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5/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지역에 따른 녹용]

 

중국 깔깔이 (마록) 녹용

중국산의 이름이 일명 ‘깔깔이’로 불리는 것은

옛날(1995년 이전)에는 중국산 마록의 조직이

거칠고 감촉이 깔깔하다고 해서 깔깔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그때의 깔깔이는 뿔은 4개로 원용보다 뿔이 작고,

털과 조직이 거칠고 성글었다.

하지만 지금도

“중국산 마록 사슴의 녹용이 깔깔하냐?”고 하면

대답은 “아닙니다”이다.

나중에 깔깔이와 원용의 비교에서 자세히 다루겠지만,

10년 전의 깔깔이와 지금의 깔깔이는 완전히 틀리다.

전에는 러시아가 잘 살았지만

지금은 중국의 경제 수준이 높아졌다.

사슴을 키우는 녹장의 수준도

중국이 러시아보다 높아졌고,

계속 더 높아질 것이다.

그러다 보니 중국의 녹장에서는 품종개량이 계속되고 있고,

또한 사슴을 한 마리씩 개별관리를 하고 있다.

중국은 땅이 넓다보니 녹용이 나는 지역도 여러 군데이고,

각 지역마다 녹용의 특성이 조금씩 차이가 있다.

신강성(新疆省)의 제일 북쪽(알타이 산맥 남쪽 지역)인 중국 알타이,

신강성 중에서 천산(天山)산맥의 북쪽인 북강, 천산산맥의 남쪽인 남강,

내몽고, 동북3성(만주지역) 이렇게 5개 지역의 녹용 산지가 있다.

이중에 품종 개량에 적극적인 지역이 알타이, 내몽고, 북강 지역이다.

그럼 중국의 마록 깔깔이가 이렇게 좋아졌고,

조직도 원용에 가깝게 나오는 데 한의사들은 왜 그것을 모르고 있을까?

녹용업자들이 가르쳐 주지 않기 때문이다.

왜 안 가르쳐 줄까?

위에서 말한 알타이, 내몽고, 북강산 깔깔이를

제 가격을 주고 산 한의사는 얼마나 될까?

원용에 가까운 조직을 가진 깔깔이를 말이다.

국내 들어오는 위의 세군데 깔깔이는 중국산 깔깔이로 만 팔릴까?

중국의 마록 깔깔이와 러시아 마록 원용은

건조 방법이 탕건조 방식이다.

녹용을 자른 후 자른 면을 밀봉하여,

거꾸로 세워서 끓는 물에 담갔다 건졌다를 반복해

안에 있는 피를 익힌 후에, 바람으로 건조한다.

이 탕건조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기 때문에

온도와 시간을 잘 맞추어야 하고,

끓는 물에 오래 담그면 혈이 너무 익어서 색깔이 검어진다.

그러므로 마록에 있어서 녹용의 색깔은

건조 상태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지 녹용 자체의 질은 아니다.

같은 지역에서 자란 사슴의 뿔도

각 녹장의 건조 실력에 따라 건조 후의 색깔은 틀려진다.

마록의 질을 감별함에 있어서

녹용의 색깔은 그렇게 중요하지는 않다.

조직을 잘 보는 것이 더 중요하다.

녹용의 절단 시에는 대체적으로

러시아는 마취제를 사용하지 않는 반면에

타지역은 마취제를 사용해 절단한다고 한다.

이것이 녹용의 약효에 영향을 미치는 지는 잘 모르겠지만

녹용을 수입시 약재 수출입 검사시험소의 결과로

인체에 유해 성분이 검출되지는 않는다.

깔깔이의 전반적인 설명은 여기서 줄이고,

각 지역별 깔깔이의 특성을 간단히 살펴본다.

알타이녹용

1. 작업시 분골이 많은편.

2. 알타이산맥을 국경으로 북쪽은 러시아 고르노알타이(원용산지),

남쪽은 중국 알타이, 오른쪽은 외몽고, 왼쪽은 카자크스탄이다.

3. 털은 색깔과 결이 원용과 흡사, 조직은 원용과 비슷하다.

4. 분골의 모양이 야구방망이 비슷하다.

5. 껍질이 두껍고 위의 분골 끝이 타원형 모양인 것들이 많아서

슬라이스 상태에서는 분골 모양이 엘크와 비슷한 조직의 분골도 있음.

몽고녹용

1. 작업시 분골이 적은편.

2. 털은 긴 것이 있고, 짧은 것이 있다.

원용 산지와 중국의 알타이, 북강은 산악지역이어서 털이 대체적으로 긴 반면에

몽고는 초원 지역이어서 털이 긴 것도 있고 짧은 것도 있다.

3. 오지에서 방목해서 키운다.

원용과 몽고산 깔깔이는 방목에 가까운 수준으로 사슴이 크기 때문에 조직이 비슷하다.

대신 둘 다 분골의 양이 적다.

4. 조직이 원용과 비슷하다.

북강녹용

1. 외형이 원용과 비슷하고.

조직에서 약간의 차이를 보이고 깔원이라고 해서 판매되고 있다.

2. 조직이 원용과 비슷하나 미세하게 성글다.

남강녹용

1. 전형적인 깔깔이다.

2. 사슴이 작고 사막지대고 군부대에서 사육한다.

3. 조직은 성글고 털도 거칠다.

4. 털 색깔이 회색이고 거칠다.

동북(만주)녹용

1. 집과 같이 좁은 공간에서 자라고있다.

2. 각질화가 심하고 뿔 상태는 좋지 않다.

(뿔을 늦게 자르는 편이다.)

3. 분골은 늦게 잘라서 질기고 뻣뻣하다.

4. 전체적인 색에 황색이 많다.

<계속>

김 규 태

▲대전대 한의대

▲인천 계양구 오룡한의원장

▲(주)디에이치 대표이사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감국과 국화~

국내에선 이 둘을 구분하고 있습니다.

국화에는 감국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못하게 하고 있지요.

감국과 국화의 차이는

꽃잎의 겹수인데,

감국은 홑겹이고 국화는 꽃잎의 개수가 짝수로 됩니다.

그런데 과연 꽃잎이 몇개가 겹쳐있냐? 라는 것으로

과연 약용과 식품용이 갈라진다는게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되는 국화로 산국이라는게 있습니다.

들국이라고도 부르는데, 이게 향은 국화보다 강합니다.

그래서 국화 대신 이 산국을 선호하는 분들도 계십니다.

감국과 국화에 대한 정의를 다시 내려야 하지 않나 생각이 되네요.

국내에서 재배되는 국화의 대부분은 샴푸나 화장품 원료로의

납품되기에 계약재배의 형태로 운영이 되고 있고,

한의원이나 한약구에서 사용되는 국화는

대부분 중국 항주(항저우)의 황산 국화가 수입되고 있습니다.

황산국화는 중국 황실에 조공으로 바쳐졌던 국화로

황산 = 국화의 이미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국화는 전북지역이 가장 많은데,

주로 수출용 국화를 재배하는 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물론 품종도 흰국화로 다릅니다.

p.s: 말린 국화를 받고 나서 왜 이렇게 부서진게 많냐고

말씀하시는 분들이 계십니다. 그런데, 국화는 건조한 후

이동하는 과정에서 부서지는게 당연한겁니다. -_-;;

오히려 꽃잎이 떨어지지 않는게 더 이상한 것이죠.

예전에는 소금물이나 석회물을 스프레이로 뿌려서

모양을 유지하고 무게를 늘리기도 했지만,

지금은 그런 일은 없으니 오히려 먹기에는

더 안전해지지 않았나 생각되네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서울아산병원의 응급의학과 교수들이 쓴

「식물독성학(군자출판사)」이라는 책이 작년에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에는 독성이 강한 식물과 약한 식물의

분류, 독성 성분, 임상증상, 검사방법, 치료방법,

증례보고 등이 소개되어 있습니다.

해마다 응급실에는 독초를 먹고 실려 오는 사람들이 많이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임상독성학회지의 사례들도 그런 내용들이죠.

오늘은 이 책에서 소개하고 있는 여러 독초 중

아직까지 여러분께 소개하지 못한

한약재들의 독성에 대해 말씀드리고자 합니다.

 

 

진교(秦膠)는 경북 영양의 주민 6명이 흰진교를

산나물로 오인하여 먹고 나서 입원한 사례가 있습니다.

뿌리에 아코니틴, 아코라이틴을 비롯한

7개 이상의 알칼로이드가 있어서 독성이 강합니다.

다행히 가열하면 독성의 90% 정도가 소실됩니다.

피부로도 중독이 되며, 중독증상은 부자와 비슷합니다.

입의 감각이 이상하고, 구토나 복통, 혈압저하, 서맥, 빈맥, 부정맥,

호흡장애, 의식장애, 발한 등의 증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백굴채(白掘採)는 전초에 걸쳐

isoquinoline alkaloid를 함유하고 있고

줄기에 가장 많으며, 주요 독성분인 coptisine과

치사율이 매우 높은 sanguinarine 소량이 들어 있습니다.

증상은 과량 복용시 구토와 복통, 간 손상, 어지럼증,

두통, 사지마비, 접촉성 피부염, 안구 자극증 등이 있습니다.

2000년 대한간학회지, 2003년 Scand J Gastroenterol,

2007년 대한한의학회지 등에 증례가 소개되어 있습니다.

 

 

현호색(玄胡索)의 주요 독성성분은

di-tetrahydropalmatine과 dehydrocorydaline이며

다른 알칼로이드 성분 몇 가지도 함유하고 있습니다.

증상은 의식장애, 전신 쇠약감, 호흡곤란,

혈압강하 등이며 심한 경우 쇼크가 발생할 수 있고,

독성 성분인 levotetrahydro-palmitine (베르베린 알칼로이드)은

간독성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대극(大戟)은 경기 충남 경상 전남지역에 분포합니다.

접촉성 피부염, 설사, 환각, 초조, 행동장애, 구토, 고열,

노폐, 횡문근융해증 등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임신부에게 금하도록 하고 있으며, 실제 동물실험에서도

황체호르몬 수치를 감소시켜 임신 중에 금해야 할 약재로 보입니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증례보고가 없었습니다.

 

 

감수(甘遂)의 주요 독성분은 Kansuinine A와 B,

감마-euphorbol, tirucallol 등의 triterpenoid입니다.

먹으면 구역질과 복통이 발생하고

피부에는 접촉성 피부염을 일으키며,

장시간 노출되면 암을 유발한다는 보고가 있으나

아직까지 사망사례보고는 없습니다.

감수 역시 임신 중 금기 약재입니다.

난자착상을 감소시켰고 황체호르몬 수치를 감소시켰다는

동물실험결과가 「경희의학(1993)」에 실려 있습니다.

출처: 민족의학신문 한약독성칼럼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상백피]

 

오늘은 뽕나무 부위중 뿌리껍질을 알려드릴까 합니다.

약재이름은 상백피라고 불립니다.

뽕나무는 버릴 데가 없는

훌륭한 약초인데요.

특히 이 상백피는 주로

한의원에서 다이어트에 들어가는 약재입니다.

 

 

우리나라가 한참 개발도상국으로 발전하던 시기에는

직물산업이 발달하면서 곳곳에 뽕나무가 많았지만,

이제는 뽕나무를 재배를 하지 않아

그 양이 점점 줄어들고 있는 약재이기도 합니다.

 

[뽕나무 뿌리껍질]

 

뽕나무는 어떤 약재와 같이 사용하느냐에 따라

효능이 두가지로 나눠지는데,

 

기침과 관련된 약재들과 사용하면

마른기침과 천식에 효과가 있고,

피부 혹은 이뇨와 관련된 약재와 사용하면

몸의 수분을 빼는 효능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용처는

몸의 부종과 관절이 부어서

뻑뻑한데 사용을 해왔습니다.

 

 

[상백피]

 

상백피 사진을 보시면

보라색 줄무늬들이 보이는데..

가끔 곰팡이로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시더라구요.

 

저건 곰팡이가 아니고,

뽕나무 뿌리껍질 자체가 저런겁니다.

그런데 왜 전런 보라색 줄무늬를 띄는지는

저도 이유를 아직 모르겠습니다.

 

상백피는 성질이 약간 서늘하기 때문에

몸에 열이 많아 손발이 뜨겁거나

땀을 흘리시는 분들께 맞습니다.

 

나는 몸이 차가운데 다이어트로 저걸 꼭 먹어야해~~

하시는 분들은

가급적 따뜻하게 드시면 됩니다.

 

참고로 상백피는 중국산이 오히려

훨씬 깨끗하게 보입니다. 국산이 지저분해요.

아무래도 뿌리껍질이다 보니 흙이

뿌리껍질 안쪽에 묻어있는 경우가 많으니

국산을 구입하실때는 반드시 씻어서 흙을 제거하신 후에

끓여드셔야 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벌나무]

 

한때 방송에 나와서 열풍을 일으켰던 벌나무입니다.

학명은 산겨릅나무로 불리고 단풍나무과에 속합니다.

 

사실 이 약초는 한의원에서 거의 사용하지 않습니다.

본초학이라 불리는 약물학시간에 나오질 않거든요.

뭐..중약대사전정도 되야 나오지요.

p.s: 중약대사전은 중국에서 나오는 약재 약 30만종을

성분과 약리,효과,고문헌의 내용까지 총 망라한 책입니다.

 

실제 벌나무는 인산 김일훈 선생이 쓴

[신약본초]라는 책에 소개가 되면서 부터

유명세를 타기 시작해

한때 무분별한 채취로 멸종위기까지

갔던 나무입니다.  

 

[산청목]

 

​실제로 산청목은 간과 관련된

여러가지 질환에 사용되고 있지만,

[신약본초]의 내용을 보자면

산청목은 <맛이 담백하고 성질이 따뜻하여

간의 온도를 정상으로 회복시키고

수분배설을 도와준다 >라고 나와있습니다.

 

산청목의 껍질 색깔을 보시면,

겉이 푸르스름 하지요?

한방에서 이러한 청색계열은

간과 관련이 있다고 봅니다.

 

그래서 푸른색계열의 약재는

거의 간과 관련질 질환에 사용되는데

 

인산 김일훈 선생님은

간경화,간염,간암에

다슬기와 더불어 사용했습니다.

 

[벌나무]

 

 

벌나무 자체를 드셔도 되지만,

나무의 섬유질은 사실..

소화흡수가 되지 않기 때문에

효과를 보시려면 껍질을 드시는게 좋습니다.

 

시장에서는 벌나무, 벌나무껍질, 벌나무가지

이렇게 세가지 종류가 유통이 되는데

품질기준은
벌나무껍질>벌나무가지>벌나무

순서로 품질이 떨어집니다.

 

나무의 섬유질이 적은 기준으로 품질이 매겨집니다.

 

독성은 보고된게 없지만,

그래도 연하게 드시는게 가장 안전하지 않을까

하는게 개인적인 생각입니다.

 

간이 피곤하신 이웃님들은

한번 드셔봄이 어떨런지요?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__)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북경시 - 빨간색]

 

자연환경

본 도시는 동남(東南)으로는 화북(華北) 평원에 속하고,

서북(西北)으로는 연산(燕山) 산맥에 속한다.

산지가 60%를 차지한다.

 

약재자원

통계에 의하면 시 전체에 약용식물이 877종, 약용동물이 57종, 광물약이 13종,

가공품(加工品) 4종으로 총 951종의 약재자원이 있는 것으로 나와 있다.

본 시 약재품종의 60~70%가 서북지역의 산지에 집중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주요 약재로는 산조인(酸棗仁), 백자인(柏子仁), 우방자(牛蒡子), 고삼(苦參),

길경(桔梗), 창출(蒼朮), 시호(柴胡), 지모(知母), 원지(遠志), 방풍(防風),

적작약(赤芍藥), 황정(黃精), 위유(玉竹),천남성(天南星),마두령(馬兜鈴),

선학초(仙鶴草), 황금(黃芩),단삼(丹參), 욱리인(郁李仁)등이 있다.

하천과 저수지 및 논에는 노근(蘆根), 향부자(香附子), 수창포(水菖蒲),

검실(芡實), 택란(澤蘭), 수질(水蛭), 별갑(鼈甲), 섬수(蟾酥) 등이 분포하고 있다.

동남지역의 평원에는 정력자(葶藶子), 사상자(蛇床子), 토사자(莵絲子),

차전자(車前子), 청호(靑蒿), 익모초(益母草) 및 선태(蟬蜕), 봉방(蜂房), 맹충(虻蟲) 등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 양식(養殖)하고 있는 약재는 20여종으로

주로 국화(菊花), 구기자(枸杞子), 지황(地黃), 의이인(薏苡仁),

자소(紫蘇), 서양삼(西洋參), 녹용(鹿茸), 오골계(烏骨鷄),

자충(土鱉蟲), 전갈(全蝎) 등이 있다.

연간 재배면적은1000 무(亩)이며 연간 생산량은 거의 10만kg 정도 이다.

수매 약재는 200여종으로 주로 황금(黃芩), 시호(柴胡), 지모(知母), 창출(蒼朮),

산조인(酸棗仁), 익모초(益母草), 황정(黃精), 위유(玉竹),

섬수(蟾酥) 등이 있으며 연간 수매량은 200만kg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갈화는 칡꽃입니다.

칡꽃은 그 때가 아니면 채취가 힘들죠.

사실 중국산과의 감별은

거의 불가능합니다.

특히나 색이 밝고 신선하다면

유전자 검사가 아닌이상

육안으로 감별은

불가능하다고 보시면 됩니다.

다만, 중국산은 오래되면 특유의 냄새(?)

-쩐내라고 하지요-가 나는데,

국산은 이런 냄새가 덜 나는 정도의

차이밖에 없습니다.

국산 칡꽃, 갈화가 1년에 얼나마 나올까요?

제 생각으로는 1톤도 되지 않습니다.

삼지구엽초는 그나마 돈이 되니까~

채취하시는 분들이 있지만,

칡꽃이요? 돈도 안됩니다.

자기 먹을것만 따면 모를까~

시중에 돌아다니는 국산 칡꽃의 대부분이

중국산으로 생각됩니다.

그냥 차라리 중국이라고 표기하고

판매하면 좋겠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갈근은 자르는 모양에 따라

깍두기 모양으로 썰면 각갈근

엇썰면 편갈근이라고 부릅니다.

각갈근은 물에 닿은 표면적이 넓기에 달일 때 용이하고

편갈근의 경우는 좋은 칡뿌리를 썻다라는 걸

증명하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갈근은 보통 자연산이 유통되는데,

암칡과 수칡이 혼용되는 경우가 많고,

채취량이 수요량을 따라가지 못할 때에는

중국산이 마대갈이로

국산으로 둔갑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칡뿌리를

건조기에 말렸을 때와 자연건조 했을때는

썰어진 단면에 차이가 발생하는데,

건조기에 넣고 말렸을 때는

썰어진 단면을 만져보면 평평합니다.

이는 단면들이 한번에 짧은 시간에

같은 온도로 건조가 이뤄지다 보니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입니다.

자연상태 즉, 태양에서 건조하는 경우에는

썰어진 단면이 울퉁불퉁 합니다.

이는 같은 시간에 동일한 햇빛을 받더라도

썰어진 단면들이 건조되는 속도가 서로 다르기에

울퉁불퉁한 단면을 형성하게 됩니다.

중국에서는 분갈이라는 갈근이 있는데,

갈근 자체가 전분이 많은 것을 좋은 상품으로

보다보니 생겨난 것인데요.

중국에서는 이 분갈을 더 좋은 갈근으로 생각해

사용하지만, 국내에서는 이 분갈은 위품으로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뿌리가 전분을 많이 함유할 수록

쓴맛은 적어지고 단맛이 상대적을 강해집니다.

그렇기에 분갈을 더 좋은 것으로 보는 것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