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벨라돈나]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Atropa belladonna Linne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Tropane alkdaloid(l-hyoscyamine, l-scoplamine, atropine) : 벨라돈나의 주요약리 및 독성성분임.

- Atropine : 콜린 유사물질로 말초성 및 중추성 콜린반응을 차단함.

Atropine에 비해 동공확대, 땀샘, 침샘, 위 및 장내 샘의 분비를 억제함.

심장박동을 빠르게 하고 기관지, 위, 장의 평활근을 이완시킴.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기관지 내강에 대한 아트로핀의 작용이 미미하나,

경련이 있는 상태에서는 기관지 내강을 확대시킴.

아트로핀은 미주신경흥분에 의한 경련에 강하게 작용하나,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는 작용은 미미함.

② 3-β-phenylacetoxytropane

③ Tropine

④ Cuskhygrine(C13H24N2) : 벨라돈나의 근피에 주로 함유됨.

⑤ Pseudotropine : 벨라돈나의 근피에 주로 함유됨.

⑥ Tropine : 벨라돈나의 잎에 주로 함유됨.

(2) 독성증상

구강건조; 땀분비감소; 동공산대; 시각흐림; 붉고 건조한 피부;

이상발열; 심계항진; 배뇨장애; 환각; 경련; 급성정신이상; 경기; 혼수

(3) 실험 및 사례보고

- Blumenthal M. 1998

Amantadine, antihistamines, phenothiazines, procainamide,

quinidine, tricyclic antidepressants 등의 항콜린성 제재와 함께 복용 시

항콜린효과 증가와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

벨라돈나 leaf powder 형태의 평균 1회 복용량은 50-100㎎이며,

최대 1회 복용량은 200㎎, 그리고 최대 1일 복용량은 600㎎임.

Root powder 형태의 1일 최대 복용량은 300㎎이며,

벨라돈나 추출물의 평균 1회 복용량은 10㎎이고, 1회 최대 복용량은 50㎎,

그리고 1일 최대 복용량은 150㎎임.

- Leung AY. 1996

벨라돈나의 항콜린성은 0.3% - 0.5% tropane alkaloid(주로 l-hyoscyamine,

미량의 l-scopolamine과 atropine)로부터 기인됨.

벨라돈나 추출물에서 대부분의 l-hyoscyamine는 atropine으로 라세미화됨.

- McGuffin M. 1997

추출물을 전문가의 지시 없이 경구복용하거나 표준화되지 않은

잎, 뿌리 및 그 밖의 조제약을 경구로 복용하는 경우 위험함.

6세이하 유아는 경구 복용이 위험함.

- Jaspersen-Schib R. 1996-1994

경구복용 시 벨라돈나는 입마름, 땀분비감소, 동공비대, 시각흐림,

붉고건조한피부, 고열, 심박급속증, 배뇨장애, 환각, 경련, 급성정신이상,

그리고 혼수 등을 나타낼 수 있음.

- McKevoy GK. 1998

벨라돈나는 모유생산을 줄이고, 모유를 통해 배출될 수 있으므로 수유시 복용을 금함.

벨라돈나는 hyoscyamine(atropine)과 scopolamine 성분이 포함되어 있어서

울혈성심부전, 변비, 다운증후군, 식도역류, 열, 위궤양, 간염, 식도열공 헤르니아,

협각녹내장, 폐색성 장관질환, 빈박성부정맥, 독성거대결장, 궤양성 대장염,

그리고 배뇨지연 등이 있는 질환자가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낼 수 있음.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 Atropa belladonna L. 로 등재됨.

- 영국(MHRA) List of herbal ingredients which are prohibited or restricted in medicines :

Atropa belladonna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여로]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Veratrum nigrum Linne var. ussuriense Lose. File.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Jervine(베라트린계 유리 알칼로이드) : 베라트륨의 주요성분

② Pseudojervine(C29H43NO7)

③ Didesacetylprotoveratrine A

④ Germerine

⑤ Germidine

⑥ Neogermerine

⑦ Protoveratrine A

⑧ Rubijervine(C26H43NO2+H2O)

⑨ Veramarine

⑩ Veramine

⑪ Verazine

⑫ Colchicine

(2) 독성증상

상복부 및 흉골 뒤쪽의 동통; 구토; 설사; 침흘림; 혈변; 어지럼증;

두통; 식은땀; 접촉 시 피부 및 점막에 동통; 재채기; 눈물

(3) 실험 및 사례보고

- 배기환 외. 1997 : LD50은 침출액의 형태로 1.78±0.38g/㎏임.

쥐에게 침출액 1.8g/㎏을 경구투여 시 심부전으로 사망함.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 Veratrum nigrum L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방풍 - 중국방풍]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쿠마린 : 방풍의 주요 약리성분으로 중추신경계 억제작용 및 진경작용이 있고, 혈전생성을 지연하는 작용이 있음.

② Essential oils

③ Mannitol

④ 고미 배당체

(2) 독성증상

피부발진; 면역억제

(3)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kin으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방기]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방기, 둥근 검정색 열매)

Stephania tetrandra S. Moore(분방기, 둥근 붉은색 열매)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

① Sinomenine(C19H23O4N) : 방기의 주요 약리작용 및 독성성분임.

Sinomenine을 다량 복용 시 중추신경계를 흥분시키고 진통작용을 약화시키며,

골격근에 대한 마비작용이 있음.

소량복용 시에는 소장의 연동운동 및 자궁을 수축시킴.

② Disinomenine(C38H44O8N2)

③ Sinac-tine(C20H21O4N)

④ Tuduranine(C18H19O3N)

⑤ 아쿠투민(C19H24O6NCl)

⑥ Sitosterol, stigmasterol(alkaloid가 아님)

(2) 독성증상

입안 쓰고 혀 마름; 위손상

(3)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 (미국) : Sinomenium acutum Rehder et Wilson으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반하]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Pinellia ternata Breitenbach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Ephedrine alkaloids : 덩이줄기에는 약 0.002%의 L-ephedrine이 함유됨.

② Nicotine

③ Aspartic acid

④ Glutamic acid

⑤ Arginine

⑥ β-sitosterol

⑦ Choline

⑧ D-glucoside

⑨ 3,4-Dioxybenzaldehyde

(2) 독성증상

심장마비; 발작

(3) 실험 및 사례보고

- FDA, HHS. 2004 : Ephedrine alkaloids를 포함하므로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됨.

반하에 대한 안전성이나 부작용에 대한 정확한 근거는 없으나,

마황 관련 부작용으로 보고된 발작, 경련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기타 : 미국 FDA는 2003년 12월 30일,

dietary supplement에 ephedrine alkaloids의 사용을 금지하였음.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반묘 - 띠띈가뢰]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기원 : 가뢰과 곤충을 건조한 전체

띠띤가뢰(Mylabris cichorii Linne), 중국가뢰(Mylabris phalerata Pallas),

줄먹가뢰(Epicauta gorhami Marseul)

(2) 분류

동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cantharidin : 주요 약리 성분

② fat

③ resin

④ formic acid

(2) 독성증상

내복하면 위장염 및 신염을 일으킴.

특히 신장과 요로는 canthardin에 대하여 민감하기 때문에

소량에서는 사구체가 확장되고 고용량 복용시 신소관이 손상됨.

Cantharidin은 위장에서 쉽게 흡수되고

피부에서도 소량 흡수되었다가 주로 신장을 통하여 배출되므로

요로를 자극하여 빈뇨증 및 동통 등의 증상을 나타냄.

피부트러블. 임산부는 복용시 유산될 수 있음.

(3) 실험 및 사례보고

- 중약대사전(p1487) : 흰쥐를 대상으로 한 급성독성실험에서 복강내 주사시

LD50 이 1.25㎎/㎏임. 반묘는 내장에 급성 혹은 아급성인 병리적 변화를 유발하고,

심근섬유, 간세포, 요세관상피에 혼탁종창과 지방변성을 야기함.

치사량은 canthardin 30㎎임

출처: 식품의약품 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면마 - 관중]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Filmarone

뿌리줄기의 주성분이며, phloroglucinol의 유도체임. 면마의 주요 약리성분임.

- Phloroglucinol 유도체

중추신경계, 골격근 및 심장에 독성작용을 초래함.

온혈동물의 체내에 주입시 경련과 함께 중추신경계 마비를 초래함.

섭취시 위점막을 자극하여 염증을 일으킴.

면마를 달인 물은 강한 장수축작용과 자궁수축작용을 함.

Phloroglucinol 유도체와 그 분해산물은 원형질독으로서,

특히 환형동물과 연체동물의 근육세포에 강한 독성작용을 나타냄.

뿌리줄기는 구충작용이 있어서 기생충의 근육과 신경계통을 마비시킴.

② Aspidinol(C12H16O4)

③ Fillicitannic acid

④ Triterpenoid : Fernene, hopene-b(diploptene), adiantone,

hydroxyhopane(diplopterol), hopanol-29(neriifoliol), filicene으로 구성됨.

⑤ Flavaspidic acid

⑥ Fillicinc acid

(2) 독성증상

오심; 구토; 복통; 혈변; 중추신경장애; 두통; 현기증; 발작; 경련; 마비;

시혈관 수축; 국소자극작용; 중추신경계통, 심장, 내장장기에 대한 독작용 나타남;

설사; 시력장애; 척수반사의 항진; 혼수상태

(지방을 함유한 식품과 함께 섭취 시 장내흡수가 촉진되어 위험할 수 있음)

(3)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 (미국) : Dryopteris carssirhizoma Nakai로 등재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맥각]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기원 : Claviceps purpurea (Fr.) Tulasne(맥각균)이

쌀보리(호밀, 나맥 Scale sereale L.)을 비롯한 벼과식물의 씨앗집에 기생하여 형성된 균핵

(2) 분류

동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ergotoxine : (주요작용성분) 에르고크리스틴, 에르고크립틴,

에르고코르닌이 같은 량 섞여 있는 결정 및 에르고타민, 에륵신, 에르고메트린

② ergotinine : (주요작용성분) 에르고타미닌, 에르고시닌, 에르고크리스티닌,

에르고크립티닌, 에르고코르디닌, 에르고메트리닌

③ 여러가지 아민화합물 : tyramine, histamine, agmatine,

④ mycotoxin : 식중독을 일으키는 성분(식규65421-830 1999.11.01 민원회신)

(2) 독성증상

구토; 설사; 맥박저하; 실신; 연수흥분(미주신경성 심장박동수 감소, 호흡 증가, 경련 등)

연수마비; 사망; 만성중독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