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작약의 기원식물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as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작약과)의 뿌리이다.

작약은 예로부터 백작약(白芍藥)과 적작약(赤芍藥)으로 나누어 쓰여 왔고,

중국약전에도 적작약과 백작약으로 나누어 수재하고 있다.

백작약은 작약을 끊는 물에 넣어 끓인 후 겉껍질을 제거하거나

또는 겉껍질을 제거한 후 다시 끓여서 볕에 말린 것이고,

적작약은 작약을 그대로 말린 것이므로 그 성상도 다르다.

대한약전 생약규격집에는

이 두 생약을 합하여 작약(芍藥)이라 하면서 기원식물은 ‘Paeonia속 식물’ 모두를 지정하고 있고,

가공법은 적작약의 그것을, 그리고 그 성상은 백작약의 성상을 수재하고 있다.

백작약과 적작약

이건 설이 분분합니다.

꽃의 색이 희면 백작약, 꽃이 빨가면 적작약이라는 설이 있고

뿌리껍질을 제거하면 백작약, 껍질을 제거하지 않으면 적작약이란 주장도 있구요.

지금은 대부분 뿌리껍질의 유무에 따라 백작약과 적작약을 나누고 있습니다.

국산작약은 대부분 전라도 지역에서 생산되며

중국에서는 여러곳에서 생산되지만 운남성과 절강성이 주요 생산지역입니다.

천작약과 강작약

천작약은 작약과 같은 속이지만 종이 다른 식물이며,

중국의 사천지역에서 난다고 하여 천작약이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합니다.

그리고 강작약은 국내에서 부르는 이름인데

이건 강원도에서 자생하는 자연산 자약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향이 재배한 작약보다 강해서 일부가 유통 또는 수입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거피작약과 피작약

거피작약은 껍질을 벗긴것으로 백작약에 해당하고

피작약은 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이니 적작약에 해당합니다.

한때 작약의 주요성분으로 알려진 paoniflorine이 껍질에 많다고 해

피작약을 주로 사용하던 때가 있었습니다.

작약은 한방에서 성질이 서늘하다고 보는데,

피작약의 경우 성질이 거피작약보다 더 차갑다고 보기에

굳이 피작약을 사용할 경우에는 불에 볶아서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국산과 수입작약의 차이

초기에는 국산 작약이 가공이 잘 되어 깨끗했지만,

지금은 오히려 중국산 작약의 품질이 더 낫다고 생각됩니다.

크기도 예전엔 중국산이 커서 구별이 그나마 쉬웠지만

현재는 국산작약의 재배기술이 발달하면서,

슈퍼작약이라는 품종이 보급되어 시중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이 둘을 구분하는건 큰 의미가 없어보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국산 작약]

 

 

[중국산 작약]

 

 

작약은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나누는데

식품으로 판매되는 작약은 대부분 백작약입니다.

백작약과 적작약의 기준은

뿌리의 겉껍질을 벗기고 말린 것을 백작약

뿌리의 겉껍질을 벗기지 않고 말린것은 적작약으로 봅니다.

중국이 지금처럼 경제발전이 되기 전에는

국산작약이 깨끗하고 좋았지만,

현재는 오히려 중국산 작약이 더 깨긋합니다.

껍질도 잘 벗겨져서 유통이 되고 있구요.

작약은 보통 3년근 이상을 수확하는데

중국산 작약이 확실히 국산보다는 크기가 크고

색이 더 하얀 경향을 띕니다.

최근에는 국내에서 [슈퍼작약]이라고 해서

같은 기간에 뿌리가 매우 굵어지는 작약의 품종을

개발해서 보급중에 있는데, 중국산 보다 더 큰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약성은 크기보다는 년근수를 우선으로 보기 때문에

뭐랄까요.. .이게 개인적으로는 슈퍼작약이 그리 반갑지는 않네요.

작약은 성질 자체가 서늘하기에

껍질이 있는경우 성질이 차가워 배가 아플수 있기에

껍질이 있는 적작약은 권해드리지 않으며,

껍질이 벗겨진 백작약을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작약은 어떤 약초와 배합을 하느냐에 따라서

그 역할이 달라지는데요.

가장 많이 배합이 되는게 감초이며,

그 외에는 갈근이나 계지와 같이 배합되는 경우도 있고,

당귀, 천궁, 숙지황과 같이 먹는 경우도 있으니

자세한 내용은 인터넷 검색이나 제 블로그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금림식품에서는

중국산과 국산 백작약을 모두 판매하고 있으니

필요하신 분은 아래링크를 클릭해주세요.

국산 백작약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60146146

 

 

중국산 백작약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6013951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오늘 소개해드릴 약초는 작약입니다.

작약은 관상용으로도 유명한 꽃이긴 하지만

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합니다.

 

작약은 제가 일하는 시장에서뿐만 아니라

한의계에서 크게 두 종류로 나누는데,

바로 백작약, 적작약입니다.

 

이건 분류의 기원에 대한 논란이 있는 부분이긴 합니다.

예전에는 작약으로 유통되던 것이

중국 남북조시대의 명의 도홍경에 의해서

백작약 적작약이 나눠진 이래로

지금까지 쭈욱 그 분류가 나눠져 왔거든요.

 

중국에서는 뿌리의 겉껍질을 벗겨서 찐것을 백작약

그렇지 않은것을 적작약으로 나누지만

 

국내의 경우 껍질을 벗기면 백작약

껍질을 것기지 않으면 피작약

껍질이 붉으면 적작약

 

이렇게 나누고 있습니다.

 

효능은

백작약은 기분(氣分) 즉 기와 과련된 부분에 효능이 있고

적작약은(血分) 혈액과 관련된 부분에 효능이 있다고 하는데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적,백 나눌 필요는 없이

작약으로 사용하는게 맞다고 봅니다.

 

 

 

작약은 그 어떤 것보다도

한방에서는 훌륭한 근육 이완제 입니다.

즉 뭉친근육을 풀어줍니다.

 

쌍화탕 아시죠?

쌍화탕에서 가장 많이 들어가는 약재가 바로 이 작약입니다.

 

그래서 근육이 뭉쳐서 생기는 몸살과

특히~ 종아리가 자주 땡기거나

쥐가 잘 나시는 분

 

그리고 잘 때 이를 가시는 분들과

위경련이 있으신 분들에게 아주 효과가 좋습니다.

 

증상이 다 다른것 같지만

결국 근육의 과도한 긴장으로 일어난다고 보기 때문에

위의 나열한 증상 모두에 사용할 수 있는겁니다.

 

작약을 사실때는 특히 색이 너무 하얀 경우가 있는데

이럴때는 사지 마시고, 차라리 색이 약간 어두우면서

부러뜨렸을때 분이 날리는걸 사셔야 좋은 작약을 사시는 겁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구릉과 산지 위주의 지형에 평원이 함께 있다.

장강(長江)과 회하(淮河)가 성의 남북을 관통하면서

전체성을 회북(淮北)과 강회(江淮), 강남(江南) 이렇게 세 개의 구역으로 나누고 있다.

북부 평원지역은 평탄하고 중간지역은 구릉의 기복으로 황산(黃山)과 구화산(九華山)이 굽이굽이

남쪽 변연까지 이어지고, 대별산맥(大別山脈)이 서쪽 경계 쪽으로 불쑥 솟아올라 있다.

평원과 구릉, 산지가 각각 1/3을 차지하고 있다.

기후는 온난 습윤하고 사계절이 분명하다.태양광과 태양열,수분 조건이 모두 우월하다.

연평균 기온 14~16℃으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1~4℃,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27~29℃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800~2500 시간이고,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4600~5300℃이며,

무상기(無霜期) 200~250일, 연강수량은 750~1800㎜이다.

토양은 종양(棕壤), 황종양(黃棕壤), 황홍양(黃紅壤), 사강흑토(砂姜黑土), 황조토(黃潮土),

회조토(灰潮土), 수도토(水稻土) 등이 있다.

장강(長江)을 따라 대별산(大別山)의 북쪽기슭과 강회(江淮)를 분수령으로

북쪽은 난온대 낙엽활협림대이고, 남쪽은 아열대 상록활엽림대이다.

[안휘성 지역구분]

이용현황

재배와 양식하는 약재가 50여종으로 그 중 이식 재배한 것이 24종, 야생을 재배한 것이 26종이다.

연간 재배면적은 6.5무(亩), 연간 생산량은 570 만kg이며 수매하는 약재는 400여종이고

연간 수매량은 1200만kg이 된다.

 

 

주산품종

복령(茯苓) : 주로 대별산맥(大別山脈)의 악서(岳西), 금채(金寨), 곽산(霍山) 등의 현(县)에서 난다.

재질이 단단하고 색이 희고 고우며 오래 다려도 물러지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국의 복령 특산지 중의 하나로 국내외로 널리 판매되고 있다.

 

백작약(白芍藥) : 주산지는 박주(亳州), 와양(涡阳) 등이다.

옥같이 희고 단단하며 전분가루가 풍부한 것으로 유명하다.

전국 생산량의 30% 정도를 차지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목단피(牧丹皮) : 주산지는 동릉(銅陵), 남릉(南陵) 등의 현(县)이다.

특히 동릉(東陵)의 봉황산(鳳凰山)에서 나는 것은 ʻ봉단(鳳丹)ˮ이라고 하는데

가지가 굵고 길고 곧은 것이 육질이 두텁고 전분가루 성분이 풍부하며

목심(木心)이 가늘고 양성(亮星)이 많다.

오래 저장해도 색이 변하지 않는 것으로 유명하다.

전국 생산량의30%정도를 차지해 우위를 점하고 있다.

 

감국(菊花) : 흡현(歙县)에서 나는 공국(貢菊),

저주(滁州), 전초(全椒)에서 나는 저국(滁菊),

박주(亳州), 와양(涡阳)에서 나는 박국(亳菊) 등이 있다.

공국(貢菊)은 꽃잎이 옥처럼 희고 꽃받침이 푸르며 꽃송이가 작고 향이 짙으며, 맛은 달다.

저국(滁菊)은 털실방울 모양으로 꽃술은 노랗고 꽃잎이 희며 꽃받침이 푸르다.

향이 그윽하고 맛은 달며 약간 쓰다

박국(亳菊)은 송이가 크고 꽃받침이 길며 색이 희고 향이 좋다.

안휘성의 국화는 품종이 많고 품질이 우수하여 국내외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선목과(宣木瓜) : 명산지약재다.주산지는 선성시이다.

과실크기가 일정하고 색이 선명하며 자색을 띄고 있다.

외피는 주름이 지고 재질이 단단하다.

 

길경(桔梗) : 주산지는 태화(太和), 저주(滁州), 광덕(廣德), 래안(來安), 박주(亳州),

정원(定遠),함산(含山), 회녕(懷寧), 종양(樅阳), 숙주(宿州) 등의 현(县)과 시이다.

뿌리가 곧고 길며 일정하고 단단하다.

 

상술한 약재이외에도 판람근(板藍根), 자원(紫苑), 반하(半夏), 환패모(皖貝母), 전호(前胡),

태자삼(太子參),명당삼(明党參),남사삼(南沙參),단혈류(斷血流),곽산석곡(霍山石斛),

기사(蘄蛇),오공(蜈蚣), 귀판(龜板), 별갑(鼈甲) 또한 안휘성의 유명한 약재들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천작약(적작약)]

 

 

 

전 시간에 작약의 기원에 대한

논란과 규정에 대해서 알려드렸습니다.

 

그리고 오늘은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나뉜이유와

실제 활용에 대해서

설명을 드려볼까 합니다.

 

 

우선 백작약과 적작약은

중국 남조시대의 명의 도홍경이

작약을 백과 적으로 나눈것이 시작인데..

 

백작약은 기분(氣分)으로 들어가고

적작약은 혈분(血分)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나눠서 사용한다고 봅니다.

 

이 기분과 혈분은..

진단법에서 나오는 용어인데..

 

이 진단법의 이름은

위기영혈(衛氣榮血)진단법이라고 합니다.

 

p.s: 한방에서는 진단법을

변증법(辯證法)이라고 합니다.

 

즉 병명을 진단하는 방법이라는 의미입니다.

 

 

이 위기영혈진단법은

 

인체가 염증이 발생했을때의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상세하게

기록을 하는데..

 

크게 나누면 기와 혈로 나눌 수 있습니다.

 

그래서 기능적인 부분에서는 백작약을

혈액과 관련된 부분에서는 적작약으로

구분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백작약]

 

 

작약은 아래와 같이

크게 두가지 효능으로 설명을 할 수 있습니다.

 

1. 근육이완

2.어혈(瘀血)제거

 

 

근육이완이란

근육이 경직되거나 긴장되었을 경우

이 딱딱하게 뭉쳐진 근육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주로 어깨가 아니라~

복부와 종아리의 근육을 풀어줍니다.

 

그렇기에

주로 신경성 위경련이 심한 분들과

하루종일 서 있으면서 일하는 서비스업 종사자분들

그리고 일이 거친 블루칼라 분들에게

작약은 아주 좋은 효과를 발휘하게 됩니다.

 

 

두번째로 어혈제거란~

주로 여성들에게 나타나는 경향이 강한데..

생리시 혈액이 덩어리가 지거나 뭉칠때

이럴때 작약을 사용합니다.

 

즉 혈액이 어떻한 이유로 농도와 점성이

높아져 끈적끈적할때~ 이걸 어혈이라고 부르는데,

이 어혈을 깨뜨리는 작용을 하게 되는 것이죠.

 

 

즉..

백작약은 근육이완에

적작약은 어혈이 뭉쳐쌓인 증상에

사용할 수 있다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작약의 식물종류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http://worldherb.tistory.com/52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오늘은 작약입니다.

사실 작약은 기원식물에 따른

분류상의 문제가 있는 약재이기 때문에

 

좀 자세하게 다뤄보겠습니다.

 

작약은 원래 식물이 나눠지지않고

혼용되어 왔던것이

중국 남북조 시대를 기점으로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나뉘어

사용되기 시작합니다.

 

이러한 일을 계기로

지금까지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나눠서 사용을하고 있는데요.

 

 

 

   

[작약의 꽃과 뿌리]

 

 

사실 백작약과 적작약을 나누는 설은 여러가지였지만,

현재는 백작약은 작약의 뿌리껍질을 말린 것

적작약은 작약의 뿌리껍질을 말리지 않은 것으로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시중에서는

껍질을 벗기면 백작약

껍질이 있으면 피작약

자연산 작약은 강작약으로 나눠서

사용하고 있으며,

 

재배지에 따라서

경남 의성에서 나는 작약을 의성작약

전남지방에서 재배하는 작약을 전라도작약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백작약식물과 뿌리]

 

 

국내에서 강작약이라 부르는 식물은

중국의 천작약과 같다고 보고 있고,

 

혹은 강원도 야생에서 자란 작약을

강작약이라고 부르는 등..

너무나 많은 단어와 분류로

 

정확한 작약을 사용하고자 한다면

 

껍질의 유뮤에 따라

백작약과 적작약으로 구분해서 쓰는게

가장 정확하다고 생각됩니다.

 

 

 

  

[천작약의 모습과 뿌리약재]

 

 

또한 의성작약의 경우는..

의성작약에서 재배된다고 해서 붙여진게 아니라

 

20여년전 농촌진흥청에서 여러 작약종을 통해

개량한 품종의 이름을 [의성작약]이라고

붙인겁니다.

 

그리고 나서

이 의성작약이라는 작약품종의 일부가

전라도로 보급되면서

지금의 전라도 작약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중국에서는

작약의 뿌리를 삶아 껍질을 벗긴것을 백작약

뿌리껍질을 벗기지 않은 것을

적작약으로 규정하고 있고,

 

우리나라도 이에 맞춰

중국과 같은 내용으로

백작약과 적작약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