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식품사용금지원료'에 해당되는 글 27

  1. 2020.06.09 식품사용불가 원료 - 만년청
  2. 2020.06.04 식품사용불가 원료 - 마황
  3. 2020.05.29 식품사용불가 원료 - 디기탈리스
728x90

[만년청]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Rohdea japonica Roth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로데인(C30H44O10) : 만년청의 주요 약리성분 및 독성성분

② 디기탈리스형 강심배당체 : Rodexin A(C29H44O9), B(C29H44O9), C(C35H54O14)로 구성됨.

③ Rhodexin A(0.0008%), C(0.003%)

④ 로데아톡신

⑤ 로데아사포닌

(2) 독성증상

오심; 구토; 설사; 기외수축; 미주신경자극; 연수중추흥분;

현운(임신 중 가슴과 배가 더부룩하고 답답하며 숨이 차는 현상);

심방성빈맥; 빈맥성부정맥; 심근억제; 심장전도차단; 심장마비; Adams-Stock 증후군발작

*Adams-Stock 증후군: 간질과 비슷한 증후군으로 부정맥과 경련이 일어난다.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마황]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Ephedra sinica Staph(초마황)

Ephedra intermedia Schrenk et C.A. Mey(목적마황)

Ephedra equisetina Bge(중마황)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Ephedra alkaloid : E. sinica의 줄기에 함유되어 있고 ephedraine(C10H15ON(주성분)),

l-M-methylephedrine(C11H17ON), l-norephedrine, d-norpseuciephedrine(C9H13ON),

d-N-methylpseudoephedrine, d-pseudoephedrine로 구성됨.

- Ephedraine : 교감신경 흥분작용이 있음.

혈압을 높이고 발한작용이 있으며,

기관지평활근의 긴장을 와화시켜 기침을 정지시킴.

염산에페드린 10% 용액을 눈에 떨구면 40~60분 후,

동공산대작용이 나타나고, 5~20시간 계속됨.

- Pseudoephedrine : 신장혈관을 확장시켜 이뇨작용을 초래함.

② Catechu tannin : E. sinica의 줄기에 함유됨.

③ Tannin : E. intermedia와 E. equisetina에 다량 함유됨.

④ Flavonoid glycoside : E. intermedia에 다량 함유됨.

(2) 독성증상

- Ephedra alkaloids 20~60㎎ 섭취시 : 고혈압; 심근경색; 발작; 뇌졸중; 정신병

- Ephedra alkaloids 32㎎/day 이상 섭취시 : 출혈성 뇌졸중; 뇌출혈

(3) 실험 및 사례보고

- Morgenstern LB. 2003 : FDA에 마황으로 인한 926개의 부작용 사례가 보고됨.

그 중 37명은 심각하고 치명적인 부작용(뇌졸중 16명, 심근 경색 10명, 급사 11명)을 나타냈음.

하루 32㎎ 이상의 복용은 뇌졸중발작의 위험을 3배이상 증가시킨다고 보고됨.

- Doyle H. 2000; Haller CA. 2000; Jacobs KM. 2000; Walton R 2003; Boozer CN. 2001; Gurley BJ. 2000 : 경구투여 시 생명에 심각한 위협이나 부작용이 일어날 수 있음. 마황은 미국에서 사용이 금지됨.

현기증, 집중장애, 심박 급속증, 구토, 고혈압, 고열, 오심, 입 마름, 심계항진, 심근경색, 발작, 뇌졸중,

그리고 정신병과 그 외 심각한 부작용이 보고됨.

임산부 및 수유부에게 경구투여 시 마황관련 심각한 부작용 사례가 보고됨.

일반적인 복용량은 15~20㎎ ephedra alkaloids임.

- FDA. 2000 : 단기간에 마황 알칼로이드를 20~60㎎ 복용한 경우에도 상당한 부작용을 보인 사례가 있음.

FDA는 1997년 6월에 식이보충제에 마황의 사용을 제한하도록 명시했으며,

마황알칼로이드가 포함된 상품에 새로운 경고표지를 하고,

caffeine을 포함한 guarana, cola nut과 같은 자연흥분제와

마황이 포함된 제품을 함께 복용하는 것을 금지시켰음.

- White LM. 1997 : 맥각 알칼로이드와 마황을 함께 사용 시

마황 내 ephedrine으로 인해 심한 혈관수축과 고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음.

Monoamide oxidase 반응 억제제와 함께 사용 시 고혈압의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음.

Phenylpropanolamine, pseudoephedrine, diethylpropion과 같은

중추신경계 자극제와 마황을 함께 사용 시 고혈압 및 심혈관 관련 부작용의 위험이 증가될 수 있음.

- Samenuk D. 2002 : 뇌졸중, 발작, 일과성 뇌허혈, 뇌일혈, 의식불명 등의 사례가 있음.

- Haller CA. 2002; Soni MG. 2004 : 마황의 사용부위는 줄기와 잎이고, 알칼로이드 이외에norpseudoephedrine, methylephedrine, 그리고 norephedrine 성분을 함유하고 있음.

Ephedrine과 pseudoephedrine의 구성물은 직간접적으로 교감신경계를 자극할 수 있음.

Ephedrine과 pseudoephedrine은 수축기와 이완기 혈압, 심박, 심장수축을 증가시키며,

말초혈관수축, 기관지확장, 중추신경계 자극의 원인이 될 수 있음.

후두염환자는 마황의 사용을 금함.

불안증환자의 경우, 마황의 중추신경계 자극효과로 인해 증세가 악화 될 수 있음.

Pheochromocytoma의 증세가 악화 될 수 있음.

- Bent S. 2003 : 미국에서 마황사용을 금지함.

Poison control center의 자료에 의하면 마황은 가장 부작용보고가 빈번한 식물임

(부작용을 보이는 다른 식물들의 백 배정도임).

마황의 시장규모는 판매되는 전체 약용식물의 1% 이하지만,

poison control center의 식물 부작용보고 중 64%을 차지함.

- McBride BF. 2004 : 마황과 caffeine을 동시에 복용하는 경우 젊고,

건강한 사람의 심박이 분당 67에서 82로 증가되며, 수축기 및 이완기 혈압이 증가됨.

마황 및 카페인과 다른 17가지 성분이 포함된 체중 감량제품인 ‘metabolife 356’ 를 섭취시킨 결과,

건강한 봉사자들의 QT간격(평균 27밀리세컨드)을 연장시켰음.

Panax ginseng과 마황을 함께 사용 시 QT간격 연장효과가 증가되어 부정맥 위험이 증가하였음.

QT간격 연장효과가 있는 약물과 함께 마황을 사용하면 심실부정맥 위험이 증가함.

마황은 고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음.

(QT간격 : 심실의 전기적 수축기로 심실의 탈분극 시작점부터 재분극 끝까지 걸리는 시간)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Commission E monograph(독일) 내

Unapproved component characteristics or herb : Ephedra로 등재됨.

- 기타 : 미국 FDA는 2003년 12월 30일,

마황 상품 판매를 금지하고 2004년부터 효력이 발생함.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디기탈리스]

 

1. 정의

(1) 학명(기원식물)

Digitalis purpurea Linne

(2) 분류

식물류

2. 유해성/ 안전성 정보

(1) 성분

① Glycoside A, Glycoside B : 디기탈리스의 주요 약리성분이자 독성성분이 되는 digitoxin, gitoxin의 전구체

- Digitoxin : 치사량은 정맥주사 시 0.21㎎/㎏임.

디기톡신은 다른 배당체보다 장에서 더 잘 흡수되며 다른물질로 분해되지 않음.

디기톡신은 심장수축의 진폭을 늘리고 박동을 느리게 하며,

중추신경계통에 대한 억제작용도 함.

디기탈리스 배당체 중 디기톡신의 부작용이 가장 강함.

- Digitonine : 강심배당체의 용해성을 높이고 흡수를 촉진시킴.

② Pregnane glycosides : Digipurpruin, diginin, digitalonin로 구성됨.

③ Steroid saponin : Desgalactotigonin, digitonine, purpureagitoside로 구성됨.

④ Anthracene derivatives : Anthraquinones

(2) 독성증상

동공수축; 시력저하; 황록색환시; 메스꺼움; 구토; 소변과다; 현기증; 피로;

오한; 경련; 근육약화; 부정맥; 방실차단; 정신착란; 사망

(3) 실험 및 사례보고

- Lewis WH. 1998 : 디기탈리스, 칼륨 감소성 식물, 하제성 식물과 함께 복용 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이뇨제, corticosteroids 등의 약물과 함께 복용 시 상호 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

- De Smet PAGM. 1992 : 디기탈리스의 모든 부분이 독성을 나타냄.

Comfrey로 오해하여 복용해 사망한 사례가 있음.

- Newell CA. 1996 : 창포, 손가락 선인장, cola, 관동, devil's claw, 겨우살이, 호로파,

소태나무, 서양 현호색과 식물, panax ginseng, 산사나무, 금작화, 야생박하, 마테 차 나무,

냉이, 생강, 파슬리, 야생 당근 등의 강심작용 식물과는 함께 복용 시 부작용을 초래함.

- Gossel TA. 1994 : 위장장애, 동공수축, 맥박이상, 오심, 구토, 현기증, 다뇨, 피로,

근육쇠약, 마비, 경련, 사망 등의 급성부작용이 발생함.

- McGuffin M. 1997 : 임산부와 수유부의 경구투여를 금지함.

- Wolters Kluwer Co. 1999 : 디기탈리스는 digitoxin 및 gitoxin 전구체인 glycoside A와 B를 포함함.

만성적으로 복용 시 시각이상, 위장장애 등의 독성증상이 발생함. 자가치료로 사용 시 위험할 수 있음.

- Blumenthal M. 1998 : 디기탈리스를 치료약제와 함께 복용 시 cardiac glycosides의 독성위험이 증가함.

- Ellenhorn MJ. 1997 : 디기탈리스는 심부정맥과 사망의 원인이 될 수 있음.

디기탈리스를 Macrolide 항생물질, tetracycline 항생물질과 함께 복용 시

cardiac glycosides의 독성위험이 증가될 수 있음.

- Brinker F. 1998 : 흑여로, 캐나다대마근, 디기탈리스잎, 울타리겨자, 현삼속 식물,

영란근, 산쑥, 서양협죽도잎, 복수초, 해총뿌리, 스트로판투스 종자 등의

강한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강심작용 식물류와 함께 복용 시 독성위험이 증가됨.

감초, 속새, 변통효과가 있는 식물과 함께 사용 시 독성증상이 나타남.

- Johnson JA. 1997 : 신장질환 시 디기탈리스의 배출이 감소하여

독성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심장질환자의 자가복용을 금함.

- Burnham TH Quinine,이뇨제, 하제와 함께 복용 시 독성위험이 증가됨.

(4) 외국의 사용금지현황

- FDA Poisonous Plant Database(미국)

Digitalis purpurea L, Digitalis purpurea L. subsp로 등재됨.

- 영국(MHRA) List of herbal ingredients which are prohibited or restrcited in medicines

Foxglve로 등재됨

- 캐나다의 Appendix list of critical dose drugs

Digoxin을 비롯한 디기탈리스의 glycosides가 치명적인 부정맥증상을 보일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음.

- 기타: 2000년 11월, FDA에서는 내복용 digoxin 제품의 판매를 금지한 바 있음.

출처: 식품의약품안전처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