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9. 10. 24. 09:00

[약초세상]오장육부-신(腎) 한의학 따라잡기2019. 10. 24. 09:00

728x90

오장중 마지막인 신장을 보겠습니다.

신장은 적갈색을 띄는 강낭콩 모양으로 무게는 한쪽당 120~190g입니다.

신장의 단위조직은 네프론이라고 불리는데

한쪽 신장을 구성하는 네프론의 수는 약 125만개정도 됩니다.
 

현대의학에서 바라보는 신장의 기능은 크게 3가지입니다.

1. 대사산물 및 노폐물을 걸러서 소변으로 배출하는 배설기능

2. 몸안의 수분양과 전해질, 산성도등을

좁은 범위 안에서 일정하게 유지하는 기능

3. 혈압유지, 빈혈교정 및 칼슘과 인 대사에

중요한 호르몬을 생산하고 활성화 시키는 내분비 기능

 

 

그럼 한방에서는 어떻게 보고 있을 까요?

1.정(精)을 저장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정은 생식기능도 포함한다고는 하지만,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정=엑기스 입니다.

이와같은 논리를 가정하면 엑기스는 영양소의 최종 분해물이 되는데

즉 당을 분해해서 만든 ATP라는 물질로 말할수 있습니다.

근데 이 ATP라는 물질은 세포가 저장을 합니다.

즉, 위의 논리는 오행이나 아니면 다른 논리에 짜맞춘 게 아닌가 싶습니다.
 

 

그리고 생식기능을 포함한다고는 하지만,

정액은 고환에서 만들어져서 요도를 통해 나옵니다.

요도는 방광에 연결되고 방광은 요관을 따라 신장에 연결되기 때문에

이걸보고 방광을 신장에 같이

넣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2.수분대사를  조정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수분대사는 결국 몸안의 노폐물을 여과시켜

소변으로 배출하는 기능과

내분비 기능중 일부가 포함된 것으로 생각됩니다.
 

 

3.골수를 만듭니다.

이건 골수를 만든다기 보다는

내분비기능이 더욱 가깝지 않을까 합니다. 

 

 

지금도 논란이 되는 부분은

바로 '명문(命門)'에 관한것입니다.

한방에서는 명문이 인체의 열에너지를 내는 근원으로 규정을 해서

이것의 위치를 어떻게 볼거냐라는게

지금도 논란이 되고 있습니만,

몇가지 학설을 소개해드립니다.
 

 

1.좌신수 우명문(左腎水 右命門)

고대한방서적중 난경에 보면 이 학설이 나옵니다.

'왼쪽은 신이고 오른쪽은 명문인데, 명문은 정신이 깃드는 곳이다'라고 함으로서,

명문은 오른쪽을 말한다는 의견
 

 

2.두개의 신장 모두 명문이라는 학설

이건 명나라때 나오는 학설입니다.

즉 두개의 신장은 모두 오행상 수에 해당하지만

실제로는 모두 상화(相火)가 있어

두개를 모두 명문으로 봐야한다라는 의견이구요.
 

 

3.명문이 두 신장 사이에 있다는 학설-신간동기(腎間動氣)라고 불립니다.

이 학설도 명나라때 나온 학설이긴 하지만

그나마 주류를 이뤘던 학설로 장경악과 조헌가라는

당대의 의사들이 주장한 학설입니다.

 

조헌가의 경우 '명문은 두 신장에서 각각 1.5촌 떨어진 데에 있으니,

곧 몸의 한가운데(등줄기)에 해당한다'고 주장했습니다.
 

 

4.명문은 두 신장사이에서 일어나는 기운이라는 학설

이 학설 또한 명나라때 나온 학설입니다.

손일규라는 사람이 명문은 수(水)도 아니고 화(火)도 아니다.

이것을 오장이나 육부에 속하다고 하면 모양을 볼수 있어야 하는데,

모양이 없으니 이것은 두 신장사이에서 일어나는 기운으로 봐야한다.

라는 학설입니다.

 

 

 

그럼 현대의학적으로는 어떻게 봐야할까요?

1.명문을 열에너지라고 가정했을때

교감신경절을 의미한다라고 보는관점이 있고

 

2.뇌하수체와 부신피질의 관계를 명문으로 보는 관점이 있습니다.
 

즉 교감신경의 흥분은 명문의 작용이고,

혹은 신양(腎陽)의 작용으로 보고

부교감신경의 작용은 신음(腎陰)의 작용으로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어떤게 더 적합할지는 이 글을 보시는

여러분들께서 판단하시면 어떨가 하네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다음엔 육부(六腑)를 하도록 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삼초와 명문은

기능은 있지만 형체는 없는

한의학에만 있는 이론입니다.

 

이것을 어떻게 바라봐야 할지에

대한 내용을 말씀드려볼까 합니다.

[삼초에 해당하는 부위와 장기]

1.삼초(三焦)

삼초에 초(焦)는

태운다는 의미를 가집니다.

태운다 = 대사활동

이라고 정의를 내릴 수 있겠네요.

 

그래서 인체를 삼등분하여

상초, 중초, 하초로 구분을 했는데,

 

상초는 장기로는 심장과 폐를 집어넣고

기능은 여무(如霧) 즉 안개와 같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

 

중초는 장기로는 비와 위장을 넣고

기능은 여구(如漚) 즉 물이 내려올때 생기는

거품과 같다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하초는 장기로는 간과 신장

그리고 방광을 넣고

기능은 여독(如瀆) 즉,

도랑과 같다고 정의합니다.

 

그럼 이걸 지금의 의학과

어떻게 연결해야 할까요?

 

상초가 안개와 같다는 것은 현재로는

심폐를 통해 호흡과 혈액을

전달하는 기능이라 볼 수 있고

 

중초는 음식물의 소화 흡수작용

 

그리고 하초는 대소변을 구별해서

내보내는 작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아마도 옛 조상들은 이 초(焦)라는 작용을

세가지 패턴으로 분류해서

크게 호흡과 소화.흡수 그리고 배설이라는

몸의 대사작용을 삼초로 나눈것이

아닌가 생각됩니다.

 

[신장]

2.명문(命門)

그리고 두번째로 말씀드릴건 

명문(命門)이론으로

 

생명의 문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한방에서는 우리몸이 타고날때

가지고 나오는 기운은

콩팥에 저장된다고 전제합니다.

 

이 기운을 움직이는 게

바로 명문이라는 건데..

 

이 명문이론은 크게 두가지로 봅니다.

 

1. 좌신수 우명문(左腎水 右命門) 이론

왼쪽 신장은 오행상 수(水)에 속하는

-수분대사에 관여하는-

 신장의 역할을 하고

 

오른쪽 신장은

명문의 역할을 한다는

이론입니다.

 

신장은 말 그대로 비뇨,생식기능을

담당하는 기관인데

 

신장이 두개인 이유가 서로의 역할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보는 것이죠.

 

이러한 이론을 따르면

신장이식은 합당하지 않다고 보여집니다.

 

서로의 역할이

엄연히 다르다고 보기에

한쪽만 남을 경우에는

몸에 이상이 갈 수 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오니까요.

 

 

2. 명문은 신간동기(腎間動氣)라는 이론

명문이란 것은 두개의 신장 사이에서

움직이는 기운이다. 라는 이론입니다.

 

서로의 역할이 다르다면

굳이 같은 모양을 취할 필요가 있겠는가?

하는 것이죠..

 

그러니 명문이라 불리는 에너지는

둘 사이에 존재하는 기운으로 봐야지

실체로 접근해서는 안된다는 것입니다.

 

명문의 기능을 

부신으로 보는 관점도 있습니다.

 

부신은 신장위에 달린 조그만 

주머니로 여러가지 호르몬을

만들어 몸의 대사에 관여하기 때문입니다.

 

이 명문과 삼초의 이론은 결국은

인체의 대사를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이지 않을까 하는 생각입니다.

 

너무 깊이 고민하지 마시고

이런게 있구나 하고 알아가시면 되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