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감별 정보 - 방기(防己) 약초야 놀자/약초감별2021. 6. 29. 09:02
청풍등(淸風藤)은 거풍습(祛風濕)에,
목방기(木防己)는 이수삼습(利水渗濕) 효능 있다
방기(防己)는 효능별 분류에서
거풍습약(祛風濕藥)에 배속되어 있으며,
높은 응용빈도수를 갖고 있는 한약재이다.
최초의 한약기술서인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 기록된 이래
시대별로 기원 및 효능에 대하여
많은 논란이 있어왔으며,
현재에도 많은 기원식물의 종류를 가지고있다.
현재대표적인 기원식물로는
① 방기(防己 - 분방기[粉防己])
② 청풍등(靑風藤)
③ 목방기(木防己 -댕댕이 덩굴)
④ 광방기(廣防己)를 예로 들 수 있으며,
이중 청풍등(靑風藤)은 약용부위가
덩굴줄기(Caulis) 및 뿌리줄기(Rhizoma)이고 나머지는 뿌리(Radix)이다.
모두 가을(9월)에서 다음해 봄사이에 채취하여 약용하고 있다.
1.방기(防己)종류의 기원
역사적으로 복잡한 기원을 나타내고 있다.
神農本草經의 防己는
약재의 분리되어지는 모양에 근거하여 보면
木防己Cocculus trilobus 로 추정되어지며,
상한론(張仲景)에서는 木防己(木防己湯),
漢防己(漢防己湯=防己黃 湯)로 구분되어졌고,
금궤요략(張仲景)에서의 防己는
“防己生漢中”이라는 내용과 약재의 묘사내용에 근거하면
漢中防己 Aristolochia heterophylla 로 추정된다.
淸시대에 들어 19C 廣州 지역에서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를,
1935년 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를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이 2종류는
漢中防己 Aristolochia heterophylla 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어졌으나,
독성(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과 Aristolochia 屬과의
육안상 구별 혼란(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등의 문제로
현재는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일본의 경우,
에도시대(1603~1867)에
중국 방기인 漢中防己 Aristolochia heterophylla 와
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가 일본에서 생산되지 않아서,
일본의 淸藤 Sinomenium acutum 을
防己로 수재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재 동양 각국의 공정서 기준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屬 및 種이 다른 6종류로 구분되어지나,
이중 Aristolochia 屬에 포함되는 2종류는
현재 신장암 등의 유발물질 함유로 사용이 금지되어있어,
실제적으로 4종류가 유통되어지고 있다.
이중중국에서기원품으로하고있는
분방기(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마저도
우리나라와 일본의 경우에 약재상태의 모습이
Aristolochia 屬에 속하는 종류와 비슷하여
전문가를 제외하고는 육안상 구분이 힘들어
사용금지되어있다.
이상의내용을종합하면,
①현재 한국의 경우 사용이 허용되는 종류는
청풍등(靑風藤)과 목방기(木防己) 2가지이다.
②분방기(粉防己)와 광방기(廣防己), 한중방기(漢中防己)는
모두 이수삼습(利水渗濕)의 효능을 주로 나타내는 종류로
결론되어지며, 이는 다소간의 논란의 여지에도 불구하고,
“한방기(漢防己)는 치수(治水)하고
목방기(木防己)는 치풍(治風)한다”
는 규정과 부합되어지고 있다.
한편 祛風濕의 효능을 나타내는 靑風藤과 木防己의 경우,
淸風藤 Sinomenium acutum 이
현재 漢防己의 대용품으로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문헌에 근거하면“治風>治水”의 효능으로 정리하는 것이 타당하며,
상대적으로 木防己 Cocculustrilobus가“治風<治水”로정리되어진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청풍등(靑風藤) Sinomenium acutum
①약용 부위가 등경(藤莖)이고 표면에
가는 세로무늬와 피목(皮目)이 있으며
부풀어 오른 마디 부위가 있다.
②횡단면은 규칙적인 방사상의 무늬와
다수의 작은 구멍을 볼 수 있으며,
가운데 조직은 전체적으로 파도모양의
환상(環狀)이고 원형의 수(髓)가있다.
(2)목방기(木防己) Cocculus trilobus
①약용 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조잡하고
세로로 비틀어진 깊은 홈과 皮孔 등이 있고
소수의곁뿌리자국이있다.
②횡단면은 분성(粉性)이 없으며
방사상의 무늬(車幅)는 촘촘하지 않다.
(3)방기(防己-분방기[粉防己]) Stephania tetrandra
①약용 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깊이 파인 세로주름(筋脈)과 가로로
긴 皮目상의 흔적과 겉뿌리의 자국이 있다.
구부러진 부분의 가로로 깊은 홈이 있고
결절상(結節狀)의 혹과 같은 모양(猪大腸·結腸狀)이 특징적이다.
②횡단면은 灰白色의 粉性이 풍부하며
放射狀의 무늬(車幅)는 촘촘하지 않으며
주변조직과 더불어 거미줄 모양의 무늬를 이룬다.
(4)광방기(廣防己) Aristolochia fangchi
①약용부위가 뿌리이고
표면에 깊이파인 세로주름(筋脈)이 있다.
②횡단면은 灰白色의 粉性이 약하며
放射狀의 무늬(車幅)는 촘촘하며 圓形의 髓가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약초야 놀자 > 약초감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재 감별 정보 - 황백(黃柏) (0) | 2021.07.16 |
---|---|
한약재 감별 정보 - 독활(獨活) (0) | 2021.07.09 |
한약재 감별 정보 - 해동피(海桐皮 ) (0) | 2021.06.18 |
한약재 감별 정보 - 산초(山椒) (0) | 2021.06.11 |
한약재 감별 정보 - 진교(秦艽) (0) | 2021.05.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