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개요

동충하초속(Cordyceps) 진균은

전 세계에 약 300종이 있는데

주로 유라시아 대륙, 자바, 스리랑카,

태즈메이니아, 일본열도, 중국 및

오스트레일리아 등지에 비교적 많이 분포한다.

중국에만 약 60종이 있는데

현재 정식으로 보고된 동충하초균은 30여 종에 달하며

약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약 5종이다.

‘동충하초’의 약명은

《본초비요(本草備要)》에 처음으로 기재되었으며

중국 특산의 유명한 보양강장약이다.

《중국약전(中國藥典)》(2015년 판)에 기재된 이 종은

중약 동충하초의 법정기원식물이다.

동충하초의 주요산지는 중국의 사천, 서장, 청해, 귀주,

운남 등이며 사천성의 생산량이 가장 많다.

전통적으로 서장(西藏) 동충하초의 질이

가장 뛰어난 것으로 인정받고 있다.

《대한민국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제4개정판)에는

동충하초를 “매각균과(Hypocreaceae)에 속하는

동충하초균(冬蟲夏草菌, Cordyceps sinensis Sacc)이

박쥐나방과(Hepialidae) 곤충의 유충에서 기생하여

자란 자실체(字實體)와 유충의 몸체”로 등재하고 있다.

동충하초 중에 함유된 성분은

비교적 복잡할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도 명확하지 않다.

주요성분으로는 뉴클레오사이드, 스테롤, 다당류,

아미노산 및 여러 종의 미량원소 등이 있다.

《중국약전》에서는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법을

이용하여 아데노신의 함량을 0.010% 이상으로

약재의 규격을 정하고 있다.

약리연구를 통하여 동충하초에는

면역력 증강작용, T임파세포 전화,

대식세포 탐식기능 강화 및 인체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한 저항력 증강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동시에 결핵간균, 포도상구균, 연쇄구균,

폐렴구균 등 병균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다.

최근에는 인공으로 발효시킨 균사체도

점차 약용으로 사용하고 있다.

한의학에서 동충하초는

익신장양(益腎壯陽), 보폐평천(補肺平喘) 등의

효능이 있다.

약리작용

1. 면역계통에 대한 영향

동충하초를 달인 약액은 in vitro에서

NK세포의 세포자연사를 촉진시키고

NK세포와 K562의 결합률을 제고시키며

NK세포의 살상활성을 촉진시킬 수 있다.

동충하초의 균사체배양액을 복용시키면

실험용 Mouse의 대식세포 활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인자의 분비를 증강시킨다.

동충하초의 정제배양액의 물 추출물을 복강에 주사하면

Mouse 복강대식세포의 탐식능력을 촉진할 수 있고

임파세포의 E-로제트형성률을 명확히 제고시킬 수 있다.

동충하초를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H22 간암화학치료를 거친 Mouse의 NK세포활성 및

인터루킨-2(IL-2)의 수준이 명확히 증가할 뿐만 아니라

임파세포 전화지수도 명확히 상승한다.

2. 호흡계통에 대한 영향

인공배양한 동충하초균 분말 수용액을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에 걸린 Rat에게 먹이면

COPD 염증의 정도를 경감할 수 있으며

동시에 IL-2를 억제하여 COPD에 걸린

Rat의 Th1/Th2류 세포인자를 저하시키거나

평행을 유지하는 데 관여하기도 한다.

동충하초의 알코올 추출물은 in vitro에서

기관지폐포세척액(BALF) 중의 인터루킨-1β,

인터루킨-6, 종양괴사인자-α(TNF-α),

인터루킨-8 등을 억제함으로써

기관지의 Th1/Th2의 사이토카인 평형을

유지할 수 있다.

3.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작용

동충하초의 발효액을 위에 주입하면

Mouse의 자발적인 활동을 억제하고

Mouse의 수면잠복기를 단축하며

Mouse의 펜토바르비탈나트륨으로 유도된

수면의 지속시간을 연장하는 등

중추신경계통에 대해 일정한 억제작용이 있다.

동충하초의 알코올 추출물은 Mouse에 대하여

니코틴 및 펜틸레네테트라졸로 유발된 경련을 억제하며

비정상적인 체온변화를 감소시킬 수 있다.

4. 심혈관계에 대한 영향

인공배양한 동충하초균 분말의 알코올 추출물을

Rat의 비순환형 적출심장에 주입하면

심근기능대사를 개선하고 허혈성 재관류손상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동충하초의 알코올 추출물도

아드리아마이신으로 유발된 심근손상에

명확한 보호작용이 있다.

동충하초 알코올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콕사키바이러스에 의해 바이러스성 심근염에 걸린

Mouse의 말초혈 IDN-γ 신생을 유도하여

심근손상을 감소시키고 생존율을 증가시킨다.

동충하초를 달인 약액을 위에 주입하면

신장성 고혈압이 있는 Rat의 혈압을 뚜렷하게

낮춤과 동시에 신장성 고혈압에 병행하여 발생하는

심근 비대를 감소시킨다.

인공재배한 동충하초 균사체의 석유에테르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아코니틴으로 유발된 Rat의 심박부조를

뚜렷하게 감소시키고 심박실상의 유발시간을 연장시키며

지속시간 및 강도를 저하시키고 염화바륨으로 유발된

심박부조에도 일정한 길항작용이 있다.

또 우아바인의 심장독성을 길항하고

인체의 항산화 효율을 제고한다.

5. 항종양

코르디세핀을 복용하면 피하접종 B16-BL6 흑색종이

있는 Mouse의 종양세포에 대해 뚜렷한 억제작용이

있다.

인공배양한 동충하초균사의 다당 추출물을

복강에 주사하면 B16 흑색종이 있는 Mouse의

종양성장을 억제할 수 있다.

동충하초의 물 추출물은 in vitro에서

B16 흑색종의 세포괴사를 유도하며

메토트렉세이트 정맥주사와 함께

엽상종에 걸린 Mouse의 생존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동충하초의 현탁액을 복용하면

사염화탄소(CCl4)로 유발된 Rat의 간 손상을

경감시킬 수 있고 간의 섬유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동충하초의 현탁액을 위에 주입하면

CCl4 및 에탄올로 유발된 Rat의 간섬유화 형성시기

간세포 재생을 촉진하고 만성 간염이 간경화 단계로

발전하는 속도를 늦출 수 있다.

동충하초의 물 추출물을 위에 주입하면

어린 암컷 Mouse의 복수형 간암 피하이식 종양에 대해

성장에 현저한 억제작용이 있다.

동충하초의 다당은 in vitro에서

Rat의 간성상세포(HSC)의 증식을

현저히 억제함과 동시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HSC에 대한 농도 의존적 억제작용을 보인다.

6. 기타

동충하초 및 그 추출물은 성호르몬 유사작용이 있으며

강혈당, 항노화, 항스트레스 등의 작용이 있다.

용도

동충하초는 중의임상에서 사용하는 약이다.

*익정장양

[益精壯陽, 정기(精氣)를 보익하고

허쇠한 심, 신의 양기를 강장(强壯)시킴],

*보폐평천(補肺平喘, 폐를 보하여 기침을 치료함)

등의 효능이 있으며,

폐신양허로 인한 기침과 호흡 미약,

피로로 인한 해수(咳嗽, 기침), 가

래에 피가 섞여 나오는 것, 병후 신체 허약,

식은땀이 나면서 찬 것을 꺼리는 것 등의

치료에 사용한다.

현대임상에서는 신장쇠약, 성기능 저하,

관심병(冠心病, 관상동맥경화증), 심박부조, 고지혈증,

고혈압, 알레르기성 비염, B형 간염 및 갱년기 증상 등에

사용하기도 한다.

해설

오늘날까지 각기 다른 지역에 동충하초속

여러 가지 진균이 통용되는 현상이 있다.

예를 들면

아향방충초(亞香棒蟲草, Cordyceps hawkesii Gray),

향방충초(香棒蟲草, Cordyceps barnesii Thwaites ex

Berk et Br.), 양산충초(凉山蟲草, C. liangshanensis

Zang, Liu et Hu), 용충초(蛹蟲草, C. militaris (L.)

Link) 등이다.

동충하초의 동속자원 개발과 이용은

이후 동충하초 내원의 부족에

중요한 해결방법이 될 것이다.

천연 동충하초 자원은 이미 멸종에 임박해 있고

최근의 인공재배 동충하초 기술은

여전히 시험연구 단계에 있을 뿐

아직 구체적인 생산에 성공하였다는 보도는 없다.

하지만 인공발효배양의 동충하초균사체 및

반인공재배 동충하초 기술은 이미 개발되었으며

이미 대량으로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따라서 사람들의 동충하초 약용 가치에 대한 인식이

점차 늘어나면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되었지만,

그 자원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시장에는

가짜 동충하초가 자주 거래되고 있고 주의를 요한다.

따라서 동충하초와 위조품의 감별에 대한 필요성도

급속히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출처: 세계 약용식물 백과사전 1, 2016. 11. 11.,

자오중전, 샤오페이건, 성락선, 하헌용, 성락선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동충하초]

 

요즘 동충하초가 유행이지 않습니까?

동충하초는 전 세계에 350가지 정도가 있는데

"무슨 무슨 당당 동충하초!" 하는 것은 중국서 쓰는 '오리지날 동충하초'가 아닙니다.

그건 전혀 다른 것인데, 그럼, 왜 그런 말을 못하느냐?

돈 가져다 벌이는 사업인데 그걸 까 벌리면 큰 혼란이 나오죠.

그래서 아무소리 못하고 있습니다. 중국 사람들도 연구를 많이 합니다만,

제일 좋은 동충하초를 아직 재배 못하는데, 1kg의 값은 중국 돈으로 만원이에요.

여기 돈으로 환산하면 백 사십만 원입니다. 그렇게 비싸요.

그런데 우리나라 것과 똑같다고 선전을 하는 것은 아주 잘못된 것이죠.

지금 재배하는 것 있잖아요. 누에에서도 재배하고 그런 것은,

저도 누가 준 것이 있는데 그냥 쌓아 놨더니 두 세 개 정도 되는데,

숭늉같이 끓여 먹으면 몰라도 보약으로는 효험이 적습니다.

p.s: 실제로 등소평이 먹었다고 하는 동충하초는

티벳지역에서 채취되는 자연산으로 가격이 매우 고가에 속합니다.

이 동충하초를 보급하고자 나온 게 바로 현재 통에 들어있는

눈꽃 동충하초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입니다.

눈꽃은 노란색을 띄고 밀리타리스는 빨간색을 띄는데,

이 둘은 현미배지에 균주를 심어서 재배하는 것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동충하초의 일반특성

곤충의 애벌레, 번데기, 성충에 침입하여 곤충의 몸을 기주로

자실체를 형성하는 곤충기생균의 일종인 동충하초는

주로 자낭균강의 맥각균목, 불완전균강의 Moniliales목에 포함되며,

전세계적으로 800여종이 알려져 있고,

우리 나라의 경우 70여종이 채집되어 보고된 바 있다.

본래 동충하초는 박쥐나방의 유충에서 나온

Cordyceps sinensis를 지칭하는 것이나 지금은 곤충뿐만 아니라

거미, 균류 등에서 나온 자실체를 총칭하는 말로

서양에서는 ’Vegetable Wasps and Plant Worms’ 또는 Cordyceps로 표기하며,

우리 나라와 일본의 경우는 ’동충하초(冬蟲夏草)’,

티벳지방에서는 ’아사군바(Yaartsa Gunbu)’로

네발지방에서는 ’가다비라’로 불려지고 있다.

중국의 경우 동충하초속균은 예로부터 불로장생, 강정 강장비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신장과 폐질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본초종신에 기록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본초강목에는 허약체질을 튼튼히 하고 면역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중국 대사전에도 동충하초는 달고 온화하여 폐를 튼튼히 하여 호흡기 질환에 좋다고 기록되어 있다.

최근에 Kinjo 등(1996)은

Cordyceps militaris의 배양균사로부터 추출한 물질에서 생리활성이 있으며,

Cordyceps sp., C. cicadae, C. ophioglossoides로부터 추출한

polysaccharides에서 항종양 치료 효과가 있다고 보고했다.

Cordyceps속균의 인공자실체 형성에 대해서 Pen 등(1995)은

쌀이나, 옥수수를 이용하여 C.militaris의 인공자실체를 형성했다고 보고했으며,

Harada 등(1995)은 Lepidoptera의 애벌레로부터 분리한 C. militaris의 균주를

Mamestra brassicae의 번데기에 접종하여

자낭, 자낭포자 및 자낭각이 있는 자실체를 유도하였으며,

자실체에 형성된 자낭포자는 해충방제용으로 사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고한바 있다.

 

 

2. 동충하초 재배과정

가. 시설 및 기자재

동충하초 재배를 위한 시설로는

균보관 및 종균배양을 위한 준비실, 작업실, 접종실, 배양실, 생육실 등이 필요하며,

기자재로는 종균제조를 위한 항온기 및 진탕배양기 등이 필요하고,

배지살균을 위한 살균기, 접종을 위한 무균상 등이 필요하다.

 

나. 재배방법

(1) 종균제조

종균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원균이 필요한데,

원균은 감자배지에서 주로 배양한 것을 사용한다.

약 1주간 배양된 원균의 균총 끝 부분을

펀치로 절단하여 액체배양액에 접종한다.

액체배양액은 주로 감자재배나 대두분 배지를 사용하는데,

만드는 방법으로는 증류수1ℓ에 감자 200g을 잘게 썰어 넣고

끓인물을 거즈로 거른 후 설탕을 20g첨가하여 멸균한다.

액체 배양액에 종균을 접종한 후 1주일 동안 진탕배양기에서 배양한다.

 

(2) 배지제조 및 접종

종균이 준비되면, 플라스틱 배양병이나 유리 배양병안에 배지를 넣고

수분을 70%로 조절한 후 멸균기에서 121℃로 20분간 살균하며, 25℃로 식었을 때 종균을 접종한다.

배지로는 번데기, 현미, 쌀보리 등을 사용한다.

 

(3) 배양 및 발이

종균 접종을 마치면 25℃ 배양실에서 암배양을 하는데,

실내습도는 70%로 유지하면 10일후면 종균이 배지 안에 고루 퍼지어 배양이 완성된다.

배양이 완성되면 17∼20℃로 유지된 발이실에서 100lux의 광을 조사하면

동충하초의 자실체가 발이되어 나온다.

 

(4) 생육 및 수확

발이된 자실체 생육을 위해서는

17∼20℃로 조절된 생육실에서 100∼400lux의 광을 조사하면 된다.

이때 자실체 생육을 좋게하기 위해서는 공중습도를 90% 유지하면

자실체 색깔이 더욱 노란색으로 자라게 된다.

자실체가 병입구까지 자라게 되면 수확을 하게 되는데,

발이시부터 수확시까지는 약 2주정도가 소요되며,

수확물은 동결 건조시켜 상품화하거나, 생체를 약탕기에서 추출하여 이용하고,

술로 제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3. 재배방법에 따른 자실체 생육상황

가. 배양병 종류에 따른 생육

눈꽃동충하초의 생육단축 및 인공자실체 형성에 적합한 적정용기로

유리병과 플라스틱배 양병 및 상자를 사용하여 인공재배하였을 때,

배양완성일수는 유리배양병과 플라스틱배양병에서 모두 9일이 소요되었으며,

초발이일수 및 생육일수는 유리배양병 보다 플라스틱배양병에서 더 빠른 생육을 보였다.

종균 접종시부터 수확시 까지 총재배일수는

유리배양병은 50일이 소요된 반면

플라스틱 배양병은 30일이 소요되어 20일의 생육단축 효과를 가져왔다.

이는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생육일수가 배양용기 안에 투과되는

빛의 조명도 및 광종류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유리배양병은 밝은 빛이 직접 투과되지만 PP배양병은

빛이 불투명으로 투과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눈꽃동충하초 생육일수를 기초로

각각의 용기별로 재배시설내에서 년간 회전수를 계산하면,

유리배양병은 36일로 년간 10회 회전이 가능하며,

플라스틱 배양병은 19일로 년간 19회가 가능하여

유리배양병 대비 플라스틱 배양병은 47.0%의 생산비 절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용기가격에서도 900㎖ 유리배양병은 600원이지만,

900㎖플라스틱 배양병은 150원으로 75.0% 용기단가 절감효과가 있다.

재배용기별 자실체 생육상황을 보면

유리배양병은 자실체 수량이 17.3g/병으로 전체수량의 32.9%를 차지하지만,

플라스틱 배양병은 18.5g/병으로 전체수량의 33.5%에 해당하였다.

또한 대길이도 플라스틱 배양병에서 4.2mm가 더 길었으며,

자실체 발이갯수도 45개/병가 많아 눈꽃동충하초 재배를 위해서는

플라스틱 배양병이 적정용기라고 생각된다.

그러나 상자재배는

총재배일수가 25일로 용기재배에 비해 생육일수가 가장 짧았으나

생육상황이 용기재배에 비해 저조할 뿐만 아니라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잡균에 쉽게 오염되어(오염률 5∼30%) 생육에 피해를 받기 때문에

재배방법으로는 적절치 못하다고 생각된다.

 

나. 조명도에 따른 생육

조명도가 눈꽃동충하초의 자실체 발이와 생육에 미치는 영향으로

0lux와 700, 900, 2,500lux이상에서 발이 및 생육을 유도하였을 경우,

자실체 발이 개수가 500개/병 이하이며,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도 14.02∼26.44% 수준이나

100lux와 400lux에서는 29.9%이상으로 자실체 생육상황이 우수하였으며,

대길이 및 대직경도 양호하여 상품성이 우수하였다.

 

다. 광 종류에 따른 생육

광 종류가 눈꽃동충하초 자실체 생육에 미치는 영향으로

적색등>형광등>백열등>청색등 순으로 자실체 수량이 높았으며,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은 형광등이 백열등에 비해 12.3% 높았다.

따라서 눈꽃동충하초 생육을 위한 광의 종류로는

형광등과 적색등이 적당하다고 생각되며,

형광등과 백열등을 비교해 볼 때, 눈꽃동충하초의 생육을 위해서는

백열등처럼 직접광이 조사되는 것보다

형광등과 같이 반투명으로 광이 조사될 때, 생육상황이 우수했다.

이는 배양병 종류에 따른 생육상황에서

투명한 유리배양병 보다 불투명한 플라스틱 배양병에서의 생육이

우수한 것과 일치하는 경향이다.

 

라. 배지 종류에 따른 생육

눈꽃동충하초 자실에 형성 및 생육에 적합한 배지로,

총재배일수는 누에 번데기 배지가 30일로 가장 짧았으며,

전체수량 대비 자실체 수량도 28.4%로 가장 높았다.

그러나 곡물배지의 경우

누에 번데기 배지에 비해 배양일수 및 생육일수가 2∼3일 길었다.

이는 누에 번데기 보다 곡물배지가 공극이 조밀하여 눈

꽃동충하초의 균사생육에 불리한 조건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현미, 쌀보리 배지의 경우는

배양이 완성되기도 전에 자실체가 발이되어 나옴으로써

초발이일수가 가장 짧아 눈꽃동충하초 자실체 발이를 유도하기 위해서는

현미나 쌀보리와 같은 탄소원 성분이 필요한 것으로 생각된다.

배지종류에 따른 자실체 수량은

쌀보리 배지에서 누에 번데기 배지에 비해 2.7g/병 더 높은 수량을 나타냈다.

또한 쌀보리 배지의 경우 배지 안의 수분을

생육후기까지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상품성 면에서도 아주 우수하였다.

따라서 누에 번데기 대체배지로서 저가인 쌀보리나 현미 등도

눈꽃동충하초 재배를 위해서는 많이 이용되리라 생각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동충하초(冬虫夏草)라는 이름은

여름에는 풀이 되고 겨울에는 벌레가 된다는 형태학적인 것에서 유래되었다.

이 식물은 해발 3,000m 이상의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균식물이다.

약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부터이니 300여 년 밖에 안 된 약용자원이다.

한때 국내에서 이 식물을 대량재배하였는데 약용가치가 높다고 하여 야단들이었다.

그러나 국산 동충하초는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동충하초가 아니라

기원식물이 다른 누에 동충하초로서 원종과는 전혀 판이한 식물로 속과 종이 다 다르다.

물론 여기에도 약용가치는 있으나

원식물과 혼용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을 현혹시키는 결과였다.

중국에서는 재배가 안 되어 매우 높은 가격이 형성되었는데도 품귀라고 한다.

기원

맥간균과에 속하는 동충하초 Cordyceps sinensis Sacc.의 자실체이다.

성미

맛은 달고 온화하다.

귀경

폐경과 신경으로 들어간다.

성분

조단백질이 25,32%, 그중에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glucine, threonine, arginine, tyrosine, alanine,

tryptophane, methionine, valine, phenyalanine, isoleuc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단순성분으로는 그 효능을 입증하기엔 너무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약리작용

1. 면역증강작용

비장에서 DNA 합성을 촉진시키고, 핵산과 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결국 비장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흉선위축을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이 약의 다당체는 거식세포의 기능 강하작용을 억제한다.

그리고 임파세포와 체액 면역을 조절한다.

2. 항암작용

이 약의 다당체는 육종과 흉선암의 증식억제작용,

그리고 급성백혈병의 NK세포의 활성을 제고시킨다.

3. 심혈관계통의 작용으로는 토끼의 심장허혈성 모형에 개선작용을 나타냈다.

4. 평활근에 작용으로는 기관지 평활근과 토끼의 귀혈관에 현저한 확장작용을 보였다.

5. 내분비계통 작용은 정낭선의 중량 증가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작용과 유사하였다.

6. 신장기능 개선작용으로 신사구체세포의 손상 방어작용, 세포막의 보호작용이 입증되었다.

효능

폐를 보호하고 피부를 견실하게 유도하며

신장기능 강화로 정액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폐의 호흡기능 감퇴로 인한 해수 천식,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이는 증상,

식은땀, 정력 감퇴, 유정, 허리와 무릎의 연약 무력증상을 개선한다.

임상응용

1. 폐와 신장을 보호하면서 해수, 천식을 치료한다.

동충하초(冬虫夏草) 6g, 인삼(人蔘) 10g, 호도육(胡桃肉) 15g,

길경(桔梗) 패모(貝母) 각 8g으로 치료한다.

또 기침할 때 가래에서 피가 나오면 위의 처방에

아교(阿膠) 12g, 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 각 6g을 배합하여

폐의 호흡기능을 돕고 지혈작용을 얻게 한다.

2. 식은땀에 황기(黃芪) 20g, 오미자(五味子) 동충하초(冬虫夏草) 백출(白朮) 각 6g,

인삼(人蔘) 산수유(山茱萸) 8g은 피부의 땀샘을 견실하게 하면서 폐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만약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땀이 나오고 나날이 허약해진다면

황기(黃芪) 숙지황(熟地黃) 생지황(生地黃) 각 15g, 동충하초(冬虫夏草) 8g,

오미자(五味子) 6g으로 미열을 내리면서 땀을 그치게 한다.

3. 신장기능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정력 감퇴 증상에

허리와 무릎까지 연이어서 동통을 호소하는 증상이 보이면

음양곽(淫羊藿) 20g, 토사자(菟絲子) 질려자(蒺藜子) 파극(巴戟) 파고지(破古紙) 각 15g,

동충하초(冬虫夏草) 산수유(山茱萸) 8g으로 보신익정(補腎益精) 회양(回陽)시키면서 치료한다.

그러면서 항노화작용도 함께 얻게 한다.

만성 신장기능 감퇴에 세포 면역이 50-80% 개선되어 신장기능이 호전되었고,

빈혈도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

4. 만성 간염에 동충하초(冬虫夏草)를 단방으로

연속 복용하면 만성 활동성 간염에 회복력이 신속하다.

5. 신장기능 감퇴로 유발된 고혈압에 혈압을 하강시키고 신장기능도 호전되었다.

6. 알레르기 비염에 폐와 신장기능 감퇴로 발병한 것은 호전반응을 나타냈다.

금기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은 삼간다.

용량

5-10g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칼럼 모음 > 안덕균교수-약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何首烏)  (0) 2020.06.11
백수오(白首烏)  (0) 2020.05.30
천연항생제, 연교(連翹)  (0) 2020.05.01
태자삼(太子參)  (0) 2020.04.22
자화지정(紫花地丁)  (0) 2020.04.15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눈꽃동충하초]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동충하초(冬蟲夏草)란 넓은 의미에서는

곤충에 기생하는 모든 종류의 버섯을 말하며,

전 세계에 300∼400여 종 정도가 발견되었고,

우리나라에서는 80여 종이 발견되었습니다.

동충하초는 겨울에는 곤충의 몸에 있다가

여름에는 풀처럼 나타난다는 데서 동충하초라는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중국의 등소평이 즐겨먹었다고 알려진 동충하초는

박쥐나방의 애벌레에 기생하는 동충하초인로,

티베트, 네팔, 히말라야, 중국 사천, 청해, 귀주 등

해발 4,000m 정도의 고산 지대에서만 채취되고 있습니다.

동충하초의 재배는 숙주를 곤충대신

현미배지로 대체가 이뤄지면서

대량생산이 가능해졌는데,

지금은 눈꽃 동충하초와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가

재배되어 시장에 유통되고 있습니다.

가격대는 밀리타리스 동충하초가 약간 더 높은데,

이유는 동충하초에 존재하는 [코피세핀]이라는

성분이 좀 더 많이 들어있고, 굵기를 비교해봐도

밀리타리스가 더 굵기에 그렇습니다.

동충하초는 보통 약선요리나 식당에서

소비하는 경우가 대다수입니다.

가끔 동충하초를 발송해보면

부서진다고 말씀을 하시는데,

안에 에어캡을 넣어도 부서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ㅜ.ㅜ

또한 밑에 현미배지도 같이 먹어도 되나요?

라는 질문을 해주실때도 있는데요.

끓여서 드실거면 같이 드셔도 무방합니다.

동충하초가 필요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클릭해주세요.

눈꽃동충하초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7477736

 

밀리타리스 동충하초

https://smartstore.naver.com/gumlimfood/products/455748330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이 지역은 지세가 높고 험준하다.산맥이 연이어 있고 하천도 깊다.

곤륜산맥(崑崙山脈)과 기련산맥(祁連山脈)이

서북에서 동남으로 전체 성(省)을 가로 지르고 있다.

성(成) 전체의 해발은 가장 높은 곳이 7720m,

가장 낮은 곳이 1650m로 평균 해발이 3000m 이상이다.

장강(長江)과 황하(黃河), 란창강(瀾倉江)의 발원이

남부 고원에 솟아 있는 산들의 준령(峻嶺)에서 시작되고,

중국의 가장 큰 염수호(鹽水湖) 인 청해호(靑海湖)가

동북부의 산지 평원 가운데 들어 있다.

고원이 전체 성면적의 75%를 차지하고,

산지(山地), 분지(盆地), 구릉(丘陵), 하곡(河谷),

고비사막이 나머지 25%를 차지한다.

본 성은 고원 대륙성기후에 속해 있어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으며 바람이 많고 비가 적다.

일조시간이 길지만 하루의 기온차는 크다.

더위와 우기(雨期)가 함께 온다.

겨울은 6~10개월간 계속되고 여름은 2~3개월간 계속된다.

고산지역에는 항상 눈이 쌓여 있고 기온은 한냉하다.

연평균기온은 -5~-8℃, 가장 추운1월의 평균기온이-8~-19℃,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동남부와 서남부에서 분지중부와

서북부로 가면서 점차 0~20℃사이가 된다.

여름철의 하루 일교차는 15℃정도로

분지의 경우는 30℃나 차이가 난다.

대부분 지역의 연간 일조시간은 2600시간 이상이고,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1000~3000℃이다.

무상기(無霜期)의 경우 황하(黃河)와 황수(湟水) 곡지(谷地)는 90일 정도 되고,

시달목(柴達木) 분지의 대부분 지역은1개월 밖에 되지 않으며,

그 외 지역은1개월이 채 되지 않는다.

서남부 고원지역은 거의 무상기(無霜期)가 없다.

연강수량은 일반적으로 300㎜ 이하이고

동남부의 변연지역은 500㎜정도 되고,

시달목(柴達木) 분지의 서부는 25㎜가 안된다.

토양은 주로 흑개토(黑鈣土), 율개토(栗鈣土), 회개토(灰鈣土),

고산초전토(高山草甸土), 관어토(灌淤土)등이고

식생(植生)은 대부분이 침엽림(針葉林),침활혼교림(針闊混交林),

고원초전(高原草甸) 등 천연 식생이다.

일부 재배 식생이 분포하기도 한다.

 

[청해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성의 약용식물은 1461종,

약용동물 154종, 광물약 45종으로 모두 1660종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0종으로

대개 천패모, 구기가, 대황, 당귀, 당삼, 진교(秦艽), 강활,

천궁, 녹용과 인공재배에 성공한 우황(牛黃) 등이 있다.

연간 재배면적은 1000무(亩)에 이르고 연간 생산량은 10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200 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60kg에 이른다.

주산품종

녹용(鹿茸) : 마록(馬鹿)과 백순록(白脣鹿)으로 사육하는 것과

야생 모두 존재하고 각 지에 분포하고 있다.

백순록(白脣鹿) 자원의 분포는 서북지역 중에서도 으뜸이라

ʻ백순록(白脣鹿)의 고향ˮ 이라고 불리운다.

성(省) 전체 각지에 양록장(養鹿場)이 20여개 정도가 된다.

본 성(省)에는 마록(馬鹿)과 백순록(白脣鹿) 외에도

동북(東北)지역에서 들여온 매화록(梅花鹿)도 있다.

생산되는 녹용의 대부분은 본 성(省) 외의 지역과 국외로 수출된다.

 

동충하초(冬蟲夏草) : 주산지는 옥수(玉樹)와 과락(果洛)

두 개 자치주(自治州)이나 다른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다.

해발 3000~4200m 사이의 산지 그늘이나 반음반양(半陰半阳)의

관총(灌叢)과 초전(草甸) 사이에서 생장한다.

최근 들어 동충하초균의 인공 배양이 초보적인 성과를 거둬

시험 생산 단계에 들어갔다.

본 성(省)의 수매량은 전국2위로 대부분이 수출 되고 있다.

 

대황(大黃) : 당고특대황(唐古特大黃)은 대개 야생으로

주로 과락(果洛), 옥수(玉樹), 해남(海南), 황남(黃南) 등의 자치주가

주산지이고 해북(海北)과 해서주(海西州)에도 분포하고 있다.

장엽대황(掌葉大黃)은 대개 인공재배하고 있고

동부(東部)의 농업지역인 각 현(县)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청해대황(靑海大黃)은 오래전부터 명성이 있어왔으며

상품명을 ʻ서녕대황(西寧大黃)ˮ이라 한다.

대개가 외부와 국외로 판매 되고 있다.

 

천패모(川貝母) : 옥수(玉樹)와 과락(果洛), 황남(黃南) 등의 자치주에 분포한다.

감숙패모[甘肅貝母. 청패(淸貝)]는 해발 2700~3400m 사이의

관총 산비탈 초지에서 생장하고

릉사패모[棱砂貝母. 노패(爐貝) 혹은 지패(知貝)]는

해발 3500~4000m 사이의 고산 그늘의

유사처(流沙處)에서 생장한다.

암자패모[暗紫貝母.송패(松貝)]는 해발 2800~4000m 사이의

고산의 양지를 향해 있는 비옥한 풀언덕과 쇄석(碎石) 중에서 생장한다.

본 성은 천패모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감초(甘草) : 해남(海南)과 황남(黃南) 자치주와 동부(東部) 농업지역의

해발 2600~3200m 사이의 풀밭이나 얕은 산지에서 생장한다.

본 성은 전국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지나친 채취로 인해 야생자원이 일정량 감소되었다.

 

마황(麻黃) : 성 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시달목(柴達木) 분지와 황하(黃河) 상류의

용양협(龍羊峽)부근의 하곡(河谷)지대이다.

수매되는 많은 양이 에페드린의 생산원료로 이용된다.

 

강활(羌活) : 해발2600~3800m 사이의 숲가나 숲아래,

고산 관총(灌叢)이나 초전(草甸)에서 생장한다.

주산지는 해남(海南), 해북(海北), 과락(果洛) 등의

자치주와 동부 농업지역이다.

본 성은 서강(西羌)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나

과도한 채취로 인해 분포 면적이 줄어들고

저장량도 줄어들고 있다.

 

감송(甘松) : 과락주(果洛州)와 황남주(黃南州)의 하남현(河南县)이 주산지이다.

해발 3200~ 3700m의 산지(山地) 관총(灌叢)이나

고산(高山) 초전(草甸) 등 습한 곳에서 생장한다.

 

진교(秦艽) : 성 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목축하는 초전(草甸) 초원과 산지(山地) 초전(草甸)의

분포 면적이 넓고 분포 밀도가 높아 야생 자원 저장량이 많다.

황남(黃南)과 과락(果洛), 해북주(海北州)의 수매량이 비교적 많다.

상품은 대개 다른 지역과 국외로 수출된다.

 

우황(牛黃) : 본 성은 야크와 황우(黃牛) 자원이 풍부하여

천연 우황의 역사도 길고 최근에는 목축 지역에 인공우황 생산기술을 전파,

품질이 좋을 뿐 아니라 발전 가능성이 아주 밝다.

 

위에 서술한 상품이외에도 설련화(雪蓮花),용담(龍膽),쇄양(鎖阳),

사극(沙棘),홍경천(紅景天),장인진(藏茵陳), 라포마(羅布麻),

호이초(虎耳草), 두견(杜鵑), 녹각(鹿角), 황양각(黃羊角),

장영양각(藏羚羊角), 사향(麝香), 웅담(熊膽) 등

비교적 많은 야생 약재 자원을 개발 중이거나 개발된 자원을 발전 시키는 중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이 지역은 히말라야산맥과 곤륜산(昆侖山), 당고납(唐古拉)산맥으로

둘러싸여 있는 청장고원(靑藏高原)의 본체이다.

평균해발은 4000m이상으로 지세는 서북이 높고 동남이 낮은 형태를 띄고 있다.

아노장포강(雅魯藏布江), 노강(怒江), 란창강(瀾倉江), 금사강(金沙江) 등의 큰 하천이

지역 내에 광범위하게 위치하고 있다.

이 지역의 기후는 중국 대부분의 지역과 비교해 볼 때

기온이 낮고 강수량이 적으며 공기가 희박하고

일조량이 풍부한 것이 특징이며 남북의 차이가 매우 크다.

서장(西藏) 북쪽 고원지역의 연평균기온은 0 ℃이하로 일년중 약 반년간은 빙설(氷雪)이 덮여 있다.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10~-20℃가장 더운7월의 평균기온이10℃이며 연중기온의 차이는

크지 않으나 밤낮의 기온차이가 커 7월 밤에도 서리가 내리곤 한다.

장북(藏北) 고원의 연간 강수량은 200㎜ 이하이나 일조량이 풍부하여

일년 중 몇 개월간은 식물의 생장에 적합하다.

서장(西藏) 남쪽의 곡지(谷地)는 북쪽의 산들이 한류(寒流)를 막아주고

하곡(河谷)을 따라 인도양의 습윤한 계절풍이 불어 북쪽에 비해 기후가 온화하고 습윤하다.

납살(拉薩)의 경우 연평균기온이 8℃ 이내이고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은 0℃ 이하,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16℃,

무상기(無霜期)는 120~150 일이다.

 

남부의 곡지(谷地) 지역의 연강수량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200~2000 ㎜ 정도이다.

연강수량의 90%가 6~9월에 집중되어 있어 이때가 서장(西藏)지역의 우기(雨期)가 된다.

10월에서 다음 해 5월까지는 고원에 서풍(西風)과 편남풍(偏南風) 많이 불면서

몇 개월간 맑고 구름 없는 날이 계속된다.

[서장자치구 지역구분]

약재자원

서장(西藏)은 중국의 가장 중요한 야생약재생산지의 하나이다.

통계에 의하면 1460종의 약용식물과 240종의 약용동물, 광물약 4종으로 총 1704종이 있다.

 

주산품종

동충하초(冬蟲夏草) : 해발 4000~5400m 사이의 한냉하고 습윤한 지역에서 생장한다.

식물이 무성하고 토양이 비옥하며 양지 바른

고산의 관총(灌叢) 초원이나 산언덕, 하천변의 초원에서 생장한다.

주산지는 염청(念靑) 당고납(唐古拉)산 이북지역과 노강(怒江), 란창강(瀾倉江) 상류지역이다.

비여(比如),삭현(索县), 파청(巴靑), 정청(丁靑), 류오제(類烏齊), 찰아(察雅) 등의 현(县)에서 많이 난다.

아노장포강(雅魯藏布江) 연안과 히말라야산의 동쪽 끝에도 소량 분포하고 있다.

 

천패모(川貝母) : 상품은 청패(靑貝)와 지패[知貝. 노패(爐貝)]로 크게 나뉜다.

청패(靑貝)의 기원식물은 천패모(川貝母),감숙패모(甘肅貝母),

히말라야 황화패모[黃花貝母. 아직 종(種)이 정해져 있지 않다.]로

해발3500~5000m의 고산(高山) 관총(灌叢) 아래나 초총(草叢)의 자연그늘에서 생장한다.

 

지패(知貝)의 기원식물은 릉사패모(棱砂貝母)와 고산패모(高山貝母)로

해발 4500~5400m의 고산 역암대(礫岩帶)나 혹은 유사탄(流沙灘)에서 생장한다.

고산 관총(灌叢)과 고산 역암대(礫岩帶)는 서장(西藏) 전체에 널리 분포하고 있어

천패모(川貝母)의 자연 생장 환경은 매우 광범위하여

서장(西藏) 동부와 중부의 대부분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청패(靑貝)는 변파(邊垻), 팔숙(八宿), 정청(丁靑), 가려(嘉黎), 비여(比如),

상일(桑日),가사(加査), 낭현(朗县) 등에서 많이 나고, 지패(知貝)는 정청(丁靑),

좌공(左貢),강달(江達), 류오제(類烏齊), 낙융(洛隆), 착나(錯那), 융자(隆子),

앙잡자(浪卡子),조미(措美), 파청(巴靑), 삭현(索县), 비여(比如), 가려(嘉黎),

당웅(當雄),남목림(南木林), 강마(康馬) 등에서 많이 난다.

 

대황(大黃) : 종류가 비교적 많고 자원이 풍부하다.

그중 약용으로 쓰이는 장엽대황(掌葉大黃)은

해발 3900~4500m의 산마루의 관총(灌叢)과 초지(草地), 하천 변에 생장하고 있다.

염청(念靑) 당고납(唐古拉) 산(山) 이북의 파청(巴靑), 삭현(索县),

비여(比如) 류오제(類烏齊), 정청(丁靑), 강달(江達), 팔숙(八宿), 창도(昌都) 등의

현(县)에 주로 분포하고 있다.

기타 지역에도 드문드문 분포하고 있다.

 

 

서장자치구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사향(麝香), 호황련(胡黃連)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