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은 불교의 대표적인 상징식물로서

꽃은 차로, 뿌리(근경)는 김치나 정과(正果) 등 다양하게 이용한다.

일반 민간에서는 자반으로 날로 썰어 먹거나 또는 간장에 졸여 먹는다.

어린잎은 데쳐서 쌈으로 먹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덜 익은 연실(蓮實)을 요리에 넣어쓴다.

한방에서도 약용으로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연의 어린 근경을 우밀(藕밀)이라고 하는데

맛은 달고 성(性)이 평(平)하여 번열(煩熱, 열이 나고 가슴속이 답답하며 괴로운 증세)이나

해독, 어혈을 풀어주는 효과가 있다.

연의 근경과 근경사이의 관절에 해당하는 부위를

우절(藕節)이라고 하는데 맛이 甘澁(감삽, 달고 떫음)하고 성이 평하다.

어혈성 출혈에 지혈효과가 우수하여

토혈, 각혈, 뉵혈(코피)이나 대변출혈에 많이 이용한다.

잎은 하엽(荷葉)이라고 하는데 맛이 苦澁(고삽, 쓰고 떫음)하고 성이 평하다.

폐열이 있어서 나타나는

번갈증(煩渴症, 가슴이 답답하면서 입안이 마르고 갈증이 나는 증상)이나 갈증에 이용한다.

잎줄기의 꼭지를 하엽체(荷葉체)라 하는데

하리(下痢)나 임신태동불안으로 출혈기미가 있을 때 쓴다.

연꽃줄기는 청열, 해서(解暑), 이뇨시키는 효과가 우수하다.

특히 연꽃[蓮花]은 맛이 쓰고 달며 따뜻하고 약간의 향기가 있다.

그러므로 마음을 안정시키고 몸을 가볍게 하고

안색을 좋게하는 효과가 있어 차로 끓여 마신다.

연자(蓮子)를 싸고 있는 집을 연방(蓮房)이라고 하는데

맛이 고삽하고 성이 따뜻하여 어혈성 출혈인

붕루(崩漏), 혈리(血痢), 어혈성 복통에 쓴다.

연꽃의 수술을 연수(蓮鬚)라고 하는데 맛이 감삽하고 성은 평하다.

이 약은 마음을 맑게하고 지혈시키는 효과가 있으므로

몽유(夢遺), 활정(滑精)을 치료하고 유뇨(遺尿, 소변이 저절로 흘러나오는 경우)나

빈뇨 또는 뉵혈, 붕루(자궁출혈)에도 효과가 좋아 중국에서는 많이 쓰이고 있다.

이상의 부위 중에서도 가장 많이 활용하고 있는 것은

연의 근경뿌리와 연실이라고 볼 수 있다.

연근은 맛이 달고 성질이 차다.

날것으로 쓰면 청열, 해독, 어혈을 풀어주는 효능이 있다.

그러므로 열병으로 인한 번갈증이나 각혈이나 토혈, 비출혈

또는 열림(熱淋,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뱃살이 땅기면서 아프고 변비가 생김)에도 효과가 좋다.

반대로 삶아 익혀 복용하면 건비, 지사, 살갖을 보호하는 작용이 있다.

옛날 중국 송나라 때 어느 한 대관집에서 선지국을 끓일 때

요리사가 연뿌리의 껍질을 벗기다가 잘못하여 연뿌리를 양혈(羊血)에 떨어뜨려

피가 엉기지 않고 풀어지는 현상을 보고 뒤에 의사들에게 이러한 사실이 알려져

의사들이 어혈성 환자에게 연뿌리를 써서 효과를 보았다는 기록이 있다.

특히 산후초기에 어혈이 아직 풀리지 않았을 때는

생 것이나 찬 약을 쓰지 못하는데 연뿌리만은 먹일 수 있다.

연뿌리를 오래 장복하면 오장을 보호하고 하초를 튼튼하게 한다.

특히 벌꿀을 섞어 먹으면 오장을 보호하는 효과가 크다.

민간에서는 소아가 감기 이후 피로하거나 과로하여 상기되면서

코피가 심하게 나올 때 연뿌리 생즙을 복용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연자(蓮子, 연꽃의 씨)는 성이 평하고 맛이 달고 삽하다.

한방에서는 연자를 주로 약으로 쓰는데

식용으로 죽을 끓일 때는 겉껍질을 벗겨 쓴다.

겉껍질은 삽한 성질이 강하다.

특히 연자속에 있는 배아(胚芽) 즉 연자심(蓮子心)은

성미가 고한(苦寒)하여 구토를 일으키고 독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연자심을 제거하고 절구에 지찧어 써야한다.

이 약은 유정(遺精), 백탁(白濁), 식욕감퇴, 오래된 설사나 신허대하에도 쓴다.

그 외에도 심신불교(心腎不交)에 의한 허번(虛煩)이나 심계항진, 실면(불면증)에도 쓴다.

이와같이 보성을 가지면서 補心(보심), 止瀉(지사)시키는 약이지만

소화가 잘 되지 않아 中滿(중만, 가운데 배가 더부룩하고 심하면 덩어리가 생겨 단단하면서 아픈 병증),

비창(비脹, 복부에 가스가 차는 증상)이나 또는 대변이 조결(燥結, 위장이 건조해 짐)한 환자에게는 피해야한다.

강 병 수(동국대 한의대 명예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자육이란?

연꽃 Nelumbo nucifera Gaertner (수련과 Nymphaeaceae)의

잘 익은 씨로서 그대로 또는 연심을 제거한 것이다.

열매는 회갈색의 단단한 껍질에 싸여 있는데

이를 연자(蓮子) 또는 석련자(石蓮子)라 한다.

연자의 껍질을 벗기면 옅은 황갈색~적갈색의

씨껍질에 싸인 씨를 볼 수 있고

씨껍질을 벗기면 연한 황백색의 씨를 볼 수 있는데

이를 연자육(蓮子肉) 또는 연육(蓮肉)이라 한다.

씨를 쪼개면 그 안에는 녹색이고 막대 모양인

연자심(蓮子心)이 들어 있다.

국산과 수입산 연자육

연자육은 건조가 끝나면 매우 단단하기 때문에

국산은 겉껍질이 있는채로 유통이 되고 있고

수입산 연자육의 경우는 겉껍질을 제거한 경우와

속껍질까지 완전히 제거한 상태의 연자육이 유통되어

감별에는 큰 어려움이 없습니다.

연자심(蓮子心) ?

연자심의 연씨앗안에 있는 배아를 말하는 것으로

고급식재료로 사용되는데, 중국에서 사용량이 많기에

대부분 연자심은 제거가 되어서 수입이 되고 있습니다.

동의보감의 기록에 따르면

"연자심을 제거하고 사용해야한다"라고 되어있는데

이 연자심을 제거하지 않고 사용할 경우

가슴이 답답한 증상이 나타날수 있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국산과 중국산. 어떤걸 사용하는게 나을까?

국산은 사실 연자심의 제거가 불가능한건 아니지만

망치로 깨셔 부셔야하는 단점이 있습니다.

국산과 중국산 연자육의 효능차이는 없기때문에

굳이 비싼가격을 줘가면서 국산을 사용하는게 좋다?

라고 생각하기에는 무리가 있습니다.

연자방에 대해

연자방은 연자육이 들어있던 부위를 말합니다.

사진을 보시면 더 이해가 쉬우실듯 한데요.

[연자방]

 

이것도 끓여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다만, 연이라는 식물이 자라는 환경을 보면

진흙탕물이나 연못에서 자라기 때문에

중금속 오염이 심한 경우가 종종 있기에

가급적이면 연자방은 사용하지 않는게 좋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자육 통]

 

[연자육 반태]

 

연자육은 연꽃의 씨앗으로

씨방에서 약 20개 정도를 채취할 수 있습니다.

필수 아미노산으로 불리는 메티오닌이

매우 풍부한것으로 알려져있는데,

방송에 나오기 시작하면서

널리 알려지기 시작했습니다.

연자육은 크게 국산과 중국산이 있는데

국산은 아래 사진처럼 씨앗자체로 유통이 됩니다.

 

[국산 연자육]

 

 

하지만 중국산은 씨앗의 딱딱한 겉껍질만 제거하거나

혹은 속껍질까지 완전히 제거된 두가지 종류의 연자육이 유통되는데,

이는 연자육 안에 배아를 제거하고 사용했기 때문입니다.

중국이나 베트남에서는이 배아를 제거하고 껍질을 벗기는

기계가 있어서 작업이 수월하지만, 국내에는 이 기계가

없어서 위 사진처럼 씨앗 자체로 유통이 되고 있습니다.

국산 연자육은 겉껍질이 워낙에 단단하기 때문에

망치로 부셔서 사용해야하고, 씨앗 안에 있는 배아(싹)를

제거하는 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에

금림식품에서는

중국산 연자육을 겉껍질만 벗기고 반으로 쪼갠형태와

속껍질까지 완전히 벗긴 후 모양을 유지한 형태의

두종류의 연자육을 판매하고 있습니다.

연자육의 독성은 알려져있지 않지만,

생으로 먹을 경우에는 변비가 생길 수 있어

반드시 조리하거나 끓여서 드시길 권해드리고 있습니다.

연자육과 잘 어울리는 약초는

당귀와 용안육, 대추가 잘 맞습니다.

연자육이 필요하신 분은 아래링크를 클릭해주세요.

우선 반으로 쪼갠후 심을 제거한 연자육입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9683424

 

다음은 속껍질까지 완전히 제거한 연자육입니다.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9686986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은 종자, 잎, 뿌리, 씨껍질, 배아, 수술, 씨방, 잎줄기 등을 모두 약용으로 사용한다.

그 중에서도 종자와 잎과 뿌리를 식용으로 애용하고 있다.

종자는 9-10월에 성숙한 과실을 채취하여

과피를 벗기고 칼로 두 조각으로 벌려서 건조시킨다.

그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평이하여

누구나 식용할 수 있고 독성이 없는 안전한 식품이며 약재이다.

 

 

 

성분

탄수화물 62%, 단백질 6.6%, 지방 2.0%, 그 외에 미네랄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중 주요 성분은 myristic acid, palmitic acid, linoleic acid, oleic acid 등이다.

임상활용

1. 건위, 소화작용

한의학 임상에서 연자육(蓮子肉)은

소화기능이 허약하여 일어난 여러 증상에 단방으로 애용된다.

그 이유는 맛이 달고 건위 작용이 있으며,

위액의 분비를 조절하여 소화를 촉진시키기 때문이다.

이를테면 비위가 허약하여 음식을 잘 먹지 못하고

구토와 설사를 자주 일으키며 기운이 없는 증상에

연자육을 활용하면 기운이 소생하고

건위, 소화 촉진 작용으로 구토와 설사를 멎게 한다.

또한 위장이 허약하고 새벽이면 배가 싸늘하게 아프면서

설사를 하는 사람에게도 도움이 된다.

이것은 소화력을 증진시키면서 신장의 기능을 돕고 있기 때문이다.

오래된 이질이 잘 치유되지 않으면

연자육을 분말로 만들어서 복용하기도 한다.

그리고 장이 차고 찬 음식을 먹으면 즉시 변을 보는

과민성장증후군에 음식까지 잘 먹지 못하는 증상에도 활용한다.

이것은 장관을 수축시키면서 장내 미생물의 활성을 돕기 때문일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병을 앓은 후에 비위가 허약해져서

음식의 소화를 잘 못시키면 쌀가루와 같이 섞어

분말을 만들어서 먹으면 건위 소화작용으로 힘을 보충하게 된다.

2. 신장 기능의 허약

신장의 기능이 허약하여 배꼽 아래가 늘상 차고

소변에 힘이 없고 밤이면 힘 없는 몽정(滑精)을 하고

심하면 낮에도 정액을 흘리는 증상에 복용하면

신장을 보호하면서 수렴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런 증상이 오래되어 점점 정신력이 쇠약해지고

잘 놀라면서 불안감에 쫓기며 정력은 점점 더 약해지는 증상에

연자육은 매우 효과적이다.

3. 단백뇨

소변에 하얗게 거품이 보이는 단백뇨에

정신 불안증을 겸비하고 있는 사람은

연자육을 분말로 만들어서 복용하면 단백뇨가 감소하게 된다.

4. 심신 안정

사회가 점점 더 복잡해짐에 따라서 스트레스가 축적되며

불안, 초조, 근심, 우울증으로 고생을 하면서

밤이면 잠을 못 자는 사람들이 늘어가고 있다.

이런 증상을 심신 불안증이라고 하는데,

이 때에 연자육은 마음을 가라 앉히면서

마음을 굳게 하고 의지력을 강화시키는 작용을 하게 된다.

최근에 연구된 보고서에서 우울증으로

몸이 점점 수척해가고 식사를 잘 못하면서

초조와 불안감으로 견딜 수 없는 증상에

연자육을 물에 달여서 복용하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우울증이 풀어지는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만약 이러한 경우에는 연자육을 밥이나 떡으로,

혹은 차로 다양한 요리를 해서 먹어 본다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잠이 깊이 들지 못하고, 잠들어도 선잠을 자는 사람의 경우

대추와 같이 달여 먹으면 마음이 편안해지고 숙면을 취하게 될 것이다.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연자육 삼각티백]

연자육은 수련과에 속하는

연꽃의 성숙한 종자를

건조한 것입니다.

연자는 가장 오래된

식물 중 하나로 꼽히는데,

1951년 일본의 한 식물학자가

2000년전에 땅에 묻힌 연자를

발아시키면서 잡지에 실린적도 있습니다.

연자육은 최근들어 국내에서

재조명 받으면서 이용되기

시작하고 있는데,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지에서는

연자육을 밥에 넣어 먹거나

연꽃 줄기도 음식에 이용하기도 합니다.

연자의 껍질을 벗기면

옅은 황갈색의 씨껍질이 있는데,

이 껍질로 인해 연한 갈색으로

우러나게 됩니다.

연자육차은 향은 거의 없지만

은은한 단맛과 약간의

떫은 맛이 나는게 특징입니다.

사러가기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5274403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지형이 복잡하다.

산들이 높게 솟아 있고 구릉의 기복이 있으며,

하천과 분지가 교차하고 있다.

산지와 구릉이 전체 면적의 90%를 차지하고 평원은 10%를 차지하고 있다.

지세는 서북이 높고 동남이 낮은 형태이다.

민서대산대(閩西大山帶)[무이산(武夷山),선하령(仙霞嶺),삼령(杉嶺)]과

민중대산대(閩中大山帶) [대운산(戴雲山), 취봉산(鷲峰山), 박평령(博平嶺)]은

해발 1000m 정도로 각각 동북에서 서남으로 뻗어 해안선과 평행을 이루면서

전체 성을 서북과 동남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누면서

남아열대, 중아열대, 중아열대 산지 등 3개의 농업 기후대를 형성한다.

무이산(武夷山) 주봉인 황강산(黃崗山)은 해발 2158m,

대운산(戴雲山)의 주봉은 해발 1856m이다.

산지형의 해안선은 길고 굴곡이 심해

직선거리로는 535km이나 곡선거리로는 3324m나 된다.

 

연해에는 하문(廈門),평담(平潭), 동산(東山), 금문(金門) 등의

1,404 여 개의 도서(島嶼)가 있고, 사정만(沙埕灣),삼사만(三沙灣),

삼도만(三都灣),나원만(羅源灣),흥화만(興化灣),미주만(湄州灣),

천주만(泉州灣),하문항(廈門港), 마미항(馬尾港) 등 125 개의 항만이 있다.

 

크고 작은 하천이 600여 개로 주요하천으로는 민강(閩江), 구룡강(九龍江),

정강(汀江), 진강(晉江), 목란계(木蘭溪) 등이 있다.

본 성은 아열대해양성계절풍기후 지역으로

연평균 기온이 17~21℃이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7~13℃,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이 23~30℃이며,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6500~7500℃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1700~2300 시간이고 무상기(無霜期)는

내륙이 260~300일, 연해지역이 300~360일이다.

연간 강수량은 1000~2000㎜이다.

토양은 전홍양(磚紅壤), 홍양(紅壤), 황양(黃壤), 자색토(紫色土),

충적토(沖積土), 풍사토(風沙土),염토(鹽土),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수도토(水稻土) 등이 있다.

식생은 상록활엽림대(常綠闊葉林帶)이다.

 

[복건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성 전체의 약용식물은 2139종,

약용동물이 418종, 광물약이 19종으로 총 2576종 이다.

 

주요품종

택사(澤瀉) : 명산지약재다.

주산지는 건구(建甌), 건양(建阳), 동안(同安), 용해(龍海), 장포(漳浦),

복주(福州) 등의 현(县)과 시이다.

크고 원형으로 황백색을 띄며 재질이 치밀하다.

고운 전분가루 성분이 풍부한 것으로 국내외에 잘 알려져 있다.

건택사(建澤瀉)라고불린다.

 

후박(厚朴) : 명산지약재다.

포성(浦城), 송계(松溪), 우계(尤溪), 사현(沙县), 명계(明溪) 등이주산지이다.

껍질이 넓고 두꺼우며 자색으로 윤기가 나고 기름지며 향이 짙은 것으로 유명하다.

 

연자육(蓮子肉) :

역사상 ʻ공연(貢蓮)ˮ으로 불리워 오고 있는 것으로 이미 천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다.

산지는 건녕(建寧), 영화(寧化), 태녕(太寧) 등의 현(县)이다.

알이 굵고 단하고 원만하다.

희고 깨끗하며 향이 가볍고 부드러워 맛이 좋은 것으로 명하다.

상품은 건련자(建蓮子)로 불리운다.

 

치자(梔子) : 주산지는 천주(泉州), 포전(莆田), 장주(漳州), 하문(廈門),

혜안(惠安) 등의 시와 (县)으로  전국 치자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계원육(桂園肉) : 명산지약재다.

용해(龍海), 남정(南靖), 천주(泉州), 포전(莆田),

동안(同安) 등의 (县)과 시가 주산지이다.

크기가 크고 달며 향이 좋고 과육질이 두터우며 부드럽다.

특히 용해(龍海), 남정(南靖)의 첩편(疊片)과 예편(蕊片) 품질이 가장 수하다.

 

복령(茯苓) : 60년대에 인종(引種)에 성공하였다.

산지는 우계(尤溪), 사현(沙县), 장악(將樂),영태(永太), 장평(漳平),

연성(連城), 무평(武平), 병남(屛南), 정화(政和) 등 산지의 (县)이다.

복건성에는 송목(松木) 자원이 풍부하여

인공 제균(制菌)과 재배기술이

생산지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보급되어 있어

생산에 있어 어느 정도 우세한 위치에 있다.

 

맥문동(麥門冬) : 천주(泉州), 선유(仙游), 남안(南安), 혜안(惠安) 등의 시와 현(县)이 주산지이다.

 

청대(靑黛) : 명산지약재다.

천여년의 역사를 가지고 있는 약재로 주산지는 선유(仙游) 현(县)이다.

상과(爵床科)식물인 마람(馬藍)의 가공품이다.

질량이 가볍고 색이 깨끗하며 품질이 우수하여

전국에 널리 판매되고 있다.

 

녹의지실(綠衣枳實) : 민후(閩候), 민청(閩淸) 두 현(县)이 주산지이다.

재배역사가 매우 길고 품질이 우수하다.

 

 

복건성의 주산약재는 위에 상술한 품종 이외에도 진피(陳皮), 사개청피(四个靑皮),

해금사(海金沙),은이(銀耳), 비파엽(枇杷葉), 여지핵(荔枝核), 구척(狗脊),

오매(烏梅), 태자삼(太子參), 천심련(穿心蓮), 기사(蕲蛇), 해사(海蛇),

금전백화사(金錢白花蛇), 모려(牡蠣)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