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충하초(冬虫夏草) 칼럼 모음/안덕균교수-약초 이야기2020. 5. 7. 09:04
동충하초(冬虫夏草)라는 이름은
여름에는 풀이 되고 겨울에는 벌레가 된다는 형태학적인 것에서 유래되었다.
이 식물은 해발 3,000m 이상의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균식물이다.
약으로 이용되기 시작한 것은 1,700년대부터이니 300여 년 밖에 안 된 약용자원이다.
한때 국내에서 이 식물을 대량재배하였는데 약용가치가 높다고 하여 야단들이었다.
그러나 국산 동충하초는 중국의 고산에서 성장하는 동충하초가 아니라
기원식물이 다른 누에 동충하초로서 원종과는 전혀 판이한 식물로 속과 종이 다 다르다.
물론 여기에도 약용가치는 있으나
원식물과 혼용한다는 것은 결국 사람을 현혹시키는 결과였다.
중국에서는 재배가 안 되어 매우 높은 가격이 형성되었는데도 품귀라고 한다.
기원
맥간균과에 속하는 동충하초 Cordyceps sinensis Sacc.의 자실체이다.
성미
맛은 달고 온화하다.
귀경
폐경과 신경으로 들어간다.
성분
조단백질이 25,32%, 그중에는 aspartic acid, glutamic acid, serine,
histidine, glucine, threonine, arginine, tyrosine, alanine,
tryptophane, methionine, valine, phenyalanine, isoleuc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그러나 이런 단순성분으로는 그 효능을 입증하기엔 너무 연구가 미흡한 상황이다.
약리작용
1. 면역증강작용
비장에서 DNA 합성을 촉진시키고, 핵산과 단백질의 함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결국 비장세포의 증식을 촉진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흉선위축을 정상으로 회복시킨다.
이 약의 다당체는 거식세포의 기능 강하작용을 억제한다.
그리고 임파세포와 체액 면역을 조절한다.
2. 항암작용
이 약의 다당체는 육종과 흉선암의 증식억제작용,
그리고 급성백혈병의 NK세포의 활성을 제고시킨다.
3. 심혈관계통의 작용으로는 토끼의 심장허혈성 모형에 개선작용을 나타냈다.
4. 평활근에 작용으로는 기관지 평활근과 토끼의 귀혈관에 현저한 확장작용을 보였다.
5. 내분비계통 작용은 정낭선의 중량 증가는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에 작용과 유사하였다.
6. 신장기능 개선작용으로 신사구체세포의 손상 방어작용, 세포막의 보호작용이 입증되었다.
효능
폐를 보호하고 피부를 견실하게 유도하며
신장기능 강화로 정액의 생성을 촉진시킨다.
그러므로 폐의 호흡기능 감퇴로 인한 해수 천식, 기침을 할 때 피가 섞이는 증상,
식은땀, 정력 감퇴, 유정, 허리와 무릎의 연약 무력증상을 개선한다.
임상응용
1. 폐와 신장을 보호하면서 해수, 천식을 치료한다.
동충하초(冬虫夏草) 6g, 인삼(人蔘) 10g, 호도육(胡桃肉) 15g,
길경(桔梗) 패모(貝母) 각 8g으로 치료한다.
또 기침할 때 가래에서 피가 나오면 위의 처방에
아교(阿膠) 12g, 맥문동(麥門冬) 오미자(五味子) 각 6g을 배합하여
폐의 호흡기능을 돕고 지혈작용을 얻게 한다.
2. 식은땀에 황기(黃芪) 20g, 오미자(五味子) 동충하초(冬虫夏草) 백출(白朮) 각 6g,
인삼(人蔘) 산수유(山茱萸) 8g은 피부의 땀샘을 견실하게 하면서 폐의 기능을 활성화 시킨다.
만약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땀이 나오고 나날이 허약해진다면
황기(黃芪) 숙지황(熟地黃) 생지황(生地黃) 각 15g, 동충하초(冬虫夏草) 8g,
오미자(五味子) 6g으로 미열을 내리면서 땀을 그치게 한다.
3. 신장기능이 허약해서 일어나는 정력 감퇴 증상에
허리와 무릎까지 연이어서 동통을 호소하는 증상이 보이면
음양곽(淫羊藿) 20g, 토사자(菟絲子) 질려자(蒺藜子) 파극(巴戟) 파고지(破古紙) 각 15g,
동충하초(冬虫夏草) 산수유(山茱萸) 8g으로 보신익정(補腎益精) 회양(回陽)시키면서 치료한다.
그러면서 항노화작용도 함께 얻게 한다.
만성 신장기능 감퇴에 세포 면역이 50-80% 개선되어 신장기능이 호전되었고,
빈혈도 개선되었다고 보고되었다.
4. 만성 간염에 동충하초(冬虫夏草)를 단방으로
연속 복용하면 만성 활동성 간염에 회복력이 신속하다.
5. 신장기능 감퇴로 유발된 고혈압에 혈압을 하강시키고 신장기능도 호전되었다.
6. 알레르기 비염에 폐와 신장기능 감퇴로 발병한 것은 호전반응을 나타냈다.
금기
열이 있는 사람은 복용은 삼간다.
용량
5-10g
ⓒ 안덕균 교수의 약초 이야기
'칼럼 모음 > 안덕균교수-약초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하수오(何首烏) (0) | 2020.06.11 |
---|---|
백수오(白首烏) (0) | 2020.05.30 |
천연항생제, 연교(連翹) (0) | 2020.05.01 |
태자삼(太子參) (0) | 2020.04.22 |
자화지정(紫花地丁) (0) | 2020.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