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고삼(苦參)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청열약(淸熱藥)2020. 1. 7. 09:04
맛은 쓰고 성질은 차며(苦, 寒), 약간의 독이 있다.(小毒)
작용장부는 심,간,위,대장,소장,방광(心, 肝, 胃, 大腸, 小腸, 膀胱)입니다.
약리작용
1. 이뇨작용
2. 항균작용: 피부진균, 결핵간균, 트리코모나스균
3. 중추신경마비작용
4. 항부정맥작용
주치(主治)
1. 청열조습(淸熱燥濕)
①. 황달(黃疸) : 전신이 노란색 (+인진,치자)茵陳, 梔子
②. 음양대하(陰痒帶下): 음부가려움증, 대하가 심할 경우
③. 습열리(濕熱痢): 감염성 설사
2. 거풍살충(祛風殺蟲)
①. 호감(狐感):매독
②. 농포창(膿疱瘡):음부소양증에 사용, 1번에 30g 뜨겁게 세척
③. 마풍(痳風): 피부감각이 둔해지고 마비감
3. 청열이뇨(淸熱利尿):열내리고 이뇨시킴
4. 지혈지리(止血止痢):이질에 사용하고 이질풀과 같이 씀
용량:4.5-9g
주의사항
소화력이 약한 사람에게는 사용금지
배합예
1. +형개(荊芥): 거풍조습(祛風燥濕)- 피부염
2. +목향(木香): 청열조습(淸熱燥濕)-4번의 배합예와 같이 사용됨
3. +황백(黃柏): 청습열 사화제습(淸濕熱 瀉火除濕) -4번의 배합예와 같이 사용됨
4. +황련(黃連): 습열창양(濕熱瘡痒), 음부가려음증
5. +복령(茯苓): 대변출혈
6. +괴화(槐花): 장풍하혈(腸風下血)-설사와 출혈이 동시에 나는 경우
p.s: 고삼의 독성
사용용량을 넘어서는 경우 위장의 운동이 멈추면서 구토를 일으키고
중추신경을 마비시켜 호흡곤란과 경련을 일으킵니다.
절대로 진하게 달여서 드시면 안됩니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청열약(淸熱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대두황권(大豆黃卷) (0) | 2020.01.17 |
---|---|
[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백선피(白鮮皮) (0) | 2020.01.10 |
[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용담초(龍膽草) (0) | 2020.01.03 |
[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황련(黃連) (0) | 2019.12.31 |
[약초세상]청열조습약(淸熱燥濕藥)-황금(黃芩) (0) | 2019.1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