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고삼 쓴너삼]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약간의 독이 있다.(小毒)

작용장부는 심,간,위,대장,소장,방광(心, 肝, 胃, 大腸, 小腸, 膀胱)입니다.

약리작용

1. 이뇨작용

2. 항균작용: 피부진균, 결핵간균, 트리코모나스균

3. 중추신경마비작용

4. 항부정맥작용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

①. 황달(黃疸) : 전신이 노란색 (+인진,치자)茵陳, 梔子

②. 음양대하(陰痒帶下): 음부가려움증, 대하가 심할 경우

③. 습열리(濕熱痢): 감염성 설사

2. 거풍살충(祛風殺蟲)

①. 호감(狐感):매독

②. 농포창(膿疱瘡):음부소양증에 사용, 1번에 30g 뜨겁게 세척

③. 마풍(痳風): 피부감각이 둔해지고 마비감

3. 청열이뇨(淸熱利尿):열내리고 이뇨시킴

4. 지혈지리(止血止痢):이질에 사용하고 이질풀과 같이 씀

용량:4.5-9g

주의사항

소화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사용금지

배합예

1. +형개(荊芥): 거풍조습(祛風燥濕)- 피부염

2. +목향(木香): 청열조습(淸熱燥濕)-4번의 배합예와 같이 사용됨

3. +황백(黃柏): 청습열 사화제습(淸濕熱 瀉火除濕) -4번의 배합예와 같이 사용됨

4. +황련(黃連): 습열창양(濕熱瘡痒), 음부가려음증

5. +복령(茯苓): 대변출혈

6. +괴화(槐花): 장풍하혈(腸風下血)-설사와 출혈이 동시에 나는 경우

p.s: 고삼의 독성

사용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위장의 운동이 멈추면서 구토를 일으키고

중추신경을 마비시켜 호흡곤란과 경련을 일으킵니다.

절대로 진하게 달여서 드시면 안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용담초]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담,위(肝, 膽, 胃)입니다.

약리작용

1. 소화기계통:위산 조절및 위장운동기능 향상

2. 항균작용

3. 혈압강하작용

4. 진정작용 : 기침

5. 간기능향상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 :간화를 내려 급성황달에 즉효

①.습열황달(濕熱黃疸)-간염으로 인한 황달

②.습열대하(濕熱帶下)

③.음낭종통(陰囊腫痛)-고환염

④.급성습창(急性濕瘡)- 피부가 붓거나 염증으로 짓무르는 경우

 

2. 사간담화(瀉肝膽火): 간과 담낭의 염증에 관여

①. 협늑동통(脇肋疼痛) - 간과 담낭 , 늑막염

②. 간화두통(肝火頭痛)- 정신 불안증, 간기능 저하

③. 이명이롱(耳鳴耳聾)- 간과 담낭의 염증으로 인해 파급되는 경우

④. 목적종통(目赤腫痛)- 눈의 충혈, 결막염

⑤. 첨시혼묘(瞻視昏渺)- 만성염증으로 인한 시력 감퇴(+구기자)

3. 사화정경(瀉火定驚):간담과 관련된 염증으로 경련이 일어날때

①. 간증(癎証)- 경련

②. 경풍(驚風)-어린 아이들이 놀라는 증상(+석결명, 조구등)

4. 건위(健胃) : 급성위장염, 위산분비 감소

용량:3-6g

주의사항

소화력이 약하고, 손발이 차가운 사람은 사용금지

배합예

1. +황련(黃連): 해독, 해열작용

2. +대황(大黃): 열성질환으로 변비가 올때

3. +석결명(石決明): 눈의 염증

4. +시호(柴胡): 간염과 담낭염

5. +당귀(當歸):눈이 붓고 눈물이 나는 경우

대표처방

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

간경습열(肝經濕熱)로 옆구리가 아프고 입이 쓰며 귀 안이 붓고 잘 들리지 않는 데,

음부가 붓고 몹시 가려운 데, 배가 아프고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데 쓴다.

급 · 만성 요도염, 방광염, 음부 가려움증, 음부 습진, 고환염, 고혈압증(hypertension) 에 응용이 가능

p.s:용담초의 다름 이름은 초용담이라고도 부릅니다.

용담속에 속하는 식물은 약 500여종이며

국내에서 자생하는 용담속 식물은 12종으로

국산 용담초는 주로 구슬붕이라는 식물을 용담초로 봅니다.

그런데 중국에서 사용하는 용담초의 식물학명을 비교해보면

용담 Gentiana scabra Bunge,

과남풀 Gentiana triflora Pallas

조엽용담(條葉龍膽) Gentiana manshurica Kitagawa

견용담(堅龍膽) Gentiana rigescens Franchet

으로 분류하고 있으며

국산 용담초로 유통되는 구슬붕이의 식물학명은

구슬붕이 Gentiana squarrosa 입니다.

같은 용담속에 속하지만 종이 다르다는 점은

인지하셨으면 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황련]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장부는 심, 간, 위, 대장(心, 肝, 胃, 大腸)입니다.

약리작용

1. 항균작용 :이질균, 결핵균, 대장균, 녹농균, 뇌막염쌍구균, 황색포도상구균, 용혈성연쇄상구균

2. 해열, 흥분진정작용

3. 근육이완, 항염증작용

4. 혈관확장작용, 혈압강하작용

5. 국부마취작용, 이뇨작용, 지사작용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

①. 습열중조(濕熱中阻): 완복비만(脘腹痞滿)-명치아래부위가 그득한 느낌

②. 습열사리(濕熱瀉痢): 설사, 대변 썩는 내, 감염성 설사

2. 청열사열(淸熱瀉熱):혀 바늘 돋는 데 <번열, 불면, 충열(심화로 인한)> , 구토(위화로 인하여)

①. 심경실화(心經實火): 번열, 혓바늘, 스트레스

②. 위화상염(胃火上炎): 화로 인한 갈증( + 지모, 천화분)

③. 간화범위(肝火犯胃): 신물이 올라오거나, 신트림을 하는 경우

위산과다인 경우(+오수유)

소화성궤양(+감초)

④. 혈열망행(血熱妄行): 토혈, 코피를 지혈

3. 사화해독(瀉火解毒): 고열로 인한 가슴답답증(+황금, 치자)

4. 제감안회(除疳安蛔): 회충으로 인해 배가 불러오는 경우

 

용량: 1.5-10g

 

주의사항

맛이 매우 쓰고 성질이 차갑기 때문에

오래먹을경우 소화기계통에 영향을 줘서

소화관련 기능을 떨어뜨릴수 있음

 

배합예

1. +오수유(吳茱萸): 가슴과 옆구리 결림, 신물을 토하는 경우

2. +육계(肉桂): 불면증

3. +목향(木香): 이급후중(裏急後重)-대변이 급하지만 막상 화장실 가면 대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

4. +건강(干姜): 소화불량, 복부팽만감

p.s: 황련을 끓인 후 그 약액을 증류해서 눈에 심한 염증에 안약으로 사용하기도 함.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황금 속썩은풀]

 

 

속이 비어 있다.

조금(條芩): 2-3년 된 것

자금(子芩):1년 된 것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작용장부는 심, 폐, 담, 대장(心, 肺, 膽, 大腸)입니다.

약리작용

1. 항균작용

2. 해열작용

3.진정, 혈압강하작용

4.콜레스테롤 강하작용

5.천식진정작용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쓴맛은 습을 말리고 차가운 성질은 열을 내림

①. 습열온병(濕熱溫病): 유행성 열병

②. 온열황달(溫熱黃疸): 급성황달

③. 습열사리(濕熱瀉痢): 여름철 감염성 설사, 장염

2. 청열소양(淸泄少陽): 간과 담의 염증으로 인한 증상-예)소시호탕(시호, 황금)

3. 청열강화(淸熱降火)

①. 강심화(降心火):신경과민으로 가슴에 열이 오르는

②. 설폐열(泄肺熱): 급성폐렴, 급성기관지염

③. 청위화(淸胃火):식욕감퇴, 구취심함, 얼굴이 붓고, 입술이 갈라짐

4. 설열소비(泄熱消痞):명치가 그득하고 답답한 경우

5. 청열지혈(淸熱止血):코피

6. 청열안태(淸熱安胎):임신중 구토, 식욕부진, 태아 움직임이 심한경우(태동불안)

주의사항

소화기능이 떨어지고 손발이 찬 사람에게는 사용하지 않음

배합예

1. +시호(柴胡): 청설소양지열(淸泄少陽之熱)-한열이 교차하는 증상, 간,담,췌장염

2. +백출(白朮), 사인(砂仁): 태동불안

3. +반하(半夏): 심장과 비장열을 내려줌

4. +황렴(黃連): 감염성 설사와 장염, 이질

5. +지실(枳實), 후박(厚朴): 소화불량, 가스차는 증상

6. + 상백피(桑白皮), 사삼(沙參): 급성폐렴, 급성기관지염

7. +노회(알로에): 피부습진, 화상<--바르는 용도

 

p.s: 황금은 고금과 자금(조금)으로 나뉩니다.

고금은 황금이 3년이상 된 것으로 뿌리속이 썩은 것이며

자금과 조금은 3년 미만의 황금 뿌리를 말하는데,

고금은 주로 폐열(肺熱)과 관련된 증상-기관지염, 폐렴-에 사용하며

조금과 자금은 대장열(大腸熱)과 과련된 증상-설사, 복통, 이질, 장염-에 사용합니다.

고금은 대부분 중국산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조금과 자금은 국산도 생산되고 있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괴각 - 회화나무 열매]

 

맛은 쓰고(苦), 성질은 차가우며(寒)

작용 장부는 간, 담, 대장입니다.(肝, 膽, 大腸)

약리작용

1. 혈당상승작용(일시적)

2. 살균작용: 대장균, 포도상구균

주치(主治)

1. 청열윤간(淸熱潤肝): 혈압상승, 어지럼증

2. 양혈지혈(凉血止血): 치질,장출혈, 코피, 대변출혈

주의사항

소화기가 약한 사람과 임산부에게는 사용금지

독성

회화나무의 열매의 씨앗(괴두인))의 경우

적혈구를 감소시키며 대량투여시 저혈압, 호흡곤란이 생길 수 있음

p.s:

*지혈을 목적으로 사용할 경우 보통 지유(地楡)를 같이 쓰며 3~4일이면 효과를 볼 수 있다.

*음주후 장출혈, 대변출혈시 갈근을 같이 넣어 달인다.

*항문탈출에 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에 지유와 괴각을 가미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청상자]

 

맛은 쓰고(苦), 성질은 서늘하며(凉)

작용장부는 간(肝) 입니다.

주치(主治)

1. 청간(淸肝), 진간(鎭肝) :

①.풍열두통(風熱頭痛) ②. 간양두통(肝陽頭痛):간양상승 ③. 현훈(眩暈):어지러움증

2. 청간명목(淸肝明目)

①. 간경풍열유루(肝經風熱流淚): 간경락과 관련된 증상으로 이유없이 눈물이 흐르는 경우

②. 목적(目赤): 눈충혈 ③. 목간삽(目干澁): 눈이 뻣뻣하여 눈물이 안남

④. 목예(目翳): 눈에 뭐가 낀것처럼 아른거리는 경우

⑤. 소아청맹(小兒靑盲):시력이 떨어지고 안 보임

3. 청열조습(淸熱燥濕): 가려움증

①. 풍괴비(風瘙痒) ②. 개창(疥瘡)

-->효능은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빈도는 매우 낮음

4. 거풍열(祛風熱)

①. 비축(鼻衄): 코피

②. 풍한습비(風寒濕痺): 팔다리의 마비감 또는 감각의 둔화

-->효능은 기록되어 있지만 실제 사용빈도는 매우 낮음

배합예

1. +결명자, 상엽, 국화: 청간명목(淸肝明目

2. +하고초, 치자: 안구충열과 눈 부심증

p.s: 혈압이 높을 때: 조구등, 하고초, 감국, 밀몽화를 같이 사용

용량: 9-15g 고혈압 환자에게 40g씩 하루에 3번 1주간 정도 복용하면 혈압이 내림

청상자의 기원식물은 개맨드라미의 씨앗이지만

시중에서는 맨드라미의 씨앗도 같이 청상자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청상자는 안과 질환과 두통, 어지러움증, 간화를 내려주며 급성결막염에 효과가 있습니다.

또한 간화(肝火)로 인한 안구충열과 두통 혈압상승에 주약이 아닌 보조약의 역할을 합니다.

간경락과 관련된 부위의 염증에 사용한다고 이해하시면 되지만

그 부위는 주로 눈과 이마주위에 집중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밀몽화]

 

맛은 달고(甘), 성질은 차며(寒)

작용장부는 간(肝)입니다.

주치(主治)

1. 청간퇴예(淸肝退翳): 눈충혈, 눈염증, 눈물이 흐르는 경우, 햇빛을 못보는 경우

2. 양간명목(養肝明目): 간경락에 작용, 눈의 영양부족으로 인해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

3. 소풍양혈청열(疏風凉血淸熱): 간 기능저하로 인한 시력감소

 

용량: 3~6g

 

 

배합예

1. +곡정초, 석결명, 청상차:안과 질환

p.s: 밀몽화는 많이 사용하는 약재는 아닙니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약이 많기 때문이지요.

보통 눈의 염증에는 구기자, 결명자, 국화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곡정초]

 

맛은 맵고 달며(辛, 甘), 성질은 서늘합니다.(凉)

작용장부는 간과 위(肝, 胃)입니다.

 

주치(主治)

1. 거풍산열(祛風散熱): 풍열로 인한 증상. 즉 염증을 치료

①. 풍열두통(風熱頭痛)

②. 치통(齒痛)

③. 후비(喉痺): 인후염

④. 풍열창개(風熱瘡疥):피부발진과 부스럼

⑤. 풍기비통(風氣痺痛):팔다리 움직임의 감각이나 운동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2. 명목퇴예(明目退翳):

소산두부풍열(疏散頭部風熱), 치풍열목질(治風熱目疾)

-눈과 관련된 염증질환에 사용, 햇빛이 눈이 부셔서 보지 못하는 경우, 눈충혈

-결명자, 국화, 청상자를 같이 사용

 

용량: 9-12g

 

주의사항

안색이 창백한데 눈에 염증이 있는 경우는 사용하지 않음.

 

배합예:

1. +밀몽화(密蒙花): 두통과 안질환

2. +석결명(石決明): 눈의 염증으로 인해 사물이 흐려보일 때

염증으로 인해 안구에 물차는 중심성심안질환에 효과가 좋음.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