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지하철의 내 옆자리에 60대 초반의 신사가 앉는다.

그의 손에는 뜯겨진 영어 사전 몇 장이 쥐여져 있다.

단어를 모조리 외워 유창하게 영어로 말하려고 한다는 것이다.

용기가 놀라웠다. 말을 트자 그는 내가 무엇을 하는 사람이냐고 묻는다.

농업을 연구하는 사람이라고 대답하자 그가 말했다.

“우리나라는 화학비료를 너무 써서 흙이 산성화되었어요.

피에이치(pH)가 7.1쯤 되는 약알칼리라 작물이 잘 자라는데 참 문제가 많아요.

그렇지 않아요?”라며 자신 있다는 표정으로 나에게 동의를 구한다.

“그렇지 않지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화학비료 때문이라고 믿지만 그건 오해예요.”

“아니에요. 우리나라 바위는 석회암이라 당연히 흙이 알칼리여야 하는데

화학비료를 너무 퍼주어서 산성이 된 거지요.”

 

나는 확신에 찬 그의 결론에 어이가 없었다.

우리나라 모암의 55%는 산성암인 화강암이고 석회암은 강원도에 약간 있을 뿐이다.

우리나라가 온통 석회암으로 덮여 있다 해도 흙이 산성으로 되지 않을 수가 없다.

연 1천2백mm나 되는 강수량 때문이다.

이렇게 강수량이 많으면 흙 속의 칼륨(K)과 나트륨(Na)은 물론

칼슘(Ca)과 마그네슘(Mg)까지 씻겨 내려간다.

칼슘과 마그네슘이 씻겨 내려가면 산성이 안 될 수가 없다.

세계의 곡창지대를 보면 강수량이 600mm 내외이며

흙 속에 칼슘과 마그네슘이 많이 들어 있다.

자신 때문에 흙이 산성화되었다는 말을

화학비료가 알아듣는다면 당장 펄펄 뛸 것이다.

비료는 말할 것이다.

농사를 전혀 짓지 않은 산 흙과 오래 농사를 지은 밭의 피에이치를 재보라고.

산 흙은 4.4~5.0인데 비해 밭은 5.1~6.1로 밭이 0.7~1.1 더 높다고.

비료가 피에이치를 높였다고?

흔히 우리가 산성비료라고 알고 있는 요소와 염화가리도 중성비료이다.

과석이나 중과석은 산성비료이지만, 요즘 흔히 쓰는 용인은 알칼리비료이다.

흔히 썼던 비료 중에 산성비료는 유안밖에 없다.

물론 석회와 규산질비료를 썼기 때문이다.

그러니 비료가 흙을 산성으로 만들었다는 것은 전적으로 틀린 말이다.

 

그 노신사는 사람 피의 피에이치가

약알카리(7.3~7.4)라는 점 때문에 흙도 약알칼리가 좋을 것이라고

확대 해석하는 모양인데 천만의 말씀이다.

거의 모든 작물은 대체로 6.5~7.0에서

가장 잘 자라고 양분의 유효도도 극대에 이른다.

빗물과 작물에 의해 손실되는 칼슘과 마그네슘을

매년 석회고토로 보충해주어야 농사가 잘 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우리나라 흙은 강원도 석회암 지대를 빼놓고는

대부분 산도 5.4내외 산성토양이다.

흙 원료가 산성암인 화강암인데다,

여름 장마 때 엄청나게 내리는 비가

칼슘과 마그네슘 같은 알칼리 성분을 빼앗아가고

대신에 수소이온을 그 자리를 박아놓기 때문이다.

게다가 작물이 누는 똥오줌이 모두

수소이온(H+)이기 때문에 산성일 수밖에 없다.

 

산성인 흙을 개량하는 방법으로

석회를 주면 된다는 사실을 모르는 사람은 없다.

그래서 농업기술센터에서 주라는 양의 석회를 주었는데도

산도가 별로 올라가지 않은 경우가 많다. 왜일까?

흙알갱이 속에는 아주 많은 수소이온이 박혀 있다.

마치 다람쥐 굴에서 도토리를 꺼내는 것처럼

중화시켜도 또다시 나오곤 한다.

예를 하나 더 들면 종기가 났다고 하자.

고약을 붙여서 고름을 뺄 경우 단번에 다 빠지지 않는다.

몇 번 반복해야 다 빠지는 것처럼 여자인 흙 알갱이(-)에 붙어 있는

남자인 수소(+)를 다 끌어내는 것은 쉽지 않다.

그래서 한꺼번에 중화시키기가 어렵다.

 

그래서 매년 농업기술센터에서

석회소요량을 측정해서 석회를 주어야 한다.

종전에 석회는 3~4년에 한 번씩 주면 된다고 하였지만,

이것은 우리나라에서 매년 생산되는 석회의 양을

전국에 골고루 나눠주기 위해서 정한 것뿐이다.

실제로 흙을 잘 가꾸려면 매년 석회소요량을 재고

거기에 맞춰서 매년 석회를 주어야 한다.

하우스 농사를 지을 때는 한 달에도 몇 번씩 산도를 측정해서

pH를 6.5부근에 맞춰주어야 한다.

 

석회를 흙과 골고루 섞어주기란 어렵다.

로터리를 치면 되지만 자주 치면 떼알조직이 깨어져

홑알조직으로 바뀌기 때문에 가능한 한 자주 갈지 말아야 한다.

석회를 주고 쟁기질로 섞어주면

석회가 닿은 부분은 알칼리성으로,

닿지 않은 부분은 산성인 채로 남아있다.

알칼리부분에는 황, 칼슘, 몰리브덴 등의

양분이 잘 흡수되고 산성부분에서는 철과 같은

대부분의 미량요소가 흡수가 잘 되기 때문에

골고루 섞어주지 않아도 된다.

또 석회가 빗물에 녹아서 근처 흙을 중화시켜 주기 때문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사람 피의 산도(pH)는 7.4로 약알칼리성이다.

여기서 ±0.02범위를 벗어나 7.38 이하거나

7.42 이상이면 치명적일 수 있다고 한다.

육식을 많이 하면

고기가 분해 되면서 나오는 요산 때문에

pH가 떨어져 질병에 잘 걸린다.

그래서 알칼리성인 채소나 과일을 권한다.

지나치게 육식을 좋아하면 건강에 해로운 것은 사실이지만

그렇다고 육식을 아주 안 하는 것도 이롭지 않다.

 

그래도 혈액의 pH가

그리 쉽게 변하지 않기 때문에 크게 걱정을 안 해도 된다.

혈액에는 ‘완충능’이라는 능력이 있어서 알칼리성 식품인 과일이나

산성 식품인 고기를 많이 먹어도 좀처럼 변하지 않기 때문이다.

그럼 흙은 어떨까?

흙의 pH도 매우 중요하다.

맹물에 염산이나 양잿물(가성소다)을 한 방울 떨어뜨리면

금세 pH가 오르락내리락 하지만, 흙을 조금 풀어 넣으면

좀처럼 pH가 변하지 않는다. 흙 역시 완충능이 있어서 그렇다.

하지만 흙이 산성이거나 알칼리성이면

대부분의 식물이 잘 자라지 못한다.

그 이유는 여러 가지다.

예를 들면 pH에 따라서

흙에 있는 양분의 유효도가 달라진다.

흙이 산성으로 되면 그 속에서 잠자던

철(Fe)과 알루미늄(Al)이 깨어나

인산과 결혼한다(특히 우리나라 흙이 그렇다).

이렇게 하여 생긴 인산철과 인산알루미늄은

식물이 빨아먹을 수 없다(이 현상을 ‘인산의 고정’이라고 한다).

질소는 아질산(NO2)이 되어 하늘로 도망간다.

 

우리나라 흙 대부분은 pH 5.2~5.4 범위의 산성토양이다.

중성(pH 7.0)에서 질소-인산-칼리의 유효도를 100이라 할 때,

내 흙이 5.5라면 유효도가 77-48-77에 그친다.

질소-인산-칼리 비료를 각각 100kg씩 준다면

그중 23-52-23kg은 쓸모없는 꼴이 되는 것이다.

흙의 pH를 6.5~7.0으로 맞춰주는 것은 농사의 기본이다.

그러나 흙의 완충능 때문에 맞추기가 쉽지 않다.

농업기술센터에서 주라는 석회 양을 다 주는 것은 물론,

3년 주기를 기다리지 말고 매년 검정을 받아서 개량해야 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