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황]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Ephedra sinica Staph(초마황)
Ephedra intermedia Schrenk et C.A. Mey(목적마황)
Ephedra equisetina Bge(중마황)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Ephedra alkaloid : E. sinica의 줄기에 함유되어 있고 ephedraine(C10H15ON(주성분)),
l-M-methylephedrine(C11H17ON), l-norephedrine, d-norpseuciephedrine(C9H13ON),
d-N-methylpseudoephedrine, d-pseudoephedrine로 구성됨.
- Ephedraine : 교감신경 흥분작용이 있음.
혈압을 높이고 발한작용이 있으며,
기관지평활근의 긴장을 와화시켜 기침을 정지시킴.
염산에페드린 10% 용액을 눈에 떨구면 40~60분 후,
동공산대작용이 나타나고, 5~20시간 계속됨.
- Pseudoephedrine : 신장혈관을 확장시켜 이뇨작용을 초래함.
② Catechu tannin : E. sinica의 줄기에 함유됨.
③ Tannin : E. intermedia와 E. equisetina에 다량 함유됨.
④ Flavonoid glycoside : E. intermedia에 다량 함유됨.
(2) 독성증상
- Ephedra alkaloids 20~60㎎ 섭취시 : 고혈압; 심근경색; 발작; 뇌졸중; 정신병
- Ephedra alkaloids 32㎎/day 이상 섭취시 : 출혈성 뇌졸중; 뇌출혈
(3) 실험 및 사례보고
- Morgenstern LB. 2003 : FDA에 마황으로 인한 926개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됨.
그 중 37명은 심각하고 치명적인 부작용(뇌졸중 16명, 심근 경색 10명, 급사 11명)을 나타냈음.
하루 32㎎ 이상의 복용은 뇌졸중발작의 위험을 3배이상 증가시킨다고 보고됨.
- Doyle H. 2000; Haller CA. 2000; Jacobs KM. 2000; Walton R 2003; Boozer CN. 2001; Gurley BJ. 2000 : 경구투여 시 생명에 심각한 위협이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 마황은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됨.
현기증, 집중장애, 심박 급속증, 구토, 고혈압, 고열, 오심, 입 마름, 심계항진, 심근경색, 발작, 뇌졸중,
그리고 정신병과 그 외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됨.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 경구투여 시 마황관련 심각한 부작용 사례가 보고됨.
일반적인 복용량은 15~20㎎ ephedra alkaloids임.
- FDA. 2000 : 단기간에 마황 알칼로이드를 20~60㎎ 복용한 경우에도 상당한 부작용을 보인 사례가 있음.
FDA는 1997년 6월에 식이보충제에 마황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명시했으며,
마황알칼로이드가 포함된 상품에 새로운 경고표지를 하고,
caffeine을 포함한 guarana, cola nut과 같은 자연흥분제와
마황이 포함된 제품을 함께 복용하는 것을 금지시켰음.
- White LM. 1997 : 맥각 알칼로이드와 마황을 함께 사용 시
마황 내 ephedrine으로 인해 심한 혈관수축과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음.
Monoamide oxidase 반응 억제제와 함께 사용 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Phenylpropanolamine, pseudoephedrine, diethylpropion과 같은
중추신경계 자극제와 마황을 함께 사용 시 고혈압 및 심혈관 관련 부작용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음.
- Samenuk D. 2002 : 뇌졸중, 발작, 일과성 뇌허혈, 뇌일혈, 의식불명 등의 사례가 있음.
- Haller CA. 2002; Soni MG. 2004 : 마황의 사용부위는 줄기와 잎이고, 알칼로이드 이외에norpseudoephedrine, methylephedrine, 그리고 norephedrine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
Ephedrine과 pseudoephedrine의 구성물은 직간접적으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음.
Ephedrine과 pseudoephedrine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심박, 심장수축을 증가시키며,
말초혈관수축, 기관지확장, 중추신경계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음.
후두염환자는 마황의 사용을 금함.
불안증환자의 경우, 마황의 중추신경계 자극효과로 인해 증세가 악화 될 수 있음.
Pheochromocytoma의 증세가 악화 될 수 있음.
- Bent S. 2003 : 미국에서 마황사용을 금지함.
Poison control center의 자료에 의하면 마황은 가장 부작용보고가 빈번한 식물임
(부작용을 보이는 다른 식물들의 백 배정도임).
마황의 시장규모는 판매되는 전체 약용식물의 1% 이하지만,
poison control center의 식물 부작용보고 중 64%을 차지함.
- McBride BF. 2004 : 마황과 caffeine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젊고,
건강한 사람의 심박이 분당 67에서 82로 증가되며,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증가됨.
마황 및 카페인과 다른 17가지 성분이 포함된 체중 감량제품인 ‘metabolife 356’ 를 섭취시킨 결과,
건강한 봉사자들의 QT간격(평균 27밀리세컨드)을 연장시켰음.
Panax ginseng과 마황을 함께 사용 시 QT간격 연장효과가 증가되어 부정맥 위험이 증가하였음.
QT간격 연장효과가 있는 약물과 함께 마황을 사용하면 심실부정맥 위험이 증가함.
마황은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음.
(QT간격 : 심실의 전기적 수축기로 심실의 탈분극 시작점부터 재분극 끝까지 걸리는 시간)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Commission E monograph(독일) 내
Unapproved component characteristics or herb : Ephedra로 등재됨.
- 기타 : 미국 FDA는 2003년 12월 30일,
마황 상품 판매를 금지하고 2004년부터 효력이 발생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