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환경
본 성은 황토 고원의 동쪽으로 산서고원(山西高原)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지세는 동북에서 서남 향으로 기울어져 있고 성(省)내에는 평원과 대지(臺地),
구릉, 저산(低山), 중산(中山), 고산(高山)등이 함께 섞여 존재한다.
대부분의 지역이 해발 1000m 이상에 위치하고 있다.
가장 높은 곳은 대산(五臺山)의 주봉으로 해발 3058m이며,
가장 낮은 곳은 원곡현(垣曲县)의 황하(黃河) 곡지(谷地. 골짜기)로 해발 245m 이다.
고저(高低)의 차이가 2800m나 된다.
성(省)내에는 북에서 남쪽으로 항산(恒山), 오대산(五臺山), 계주산(系舟山), 태행산(太行山),
태악산(太岳山), 중조산(中條山) 등이 이어져 있는데 대개가 해발 1500m를 넘으며
성(省)의 70%를 산지(山地)가 차지하고 있다.
성(省)내의 하천은 해하(海河)와 황하(黃河)의 2대 수계(水系)가 있는데
주요하천으로는 분하(汾河), 속수하(涑水河), 흔수하(昕水河), 호타하(滹沱河),
상간하(桑干河), 장하(漳河) 등이 있다.
본 성(省)은 대륙성 계절풍 기후가 뚜렷하여
봄이 비교적 길고 풍사(風砂)가 많으며 여름은 짧고 비가 많다.
가을은 더 짧고 온화하며 겨울은 한랭하고 건조하다.
남북의 차이가 많이나 수직(垂直) 변화가 뚜렷하다.
연평균기온은 4~13℃로, 가장 추운 1월의 평균기온이 -2~-12℃이고,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22~27℃,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2500~4500℃이다.
무상기(無霜期)는 북부가 100~140일, 중부가 170~190일,
남부가 200~220일이며 연강수량은 400~500ml이다.
본 성(省)의 토양은 남부는 삼림초원 갈토(褐土)이고, 북부는 건초원(乾草原) 속개토(粟鈣土)이며,
중부는 삼림초원이 건초원으로 넘어가는 과도기의 회갈토(灰褐土)이다.
식생(植生)은 남부와 동부는 낙엽활엽림과 낙엽관목총 위주이고,
중부는 차생침엽림(次生針葉林)과 활엽관목총 위주이다.
북부와 서북부는 온대 관초총(灌草叢)과 반건한(半乾旱) 초원에 속한다.
[산서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성(省) 전체의 약용식물이 953종이고,
약용동물 133종, 광물약 30종으로 총 1116종의 약재 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와 양식하는 약재가 거의 70여종에 이르는데
그 중 전통적인 재배품종은 49종이며, 야생을 재배로 기르는 것이 20종이 된다.
연간 재배면적은 12만 무(亩)이고 연간 생산량은 1100 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185종으로 연간 총 1300만kg을 수매하고 있다.
주산품종
당삼(党參) : 주산지는 진동남(晉東南)과 흔주(忻州) 지역의 평순(平順), 여성(黎城),
능천(陵川), 호관(壺關), 무향(武鄕), 낭원(囊垣), 둔류(屯留), 오대(五臺), 정락(靜樂), 영무(寧武) 현(县) 등이다.
오대산(五臺山) 지역의 당삼은 대개ʻ대당(台党)ˮ으로 불리는데 노두(蘆頭)가 크고[사자두(獅子頭)],
근경(根莖)이 굵고 길며 환생횡문(環生橫紋)이 일품이라 보기에도 진품(珍品)으로 보인다.
평순(平順) 등지에 재배되고 있는 ʻ로당(潞党)ˮ은 특산 약재로 품질이 매우 좋다.
본 성(省)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 2위를 차지하고 있다.
황기(黃芪) : 야생은 안북(雁北) 지역에 분포하고 있으나, 현재는 대개 재배하고 있다.
주산지는 혼원(渾源), 응현(應县), 번치(繁峙), 대현(代县) 등의 현(县)이다.
여기서 생산되는 황기(黃芪)는 주근(主根)이 굵고 길며,
분지(分枝)가 적고 두성(豆腥. 콩비린내)가 짙다.
전분 성분이 풍부하며 품질이 우수하고 가공품이 섬세하여
외국에도 그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산서성(山西省)이 황기(黃芪)의 전국 특산지역이다.
연교(連翹) : 중조산(中條山)과 여량산(呂梁山)지역에 분포하며
주산지는 부산(浮山),안택(安澤), 문희(聞喜) 등의 현(县)이다.
본 성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약 40%를 점유, 1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황(地黃) : 운성(運城), 임분(臨汾) 등지가 주산지이며
산서성(山西省)은 전국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황금(黃芩) : 성(省) 전체의 90여 개 현(县)에 분포하고 있다.
교성(交城), 루번(婁煩), 흔주(忻州), 화순(和順), 수양(壽阳),
오대(五臺) 등의 시와 현(县)이 주산지이다.
본 성(省)의 연간 수매량은 전국의 20%로 전국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원지(遠志) : 성의 각지에 모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예성(芮城), 직산(稷山), 문희(聞喜), 하현(夏县),
향녕(鄕寧), 포현(蒲县), 흔주(忻州), 임현(臨县) 등지 이다.
뿌리가 굵고 길며 육질이 두툼해 국내외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본 성(省)의 연간 수매량이 전국 1,2 위를 차지한다.
지모(知母) : 주로 유사(楡社), 우현(盂县), 직산(稷山), 심현(沁懸), 양곡(阳曲) 등지가 주산지로
색이 희고 육질이 두툼하고 치밀하여 다른 지방으로 활발히 판매 되고 있다.
산조인(酸棗仁) : 전 성(省)의 대부분의 산지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석루(石樓), 영화(永和),부산(浮山), 길현(吉县),
심현(沁懸), 우현(盂县), 무향(武鄕), 여성(黎城) 등의 현(县)이다.
알이 굵고 통통하며 윤기가 있고 품질이 우수하여 다른 지방으로도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본 성(省)이 전국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시호(柴胡) : 주산지는 양고(阳高), 천진(天鎭), 응현(應县), 삭현(朔县),
영무(寧武), 신지(神池)등의 현(县)이다. 전국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저령(猪苓) : 여량산(呂梁山), 중조산(中條山), 태악산(太岳山) 지역에 분포한다.
주산지로는 안택(安澤), 고현(古县), 원곡(垣曲), 개휴(介休), 심원(沁源),
심수(沁水), 영무(寧武), 신지(神池), 교성(交城), 좌권(左權) 등의 현(县)이 있다.
야생종의 재배 연구에 성공한 후 소량만 옮겨 심기를 하고 있다.
고본(藁本) : 성의 대부분의 지역에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교성(交城), 평육(平陸), 하현(夏县), 둔류(屯留) 등의 현(县)이 있다.
용골(龍骨) : 임현(臨县)과 능천(陵川), 호관(壺關), 평순(平順),
장자(長子), 안택(安澤), 심원(沁源)등의 현(县)에 분포한다.
산서성(山西省)의 주요 생산약재는 위의 품종 이외에도 관동화(款冬花),마황(麻黃),
감초(甘草),산약(山藥), 산사(山楂), 산수유(山茱萸), 길경(桔梗), 단삼(丹參),
구절창포(九節菖蒲), 오령지(五靈脂)등이 일정 정도의 명성을 누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