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자연환경

섬서성(陝西省)의 북부는 황토고원(黃土高原),

남부는 진파산지(秦巴山地), 중부는 관중평원(關中平原)이 있다.

 

진령(秦嶺)이 전체 성을 동서(東西)로 가로 지르고 있는데

이는 장강(長江)과 황하(黃河)유역의 주요 분수령(分水嶺)이면서

중국을 온난대(溫暖帶)와 아열대(亞熱帶),남과 북으로 가르는 주요 분계선이 된다.

섬서성(陝西省)은 진령(秦嶺)이 가로막고 있어 남과 북의 기후 차이가 큰 편이다.

섬서 남부는 아열대 기후이고, 관중(關中)과 섬서 북부는 대부분 온난대 기후에 속하며,

만리장성을 따라 온대기후가 된다.

진령(秦嶺) 이남(以南)은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0℃이상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2~28℃이며 무상기는 210~269일이 된다.

연강수량은 750~1200㎜이다.

 

관중평원(關中平原)은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1~-3℃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4℃, 무상기는 180일이 된다.

연강수량은 550~700㎜이다.

 

섬서성 북부 고원의 가장 추운 1월 평균기온이 -3~-10℃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2~24℃, 무상기는 150일 정도,

연강수량은 300~600㎜이다.

 

서성(陝西省)은 분포하고 있는 토양의 유형이 많은 편이다.

남쪽은 대개 황갈토(黃褐土), 황종양(黃棕壤),종양(棕壤)등이고,

관중(關中)은 갈색토(褐色土)와 로토(垆土)가 많고,

섬서 북부는 율개토(栗鈣土),황면토(黃綿土),흑노토(黑垆土)등이 많다.

 

식생(植生)은 상록활엽림(常綠闊葉林),낙엽활엽림(落葉闊葉林), 삼림초원(森林草原) 등이 있다.

[섬서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약용식물이 2271종, 약용동물이 310종, 광물약이 40종,

기타 약재가 47종으로 총 2668종의 약재자원이 성(省) 전체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품종

두충(杜冲) : 주산지는 강고(崗皋), 석천(石泉), 약양(略阳), 영강(寧强),

평리(平利), 진파(鎭巴),성고(城固) 등의 현(县)이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20% 이상으로 1,2위를 차지한다.

 

천마(天麻) : 주산지는 성고(城固), 영강(寧强), 면현(勉县), 남정(南鄭),

서향(西鄕), 양현(洋县),한음(漢陰) 등의 현(县)이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 40% 가량으로 가장 큰 생산지이다.

 

당삼(党參) : 진파산구(秦巴山區)에 분포하고 있는 것은

ʻ서당삼(西堂參)ˮ이라 통칭(統稱)하고 있다.

봉현(鳳县)에서 생산되는 것은 ʻ봉당(鳳堂)ˮ이라 하는데

굵고 육질이 두터우며 달고 부스러기가 잘다.

평리(平利), 남고(崗皋) 등에서 나는 것은 ʻ팔선당(八仙堂)ˮ 이라고 하는데

가닥이 길고 균일하며 껍질이 두껍고 황백색을 띄고 있다.

 

부자(附子) : 주산지는 성고(城固), 면현(勉县)으로 전국 제2대 생산지가 된다.

 

황기(黃芪) : 본 성에서 인종(引種)하여 발전시킨 새로운 생산지역으로

주산지는 순읍(旬邑),보계(寶鷄), 수덕(綏德), 빈현(彬县)이다.

장무(長武) 등의 현(县)에서도 재배하고 있다.

 

감초(甘草) : 섬북(陝北)의 황토고원(黃土高原)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정변현(定邊县)이다. 정변(靖邊)과 지단(志丹), 오기(吳旗) 등의 현에서도 생산하고 있다.

섬서성(陝西省)은 중국의 오래된 생산지 중의 하나이다.

 

연교(連翹) : 주산지는 낙남(洛南), 상남(商南), 단봉(丹鳳), 황룡(黃龍), 한성(韓城) 등의 현(县)이다.

송이가 크고 각(殼)이 두터우며, 종황색(棕黃色)을 띄고 광택이 난다.

중국의 주산지중의 하나이다.

 

원지(遠志) : 주산지는 합양(合阳), 징성(澄城), 대려(大荔),

연장(延長), 수덕(綏德) 등의 현(县)과 시이다.

상품의 근피(根皮)에는 통모양의 중공(中空)이 있다.

껍질이 얇고 육질은 두터우며 수분이 많이 없이 바삭해 쉽게 부러진다.

섬서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1,2위를 차지하고 있다.

 

섬서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사원자(沙苑子)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