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내용

57세 이〇〇. 여자.

1973년 7월 경희의료원 부속한방병원에 필자의 진료를 받음.

자녀 분만한 경험이 없고 유산경험도 없음.

2년 전부터 발생하여 시내 큰 종합병원을 돌면서 치료하였고

1972년 8월 某병원에서 약 1개월간 입원하여 치료한 후에 퇴원하여

自家에서 계속 치료했으나 별 차도가 없었음.

주요 증후는

피부수포 皮膚水疱,

구순 口脣과 설舌 궤양 潰瘍,

황적색 黃赤色의 농포 膿疱를 형성하였고,

식사의 불편을 느끼고 동시에 疼痛으로 고생함.

二十四味敗毒散을 투여함.

1973년 7월 2일부터 100첩을 투여함.

100첩을 다 복용한 후 完治됨.

二十四味敗毒散은

文基洪의 『濟世寶鑑』(1933년 간행)에 나오는 처방으로서

『東醫寶鑑』의 三黃敗毒散을 말한다.

처방구성은

當歸, 川芎, 生地黃, 熟地黃, 白芍藥, 牛膝,

元防風, 荊芥, 白芷, 漢防己, 忍冬藤, 桔梗,

羌活, 獨活, 白鮮皮, 薏苡仁, 連翹, 木通,

陳皮, 甘草, 黃栢, 知母, 山梔子, 黃連 各 3.75g(一錢).

每貼에 土茯苓 150g(四兩)을 가하고

물4〜5사발을 넣고 반으로 줄어들을 때까지 달여서

1일 3회 食遠(食後 두시간 이후) 복용케한다.

복용중에 燒酒, 牛肉, 鹽分을 금기로 한다.

(朴炳昆, 「天疱瘡(Pemphigus)의 한방치험례」,

대한한의학회지 제156호, 1974년 9월 20일 간행)

 

해설

박병곤(朴炳昆) 교수(1912∼1989)는

경희대 한의대 교수로 봉직하면서

동서의학연구소 제1연구실장, 한방병원 중풍센타실장,

부속시내한방병원원장 등을 역임한 인물로서

1971년에 40여년간의 임상경험을

『漢方臨床四十年』이라는 책으로 엮어낸 바가 있다.

위의 醫案은 朴炳昆敎授가

天疱瘡을 이십사미패독산을 100첩 투여하여

완치해낸 경험을 기록한 것이다.

아울러 加減法으로서

虛하고 冷한 者에는 知母, 黃栢, 山梔子, 黃連을 빼고

人蔘, 白茯苓을 加한다고 하였다.

朴炳昆敎授는 또한

“上記 患者는 上記 處方에 의하여 加減함이 없이

그대로 써 보았으나 食慾減退, 低血壓, 下痢 等의

부작용을 일으키지 않은 점 다행한 일이라 하겠다.”고

自評하고 있다.

 

*천포창이란?

천포창은 피부와 점막에 수포를 형성하는 만성적인 물집 질환이다.

대부분의 환자는 혈액 내에 각질형성 세포 항원에 대한 자가항체를 가지고 있는데,

이 자가항체가 천포창의 발병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크게 표피 내에서 수포가 형성되는 위치, 임상 소견,

자가항원에 따라 보통 천포창과 낙엽 천포창으로 나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약물유발 천포창, 종양수반 천포창 등이 있다.

김남일 / 경희대 한의대 의사학교실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