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비후 정도와 함유진액 차이 따라 구분하는 것이‘현실적’

황정(黃精)과 옥죽[玉竹(위유萎)]은

한방의료기관에서 사용되는 대표적인 보음약(補陰藥)에 속하며,

아울러 식품으로서의 활용도 매우 높은 한약재이다.

약용 부위는 지하의 뿌리줄기(根莖)로서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며,

일부 기원 및 효능 차이에 있어

논란이 제기되어지고 있는 한약재이기도 하다.

식품으로 사용예를 보면 기본적으로

茶(둥굴레)로서의 사용을 비롯하여,

중국의 경우 광동지방의 음료인

淸補凉(玉竹 沙蔘 蓮子 山藥 百合 白扁豆 등)에 응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강심작용이 입증되어 임상에서 응용되기도 한다.

봄과 가을에 채취하고 보통 쪄서(蒸) 건조 후 사용한다.

1.황정(黃精)·옥죽(玉竹)류의기원

오랫동안 사용되어왔던 대표적인 한약재임에도 불구하고,

본 약물은 매우 많은 종류의 동속근연종을 가지고 있고,

나라 및 지역에 따라 생산 및 주로 활용되는 식물을

달리 하고있는것을 볼 수 있다.

국가별기원식물의규정상황을보면

1)黃精은 한국(KP)과 중국(CP),

일본(JP) 및 대만(THP) 모두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전황정( 黃精) Polygonatum kingianum 또는

다화황정(多花黃精) Polygonatum cyrtonema 의

뿌리줄기로 규정하고 있으며,

한국과 일본의 경우 여기에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을 추가로 제시하고 있다.

북한(DKP)에서는 층층갈고리둥굴레 1종만을 기원으로 하고있다.

중국의 경우 기본적으로 형태에 따라

흔히 대황정(大黃精), 계두황정(鷄頭黃精),

강형황정 (薑形黃精)으로 구분하며,

어떤 경우(주로 대만이 해당)에는

“층층갈고리둥굴레를 계두황정(鷄頭黃精),

전황정을 대황정(大黃精), 다화황정을 강형황정(薑形黃精)

또는 백급황정(白及黃精)”이라고 부르고 있다.

산지를 보면, 우리나라의 경우

층층갈고리둥굴레와 진황정만이 분포하며,

기타 나머지 종은중국에 분포한다.

2)옥죽[玉竹(위유萎)]은

한국(KHP)과 중국(CP), 북한(DKP)에서

모두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P. odoratum var. pluriflorum=P. officinale=P. simizui)

1종만을 기원으로 하고 있다.

산지를 보면 둥굴레는

동남아 전체 지역에 매우 넓은 분포를 보이고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에도 가까운 산야에서 쉽게 접할수 있으며

대량재배되고있는 종류이다.

한약재로서의 上品 黃精·玉竹은

모두 약간의 표현상의 차이는 있으나,

크고 윤택한 것을 기준으로 하였다.

2.약효상의차이

2품목은 기미(氣味)에서의

약간의 차이(黃精-平, 玉竹-微寒)를 빼면

기본적으로 유사한 효능을 가지고 있다.

황정과 옥죽은 모두 백합과 식물로서

뿌리줄기(根莖)를 사용하며,

양음윤조(養陰潤燥)의 효능이 있어

폐위음상(肺胃陰傷)으로 인한 병증에 응용되는

공통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황정은 보중기 익신정(補中氣 益腎精)하는데

약성(藥性)이 자윤(滋潤)하여 습사(濕邪)를

조장할 수 있는 폐단이 있는 반면,

옥죽은 자음생진(滋陰生津) 작용이 있으나

사기(邪氣)를 유체(留滯)시키지 않는

차이점을 가지고있다.

이는 보음력(補陰力)에서

황정이 더욱 강하며,

옥죽은 황정에 비해서

보음력(補陰力)은 약하나

소화부담을 덜주는것으로 정리할수 있다.

한편 옥죽의 경우 문헌에 보면

‘人蔘의 대용으로 한다’등이 있으나

옥죽의 자보(滋補)능력이 과대평가된 내용이다.

실제로는 자보(滋補)능력은 황정보다 못하며,

윤조(潤燥)능력은 맥문동보다 못하다.

따라서 충분한 효력을 내기위해서는 대량을 사용해야 한다.

전체적으로 정리하면, 황정과 옥죽의 구분은

1.식물상태에서 원래는 기원식물이 다르다.

사실 2품목 모두에 해당되는 Polygonatum속 식물은

매우 종류가 많아 식물분류에서도 많은의견을 나타내는 종류에 속한다.

기본적으로 줄기角의 유무·잎의 輪生 및 對生여부·꽃의갯수 및

꽃받침등의 모양에따라 구분되어 진다.

2.약재상태

원래 기원식물이 다른 황정과 옥죽의 약용 부위인

근경(根莖)은 비후정도가 자연상태에서는

커다란 차이를 나타내고 있다.

즉 옥죽(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가

황정에 비해 상대적으로 훨씬 가늘고 육질이 빈약하다.

하지만 최근에 비후성장을 높일 수 있는 재배기술의 발달로

玉竹(둥굴레)의 약재상태가 황정을 능가하는 경우도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런 면에서 황정과 옥죽의 구분은

비후정도와 함유진액의 차이에 따라

구분하는 것이 현실적이다.

실제 구분에서도 보면 비후가 잘된 옥죽의 모양은

황정 중의 진황정(대잎둥굴레) P.falcatum과 동일하며

심지어 층층갈고리둥굴레(죽대둥굴레, 낚시둥굴레, 黃精)

Polygonatum sibiricum의 모습과 거의 근접함을 알 수 있다.

1. 층층갈고리 둥굴레(Polygonatum sibiricum Redoute,)

[층층갈고리 둥굴레]

[층층갈고리 둥굴레]

2. 진황정(Polygonatum falcatum A. Gray)

[진황정]

[진황정]

3.전황정(Polygonatum kingianum Coll. et Hemsley)

[전황정]

[전황정]

4. 다화황정(Polygonatum cyrtonema Hua)

[다화황정]

[다화황정]

5.옥죽(Polygonatum odoratum Druce var. pluriflorum Ohwi)

[옥죽]

[옥죽]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황정이란?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Redoute,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 Gray,

전황정(滇黃精) Polygonatum kingianum Coll. et Hemsley 또는

다화황정(多花黃精) Polygonatum cyrtonema Hua (백합과)의

뿌리줄기로서 찐 것이다.

황정의 이명과 혼동

현재 유통되는 황정은 대부분 층층갈고리둥굴레로

일반 소비자분들은 황정 = 둥굴레 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황정은 이 외에도 옥죽, 또는 위유라고도 하는데,

옥죽과 위유는 같은 식물을 지칭하며

한국에서는 위유라고하며

중국에서는 옥죽이라고 합니다.

시중에서 위유나 옥죽은 자연산 황정을 말하고

재배되어 유통되는 둥굴레는 그냥 둥굴레 혹은 황정이라 지칭합니다.

모두 같은 백합과 식물에 속하지만

조금은 차이가 있는데요.

서로 다른 이름으로 부르다 보니 혼동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아래 링크를 참고하시면 될 듯합니다.

worldherb.tistory.com/319

 

[약초세상]혼용에 주의해야할 약초- 위유와 황정

위유는 신농본초경에 여위(女萎)로 수록되었으며, ​ 명의별록에 異名으로 萎유, 玉竹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 한국의 규격집에서는 위유를 택하였고, 중국약전에서는 옥죽(玉竹)을 택하였

worldherb.tistory.com

황정과 위유(옥죽)의 효능차이

위유와 황정의 효능은 큰차이가 없지만

작용부위에 차이가 있습니다.

위유는 주로 몸의 상부쪽으로 작용한다면

황정은 몸의 상부와 하부 모두에 작용합니다.

위유는 주로 갈증을 멎게하고 진액을 생성하지만

황정은 여기에 소화기능을 좋게하며 기침에 사용합니다.

하지만 실제로 이 둘을 구분해서 사용하는 경우는 드물다고 보시면 됩니다.

국산 황정과 수입산 황정

국산 황정의 대부분은

층층갈고리 둥굴레의 뿌리가 채취되어 유통된다고 하는데

재배를 하는 경우에는 일반 둥굴레의 뿌리가 유통됩니다.

둥굴레는 약 30종 정도가 되기 때문에

엄밀하게 식물의 종을 나눠서 재배하는 경우는 보지 못했습니다.

국산과 수입의 차이가 있다면 역시나 뿌리의 굵기와 크기인데

중국산이 국산에 비해 뿌리가 더 큰 경우가 많습니다.

시중에서 유통되는 둥굴레는 대부분 볶아서 사용되며

한방에서의 사용빈도는 매우 낮은편에 속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옥죽의 기원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Druce var. pluriflorum Ohwi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뿌리줄기로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위유로 규정하고

중국에서는 옥죽하고 있는데,

결국 이 둘은 같은 식물을 지칭합니다.

위유는 둥굴레의 꽃이 아래로 처져 있음을 표현한 것이며

옥죽은 줄기가 대나무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황정과 옥죽의 차이

① 위유는 곧게 뻗었고 황정은

굵은 부위와 가는 부위가 번갈아 있다.

② 크기는 위유 중간 것과 황정 작은 것은 손가락 만하고

위유 큰것과 황정 중간 것은 엄지손가락 만하고

황정 큰 것은 주먹만하다.

③ 마디와 마디 사이가 위유는 좁고 황정은 넓다.

④ 수염뿌리가 위유는 많고 황정은 적다.

*황정의 기원

층층갈고리둥굴레 Polygonatum sibiricum Redoute,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 Gray,

전황정(滇黃精) Polygonatum kingianum Coll. et Hemsley 또는

다화황정(多花黃精) Polygonatum cyrtonema Hua 의 뿌리줄기로서 쪄서 말린것.

옥죽과 황정의 효능차이

귀경은 위유는 폐와 위경락으로 가므로

하초(下焦)와는 상관이 그다지 없지만,

황정은 비폐신경(脾,肺,腎經)으로 가서

상중하초(上中下焦)를 모두 망라합니다.

따라서

위유는 보음윤진(補陰潤津), 생진지갈(生津止渴)하고,

황정은 보기양음(補氣養陰), 건비(健脾), 윤폐(潤肺), 익신(益腎)합니다.

*p.s: 옥죽과 황정은 모두 둥굴레속에 속한 식물의 뿌리를

채취하지만 옥죽은 보통 산황정으로 불리며 쪄서 사용하지 않고,

황정은 쪄서 사용하는게 차이점입니다.

효능상의 차이가 약간은 있지만

대동소이하기 때문에 굳이 나눠서 사용할 필요는 없어보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위유는 신농본초경에

여위(女萎)로 수록되었으며,

명의별록에 異名으로

萎유, 玉竹 등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한국의 규격집에서는 위유를 택하였고,

중국약전에서는 옥죽(玉竹)을 택하였습니다..

즉, 위유와 옥죽은

같은 식물을 지칭한다는 의미입니다.

위유란 꽃이 아래로 처져 있음을 표현한 것으로

큰 나무들 틈에서 자라고

꽃도 그다지 아름다운 것은 아니므로

벌, 나비를 유인하지 못하기에

썩는 냄새를 풍겨 파리를

유인함으로서 종족번식을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옥죽이란 명칭은 명의별록에 의하면 줄기가

대나무처럼 생겼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입니다.

위유와 황정을 구분할 수 있는 단서는

도홍경으로부터 찾을 수 있는데,

도홍경에 의하면

황정은 황련같고

마디가 크고 고르지 않으며,

위유는 창포처럼

고르고 곧게 뻗었다라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위유(옥죽)와 황정의 구분점은

네가지로 요약할 수 있는데

① 위유는 곧게 뻗었고 황정은

굵은 부위와 가는 부위가 번갈아 있다.

② 크기는 위유 중간 것과

황정 작은 것은 손가락 만하고

위유 큰것과 황정 중간 것은 엄지손가락 만하고

황정 큰 것은 주먹만하다.

③ 마디와 마디 사이가

위유는 좁고 황정은 넓다.

④ 수염뿌리가 위유는 많고 황정은 적다.

이런 기준에 따라 구분한 결과

식물명이 황정인 것도

위유인 것으로 밝혀진 것이 있는데,

新彊황정 P. roseum 과

熱河황정 P. macropodum,

二苞황정 P. involucratum 이

모두 위유로 보여집니다. <표 2>

 

위유와 황정의 효능을 보면

둘다 補陰에 사용하는 것이 공통되지만

위유는 補陰에만 능하고

황정은 補陰뿐아니라 補氣에도

활용이 가능합니다.

귀경은 위유는 肺胃經으로 가므로

下焦와는 상관이 그다지 없지만,

황정은 脾肺腎經으로 가서

上中下焦를 모두 망라합니다.

따라서

위유는 補陰潤津, 生津, 止渴하고,

황정은 補氣養陰, 健脾, 潤肺, 益腎합니다.

중국의 서남부와 감숙성일대에는

맛이 쓴 황정이 있는데

이는 약으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맛이 쓴 것으로는

湖北黃精 P. zanlan -scianense,

卷葉黃精 P. cirrhifolium,

輪葉黃精 P. verticullatum 등이 있습니다.

p.s: 국내에서는 위유와 황정을 구분하지 않고

모두 채취를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이걸 구분해서 사용하기가

사실 쉽지는 않지요.

시장에서 흔히 산황정이라고 하는 것들은

위유라고 보시면 될것으로 생각되고

이 외에는 모두 황정으로 보시면 그나마

용도에 맞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출처: 김인락 동의대학교 한의대 교수

민족의학신문 연재물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