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11

« 2024/11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728x90

 

 

물론 흙도 젊은 흙이 좋다.

그럼 무엇으로 젊은 흙과 늙은 흙을 구분할 수 있나?

우리 흙은 젊었을까? 늙었을까?

농촌진흥청 작물시험장(현 국립식량과학원)장을 역임한

김석동 박사로부터 미국의 곡창지대에 있는

일리노이대학을 방문하고 느낀 점을 얼마 전에 들었다.

그는 1876년 설립한 이 대학 실험 농장의 옥수수 밭을

꼭 1백 년 되던 해인 1976년 견학했다.

안내판 옆에 설치되어 있는 버튼을 누르자 이런 설명이 나왔다.

“100년간 비료를 주지 않고 옥수수만 따고 수수깡은 모두 땅에 되돌려 주었다.

그래도 10a에 옥수수가 매년 300kg(보통 1000kg 나온다)이나 나왔다.”

그의 옆에 같이 있던 우리나라 옥수수 전문가인

박근룡 박사와 최봉호 박사(대학 찰옥수수의 육성자)는

"우리나라에서라면 비료 안 주고 3년이면 한 자루도 못 딴다.”고

이구동성으로 말했다고 한다.

우리나라 흙은 너무 늙었다.

우리나라의 땅은 2억 5천만 년 이전에 만들어져

풍화를 많이 받아서 세계적으로도 늙은 편에 속한다.

이에 비해 히말라야 산맥은 대륙판과 대륙판이 충돌하면서

솟아나서 만들어졌기 때문에 그 주변의 땅은 우리 땅보다 훨씬 젊었다.

 

세계의 곡창지대는 모두 젊은 흙이다.

젊은 흙이란 바람에 운반된 운적토나 물에 운반된 충적토,

빙하가 날라다 준 빙퇴토 등을 말한다.

옛 문명의 발상지가 인더스 강과 같이

모두 강의 하구인 것은 강물이 비옥한 새 흙을 옮겨 놓기 때문인데,

그 예로 독일의 곡창지대는

라인 강가의 흙을 매년 바람이 날라다 쌓아놓은 곳이다.

미국의 곡창지대인 일리노이 주와 아이와 주는

높은 유기물을 품은 북극의 빙하가 수만 년 전에

남쪽으로 밀려 내려와 그 자리에 주저앉아 녹은 곳이다.

곡창지대 흙의 공통점은 토심이 깊으면서 유기물이 많고,

미사질(가는 모래)에다 석회 함량이 높다.

 

우리나라도 하천 주변에 쌓여 있는 흙은 젊다.

늙은 흙을 잘 다스려 높은 수량을 올리는

우리 농업인들은 박수를 받아 마땅하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