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8. 17. 09:59
[약초세상] 신이화(목련꽃봉오리)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발산약(發散藥)2019. 8. 17. 09:59
728x90
신이화는 맛이 맵고(辛) 성질은 따뜻하며(溫)
작용하는 장부는 폐(肺), 위(胃), 비(脾), 담(膽), 간(肝) 입니다.
주치(主治): 거풍한 통비규(散風寒 通鼻竅)
차가운 기운을 매운맛으로 피부 밖으로 뿜어내 콧쿠멍을 뻥~ 뚫어줍니다.
약리작용(藥理作用)
국부 수렴작용, 혈압강하작용, 마취작용
사용되는 주요증상
1.거풍산한(祛風散寒)…風寒感冒, 五藏風寒, 肝風內動(머리무겁고 두통 어지럼)
풍한감모, 오장풍한, 간풍내동 이렇게 적혀져있는데요.
결국은 뒤에 있는 두통과 어지럼움이 주증상입니다.
2.통비규(通鼻竅)- 코가 막혀 숨쉬기 힘든 경우
3.지두통(止頭痛)- 두통에 사용하구요.
4.승청명목(升淸明目)-이건 코와 안면부의 염증이 눈으로 퍼졌을 경우를 말합니다.
약초배합 응용
1.+창이자: 알러지성비염 - 여기에 영지버섯을 더하면 좋습니다.
2.+세신: 코막힘이 심한 경우
3.+천궁, 백지: 두통
기타
1.자목련과 백목련의 꽃봉오리를 모두 신이화로 사용합니다.
2.함박꽃나무의 꽃봉오리는 위품(가짜)입니다.
3.코막힘, 비염,축농증에 가장 우선적으로 사용되는 약초입니다.
4.비염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처방이 [여택통기탕(麗澤通氣湯)]인데 여기에
신이화, 창이자, 유피(버드나무껍질)을 같이 사용합니다.
5.시력이 저하되는 경우에는 구기자와 신이화를 같이 사용합니다.
염증이 생기면 사용하지만, 꼭 신이화를 사용할 필요는 없고 결명자로도 충분합니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발산약(發散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 생강 (0) | 2019.08.26 |
---|---|
[약초세상] 세신(족도리풀 뿌리) (0) | 2019.08.20 |
[약초세상] 고본 (0) | 2019.08.13 |
[약초세상] 방풍(갯기름나물) (0) | 2019.08.08 |
[약초세상] 백지(구릿대) (0) | 2019.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