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복령]

 

 

옛날 한 선비가 나쁜 사람의 모함으로

조정에서 쫓겨나 태백산 깊이 들어가 화전을 일구며 살았다.

선비에게는 아들이 하나 있었는데 재주가 몹시 뛰어났다.

선비는 이 아들이 자라서 집안을 일으키고

자신의 누명도 벗겨줄 것으로 믿고 열심히 학문을 가르쳤다.

 

아들의 나이 열다섯이 되어 과거 볼 준비에 몰두하던 중

갑자기 몸이 퉁퉁붓고 밥맛이 없어 음식을 제대로 먹지 못하더니 마침내 앓아눕고 말았다.

아버지는 온갖 좋다는 약을 다 써보았지만

별 효과를 보지 못하고 아들의 병은더욱 깊어졌다.

 

그런 어느날 선비는 지친 몸으로

마당가에 있는 소나무 그루터기에 앉아있다가 깜박 잠이 들었다.

그런데 꿈인지 생신지 하얀 수염을 늘어뜨린 노인이 뒷산에서 내려와

"이놈, 자식이 죽어가는데 잠만 자고 있느냐!"하고 호통을 치며

지팡이로 선비의 어깨를 내리치고는

발밑에 지팡이를 꽂아두고는 사라지는 것이 아닌가.

 

깜짝 놀라 소리를 지르며 깨보니

발밑 지팡이를 꽂았던 곳에 작은 구멍이 하나 있었다.

그 구멍속을 막대기로 찔러보니 무언가 덩어리가 느껴졌다.

조심스럽게 흙을 파보니 제법 큰 덩어리가 하나 나왔다.

 

선비는 이 덩어리가 산신령이 아들을 살리기 위해

가르쳐준 약재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잘게 썰어서 정성껏 달여 아들에게 먹였다.

과연 아들은 며칠이 지나자 차츰 부은 것이 내리고

입맛이 당기면서 기력을 되찾을 수 있게 되었다.

 

복령은 베어낸 지 여러해 지난

소나무뿌리에 기생하여 혹처럼 크게 자란균핵이다.

땅속 20~50cm 깊이에 달린 것을

소나무 그루터기 주변을 쇠꼬챙이로 찔러서 찾아낸다.

지름 30~50cm쯤의 덩어리고

겉은 소나무 껍질처럼 거칠고 속은 희거나 분홍빛이 난다.

 

속이 흰 것은 백복령이라 부르고 분홍빛인 것을 적복령이라 부르며

복령이 소나무 뿌리를 둘러싼 것을 복신이라고 부른다.

해송을 베어낸 뿌리에 기생하는 백복령이

적송을 베어낸 뿌리에 기생하는 적복령보다 약성이 더 높다고 한다.

 

우리나라 여러곳에서 나는데 전북 남원,강원도 인제 홍천,

경기도 양평 포천,경북 청송 안동 등에서 많이 나고 품질도 좋다.

옛날에는 복령이 제법 많이 났으나 요즘에는 소나무를 베는 일이 드물고

또 복령 채취를 직업으로 삼는 약초꾼의 숫자도 현저하게 줄어들어

우리나라에서 난 복령을 구하기가 쉽지않다.

 

복령은 옛날부터 신선이 되는 약,또는 오래 살게 하는 약으로 이름났다.

옛의학책에는 복령을 먹고 신선이 되거나 수백년을 살았다는 이야기가 많다.

중국 당나라 때의 이름난 의학자인 손진인이 지은 침중기에는

`복령을 한달동안 먹으면 온갖 병이 없어지고

백일동안 먹으면 밤낮으로 잠을 자지않아도 피곤함을 느끼지않으며

3년을 먹으면 귀신을 마음대로 부릴 수 있고

4년을 먹으면 신선이 되어 무슨 일이든지 마음대로 할 수 있다'고 적혀있다.

 

복령은 식량 대신 먹을 수 있다.

산속에서 수도를 하는 사람들한테 복령은 매우 훌륭한 식량이었다.

복령을 가루내어 그냥 먹거나 쌀가루와 섞어서 수제비를 만들어 먹는데

오래 먹으면 몸이 가벼워지고 힘이 나며 눈이 밝아진다고 한다.

 

복령은 맛과 냄새가 거의 없고 약간 찰기가 있다.

참선수도를 하는 사람이 복령을 복용하면

마음이 맑아져서 깨우침을 빨리 얻는다고 한다.

밀가루나 율무가루 600g에 복령가루 160g을 섞어 반죽하여

수제비나 국수로 만들어 수시로 먹으면 맛도 좋거니와

부종 비만 위장병 등이 예방치료되고 오래 먹으면 온갖 병이 없어진다.

특히 노인들이 오래 복용하면 흰머리가 검어지고 장수를 누리게 된다.

출처: 최진규의 토종약초 장수법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복령] ​

 

 

복령이란?

복령균 Poria cocos Wolf (구멍장이버섯과)의 균핵이다.

맛은 달고(甘), 담담하며(淡),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심,비,폐,방광,삼초,위(心, 脾, 肺, 膀胱, 三焦, 胃)이다.

약리작용

① 약물 달인 물은 이뇨 작용이 현저한데, 건강한 사람에게는 나타나지 않는다.

② 심험관 내에서는 억균작용이 나타난다.

③ 토끼의 장관을 이완시키는 작용이 있으며,

흰쥐의 유문부 결찰로 인한 궤양 형성에 예방 효과가 있다.

④ 혈당을 내리고,

⑤ 알코올 추출물은 심장의 수축력을 증가시킨다.

⑥ 면역 증강 작용,

⑦ 항종양 작용이 있다.

 

주치(主治)와 배합예

이수삼습(利水渗濕)

1. 茯笭은 상용되는 보조적 장약약(壯陽藥)으로

利水渗濕의 작용이 있어 습(濕)으로 인하여 일어난 병에 대하여

그 병의 성질이 寒 . 熱 어느 쪽이든 활용할 수 있다.

또 모든 비뇨기계통의 염증으로 인한

핍뇨(乏尿) . 빈뇨(頻尿) . 혈뇨(血尿) .

배뇨통(排尿痛) . 단백뇨(蛋白尿) 등의 증상이 나타날 때는

모두 茯笭을 사용하여 염증을 제거하고 소변량을 증가시키며

배뇨능력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유명한 처방인 오령산(五笭散)에 山藥 . 黃耆 . 當歸를 배합하여 쓰면

단백뇨를 없애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만성신염의 치료에 상용된다.

2. 만성신염의 후기에

복수, 부종, 소변량 부족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것은

신장기능이 현저히 떨어져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뇨약만 쓰면 일시적인 고통이 제거될 뿐이다.

茯笭은 이뇨작용뿐만 아니라 자양의 효능도 있어

신강기능의 강화에 도움을 주므로

何首烏 . 澤瀉 . 山藥 . 山茱萸 . 熟地黃을 넣어 쓰면 좋다.

여기에 柴胡 . 香附子 . 蓬朮 . 川芎 등을 넣어 쓰면 더욱 좋다.

3. 茯笭은 수습정체(水濕停聚)로 인한 소

변불리(小便不利) . 수종창만(水腫脹滿) 등에

白朮 . 澤瀉 . 桂枝 등을 넣어 쓰거나(五笭散)

白朮 . 猪笭. 澤瀉 . 大腹皮 등을 넣어 쓰면 좋다.

만약 陽虛를 보이면 桂枝나 肉桂를 加하여 通陽하는 것이 좋다.

4. 茯笭은 담음내정(痰飮內停)으로 인한

가슴과 복부가 답답한 증상, 어지럼증, 가슴 두근거림, 숨차는 증상에

桂枝 . 白朮 . 甘草를 넣어 쓰면 좋다(笭桂朮甘湯).

5. 茯笭은 대사기능의 교란과

영양실조에 의하여 일어난 하지부종(下肢浮腫)을 치료한다.

여성들에게 많이 보이며 생리불순을 수반하는 일도 있다.

이 경우에는 상당히 많은 용량을 필요로 하며 黨蔘 . 白朮 . 山藥 등을 넣어 쓴다.

貧血性인 浮腫은 當歸 . 何首烏 . 阿膠 . 鷄血藤을 넣어 쓴다.

6. 茯笭은 각기를 치료하는데 필수로 상요하는 약으로

5 錢(20g)이상을 鷄鳴散과 같이 쓰면 좋다.

또 류머티즘에 의하여 일어나는 관절염과 신경통이

만성이 되었을 때는 약간의 부종과 麻痺 . 보행곤란 등을 보이므로

茯笭을 대량으로 쓰면 利濕消腫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단 茯笭을 많이 쓸 때는 주의하여야 할 경우가 있다.

사상의학 에서는선천적으로 비대신소(脾大腎少)한 소양인(少陽人)은

脾臟이 크기 때문에 체액이 묽어져 있으므로 대량을 써도 지장이 없으나,

脾臟이 적은 소음인(少陰人)에게 복령을 많이 쓰면

오히려 어지러움증이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아두어야 한다.

보기건비(補氣健脾)

1. 茯笭의 건비효능은 위장의 소화흡수를 좋게 하고

설사를 중지시키므로 비허(脾虛)에 활용한다.

비기허약(脾氣虛弱)으로 인한

권태, 무력감, 식사량 감소, 변이 무른경우에는

黨蔘 . 白朮 . 甘草를 함께 넣어 쓰고(四君子湯),

만성장염이난 과민성 장염

즉 비허습성(脾虛濕盛)으로 인한 설사에는

黨蔘 . 白朮 . 山藥 . 桔梗 . 薏苡仁 . 白扁豆 .

蓮子 . 砂仁 . 炙甘草 . 石榴皮를 넣어 쓴다(蔘笭白朮散).

식후에 복부팽만하고 설사를 하면 陳皮 . 蒼朮 . 木香을 넣어 쓰고,

소아가 음식조절을 잘못하여 위의 증상이 보일 때는

陳皮 . 神曲 . 白豆久 . 白扁豆를 넣고 가루 내어 1회 1錢씩 복용하면 좋다.

2. 급성장염은 설사가 심하므로

藿香 . 厚朴 . 陳皮 . 白扁豆 . 薏苡仁을 넣어 쓰면 좋다.

이것은 소아가 복용하면 특히 좋다.

날씨가 추울 때의 설사에는

蒼朮 . 白朮 . 澤瀉 . 車前子를 넣어 쓰고,

불결한 음식물에 의한 심한 설사에는

枳實 . 蒼朮 . 蘿覆子 . 陳皮 . 半夏를 넣어 쓰면 좋다.

3. 만성장염, 위하수, 위궤양에서 많이 보이는

식욕부진 . 입맛없음 . 복부팽만에 통증이 있으며

찬 것을 먹으면 바로 재발하는 증상에는

黃耆 . 白朮 . 黨蔘 . 砂仁 . 香附子를 넣어 쓴다.

복령은 약성이 平하여 補하는 작용은 있으나

滯하는 일이 없기 때문에 常服시킬 수 있다.

4. 茯笭은 혈당치를 내리는 작용이 있으므로

당뇨병으로 혈당이 올랐을 때 보조약으로 쓰면 좋다.

보신안신(補腎安神)

1. 茯笭에는 補腎의 효능이 있으므로 신장기능의 쇠퇴로 인한

안면초췌, 어지럼증, 귀울림, 건망증, 눈침침, 허리와 무릎의 시큰한 통증,

여성의 폐경, 잘때 땀이 나는 증상의 경우에 보조약으로 쓰면서

澤瀉 . 山茱萸 . 女貞子 . 沙蔘을 넣어 쓰면 좋다.

또 安神의 효능이 있으므로 가슴두근거림, 불면에 활용한다.

心脾不足에 속하면 黨蔘 . 元肉 . 酸棗仁 등을 함께 쓰고(歸脾湯),

痰濁內擾에 속하면 石菖蒲 . 遠志 등을 넣어 쓰면 좋다.

2. 每日 茯笭 5錢, 澤瀉 . 山藥 各 3錢을 달여서 2∼4개월 간 계속 복용하면

혈당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이렇게 쓰는 것은 少陽人에 특히 좋을 것이다).

용량

9~15g

임상보고

① 수종이 있는 환자에게서 이뇨 작용이 현저하였으며,

② 다당체는 악성종양에 단독 또는 배합 처방으로 효력을 얻어서

신체의 면역 증강 기능, 식욕 증진, 체중 증가 등의 개선 반응을 보였다.

③ 젖먹이의 여름철 설사, 복통에

이 약물의 가루를 0.5~1그램씩 복용시켜 치료되었고,

④ 만성정신분열증에도 효력을 얻었다.

⑤ 다당류는 간기능에 이상이 있는 사람에게 호전 반응을 나타냈다

참고사항

백복령(白茯笭), 적복령(赤茯笭) , 복신(茯神), 복령피(茯笭皮)의 비교

백복령(白茯笭)

성질이 평(平)하여 보하는 작용이 있고

이뇨작용은 강하지 않음 보하되 滯하지 않고

利하되 맹렬하지 않는 등 扶正과 동시에 祛邪를 하는 특징.

적복령(赤茯笭)

茯笭 의 내부가 담홍색인 것으로 성미는 복령과 동일하나

혈분(血分)으로 들어가 습열(濕熱)을 소변을 통해 외부로 배출.

복신(茯神)

복령 중에서 소나무의 뿌리를 싸고 있는 것으로

녕심안신(寧心安神)의 특징,

심허(心虛) 혹은 심비허(心脾虛)로 인한

자주놀람, 불면, 건강증등을 치료(+ 酸棗仁).

복령피(茯笭皮)

복령 외면의 흑갈색 피질부분

주로인 이수소종(利水消腫)에 치중,

古人이 "以皮行水"라는 설을 제기함. - 五皮飮 白茯笭 : 健脾에 편중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복령은 복령균 (Poria cocos Wolf) 이

소나무 뿌리에 기생해서 덩어리를 이룬 것입니다.

소나무뿌리 옆에 자란것을 복령

소나무뿌리가 관통한 것은 복신이라고 하는데,

그 효능과 용도를 달리 하고 있습니다.

 

1.백복령과 적복령

복령은 색에 따라서 백복령과 적복령으로 나누는데

굳이 이걸 나눌 필요가 있는지는 의문입니다.

초기 기록에는 복령으로만 기재가 되어 있지만,

남북조 시대 도홍경이 백복령과 적복령으로 나누었던게

지금까지 이어져온것으로 보입니다.

보통 겉껍질을 벗겨 붉은 색을 보이는게 적복령

이 껍질마져 벗겨 흰색을 띄는것을 백복령 으로 부르지만,

껍질을 완전히 벗기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이 껍질이 붉게 변하기 때문에

백복령 적복령은 의미가 없다고 생각됩니다.

 

2.자연산과 재배 복령

약재로 사용하는

국산 복령은 대부분 자연산이며,

재배에도 성공은 했지만

재배복령은 화장품의 미백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반면, 중국산 복령은 자연산이 아닌

재배복령인데, 이 차이점은

재배방식에 있지 않나 생각됩니다.

복령은 채취해서 말린 후 이빨로 물었을때

딱딱하고 이빨에 딱 붙을 정도로

밀도가 치밀한 것을 상품(上品)으로 칩니다.

그런데 국산 재배복령은 이 밀도가 성글어서

약초로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고 보기에

약초로는 사용하지 않는 것입니다.

 

3. 복령을 끓였을 때 녹는지의 여부

복령은 기본적으로 밀도가 치밀해서

물이 침투하기가 어렵습니다.

이런 성질을 이용해서

복령은 이뇨의 효과가 있다고 보는데,

국산 자연산 복령을 사용하는 분들 중

국산 복령은 끓여보면 물에 녹는다라고 하는 분들이 있습니다.

과연 이걸 어떻게 해석을 해야할지가 난감하네요.

이뇨효과를 본다면 물에 녹지 않는게 좋다고 볼 수도 있고,

반면 성분이 물에 용출되는게 중요하다고 보면

녹는 복령이 좋다고 볼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4.복령의 종류

*율복

덩어리로 된 복령 중 가장 가운데에 있는 것만을 채취한 것으로

주로 경옥고를 만들때 이용하며 가장 품질이 좋은 것을 봅니다.

*설복

물에 잘 녹게 하기 위해 복령은 얇게 썰은 형태를 말합니다.

*칼복

설복의 경우 밀가루를 뭉친 후에 얇게 써는 경우가 있었는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 좀 더 두껍께 썬 복령을 말합니다.

칼복이란 용어는 복령을 깍을때 쇠를 사용하면 안되기에

대나무칼을 사용했다는데 유래했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국내산 칼복령 복령 자연산]

 

복령은 복령균 Poria cocos Wolf 의 균핵으로

소나무뿌리에 기생해 덩어리를 이룬것을 말합니다.

시중에서 약초로 사용하는 복령은

대부분 자연산으로 복령의 재배법은

이미 개발이 되었지만, 품질이 떨어진다고 보고

자연산 복령은 약초로

재배복령은 화장품의 미백원료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백복령과 적복령도 유통이 되는데,

백복령과 적복령을 나누는 기준은

복령의 겉색깔이 흰색이나 약간 붉은색이냐에 따라

나누는데, 그 용도를 달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복령의 껍질을 벗긴 후에 시간이 지나면

껍질이 붉은 빛을 띄게 되는데, 굳이 이렇게

백복령과 적복령으로 나눠야하나? 라는 의문이 듭니다.

초기 약초의 기록을 보면

백복령과 적복령을 나누지 않고

단지 [복령]이라는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굳이 백복령과 적복령은 나눌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또 시중에 보면 아주 얇게 썬 복령을 볼 수 있는데,

눈과 같은 모양이라고 해서 [설복령]이라 부릅니다.

설복령은 복령이 물에 잘 녹지 않기 때문에 선택한 방법이지만,

밀가루를 뭉쳐서도 만들어 낼 수 있기에

금림식품에서는 자연산 복령 중 덩어리를

어느정도 굵기로 잘라낸 것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자연산 복령이 필요하신분은

아래링크를 클릭해주세요.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8072423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