해져서 나타나는 요통),

간신부족[肝腎不足, 간신음허(肝腎陰虛)와 같은 뜻으로

*간과 신장의 음혈이 부족하여 허약함]으로 인한

눈의 영양결핍 및 목혼목암(目昏目暗, 눈이 어두워져 잘 보이지 않는 병증),

*시력감퇴, 비장과 신장이 허하여 생기는 설사,

*간신부족으로 인한 신허소갈[腎虛消渴, 신(腎)의 정기(精氣)가 부족함으로

인한 소갈(消渴)]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만성 전립선염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토사자 외에 동속식물인

새삼(金燈藤, Cuscuta japonica Choisy, 일본토사자 혹은 대토사자라 불림),

남방토사자(南方菟絲子, C. australis R. Br.) 등이 있으며

중국의 대부분 지역에서는 토사자를 약으로 쓴다.

특히 남방토사자는

이미 토사자 약재의 주류품종의 하나로 인정받고 있다.

연구에서 증명된 바와 같이

남방토사자와 갯실새삼의

주요 함유성분과 효능은 매우 유사하다.

더욱 다양한 연구개발을 통하여 갯실새삼의 약용자원을

광범위하게 이용할 필요가 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개요

갯방풍속(Glehnia) 식물은 전 세계에 약 2종이 있는데

아시아 동부 및 북아메리카 태평양 연안에 분포한다.

중국에 1종이 있는데 약으로 사용된다.

이 종은 중국의 요녕, 하북, 산동, 강소, 절강, 복건,

대만, 광동 등에 분포하며 러시아, 일본, 한반도에도 분포한다.

‘사삼’이란 약명은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처음으로 기재되었다.

명나라 이전의 본초에서는

북사삼과 남사삼을 가르지 않았다.

북사삼이란 명칭은

《본초회언(本草匯言)》에서 처음으로 볼 수 있고,

청나라의 《본경봉원(本經逢源)》에서

비로소 북사삼과 남사삼으로 구분되었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수록된 이 종은 중약 북사삼의 법정기원식물이다.

상품은 주로 재배품 위주이며,

주요산지는 산동, 복건, 하북, 강소, 광동 및 요녕 등이다.

그중 산동 내양(萊陽)의 갯방풍이 가장 유명하다.

《대한민국약전》(11개정판)에는 해방풍을

“갯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idt ex Miquel, 산형과)의 뿌리”로

등재하고 있다.

갯방풍에는 주로 여러 종의 쿠마린 및 폴리아세틸렌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약재의 성상,

현미경 감별 특징 등을 이용하여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대한민국약전》에는

‘해방풍’이라는 명칭으로 등재되어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해방풍에는 진해(鎭咳), 거담(祛痰), 면역조절,

해열, 진통 등의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의학에서 해방풍은

양음청폐(養陰淸肺), 익위생진(益胃生津)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진해, 거담

해방풍의 에탄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암모니아수로 유발된 Mouse의 기침 발생빈도를

줄일 수 있고 기침의 잠복기를 연장할 수 있다.

또한 Mouse의 기관지 페놀레드 분비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2. 면역조절

해방풍을 달인 100% 약액, 5% 알코올 침출액 및

20% 다당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대식세포 탐식기능,

혈청 용균효소의 농도, 지발성과민반응(DTH) 등에

매우 뚜렷한 촉진작용이 있다.

알코올 침출액 및 다당류는 B세포 및 T세포 증식에 대해

억제작용이 있으며 열수 추출물은 B세포 증식에 대해

촉진작용이 있다.

3. 항돌연변이

해방풍의 수액과 에탄올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in vitro에서 3종의 양성돌연변이원

(2-AF, 2,7-AF, NaN3)에 의해 유발된 돌연변이 상한간균

TA98, TA100의 돌연변이 회복을 억제할 수 있다.

4. 해열, 진정, 진통

해방풍의 에탄올 추출물은

상한간균으로 인한 집토끼의 발열에 대해

체온강하작용이 있으며 집토끼의 치아 전기자극에 대해

진통작용이 있다.

갯방풍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을 투여하면

최면 유효량의 펜토바르비탈나트륨을 사용한

Mouse의 수면시간을 연장시키며

에칠아세테이트 추출물은 진통작용이 있다.

5. 기타

갯방풍 열매의 메탄올 추출물은

종양세포 MK-1, HeLa, B16-F10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다.

갯방풍 뿌리의 수액 추출물은

적혈구의 용혈작용을 강력하게 억제할 수 있고

해방풍 유기용매 추출물은

지질과산화(LPO) 반응에도 억제작용이 있다.

용도

해방풍은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양음청폐(養陰清肺, 음이 허한 것을 보하여 폐를 맑게 함),

익위생진(益胃生津, 위장을 도와 진액이 생기게 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폐음허로 인해 폐열이 생기거나 건조하여 생기는

건해(乾咳, 마른 기침), 건해담소(乾咳痰少),

인후 건조로 인한 사성,

위음허[胃陰虛, 위(胃)의 음액(陰液)이 부족함]로 인한 진액 부족,

진액 손상으로 인한 구조인건(口燥咽乾, 인후와 입안이 마른 것)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급 · 만성 기관지염, 폐결핵 등의 병증에 사용한다.

해설

갯방풍은 재배가 위주이며 야생은 매우 적다.

고증에 따르면

중국 고대의 남사삼(南沙蔘)과 북사삼(北沙蔘)은 모두

초롱꽃과 잔대속(Adenophora) 식물로,

갯방풍의 뿌리를 북사삼이라고 부른 것은 청나라 시기부터이다.

갯방풍의 일본어 번역명은 빈방풍(濱防風)으로 역

사적으로 특정 시기에 방풍으로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하지만 효능이 상이하여 현재의 방풍과는 차이가 있다.

해방풍에는 비교적 양호한 자음효과가 있는데

그 물질에 대한 작용기전 및 상관약리작용 등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즉 현재 국내에서 해방풍이라 유통되는 약초는

방풍이라는 약재와는 효능, 효과가 다르며,

오히려 잔대나 더덕과 같이 사용해야한다는 의미입니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