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해방풍(갯방풍)은 방풍 防風으로

사용하면 안되는 위품(僞品, 가짜)

방풍은

발한해표 發汗解表, 거풍제습약 祛風除濕藥의 하나로서

해표거풍 解表祛風· 승습지통 勝濕止痛·

지사지혈 止瀉止血의 효능으로, 미온 微溫하되 조 燥하지 않고

맛이 감완 甘緩하여 성질이 준열 峻烈하지 않으며

성질이 비교적 부드러워 풍약 風藥 중에 윤제 潤劑라 불리우는

풍병요약 風病要藥이다.

이름 자체도‘풍 風을 예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완만한 발한 發汗으로 진액 津液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약재라는 뜻이다.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 최초로 기록되어

아주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구분에 있어 현재까지도

논란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약용 부위인 뿌리는 2년생 이상된 기원식물에서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은 것을 채취하여

말려서 사용한다.

현재 우리나라 약재시장에서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종류로는

원방풍 元防風이라 부르는 중국방풍,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 해안 바위틈에 자생하며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인 식방풍 植防風,

그리고 현재까지도 일부 원방풍 元防風으로

잘못 유통되어지고 있는 해방풍 海防風 3종이 있다.

1.방풍류 防風類의 기원

각국 공정서(KP, CP, JP, THP, DKP)에서

방풍(防風.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KHP에서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의 뿌리를

식방풍 植防風이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을

해방풍 海防風 혹은 원방풍 元防風 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져 왔는데, 이는 한약명 북사삼 北沙蔘 으로서

보음약 補陰藥에 속하므로 효능이 다르다.

중국에서는 갯기름나물을 빈해전호 濱海前胡로,

갯방풍을 북사삼 北沙蔘이라 구분하고 있다.

산출지역을 보면,

방풍(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은

중국의 東北(黑龍江, 吉林, 遼寧, 만주),

華北(河北, 山西,河南) 등에서 산출되며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일부 시험재배되어지고 있다.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은

한국의 중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福建) 등의

해안가의 바위틈에 자생 혹은 대량으로 재배되어지고 있다.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은 한국의 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廣東, 福建)

등지의 바닷가 모래밭에 자생한다.

이외에 많은 종의 식물뿌리가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한약재 사용량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이를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2.약효상의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 기미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면,

방풍은 각국 공정서(KP, CP,JP, THP, DKP)에서

규정하고 있듯이,

중국 방풍 防風(원방풍 元防風)인

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해야한다.

②우리나라(KHP)에서

식방풍 植防風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어지고 있는

갯기름나물(植防風) Peucedanum japonicum은

분류상 청열약 淸熱藥에 해당되어지는 약물로서,

한약재로서의 방풍 防風 효능과 차이점을 갖고 있다.

식방풍 植防風의 속명 屬名인 Peucedanum이

식물분류상 한약재 전호 前胡의 속명 屬名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상한론 傷寒論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원방풍 元防風이 발산풍한 發散風寒의 효능을 가진

태양병 太陽病약물이라면,

식방풍 植防風은 청열 淸熱의 효능을 가진

양명병 陽明病약물로 설명될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식방풍 植防風은 원방풍 元防風 적응증의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약물로서,

한의학에서 말하는 방풍 防風의 효능과는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방풍 植防風은

오한 惡寒보다는 발열 發熱이 주요 증상인

감기에 구갈 口渴과 해수 咳嗽를 동반하는데에

적응증이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③이미 공식화되었지만,

임상에서 쉽게 변화되고 있지 않는

갯방풍(海防風) Glehnia littoralis의

방풍 防風 오용은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감기의 경우에 굳이 사용되어져야 한다면,

원래의 한약명인 북사삼 北沙蔘의 의미대로

감기 후기의 폐위음허증 肺胃陰虛症에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방풍(元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

①전형 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담갈색 淡褐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촘촘히 돌림마디 모양의

세로주름( 蚓頭)이 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있으며,

목부 木部는 황색이고 방사상무늬(국화문 菊花紋)가 있으며,

중앙에는 황갈색의 원형무늬가있다.

2)갯기름나물(植防風)Peucedanum japonicum

①전형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회황색 灰黃色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가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없으

며, 목부 木部는 황갈색으로 치밀하다.

3)僞品:갯방풍(海防風)Glehnia littoralis

①전형상태

표피 表皮가 담황백색 淡黃白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종황색 棕黃色의 근경 根莖 잔기 殘基가 있고,

가는 세로주름과 세로홈이 있으며, 종황색 棕黃色의 점모양의

세근 細根흔적이 뚜렷하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황색 灰黃色으로

때로 열극 裂隙이있으며,

갈색 褐色의 분비도가 흩어져 있고,

목부 木部는 담황색 淡黃色으로 치밀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좌)과 방풍(우)]

 

 

효능

소풍승습지통 疏風勝濕止痛

주치(主治)

풍습재표 風濕在表,

편정두통 偏正頭痛,

신중관절통 身重關節疼痛

해설

강활 羌活은 신온辛溫한 성질이 강하여

기표 肌表의 풍사 風邪를 해산 解散하고

몸 전체의 관절통 關節痛을 이롭게 하며

표 表에 머물러 있는 습 濕을 땀으로 선산 宣散시키는 효능이 있다.

병 病이 정부위 巓部位에 있는 것은 오직 풍 風만이 도달 할 수 있다.

강활 羌活은 기후미박 氣厚味薄하고 성질이 가벼워 승 升하니

기분 氣分의 사기 邪氣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방풍 防風은 몸 전체를 운행하여

외풍 外風을 방어하며 발산약 중에서도 윤제 潤劑가 된다.

주로 흩어버리는데 다용 多用하고 이규 利竅하는데는 소용 少用한다.

강활 羌活과 방풍 防風을 배오 配伍하면

위로부터 두루 몸 전체로 도달하여

소풍승습지통 疏風勝濕止痛의 효능이 있어

풍습 風濕이 표 表의 상부 上部에 있을 때와

편정두통 偏正頭痛, 신중관절통 身重體節疼痛,

한쪽으로 치우쳐 유주 流注하는 성질의 증상 등을

치료할 수가 있다.

몸안의 수분이 순환되지 못하고

정체되면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

정체된 수분이 머리에 있으면, 두통과 묵직한 느낌

몸 전체에 있으면 몸이 붓고 무거운 느낌이 들고

관절에 있으면 관절이 뻑뻑한 느낌과 묵직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때 강활과 방풍을 사용하면

몸안의 잉여수분을 몸밖으로 배출해

위와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조합입니다.

사용량

강활 10g / 방풍 10g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방풍 - 중국방풍]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쿠마린 : 방풍의 주요 약리성분으로 중추신경계 억제작용 및 진경작용이 있고, 혈전생성을 지연하는 작용이 있음.

② Essential oils

③ Mannitol

④ 고미 배당체

(2) 독성증상

피부발진; 면역억제

(3)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으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기원 전혀 다른 식물이 ‘방풍(防風)’으로 둔갑

갯기름나물(식방풍,植防風), 갯방풍(원방풍, 元防風)은

‘방풍(防風)’이 아니다

防風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방풍(Saposhnikovia divaricata (Turcz.) Schischk.)의 뿌리이다.

防風은 구릉지대의 산비탈, 풀숲 속, 밭가, 길가, 높은 산에서 자라며

중국의 동북, 내몽고, 하북, 산동, 하남, 섬서, 산서성등지에 분포한다.

주산지는 흑룡강, 길림, 내몽고, 하북이다.

흑룡강, 길림, 요녕, 내몽고산을

관방풍(官防風), 동방풍(東防風)이라 하며 품질을 최고로 친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 Thumb.) 및

갯방풍(해방풍·Glehnia littoralis Fr. Schm.)을 防風으로 잘못 쓰고 있다.

갯기름나물은 시중에서 흔히 식방풍(植防風)으로 유통되고 있으나 이는

빈해전호(瀕海前胡) 혹은 방규(防葵)로 전혀 다른 식물이다.

효능 또한 氣味는 辛 寒하고 약간의 毒을 가지고 있으며 肺, 膀胱經에 歸經하고,

淸熱止咳, 利尿解毒의 효능이 있어 肺熱咳嗽, 濕熱淋痛, 瘡癰紅腫을 다스린다.

갯방풍(해방풍)은 시중에서 원방풍(元防風)으로 유통되나,

북사삼(北沙蔘) 또는 빈방풍(濱防風)으로 바닷가의 모래땅에서 자란다.

性味는 甘 淡 凉하고 肺 胃經에 歸經하며, 養陰淸肺 益胃生津 등의 효능이 있어

肺熱燥咳, 陰虛勞嗽, 脾胃氣虛, 熱病傷津등의 병증을 치료한다.

이상과 같이 전혀 다른 기원식물이 방풍으로 유통되고 있는 실정이다.

다행히 최근에 기원종(起源種)의 방풍이 수입되어

일부나마 유통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홍보가 절실한 실정이다.

정종길(동신대 한의대 교수)

필자약력

▲1991년 원광대 한의대 졸 ▲동신대 한의대 교수(방제학)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육성경위

양질 다수성 방풍 품종을 육성하고자 국내의 11개 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지방 재래 식방풍 11계통을 수집 공시하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개년간 순계분리를 하여

그중 양질다수정 계통으로 유망시되는 영덕종 등 4계통을

1992년부터 1993년까지 2개년간 생산검정시험을 실시한 후

영덕종과 봉화종을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함과 동시에 1995년에는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순계분리와 생산력 검정시험은 대구에서, 지역적응시험은 대구, 안동 및 울진에서,

농가실증 시험은 안동과 울진에서 실시한 결과 봉화종보다 영덕종이

내서성, 내습성, 내도복성, 내병성 및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1995년 농촌진흥청 우량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우량품종으로 결정되어

“식방풍 1호로 명명되었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표 1> 고유특성

품종명

근피색

화 서

엽 병

근육색

근착생형태

식방풍 1호

황갈색

장원추형

심직근

진녹색

근착생다

봉화식방풍

백갈색

단원추형

심곡근

연녹색

근착생소

식방풍 1호는 봉화 재래식 방풍에 비해 고유특성상 근피색이 황갈색이고

근형태는 직립원추형이며 엽색은 진녹색을 지니고 착엽부위는 뿌리 부분에서 총생함으로써

규격품 생약재 생산에 유리한 품종이다.

나. 가변특성

<표 2> 가변특성

품종명

초 장

(cm)

경 장

(cm)

종실중

(kg/10a)

엽 수

(매)

주근장

(cm)

근두직경

(mm)

식방풍1호

59.5

104

51.3(123)

6.1

27.5

27.2

봉화식방풍

59.4

97

41.7(100)

5.8

31.4

25.7

육성된 식방풍 1호 가변특성을 살펴보면 식방풍 1호는 봉화식방풍과 초장은 비슷하고

주근장은 3.9cm로 짧았으나 경장은 7cm길고 엽수는 주당 0.3매 많았으며

근두직경은 1.5mm굵었고 종실중은 23% 증수되었다.

다. 재해 및 병충해 저항성

<표 3> 재해 및 병충해 저항성

품종명

탄저병

내습성

내서성

토양선충

도복

식방풍1호

중강

봉화식방풍

중강

중강

봉화지방 식방풍에 비해 식방풍 1호의 병충해 및 도복성 등 내재해성의 시험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식방풍 1호는 탄저병, 도복성, 토양선충 등에 대한 내성은 봉화식방풍과 대등하였으나

내습성과 내서성이 강하며 특히 여름 고온기에 하고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수확기까지 왕성한 생육을 계속하는 품종이어서 규격품 생약재 생산에 적합한 품종이라 할 수 있겠다.

라. 품질특성

<표 4> 품질특성

품 종 명

건조감량(%)

엑스함량(%)

회분함량(%)

조회분

산불용회분

식방풍 1호

6.2

35.0

5.99

0.92

봉화식방풍

6.3

34.0

6.58

1.13

식방풍 1호의 화학적 품질 특성으로는 봉화식방풍 대비 엑스 함량은 35.0%로 1.0% 많았으며

생근 중량에 비해 건조 감량은 식방풍 1호가 6.2%로서 봉화 식방풍과 큰차이가 없었으나

대한생약 규격 건조감량 10%미만이었고 회분 함량과 산불용성 회분 함량은

각각 0.59%, 0.29% 낮게 함유된 품종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떄 식방풍 1호는

대한약전 규격외 한약규격집(지와 이등, 1988)에 규정된 규격치인

물 엑스함량 30%이상, 묽은에타놀 엑스함량 18%이상, 조회분 함량 7%이하,

산불용성 회분 2.0%이하여서 생약재로 이용시 안전성과 유효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양질근이었다.

마. 수량성

<표 5> 생산력검정시험 (’92~’93, 경북)

품종명

종실중

(㎏/10a)

건근수량

(㎏/10a)

지 수

식방풍 1호

51.3

383

124

봉화식방풍

41.7

309

100

<표 6> 지역적응시험 (’94~’95, 경북)

시험장소

품종명

건근수량

(㎏/10a)

지 수(%)

대 구

식방풍 1호

135

112

봉화식방풍

121

100

안 동

식방풍 1호

126

109

봉화식방풍

116

100

울 진

식방풍 1호

131

112

봉화식방풍

117

100

평 균

식방풍 1호

131

111

봉화식방풍

118

100

<표 7> 농가실증시험 (’95, 경북)

품종명

수 량(㎏/10a)

지 수(%)

안 동

울 진

평 균

안 동

울 진

평 균

식방풍 1호

126

131

129

109

112

110

봉화식방풍

116

117

117

100

100

100

신품종 백지 1호의 육성과정에서 조사한 수량성은

대구 경북농촌진흥원 포장에서 1992년부터 1993년까지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 비교 검정시험결과 식방풍 1호의 생근수량은 383㎏/10a로

대비품종으로 공시한 봉화식방풍 보다 24%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구, 안동, 울진지방에서 1994~1995년까지 2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도

식방풍 1호의 건근수량은 131㎏/10a으로서 봉화식방풍보다 11%증수하였으며,

1995년에안동과 울진에서 실시한 농가실증시험 결과도 식방풍 1호의 건근수량은 129㎏/10a으로서

봉화식 방풍보다 10% 증수되어 다수확의 우량품종으로 확인되었다.

3. 적응지역

식방풍 1호는 경북지방 식방풍 재배지역에 잘 적응하는 우량품종이지만

식질토양에서는 뿌리가 옆으로 자라므로 이러한 토양은 피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지상부생육의 과번무로 장마 후 흰가루병의 발생을 유발하므로

적정시비에 유의해야 하며 채종을 목적으로 재배시에는

결과기의 건조를 피할 수 있는 수리안전포장을 선택해야한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뿌리가 옆으로 뻗으므로 식질토양 재배는 피해야하고,

채종목적 재배시에는 결실기 한발을 피할 수 있는

수리안전포장 선택하며 질소질 과용은 지상부생육의 과번무로

장마후 백분병 발생이 심하므로 적정시비에 유의하여야한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 (TEL : 054-482-003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식방풍이란?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이 식방풍을 전호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중국에서 기원식물로 규정하는 방풍은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로

별명으로 관방풍(關防風) 또는 동방풍(東防風)이라고도 부릅니다.

식방풍은 어떻게 사용되게 되었나?

중국의 방풍이 수입이 금지되었던 시절에 이를 대신하기 위해

사용했던 갯기름나물이 식방풍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기 시작해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식방풍 vs 중국 방풍

방풍은 원래 그 효능상 해표약에 속해

피부로 혈액을 몰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반면 식방풍은 가래를 삭히는 약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방풍은 식방풍 보다는 중국방풍을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식방풍은 엇썰어서 단면이 밝은 아이보리색에 정유띠를 볼수 있고

중국 방풍은 색이 어둡고 직각의 형태로 잘라서 유통되는게 차이점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산림이 조밀하고 초원이 광활하며

강과 하천이 종횡(縱橫)으로 분포하고 토양이 비옥하다.

북부는 대흥안령(大興安嶺), 소흥안령(小興安嶺)이,

동남부는 장백산(長白山) 계열의 장광재령(長廣才嶺)과

노부령(老斧嶺), 완달산맥(完達山脈)이 자리하고 있으며,

동서부는 삼강(三江)과 송눈(松嫩) 양대 평원으로 나뉘어 있다.

흑룡강성의 경계내에는 흑룡강(黑龍江), 오소리강(烏蘇里江),

송화강(松花江), 눈강(嫩江), 목단강(牧丹江) 등 5대 하류와

흥개(興凱), 경박(鏡泊), 오대연지(五大連池) 등 3대 호수가 위치하고 있다.

본 성은 한온대(寒溫帶)-온대(溫帶)의

습윤(濕潤)-반습윤(半濕潤)의 계절풍 기후에 속한다.

봄에는 건조하고 강수량이 적고,여름은 짧으며

가을은 기온의 하강이 매우 빠르다.겨울은 길고 춥다.

연평균 기온은 서북지역에서 동남지역으로 가면서 -6~4℃가 된다.

가장 추운 1월의 연평균기온은 -32~-17℃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16~23℃이다.

연간 일조시간은 2400~3000 시간이고,

10℃이상 되는 날의 누적온도는 1300~2900℃,

무상기(無霜期)는 90~120일이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점차 늘어난다.

연강수량은 300~650 ㎜이다.

태양광열은 남쪽에서 북쪽으로 갈수록 점차 감소하고

강수량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갈수록 적어진다.

토양은 갈색삼림토,암종토(暗棕土),흑토(黑土),흑개토(黑鈣土)등

11개 종류의 토양으로 구성된다.

전국에서 가장 큰 면적의 흑토구역이다.

식물분포는 온대침활엽 혼합림과 온대초원,한온대침엽림등

3개 구역으로 분포하고 있다.

 

[흑룡강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따르면 전체 성(省)의 약용식물은 818종, 약용동물은 34종,

광물약은 1종, 기타 3종으로 총 856종이 분포한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20여 종이고, 재배면적은 3.4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55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200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000만kg이 된다.

 

주산품종

인삼(人參) : 주로 동녕(東寧), 목릉(穆陵), 영안(寧安), 임구(林口),

밀산(密山), 호림(虎林),상지(尙志), 이춘(伊春), 철력(鐵力), 탕원(湯原),

발리(勃利) 등의 현(县)과 시에서 생산된다.

 

녹용(鹿茸) : 야생자원은 주로 대, 소흥안령(大, 小興安嶺), 장광재령(長廣才嶺),

노부령(老斧嶺),완달산맥(完達山脈)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산악지대에서 평원지대까지의 대부분의 현(县)과 시에서 사육하고 있다.

본성은 전국의 마록용(馬鹿茸) 주산지 중에 하나로 대부분이 수출된다.

 

방풍(防風) : 주로 서부 초원지대에 분포하고 있다.

뿌리가 굵고 길며 재질이 유연하고 맛이 약간 달다.

ʻ소호자방풍(小蒿子防風)ˮ ʻ관방풍(關防風)ˮ이라는 별칭으로 불린다.

방풍 주산지중의 하나로 전국의 60%를 공급하고 해외로 수출한다.

 

황백(黃柏) : 벌목림의 부산품이다.전체성의 산악지역에 모두 분포하고 있다.

본 성의 연간수매량이 전국의 40%정도를 차지, 1위를 달린다.

 

오미자(五味子) : 전성의 대부분의 산악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상품은 알이 크고 색이 붉으며 살지다. 국내외 시장에 공급되고 있다.

 

황기(黃芪) : 야생과 재배종이 모두 있다.

장광재령(長廣才嶺), 노부령(老斧嶺)에서 나는 것을 ʻ영고탑기(寧古塔芪)ˮ,

흥안령(興安嶺) 산지에서 나는 것을 ʻ복규기(卜奎芪)ˮ라고부른다.

특히 야생인 ʻ편간기(鞭杆芪)ˮ의 품질이 좋아 대개 수출되고 있다.

 

용담(龍膽) : 원식물의 종류가 비교적 많으나 분포는 분산되어 있는 편이다.

서부초원지대에 분포하고 있는 동북용담의 품질이 가장 좋아

ʻ관용담(關龍膽)ˮ이라는 별칭을 가지고 있다.

 

흑룡강성(黑龍江省)의 주산약재는 상술한 것 외에도 자오가(刺五加),

만산홍(滿山紅), 합마유(蛤蟆油), 우방자(牛蒡子), 창출(蒼朮), 시호(柴胡),

승마(升麻), 적작약(赤芍藥), 지모(知母),고삼(苦參), 황금(黃芩), 곡기생(槲寄生),

차전자(車前子), 세신(細辛), 평패모(平貝母), 원지(遠志),웅담(熊膽), 맥반석(麥飯石)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방풍의 맛이 맵고 달며(辛,甘) 성질은 따뜻합니다.(溫)

작용장부는 방광(膀胱), 간(肝),비장(脾)입니다.

주치(主治)를 보면

해표거풍( 解表祛風)-피부를 열어서 원인이되는 바이러스를 내보내고

승습지통(勝濕 止痛)-몸에 남아있는 불필요한 체액을 체온을 올려서 빼내

염증으로 인한 통증을 줄이는 역할을 합니다.

알려진 약리작용으로는 해열,항균,진통작이 있습니다.

자세한 증상을 보자면

1.발표산한(發表散寒)-감기증상을 해소한다는 의미입니다. 감기증상은 오한,발열,두통 정도가 되겠네요

2.거풍승습(祛風勝濕)-온몸이 아프고 감각이 둔해지거나 마비감이 있을 경우를 말합니다.

부위는 어깨, 손발, 온몸이 되겠습니다.

3. 거풍지경(祛風解痙)-이건 떨리는 증상을 완화시킨다는 의미입니다.

아무래도 몸살을 떠올리면 이해가 쉽게 되리라 생각됩니다.

약초배합

1.+형개: 설사나 출혈을 멈추게 합니다.

2.+강활: 주로 관절의 통증이나 마비감에 같이 사용합니다.

3.+방기(분방기): 무릎관절이 부을때 같이 사용합니다.

4.+전갈: 뇌졸중이나 뇌경색 후유증으로 경련이나 마비감이 심할때 사용합니다.

기타

1.바닷가에서 잘 자라는 방풍은 갯기름나물이라 부르는데, 다른 말로 해방풍 혹은 원방풍이라고 하지만

중국의 방풍과는 다릅니다. 대체는 가능하지만 가급적 중국방풍을 사용하시길 권해드립니다.

2.방풍은 사실 단독으로 보면 감기증상에 사용하지만

다른 약재와 배합여부에 따라 관절에도 사용할수 있고, 중풍으로 인한 구안와사에도 응용합니다.

즉, 활용범위가 꽤 넓은 편에 속하는 약재라고 보시면 됩니다.

3.강활과 독활과 같이 사용하면 주로 관절의 염증을 줄이는 역할을 하고

4.천남성과 백강잠과 같이 사용하면 파상풍으로 인한 경련이나 구안와사에 사용합니다.

5.태우면 지혈작용이 있지만 이건 양방이 워낙에 효과가 좋기에 큰 의미는 없어보입니다.

6.방풍이 들어가는 유명한 처방으로는 방풍통성산과 옥병풍산이 있습니다.

방풍통성산: 심한 변비에 사용되지만, 요즘은 체력이 튼튼한 분들의 다이어트에 응용되며

옥병풍산: 주로 낮에 땀을 많이 흘리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지만, 감기예방으로도 사용할수 있습니다.

참고로 옥병풍산+황정,인삼,당귀,천궁이 가미되면 더욱 좋구요.

7.감기몸살에 대표적인게 쌍화탕인데 여기에 관중을 추가로 넣어주면 감기예방으로도 활용할수 있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