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문헌을 통한 여러 지역의 백수오라 불리는 Cynanchum종의 감별

백하수오 즉 백수오는 <은조롱>을 이야기 한다.

<이엽우피소(외래종)는 다른 약물로 이야기 됨>

< 대한약전 >에는 은조롱

즉 Cynanchum wilfordii를 기원식물로 하고 있는데

이 식물은 <동의수세보원>이전부터 한국에 있던 토종의 약재이다.

<동의수세보원>의 백수오 혹은

<사상금궤신방>,정조때의 <보양지> , <주촌신방>등의 백수오는

<은조롱>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또한 근대에 쓰여진 <의감중마>, <수진경험신방>등이 쓰일때도

<이엽우피소>가 한국에 서식하지 않았고 오직

은조롱Cynanchum wilfordii을 백수오로 한의학에서 사용하고 있었다.

특히 1922년 조선식물에 관한 식물학 책중의 일부를 보면

Cynanchum과의 식물을 조사하였는데 그 당시 백수오는

은조롱Cynanchum wilfordii만을 수록하였다.

구분

 

백수오 <은조롱>

Cynanchum wilfordii H.

격산우피소, 백하수오

 

극엽우피소

Cynanchum bungei D.

태산백수오, 대극우피소.

이엽우피소

Cynanchum auriculatum R. 격산소,

특징

<한국약전> 정품.

북한에 백하수오로 수록

1982,83년 북경에서 연구

 

1977년

<중화인민공화국약전 정품>

그러나 현재 삭제

 

중국에서는 湖南의 瑤族,

남쪽의 土家族 의 習用藥

강소 빈해현에서 100년전부터 재배 함. : 최근 대량 재배 실시.

 

 

- <中華本草>에서는 隔山消(은조롱)과 白首烏(극엽우피소+이엽우피소) 2가지로 분류.

 

- <全國中藥學滙編>에는

隔山消(은조롱), 白首烏(극엽우피소), 飛來鶴(이엽우피소) 3가지로 분류함.

 

-<중약대사전>에는 따로 기술하지 않고 극엽우피소에 언급만 하였다.

 

 

- 국가가 관여하지 않은 <전공교육참고서적>에는 3가지 약물<은조롱, 극엽우피소, 이엽우피소>을 한 가지로 합해서 白首烏라 함.

 

- <전공의학사전> 혹은 <중약대사전>에는 극엽우피소를 <白首烏>라고도 함.

 

- <중약대사전>에는 지역적으로 同名異種을 말하고 2717에 이엽우피소를 飛來鶴으로 따로 기술함.

 

- 국가가 관여한 교과서에는 <隔山消>로 나오며 消食藥으로 분류함.<國家規劃圖書 : 위생부, 중국약전위원회, 교과서편찬위원회 기타 국가기관과 학회에서 간행 >

다른

이름

(이명)

 

白首烏, 白何首烏(吉林), 白奶奶, 頭角蛤蜊, 過山飄, 無梁藤(四川), 隔山牛皮消(중약대사전), 隔山교(四川中藥志), 山瓜蔞(山東)

 

泰山何首烏, 山東何首烏, 地葫蘆, 山葫蘆 (中藥材品種論述), 大根牛皮消 (중약대사전)

 

隔山消, 隔山교(四川), 백수오, 백하수오(江西, 江蕭) 野紅苕, 羊角藤, 土白薇, 萬世竹, 剪蛇珠, 山步虎, 野番薯, 千斤謄 打不死, 松筋藤 (瑤族)

 

 

隔山消 <綱目>, 백하오 백하수오<동의수세보원>, 隔山교<分類草藥性>, 白木香, 野蕃薯<浙江>, 一腫三消<湖南>, 和平蔘, 三花旗<廣東>, 張果老<江西>, 飛來鶴<植物名實圖考>, 耳葉牛피消<中國藥用植物志>, 老牛凍, 牛皮凍<湖南, 四川> 泰山白首烏, 泰山何首烏, 和尙烏<山東> * 주의 ; <동의수세보원>은 이 책<중화본초>의 분류에는 오류.

 

화학

성분

다양한 영양성분이 있는데 磷脂類성분, 조단백과 조지방, 유리당, 정분.

비타민, 아미노산, 무기염, 인체 필수의 미량원소 <특히 비타민 B함량이 높다.>

 

白首烏苷(cynauricuosides)

A,B.C,

隔山消苷(wilfosides)C1N,

C2N, C3N, C2G, C1G, C3G, D1N, K1N, M1N, F1N, W1N, W3N, N1N, G1G,

wilforibiose,

aglycone (penupogenin),

告達亭(caudatin),

開德苷元(kidjolanin),

* sarcostin

* deacylcynancho-genin

* deacylmetaplesigenin

* lipid aglycone D,E?

* cynandione A, B:

보간작용 / 치매예방<서울대>

* gagaminine

 

 

 

 

 

 

 

*戟葉牛皮消苷(bungeisideA, B, C, D)

*4-hydroxyacetophenone, *2,4-dihydroxyacetophenone,

*Blumenthal alcohol (blu2menol) A,

*leucanthemitol, *7-O-glucosyl liquiritigenin

*β - sitosterol glucoside

* 극엽우피소 steroidal glycoside esters

 

 

 

 

 

 

 

 

 

 

 

 

 

 

 

 

白首烏新苷

(cynanauriculosides)A,B

= cynanauriculoside (cynanauriculosides) I,II,

白首烏苷(cynauricuosides)

A,B.C,

隔山消苷(wilfosides)C1G, C3N, C1N, K1N, C2N, KN

加加名(gagamine),

告達亭(caudatin),

開德苷元(kidjolanin),

蘿藦苷元(metaplexigenin),

琥珀酸(Succinate),

任二酸(Ren acid),

wilforibiose,

蔗糖(Sucrose),

*Hexadecane triglyceride, *β2 amyrin BEster, *benzophenoneBaishouwu,

*Chengkui acetyl benzene,

*β2 sitosterol glucoside, *daucosterol,

 

 

1. 인지질

- PC phosphatidylcholine

- PE

phosphatidylethanolamine

- PI phosphatidylinositos

 

2.다당

- Phthalate esters

33.77%

- Acetophenone

17.97%

- 불포화지방산

7.73%

- Alkanes 5.13%

 

*粗多糖 : 4.7-9.0%

(총당 : 16.17-22.58%)

 

1. 인지질

- PC phosphatidylcholine

- PE

phosphatidylethanolamine

- PI phosphatidylinositos

 

2. 아미노산

- glutamie acid

<신경독성 일어난다 : 서울대>

- aspartic acid

- arginine

<2.23% 최고 : 지방간, 간염에 사용>

- 유리아미노산

- Threonine

- Alanine

- Proline

- Lysine

 

3. 다당

-AC-A, AC-B, AC-C

-,Rhamnose, Arabinose,

Xylose, Mannose,

Galactose, Glicose

 

 

 

 

1. 비타민 B

 

2. 무기원소

-인 칼륨 구리 아연 세레늄

이중에서 아연과 아르기닌을 많이 함유함.

 

3. 미량원소

:티타늄, 스트론튬, 비소

(皮에 독성 물질이 많이 함유되어 반드시 거피한다.)

 

4. 독성 : 과량복용시 중독이 일어난다.

-蘿藦毒素 cynanchotoxin

-强心苷 cardiacglycoside

<중국교과서에는 독성성분은 불분명하지만 주의할 것을 설명>

 

 

<중화본초 6권은 백수오에 극엽우피소와 이엽우피소를 합해 두었는데 공효는 일반적인 인터넷의 내용을 설명하고 있다. 한국의 은조롱과는 다르게 설명하였다.

 

 

* 이엽우피소의 경우 독성물질 축적에 조심해야 한다<축적계수가 5.3 이상일때 위험>

 

 

 

1. 抗腫瘤作用

2. 면역기능증가

3. 강심작용

4. 항콜레스테롤작용

5. 항노화작용

6. 간손상방지

 

성질

甘, 微苦, 平

苦, 甘,澁, 微溫

 

甘, 微苦, 微溫, 有小毒

 

甘, 微苦, 微溫

 

甘, 微苦, 平 <중화본초>

 

효능

補益肝腎, 强筋壯骨

安神 補血

 

補肝腎, 益精血 强筋骨,止心痛, 健脾益氣

 

중국 교과서에 수록되지 않음.

 

甘,苦 ,平

消食健胃, 理氣止痛, 催乳.

<국가 교과서>

 

 

補肝腎, 强筋骨, 健脾胃, 解毒

 

補肝腎, 强筋骨, 益精血, 健脾消食, 解毒療瘡

<중화본초>

형태상

감별

 

 

 

 

형태는 긴 원통형으로 약간 부풀어 오르고 굽어져 있다. 여러결절의 조개형태가 모인 것 같다.

 

 

형태는 뿌리가 불규칙적이고 조롱박형태와 방추형형태가 모인 것 같다.

 

형태는 긴 옥수수형, 긴 방추형형태로 약간 굽어져있고 약간의 결절이 있다.

표면이 흙갈색이며 종으로 굽은 주름과 皮孔이 수평으로 길고 코르크층이 탈락된곳은 황토색이며 세밀한 그물상의 무늬가 있다.

 

표면이 갈색 또는 종갈색이고 요철이 일정하지 않으며 皮孔이 수평으로 길며 코르크층이 탈락된곳은 옅은 황토색이며 약간의 그물형태의 무늬가 있다.

 

표면은 연한 갈색이고 길게 주름이 있으며 皮孔이 수평으로 길고 외피가 탈락한곳은 연한 황토색이며 그물형태의 무늬가 있다.

쉽게 절단되고 절단면이 평탄하고 유백색이며 파우다 같고 황색의 방사선 무늬가 있다.

쉽게 절단되고 절단면이 평탄하고 유백색의 파우다 같으며 아주 적게 황색도 있다. 방사선의 무늬가 있다.

 

절단면이 평탄하고 유백색이며 파우다 같고 황색의 방사선 무늬가 있다.

 

 

맛이 약간 쓰다.

 

맛이 달면서 약간쓰다.

맛이 약간달고 나중에 쓰다

감별구분에 주의해야 함.

 

중국의 문헌을 살펴보면 임상실험으로 효능을 밝힌 것이

아닌 쥐실험으로 모은 것을 정리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몇 편의 논문을 보면 3가지 Cynanchum종의 유효성분 중에

장점을 취합한 자료로 보인다.

원글출처: http://blog.daum.net/12409/18091005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