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맛은 달고 담담하며(甘, 淡),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장부는 심장, 위장, 신장, 소장(心, 胃, 腎, 小腸) 입니다.

약리작용

1. 해열작용

2. 이뇨작용

3.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

4. 항균작용: 抑菌作用

주치(主治)

1. 청심제번(淸心除煩)

가슴에 열이 올라 답답하고 잠을 못자는 경우.

2. 청열해독(淸熱解毒)

구내염 , 혓바늘이 생기는 경우.

치아와 잇몸의 통증에 가글용으로 사용.

3. 이뇨통림(利尿通淋)

소변을 눌때 요도가 뜨거운 느낌이 들고 소변이 탁하고 거품이 생길 때

4. 청열화담(淸化熱痰)

누런 가래가 자주 생길 때

용량:6-15g

주의사항

임산부에게는 금기

p.s: 본초학 서적에서는 죽엽과 담죽엽을 나눠서 기술하지만

실제 유통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두진 않습니다.

시장에 돌아다니는 죽엽은 대부분 담죽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죽엽으로 채취하는 대나무는 약초꾼들 사이에서는

[시릿대]라고 부르는데 이는 고려조릿대라는 식물로 생각이 됩니다.

죽엽과 담죽엽의 차이점은 육안으로는 불가능하며

현미경을 통해서 잎을 구성하는 세포의 크기로만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