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지형이 동서로 크게 나뉜다.

용문산(龍門山)과 대량산(大凉山)을 경계로

동부는 사천분지(四天盆地),

서부는 천서산지고원(川西山地高原)이 된다.

 

성 전체에서 평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2.6%,

구릉 18.6%, 산지 50.3%, 고원이 28.5%이다.

지형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후 유형도 다양하다.

동부의 분지(盆地)는 아열대동남 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이르며 여름엔 덥고 무상기(無霜期)가 길다.

 

강수량이 풍부하고 습도가 높으며 운무(雲霧)가 많고 일조량이 적다.

가을엔 대개 비가 계속 내린다.

 

장강(長江) 연안의 기온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이는 분지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내려간다.

연평균기온은12~18℃로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4500~5000℃이상,

무상기(無霜期)는 220~300 일이며 연강수량은1000~1400㎜ 이다.

사천성의 서남부를 횡단하는 산지는

아열대서남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이 시원하다.

봄가을은 온화하고 건계(乾季)와 습계(濕季)가 분명하다.

 

연강수량은 1000㎜ 정도로 90%이상이

6~10월에 집중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12~20℃로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 3600~7000℃, 무상기(無霜期)는 220~330일이다.

천서고원(川西高原)의 고산지역은

남쪽에서 북으로 가면서 난온대-온대-한온대-아한대 등의

기후유형으로 연계, 수직적인 분대(分帶)가 뚜렷하다.

한랭건조하고 일조량이 충족하며 태양복사열이 매우 강렬하다.

 

겨울이 길고 여름은 서늘하다.

연평균기온은 2~8℃,

연간일조시간은 2200시간 이상이며

연강수량은 600~800㎜이다.

 

토양은 황양(黃壤)과 아열대 홍양(紅壤), 종양(棕壤),

자색토(紫色土), 갈색토(褐色土),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고원초전토(高原草甸土) 등이 있다.

 

식생은 아열대 상록활엽림과 상록활엽림,침활엽혼교림,

침엽림, 고산관총(高山灌叢) 등이 있다.

[사천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사천성(四川省)의 약용식물이 3962종,

약용동물이 344종, 광물약이 44종으로 총 4350종의 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사천성(四川省)은 전국 최대 약재생산지역이다.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20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은 31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1500만kg이다.

수매 약재는 500여종이고 연간 수매량은4600만kg이다.

 

주산품종

동충하초(冬蟲夏草) : 석거(石渠), 백옥(白玉), 색달(色達), 덕격(德格), 이당(理塘),

파당(巴塘),소금(小金), 금천(金川), 이현(理县) 등의 현(县)에 분포한다.

사천산(四川産)의 것은

충체(蟲體)가 굵고 풍만하며 겉은 황색으로 윤기가 나고 안쪽은 백색이다.

자좌(子座)가 짧고 냄새가 깨끗하여 국내외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30% 정도로 동충하초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황련(黃連) : ʻ미련(味連)ˮ의 주산지는 중경의 석주현(石柱县)으로

이미 300여년의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련(雅連)ˮ의 주산지는 아미(峨嵋), 홍아(洪雅), 아변(峨邊), 뇌파(雷波)등의 현(县)이다.

사천성의 수매량은 전국의 60%를 점유 전국 1위이다.

 

천궁(川芎) : 주산지는 도강언시(都江堰市), 팽주(彭州), 신도(新都) 등의 현(县)이다.

생산되는 천궁은 ​크기가 크고 풍만하며 재질이 견실하고,

유성(油性)이 많고 향이 짙다.

특히 도강언시(都江堰市)의 마조사(馬祖寺) 천궁이 가장 유명하다.

사천성의 연간 생산량이 전국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천패모(川貝母) : 송패(松貝)와 청패(靑貝)는 아패(阿坝), 감자(甘孜) 주에서

주로 나고 노패(爐貝)는 감자주(甘孜州)의 북부와 소금(小金),노산(蘆山)등의 현에서 주로 난다.

천패모의 알이 균일하고 단단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하다.

색이 희고 광택이 난다.

야생자원이 감소하고 있어 이미 인공재배를 시험, 생산하고 있다.

 

부자(附子) : 주산지는 강유현(江油县)이다.

부편(附片)의 가공이 정밀하고,가공된 부편(附片)의 크기가 크고

균일하며 단면에 세로무늬의 화문(花紋)이 있다.

반투명상태로 기름져 광택이 나며 부드럽게 잘 부스러진다.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사천성이 전국의 가장 큰 생산지이다.

 

백지(白芷) : 주산지는 수녕시(遂寧市)로

이미600년의 종식(種植)역사를 가지고 있다.

노두 부분은 네모지고 뿌리부분은 둥글다.

크고 견실하며 회피는 황백색을 띈다.

안쪽은 분백색(粉白色)을 띄고 단면에는

종색(棕色) 유점(油點)이 밀집해 있어

국화문(菊花紋) 처럼 형성되어 있다.

향과 맛이 매우 짙다.

 

맥문동(麥門冬) : 주산지는 면양시(綿阳市)와 삼태현(三台县)이다.

역사가 유구하여 ʻ면맥동(綿麥冬)ˮ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크고 알이 풍만하며 황백색으로 단면은 백색이 스며 있고 윤기가 난다.

사천성의 연간생산량은 전국의20%이상으로 2위를 점하고 있다.

 

백작약(白芍藥) : 주산지는 중강(中江), 거현(渠县), 광안(廣安),

중경의 동량(銅梁) 등의 현(县)이다.

특히 중강(中江)의 백작약은 굵고 살지며 재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나간다.

표면이 분홍색으로 매끈하고 단면에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황백이 적절하고 내심(內心)은 백색을 띄고 있어

ʻ은심백작(銀心白芍)ˮ이라고 불린다.

 

홍화(紅花) : ʻ천홍화(川紅花)ˮ 라고 불린다.

서한(西漢)시대부터 종식(種植) 했었다.

주산지는 간양(简阳), 평창(平昌) 및 자양(資阳), 안악(安岳),

의롱(儀隴) 영산(營山), 선한(宣漢),남강(南江), 달현(達县),

통강(通江), 수녕(遂寧), 중경의 점강(墊江) 등의 현과 시이다.

꽃이 길고 색이 붉고 선명하며 부드러운 것이 주요 특징이다.

천마(天麻) : 전체 성의 100개에 가까운 현에 분포하거나 재배하고 있다.

분지 주위 각 현에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크기가 크고 황백색에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이 반투명하다.

두충(杜沖) : 주산지는 광원(廣元), 왕창(旺蒼), 청천(靑川), 북천(北川), 평무(平武),

만원(萬源),통강(通江), 고란(古蘭),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충현(忠县), 석주(石柱),유양(酉阳), 검강(黔江) 등의 현(县)이다.

사천산 두충은 껍질이 두텁고 크기가 크며

안쪽 표면은 암자색(暗紫色)이고,단면에 끈끈한 섬유실이 많다.

 

후박(厚朴) : 주산지는 분지 주변의 산지이다. 만원(萬源), 통강(通江),

선한(宣漢), 개현(開县),무산(巫山), 고란(古蘭), 노산(蘆山), 평무(平武),

도강언(都江堰), 팽주(彭州),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봉절(奉節),

운양(雲阳) 등의 현과 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다.

천박(川朴)은 가공이 정밀하다.

내피(內皮)는 자홍색(紫紅色)으로 향기가 짙고

손톱으로 그어 보면 기름성분이 스며 나와

ʻ자유후박(紫油厚朴)ˮ이라고도 불린다.

 

황백(黃柏) : 천황백(川黃柏)이라고도 불린다.

분지 주변의 산지에 분포하고 있으며,주산지는아미(峨嵋), 홍아(洪雅),

도강언(都江堰), 광원(廣元), 왕창(旺蒼), 남강(南江),고란(古蘭),

중경의 무계(巫溪), 개현(開县), 남천(南川), 무륭(武隆), 등의 현과 시이다.

 

강활(羌活) : 주산지는 소금(小金), 흑수(黑水), 금천(金川), 송반(松潘),

단파(短巴), 도부(道孚),감자(甘孜), 덕격(德格) 등의 현(县)이다.

굵고 실하며 환절(環節)이 누에처럼 촘촘하고 단면에는

주사점(朱砂點)이 많으며 향이 짙어 잠강(蠶羌)이라고도 불린다.

 

사천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사향(麝香), 천우슬(川牛膝)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약초를 물을 이용해서

약초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거나

독성을 감소시키는 방법으로

그 종류를 대략 나열하면 이렇습니다.

1.세(洗): 말 그대로 약초를 물로 씻는 겁니다.

약초 표면에 붙어 있는 먼지나 흙

그리고 중금속을 제거 하기 위한

가장 일반적인 방법입니다.

 

가끔 약초의 작용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술이나 꿀로 약초를 씻는 경우도 있습니다.

약초 중에서 물에 잘 녹는 성분을 함유한 것들이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최대한 빠른 시간내에 세척을 끝내야 합니다.

대표적인게 바로 황금이나 감초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2.표(漂)-이건 약초를 물에 여러번 담궜다가 빼는 방법입니다.

주로 염분이나 뿌리 뇌두사이에 끼인 흙들을 제거할때 사용합니다.

대표적인게 우슬 이나 다시마를 예로 들 수 있겠네요.

3.침(浸)-이 방법은 표(漂)와는 달리 약초를

일정시간 보료에 담궈놓는 방법인데,

주로 약초의 강한 성질(독성)을

완화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예를 들자면 백출이 창출의 경우 쌀뜨물에 담궈서

위장의 자극을 완화시키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

4.포(泡)- 이건 매운맛이 강한 약재들을 우려내기 위해서

물이나 감초물에 약초를 삶거나 데치는 방법입니다.

다이어트 약초로 알려진 마황이 여기에 해당합니다.

5.수비(水飛)- 이건 주로 단단한 광물이나 껍질을 갈아서

물과 함께 섞은 다음 아래로 가라앉는 건 버리고

위로 뜨는 분말을 취하는 방법인데,

 

여러 번을 반복해 아주 고운 미세분말을

얻기위해서 사용하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게 바로 주사 입니다.

p.s: 부적쓸때 사용하는 붉은 광물 아시죠?

그게 바로 주사입니다.

해본것들이긴 하지만 글로 쓸려니

생각보다 시간이 좀 걸리네요

다음시간에는 물과 불을 같이 사용하는

수화공제법(水火共製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침향의 기원을 한국의 생규에서는

침향나무 Aquilalia agallocha Roxburgh

(팥꽃나무과 Thymelaceae)의

수지가 침착된 수간목으로 규정하고, -A.a.R

중국약전에서는

白木香 Aquilaria sinensis (Lour.) Gilg. 의

樹脂가 있는 목재로 규정합니다.-A.s.G

북한약전에서는 이 2종을 모두 수록하고 있습니다.

Aquilaria 속에는 전세계적으로 모두 15종이 있는데,

이들은 열대·아열대우림기후에서 자라는 상록교목입니다.

침향이 처음 수록된 곳은 명의별록이고

성상을 추정할 수 있는 언급은

唐本草에

꽃은 희며, 씨앗은 檳랑 크기만하고,

오디처럼 보랏빛나고 맵다

(花白, 子似檳檳大, 如桑심紫色, 而味辛)하였는데

이를 침향(A. a. R.)과 백목향(A. s. G.)을 비교하면

원래 사용한 침향은 생규의 침향(A. a. R.) 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표2)

<사진 1>은 침향(A. a. R.)이고

<그림 1>은 백목향(A. s. G.)입니다.

현재 침향은 베트남에서만 생산되고,

백목향은 중국 광서성 남영시에 있는

식물원인 良風江國家森林公園에서

집단으로 서식하고 있는걸로 알려져있습니다.

인도네시아에는 <표 3>에서 보듯이

침향으로 사용되는 식물은

6종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특이한 점은 A. crasna는

베트남에서 명명한 것으로

A. agallalocha와 동일한 종이지만

위 학명은 인도네시아에는 없습니다.

인도네시아산 6종에서 꽃이 흰 것은

A. hirta와 A. microcarpa이지만

열매길이가 1.87cm 와 2.20cm이므로

씨가 빈랑만하다는 기록을 만족하지는 않기에

이를 대입해보면

인도네시아산은 기원에 맞는

침향이 아님을 알 수가 있습니다.

<표3>에서 보이는

A. crassna(A. agallocha)는

열매 길이가 3.75cm이고 씨앗무게는 0.17g입니다.

A. a. R. 자체의 씨앗 길이는 기록이 없지만

A. s. G. 를 참고해보았을때 씨앗은 열매의 1/2이므로

A. a. R. 의 씨앗도 3.75cm 의 1/2 정도로 추정되고

이는 빈랑과 크기가 비슷합니다.

이상에서 침향의 기원은

한국에서 규정한 A. a. R. 임을 알 수가 있습니다.

중국의 A. s. G. 는 이보다 후대의 것이고,

침향의 대용으로 중국에 나므로

土沈香이라 부릅니다.

침향감별법에 대해

침향을 감별함에 있어 어려운 점은

비교대상이 Aquilaria 속 15종뿐만 아니라

전혀 다른 것으로 유사품이 유통되고 있다는 점입니다.

우선 침향과 백목향을 구분하는 방법으로는

물에 담구었을 때 침향은 물에 가라앉지만

백목향은 가라앉지 않습니다.

그리고 정품 A. a. R. 은 <사진 1>에서 보듯이

나무의 섬유질이 평행하여 결이 분명하고

수지가 있는 부분과 없는 부분이 번갈아 있으며

그 자체로는 냄새가 없고 태워야만 냄새가 나는게 특징입니다.

유사품 침향의 특징을 보자면

1. 연소전에 향기를 맡을 수 있다.

2. 연소시 짙은 연기가 나지않고 기름이 끓는 현상도 볼 수 없다.

3. 연소시 향기가 몹시 매우며 화장품 같은 인공향기가 난다.

4. 밀폐된 공간에서 연소시 두통현상을 일으킨다.

5. 외관상으로 많은 樹脂를 포함하고 있으나

침수가 되지 않는다.

6. 물에 넣었을 경우 흑색 染料가 흘러 나온다.

진품칭향의 경우 부르는 가격이 사향과 맞먹습니다.

과연 이걸 사용할수 있는 사람이 몇이나 될지 모르겠네요.

정확한 기원식물을 사용하는 게 원칙이라면

현실은 얼마쯤 따라와줄지..

 

출처: 김인락 동의대학교 한의대 교수

민족의학신문 연재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TV광고에 헛개나무 열매 추출물 관련

제품들이 등장하고 있습니다.

중국 현지의 지구자 대부분을

국내 모(某)기업이 가져간다는 소식이

들려오는 정도입니다.

 

2007∼8년 식약청에서는 주식회사 켐온에 의뢰하여

지구자의 13주(90일) 반복투여 시험을 했습니다.

2주간 용량결정시험을 실시했으며,

최고 투여용량인 2000mg/kg에서도

유의할만한 독성이 나타나지 않았습니다.

 

13주간의 용량별 반복경구투여 시험에서는

F344랫드 암수 각 10마리씩이 사용되었습니다.

시험방법은 식약청의 독성시험지침과

KNTP 독성시험 프로토콜에 따랐습니다.

 

전 시험기간 동안 특별한 이상증세나 사망은 없었으며

체중변화, 사료와 음수 섭취량, 뇨검사, 장기 무게,

혈액학적 검사, 혈액생화학적 검사, 병리조직학적 검사,

수컷의 고환 내 정자수와 부고환 미부 내 정자운동성 검사,

암컷 성주기 검사결과 어떠한 변화도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조제물의 안정성(물질이 고유의 성질을 그대로 보존하려는 성질)

시험결과 조제당일 농도는 조제 후 7일간까지

안정되게 유지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균질성 또한 확인되었습니다.

 

유전독성시험의 결과는 복귀돌연변이는 음성이었고,

소핵시험도 음성이었습니다.

그러나 염색체 이상시험에서는 적어도

지구자가 시험조건 하에서 Chinese Hamster Lung세포(CHL)에

염색체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임상에서는 특별한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았습니다.

출처: 민족의학신문 한약 독성 칼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하이브리드(hybrid)라 함은 동식물의 교배종 또는

서로 다른 요소들로 만들어진 혼성물을 의미합니다. 

서로 다른 종류의 우수한 특성을 지녔다고 해서

하이브리드 쌀, 하이브리드 카, 하이브리드 미디어, 

하이브리드 마켓팅, 하이브리드 증권 등등의

다양한 분야로 널리 이용되고 있습니다.

 

뉴질랜드와 같은 해외에서는 고기증산을 위한

육종으로 하이브리드 사슴을 주로 사육해 왔습니다. 

오래 전부터 북미의 엘크와 유럽의 레드디어를

각기 다른 종(種)으로 여기면서도 둘 다 번식력이 좋다는 공통된 점으로

지금은 한 가지 같은 종으로 인정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유럽의 엘크는 북미의 엘크와

엄연히 다른 종으로 북미 지역의 무스로 알려지고 있습니다. 

 

엘크와 래드디어 사이의 하이브리드는

같은 체중을 기준하여 볼 때 다른 사슴보다

30% 이상의 녹용을 생산합니다. 

 

그래서 엘크 수사슴을 레드디어의 암사슴 무리에 넣어

레드디어의 품종을 개량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항상 좋은 결과만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뉴질랜드에는 레드디어와 엘크, 그리고 레드디어와 시카 사슴,

이렇게 두 종류의 개체군을 통해 하이브리드를

전문적으로 육성하는 별도의 지역이 있습니다. 


봄철에 출산하기 위해 인공수정으로 임신케하여

하이브리드를 얻은 후 다시 레드디어의 암사슴과 

역교배 시키기도 합니다.

 

영국에서는 외부에서 도입한 시카 사슴이

토종 레드디어를 위협하는 실정입니다.


어린 시카 수사슴들이 점차 레드디어의 영역으로 들어가

레드디어를 만나 둘 사이에

새로운 하이브리드를 자꾸 만들기 때문입니다. 

 

이들 하이브리드는 다시 시카 사슴나 레드디어와

교배하게 됨으로 한 지역 내에서 흔히 발견되는

잡종화(mongrelization) 현상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지금도 영국의 공원에 있는 많은 시카 사슴들이 빠져나가

이런 과정으로 잡종을 이뤄 가고 있습니다.

 


캐나다에서도 래드디어와 레드디어 하이브리드가

토종 엘크에게 위협적인 대상으로 취급되고 있습니다.

흥미로운 사실은 뮬 사슴을 흰꼬리 사슴과 교배해 보면

하이브리드 특성을 더 잘 알 수 있는 현상을 발견하게 됩니다. 

 

뮬 사슴의 수컷과 흰꼬리 사슴의 암컷,

흰꼬리 사슴의 수컷과 뮬 사슴의 암컷

이렇게 각각 짝을 이루어 하이브리드를 낳게 했을 때,

초기 몇 개월도 못돼 50% 미만의 하이브리드가

남게 되는 현상을 보게 됩니다.

 

그 원인은 광야에 있는 어린 하이브리드는

생존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 절반 정도 남게 되고 

사육장에 있는 하이브리드는 별난 특성으로 인해

절반 수준으로 남게 된다는 점입니다. 

 

뮬 사슴은 포식자로부터 피하기 위해

네 발로 동시에 땅을 박차고 뛰면서 움직이는 특성이 있습니다.

그런데 뮬 사슴의 유전인자를 90% 가까이 이어 받은 하이브리드는

이런 특이한 도피행동으로 사육장 내에서는 도저히 적응이 안 돼 죽게 되는 것입니다.

 
결국은 이 하이브리드 사슴은 자유롭게 행동할 수 있고

사람에 의해 포식자로부터 보호받을 수 있는 

넓은 수렵장에서나 생존할 수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최근 유전인자(DNA) 확인검사로 

러시아 알타이 연방공화국에 주로 사육되는 사슴은

북미의 엘크와 유럽의 레드디어의 하이브리드로

거듭 확인되고 있습니다. 


이 사실로 인해 지금까지 러시아 원용이

어느 특정한 사슴의 종(種)에서 생산되는 줄로 믿고 

아무런 과학적 검증도 없이 가장 우수한 녹용으로만 여겨 온

한방의약계가 매우 혼란스런 입장에 처해 있습니다.

 

사실 지형적인 측면에서 본다면,

알타이 산맥의 서쪽인 유럽지역에는 레드디어가 서식해 왔고 

동쪽으로는 엘크가 북미지역과 동 시베리아에 걸쳐

오래 동안 서식해 오면서 중간 지역인 알타이 산맥 주변에서 자연히

레드디어와 엘크 사이의 하이브리드가 생겨날 수 밖에 없었음을 알게 됩니다. 

그래서 러시아 학술계는 자국내 여러 사슴들이

유사한 유전인자를 가진 아종(亞種)들이라고 규정합니다.

 

한편 알타이 지역의 사슴은 몇 십 년 전만하더라도

녹용의 생산량이 평균 4~5kg 되었습니다. 

레드디어의 녹용 생산량이 평균 2~3kg,

엘크가 10~12kg이라는 점을 상기한다면 

알타이 지역 사슴은 두 종의 하이브리드라는 사실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자연 서식하던 때와는 달리 한정된 사슴장 내에서

계속 사육하다 보니 거듭되는 근친교배를 통해

녹용의 생산량이 지금은 100냥(3.75kg)에도

미치지 못하는 낮은 수준으로 점차 내려오고 있습니다. 

 


이 현상은 15년 전부터 우리 나라에 수입되는

러시아산 녹용에서 발견되는 현상입니다. 


한마디로 수출국의 사슴농가가 급속한 수요증가에 따른

생산에만 몰두하다 보니 사슴의 개체관리가 

전혀 이루어 지지 않고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앞서 소개한 바와 같이, 지금 세계 선진국의 사슴농가들은

그 동안의 많은 경험과 지식을 통해 하이브리드도

하나의 귀중한 개체로 인정하면서 함께 공존할 수 있는 환경을

준비하는데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단순한 목적을 위해 활용하는 경우도 있겠지만,

우리도 생명의 소중함을 먼저 인정하면서 

하이브리드만이 만족할 수 있는 좋은 환경을

제공하는 것에 좀 더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화제법은 불을 이용해서 약초를 가공하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그 종류를 보자면~

1.초(炒): 약초를 용기에 넣고 볶는걸 말하는데 이게 세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초황(炒黃): 말 그대로 약초 표면이나 단면이 누런색이 될때까지 볶는 방법
초초(炒焦): 약초 표면을 약간 검은색이 나도록 그슬리는 방법
초탄(炒炭): 약초를 자체를 아주 까맣게 태우는 방법
-->초탄은 주로 지혈(止血)을 목적으로 할때 사용합니다.

2.자(炙): 약초를 약한 불로 오랜시간을 굽는 방법입니다.
대표적인 약초가 바로 감초입니다. 구운감초는 [자감초]라고 부르죠.

3.하(煆): 약초를 아주 고열로 태우는 방법인데, 주로 광물성 약재에 사용합니다.
광물성 약재는 성질이 차갑고 조직이 단단하기에, 조직을 부드럽게 해서 성분용출을
쉽게하고, 차가운 성질을 완화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4.외(煨): 약초를 불씨가 살아있는 재 안에 넣어 구워내는 방법으로
약초자체를 직접 넣거나 혹은 약초를 밀가루 반죽이나 종이에 싸서 잿불 안에 넣어
일정시간이 지난 후 꺼내서 사용합니다.
주로 약초 중에서 매우 건조한 성질을 가지거나 독성이 있을 때 사용하지만,
현재는 웬만해서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5.포(炮): 약초 자체를 통째로 굽는 방법으로 열을 통해 약재 자체를 부풀리는 방법입니다.
쉽게 말하면 뻥튀기와 비슷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조직이 부풀어 구멍이 생기면
그 구멍으로 수분이 침투해 성분 용출이 수월해지기에 이런 방법을 사용합니다.

불을 이용한 법제라는 건 결국 굽느냐 볶느냐인데, 온도차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보조재료로 들어가는게 있는데, 이게 꿀, 밀, 식초, 생강즙, 쌀뜨물을 사용하기도 한다는 걸
알아두시면 되겠습니다.

다음 시간에는 물을 이용한 법제방법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아마도 한약이 간에 나쁘다는 루머는 국내용인 것 같습니다.

 

독성이나 부작용이 있는 한약재 종류가 제한적일뿐더러

간 손상과 관련된 한약재도 그리 많지 않습니다.

물론 안전한 투약이 되고 있는가에 대해서는 갑론을박이 있을 수 있겠고,

보다 세심한 투약지도가 되어야겠지만 약의 안전성에 대해서 상당히 민감한

미국에서조차도 약인성 간손상의 원인물질로 지목된 한약재는 드뭅니다.

 

 

2005년 9월 DILIN(약인성간손상네트워크)에서는 총 96례를 정교하게 분석했는데,

원인물질 1위는 항생제(26례)였으며, 그 다음이 항경련제(10례), 항결핵제(6례),

타이레놀 등의 비스테로이드성 진통제(5례), 마취제(4례) 순으로

92.7%를 차지했으며, 보완대체의료는 7.3%였습니다.

 

 

한약재 중에 간독성을 보이는 약재는

백굴채, 부자, 감수, 대극, 원화, 주사, 시호, 황련, 황금, 대황. 마황, 백선,

포황, 강반하, 상기생, 황단, 창이자, 천련자가 알려져 있습니다.

 

 

백굴채는 특정 성분이 간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간주되지는 않았지만,

면역 매개 손상으로 추정을 하고 있으며,

10여명에게 급성 간손상을 유발시킨 증례보고가 있습니다.

 

대황은 anthraquinone이 함유되어 있고, 세노사이드 성분이 있습니다.

p.s: anthraquinone(안트라퀴논): 안드세라센에서 유도되는 퀴논.

식물이 만드는 안트라퀴논계 색소에는 일찍이 염료로 사용해온 꼭두서니과의 알리자린형과,

사하제·완하제로 사용했던 콩과·여귀과·갈매나무과에서 볼 수 있는 에모딘(emodin)형이 있습니다.

생약에서 사화,완화작용을 나타내는 안트라퀴논은 에모딘형으로

세노사이드와 같이 사하작용(설사를 유발하는 작용)을 나타냅니다.)

 

부자아코니틴과 클로로포름 성분을 갖고 있습니다.

창이자는 AA2라는 성분을 0.02% 함유하고 있죠.

 

주사는 수은이라는 중금속이 있으며, 중금속은 혈액을 따라 이동하다가

표적 장기인 간, 콩팥, 뇌, 뼈 등에 붙어 손상을 야기합니다.

 

황금의 SCD(skullcap diterpenoid)는 간에 저장된 글루타치온이 30% 이하로 고갈될 때만

독성이 발현되는 특징(세포괴사를 촉진)을 갖고 있습니다.

 

황련은 7∼9%의 베르베린 알칼로이드를 함유하고 있습니다.

 

중국산 하수오-여기선 적하수오를 의미합니다.-

대황과 같이 anthra quinone성분이 있는 것으로 밝혀져 있죠.

일부 책에서는 작약 등의 약재도 간독성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나

근거가 될 만한 자료가 없었던 경우도 더러 있습니다.

 

때문에 약물유전체연구나 동물실험 외에도

임상에서 보고되는 부작용사례를 중심으로 추적해갈 필요가 있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지형이 복잡하다.

산들이 높게 솟아 있고 구릉의 기복이 있으며,

하천과 분지가 교차하고 있다.

산지와 구릉이 전체 면적의 90%를 차지하고 평원은 10%를 차지하고 있다.

지세는 서북이 높고 동남이 낮은 형태이다.

민서대산대(閩西大山帶)[무이산(武夷山),선하령(仙霞嶺),삼령(杉嶺)]과

민중대산대(閩中大山帶) [대운산(戴雲山), 취봉산(鷲峰山), 박평령(博平嶺)]은

해발 1000m 정도로 각각 동북에서 서남으로 뻗어 해안선과 평행을 이루면서

전체 성을 서북과 동남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누면서

남아열대, 중아열대, 중아열대 산지 등 3개의 농업 기후대를 형성한다.

무이산(武夷山) 주봉인 황강산(黃崗山)은 해발 2158m,

대운산(戴雲山)의 주봉은 해발 1856m이다.

산지형의 해안선은 길고 굴곡이 심해

직선거리로는 535km이나 곡선거리로는 3324m나 된다.

 

연해에는 하문(廈門),평담(平潭), 동산(東山), 금문(金門) 등의

1,404 여 개의 도서(島嶼)가 있고, 사정만(沙埕灣),삼사만(三沙灣),

삼도만(三都灣),나원만(羅源灣),흥화만(興化灣),미주만(湄州灣),

천주만(泉州灣),하문항(廈門港), 마미항(馬尾港) 등 125 개의 항만이 있다.

 

크고 작은 하천이 600여 개로 주요하천으로는 민강(閩江), 구룡강(九龍江),

정강(汀江), 진강(晉江), 목란계(木蘭溪) 등이 있다.

본 성은 아열대해양성계절풍기후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이 17~21℃이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7~13℃,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3~30℃이며,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6500~7500℃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700~2300 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내륙이 260~300일, 연해지역이 300~360일이다.

연간 강수량은 1000~2000㎜이다.

토양은 전홍양(磚紅壤), 홍양(紅壤), 황양(黃壤), 자색토(紫色土),

충적토(沖積土), 풍사토(風沙土),염토(鹽土),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수도토(水稻土) 등이 있다.

식생은 상록활엽림대(常綠闊葉林帶)이다.

 

[복건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성 전체의 약용식물은 2139종,

약용동물이 418종, 광물약이 19종으로 총 2576종 이다.

 

주요품종

택사(澤瀉) : 명산지약재다.

주산지는 건구(建甌), 건양(建阳), 동안(同安), 용해(龍海), 장포(漳浦),

복주(福州) 등의 현(县)과 시이다.

크고 원형으로 황백색을 띄며 재질이 치밀하다.

고운 전분가루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국내외에 잘 알려져 있다.

건택사(建澤瀉)라고불린다.

 

후박(厚朴) : 명산지약재다.

포성(浦城), 송계(松溪), 우계(尤溪), 사현(沙县), 명계(明溪) 등이주산지이다.

껍질이 넓고 두꺼우며 자색으로 윤기가 나고 기름지며 향이 짙은 것으로 유명하다.

 

연자육(蓮子肉) :

역사상 ʻ공연(貢蓮)ˮ으로 불리워 오고 있는 것으로 이미 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산지는 건녕(建寧), 영화(寧化), 태녕(太寧) 등의 현(县)이다.

알이 굵고 단하고 원만하다.

희고 깨끗하며 향이 가볍고 부드러워 맛이 좋은 것으로 명하다.

상품은 건련자(建蓮子)로 불리운다.

 

치자(梔子) : 주산지는 천주(泉州), 포전(莆田), 장주(漳州), 하문(廈門),

혜안(惠安) 등의 시와 (县)으로  전국 치자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계원육(桂園肉) : 명산지약재다.

용해(龍海), 남정(南靖), 천주(泉州), 포전(莆田),

동안(同安) 등의 (县)과 시가 주산지이다.

크기가 크고 달며 향이 좋고 과육질이 두터우며 부드럽다.

특히 용해(龍海), 남정(南靖)의 첩편(疊片)과 예편(蕊片) 품질이 가장 수하다.

 

복령(茯苓) : 60년대에 인종(引種)에 성공하였다.

산지는 우계(尤溪), 사현(沙县), 장악(將樂),영태(永太), 장평(漳平),

연성(連城), 무평(武平), 병남(屛南), 정화(政和) 등 산지의 (县)이다.

복건성에는 송목(松木) 자원이 풍부하여

인공 제균(制菌)과 재배기술이

생산지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있어

생산에 있어 어느 정도 우세한 위치에 있다.

 

맥문동(麥門冬) : 천주(泉州), 선유(仙游), 남안(南安), 혜안(惠安) 등의 시와 현(县)이 주산지이다.

 

청대(靑黛) : 명산지약재다.

천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약재로 주산지는 선유(仙游) 현(县)이다.

상과(爵床科)식물인 마람(馬藍)의 가공품이다.

질량이 가볍고 색이 깨끗하며 품질이 우수하여

전국에 널리 판매되고 있다.

 

녹의지실(綠衣枳實) : 민후(閩候), 민청(閩淸) 두 현(县)이 주산지이다.

재배역사가 매우 길고 품질이 우수하다.

 

 

복건성의 주산약재는 위에 상술한 품종 이외에도 진피(陳皮), 사개청피(四个靑皮),

해금사(海金沙),은이(銀耳), 비파엽(枇杷葉), 여지핵(荔枝核), 구척(狗脊),

오매(烏梅), 태자삼(太子參), 천심련(穿心蓮), 기사(蕲蛇), 해사(海蛇),

금전백화사(金錢白花蛇), 모려(牡蠣)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