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감별 정보 - 계지와 육계(계피) 약초야 놀자/약초감별2021. 1. 25. 09:01
계지는 사절(斜切, 엇썰기) 혹은 단(段) 형태가‘바람직’
계피는 칼로 긁었을 때 기름층 확연히 드러나야
임상에서의 사용빈도에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는
계피나무는 주된 약용 부위가 어린가지인 계지(桂枝)와
수피(樹皮)인 육계(肉桂)로 크게 나눌수있다.
한의학적 효능 분류에서 계지는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에 속하며
辛甘溫 無毒하고, 육계(계피,계심(桂心))는
온리약(溫裏藥)에 속하며
辛甘熱 無毒하여 사용빈도수가 높은
한약재 중의 하나이다.
그 기원은 동양권의 공정서(KHP, CP, JP,DKP)에서
모두 Cinnamomum cassia Presl.(녹나무과 Lauraceae) 1종을
기원으로 규정하고 있다.
기타 과거 문헌상 桂로 쓰였던 동속근연식물로는
월남계피(越南肉桂) Cinnamomumloureiri Ness.,
스리랑카육계(錫蘭肉桂) C.zeylanicum Blume,
대엽청화계(大葉淸化桂) C. cassia var.macrophyllum Chu 등이있다.
그 산지를 보면 기원종인 Cinnamomumcassia Presl.는
베트남, 라오스, 인도네시아,인도 등의 동남아시아와
중국의 華南(廣東·廣西·福建), 臺灣, 海南島, 西南(雲南)
지역에서 산출되고 있다.
1.자연상태의 구분
기원종인Cinnamomum cassia Presl.는
우리나라에서 자생하지 않는 관계로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기원품이 아닌
越南肉桂 Cinnamomum loureiriNess.가제주도에일부자생하고있다.
기원종인 Cinnamomum cassia Presl.는 상록교목(常綠喬木)이며,
잎의 특징으로 主脈이 평행으로 3出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열매는
직경 9mm 정도의 타원형이다(그림 1참조).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제시한다.
1.가지가 四稜形이고 黃褐色이다
2.잎이 互生 혹은 近對生하며,
아랫면에 黃色의 短絨毛가 있으며
꽃이 白色이다---------- Cinnamomum cassia
1.잎이 互生하며 털이 없고, 꽃이 黃綠色이다
----------------- C. loureiri
1.가지가 약간 四稜形이고 灰色이며 白斑이있다
2.잎이 對生 혹은 近對生이며 털이 없고, 꽃이 黃色이다
------- C. zeylanicum
2.계지(桂枝)에 대하여
보통 심은지 2년 지난 후의 어린 가지나,
육계나무의 樹皮(桂皮)를 채취하기 위하여 벌목할 때 나오는
작은 가지를 3∼7월(春∼夏秋)에채취한것이다.
보통 절단의 경우 直切과 斜切을 하며,
한국에서 유통되는 계지는 直切(길이 0.5∼1.5cm),
偏斜切(길이2cm), 斜切(길이1.5cm)등 모양이 다양하며,
이중 直切한 경우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향기에서 보면 껍질 부분이 더욱 진하며,
直切의 경우 껍질의 많은 부분이 손실되므로
약효면에서 차이가 있을 개연성이 높다.
이런 점에서 다음의 내용을 제안한다(그림2 참조).
1)실제로 桂枝의 지표물질인
Cinnamicacid와 Cinnamaldehyde의
부위별 정량을 해보면 皮層部의 함량에서
월등한 차이를 나타내어,
지표성분을 기준으로 한다면 당연히 斜切
혹은 段(1.5∼2cm)의 형태가 바람직하다
(2011년 대한본초학회 하계학술대회 논문집p101∼109).
2)계지를 가공하는 과정에서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찌면(蒸)
계지냄새가 많이나게 된다.
원래 자연상태의 것은 잘라놓아도
계지냄새가 처음에는 그리 강하지 않으며
시간이 경과하면(3개월 정도) 냄새가 강해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찌지(蒸)않고 절단하는 것이 더욱 이상적이다.
3)심지어 어떤 경우 계지의 향기를 내기위해서
桂皮油를 뿌린 것이 간혹 유통되므로 주의를 요한다.
계지의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
(discrimination key)는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의 검색표A]
1.표면은 棕色∼紅棕色이며, 皮部는 얇고 棕褐色이고
木部는 黃白色이며 髓部는 方形이다
--------Cinnamomum cassia
[약재상태의 검색표B]
1.直切(길이 0.5∼1.5cm), 偏斜切(길이 2cm), 斜切(1.5cm) 등
모양이 다양하고, 맛이 달며 조금 맵고 특이한 향기가 있다
------------Cinnamomum cassia
3.계피(桂皮)에 대하여
桂皮의 경우 10년 이상된 나무의
樹皮를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으나,
약용의 경우 대개 15∼20년된 樹皮를 사용한다.
특징적인 것은 樹皮의 경우
표면에 밀가루를 뿌려놓은 것 같은
하얀반점이 나타나는 것을 볼수 있는데
(그림 1의 왼쪽 全形 참조),
이는 자연스러운 것으로
약재감별에서 가끔 불순물로 오해받기도 한다.
절단 전의 모습을 상품규격에 따라
다음과 같이 구분되기도 한다.
①계심(桂心, 周皮와 外皮層을 제거한 것)
긴판상∼관상이고 길이는 10∼20cm이며
두께는 고르지 않다.
②기변걔(企邊桂)
10년 이상된 수피로서,
양쪽끝을 약간 깍아 桂心이 보이게 한 것으로,
나무로 된 틀(桂夾)에 넣어 눌러 압착한 것으로
양쪽 끝이 약간 말려들어 판상을나타내어붙인 이름.
③관계(官桂, 桂筒 혹은 桂通이라고도 부름)
재배한지 5∼6년된
어린 나무의 수피+粗枝皮+오래된 나무의 樹皮 등을,
자연적으로(加壓하지 않고) 말려 통모양이 된 것.
실제 유통에 있어 계피의 주종을 이루고 있는
베트남산의 경우 계피유의 %에 따라
등급(YB)을 결정하고 있다.
즉 樹皮層에서 油層비율에 따라
YB1등급(50% 이상),YB2등급(40~50%),
YB3등급(30~40%),YB4등급(30% 이하-수정과 제조용)
으로 나누고 있다.
이중 YB4등급의 경우 계피나무의 윗부분 樹皮에서 채취되며,
가격 경쟁에서 유리하여 우리나라에 수입되어지고 있는 종류이기도 하다.
한편 두께에 따라 우리나라에서 두께가 3mm 이상이면 A,
2.5mm은 B, 2mm 이하는 C로 유통되기도한다.
이런 점에서 다음의 내용을 제안한다(그림 3 참조).
1)桂皮는 15∼20년된 樹皮로서,
겉의 표피를 칼로 긁었을 때
기름층이 확연히 드러나는 것을 사용해야 한다.
이러한 종류가 훨씬 강한 향기와 유효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은 물론이다
(그림 3의 오른쪽윗부분사진: 油層이뚜렷).
2)한편, 식물의 연수가 오래되어 약용가치가 저하된 육계는
원래 식품용으로 가공되어 유통되고 있으나 간혹 수입과정에서
약용으로 둔갑되기도 하므로 주의한다
(그림 3의 오른쪽 아래부분 사진: 油層이 없음-약효면에서 검토 요망).
이는 오래된 年數의 계피나무의 樹皮가
훨씬 더 많은 유효물질과 효능을 나타낼 지도 모른다는
정서상의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주지하다시피 식물의 樹皮는
일정 기간이 지나면 유효물질이 전혀 없는 粗皮를 형성하며,
노후된 樹皮層은 유효물질의 함량이 적을 수밖에 없다.
실제로 全形한약재는 물론이고 절단되어 유통되는 계피도,
칼로 단면을 잘라보아 油層의 존재를 관찰하는 손쉬운 방법으로
양질의 계피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계피를 자연상태에서 확인되어 채취된 한약재와
유통 중의 한약재를 비교감별한후,
한약재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key)는작성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의 검색표A]
1. 향기가 진하며 맛이 달고 맵고 껍질이 두꺼우면 油性이 많다
----------Cinnamomum cassia
2. 栓皮層이 있다
3. 卷筒狀이거나 중앙부분이 움푹패인 槽狀으로 씹으면 찌꺼기가 많다
-------------官桂 C. cassia
3. 長槽狀으로 중앙부분이 약간 패였으며씹으면 찌꺼기가 적다
-------------企邊桂 C. cassia
2. 栓 皮 層 이 제 거 되 어 없 다------桂心 C. cassia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약초야 놀자 > 약초감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재 감별 정보 - 백출(白朮)과 창출(蒼朮) (0) | 2021.02.08 |
---|---|
한약재 감별 정보 - 대황(大黃) (0) | 2021.02.01 |
[약초세상]약초감별 - 후박 (0) | 2021.01.18 |
[약초세상]약초감별 - 황정(둥굴레) (0) | 2021.01.11 |
[약초세상]약초감별 - 황기 (0) | 2021.01.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