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강활(좌)과 방풍(우)]

 

 

효능

소풍승습지통 疏風勝濕止痛

주치(主治)

풍습재표 風濕在表,

편정두통 偏正頭痛,

신중관절통 身重關節疼痛

해설

강활 羌活은 신온辛溫한 성질이 강하여

기표 肌表의 풍사 風邪를 해산 解散하고

몸 전체의 관절통 關節痛을 이롭게 하며

표 表에 머물러 있는 습 濕을 땀으로 선산 宣散시키는 효능이 있다.

병 病이 정부위 巓部位에 있는 것은 오직 풍 風만이 도달 할 수 있다.

강활 羌活은 기후미박 氣厚味薄하고 성질이 가벼워 승 升하니

기분 氣分의 사기 邪氣를 움직이게 할 수 있다.

방풍 防風은 몸 전체를 운행하여

외풍 外風을 방어하며 발산약 중에서도 윤제 潤劑가 된다.

주로 흩어버리는데 다용 多用하고 이규 利竅하는데는 소용 少用한다.

강활 羌活과 방풍 防風을 배오 配伍하면

위로부터 두루 몸 전체로 도달하여

소풍승습지통 疏風勝濕止痛의 효능이 있어

풍습 風濕이 표 表의 상부 上部에 있을 때와

편정두통 偏正頭痛, 신중관절통 身重體節疼痛,

한쪽으로 치우쳐 유주 流注하는 성질의 증상 등을

치료할 수가 있다.

몸안의 수분이 순환되지 못하고

정체되면 여러가지 증상이 나타나는데 ,

정체된 수분이 머리에 있으면, 두통과 묵직한 느낌

몸 전체에 있으면 몸이 붓고 무거운 느낌이 들고

관절에 있으면 관절이 뻑뻑한 느낌과 묵직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이때 강활과 방풍을 사용하면

몸안의 잉여수분을 몸밖으로 배출해

위와 같은 증상을 완화하는데 사용하는 조합입니다.

사용량

강활 10g / 방풍 10g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한국·중국서 사용되는

강활의 기원은 다르다”

한국은 북강활,

중국은 잠강(蠶羌)의 효능이

상대적으로‘우수’

강활(羌活)은 辛苦, 溫하며 방광(膀胱). 신경(腎經)에

귀경(歸經)하고, 신표한(散表寒). 거풍습(祛風濕).

이관절(利關節)의 효능으로 감모풍한(感冒風寒). 두통무한(頭痛無汗)

풍한습비(風寒濕痺). 항강근급(項强筋急), 골절산동(骨節酸疼).

풍수부종(風水浮腫). 옹저창독(癰疽瘡毒) 등에 응용되는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으로서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약용 부위는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우리나라의 경우Ostericum屬 기원식물을

북강활과 남강활로 구분되어 재배 혹은 채취되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한국과는 다른

Notopterygium屬 기원식물을 지칭하는데

지역에 따라 西南지역(四川)에서 생산되는 것을‘川羌’,

西北지역(甘肅, 靑海)에서 생산되는 것을‘西羌’이라 부르며,

약용 부위의 모양에 따라 蠶羌 大頭羌이나 竹節羌 등

이름이 다양하다.

1. 羌活의 기원

동양권의 각국 공정서에 수재된

羌活의 기원식물은 차이가 있다.

강활 Ostericum koreanum의 뿌리는 KP와 DKP에서,

중국강활(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 혹은

관엽강활(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의

뿌리줄기 및 뿌리는 KP, CP, JP, THP에서

각각 기원으로 정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이하게 일본의 경우

Angelica pubescens(한약명獨活)을

장강활(長羌活), 권강활(卷羌活)등으로

현재까지 혼용되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獨活인 Araria cordata가 최근에

화강활(和羌活)이라고 사용되어지는 경우도 있다.

사실 강활(羌活)과 독활(獨活)의 이름이

구별되기 시작한 것이 당(唐)의

약성본초(藥性本草)에서 비롯되었으나

(神農本草經에는 獨活의 別名 으로 羌活이 나와 있음),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도

‘獨活以羌中來者 良故有羌活’이라 하여

구분의 혼란을 하고 있는 점에서 보면,

최근까지 모호하게 응용되는 내용의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羌活과 獨活은 효능면에서 당연히

구분되어져야 하는것을 말 할필요가 없을 것이다.

먼저 한국에서 주로 응용되어지고 있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은

번식방법에 따라 북강활과 남강활로 나뉘어

유통되어지고 있다.

노두(蘆頭) 번식을 하는 북강활은

根莖이 발달되어 있고 잔뿌리가 적으며 유

조직(柔組織)세포속에 전분입자가 적어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은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북강활을 재배하고 있다.

반면에 종자(種子) 번식을 하는 남강활의 경우

根莖 발달이 적고 잔뿌리가 많으며 길고

유조직(柔組織) 세포속에 전분입자가 많아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ITS의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두 종류는 매우 유사한 계통의 식물이며,

최근 연구에 의하면 남강활(南羌活)은 2n=22이며,

북강활(北羌活)은 2n=110인 배수체화된 것으로,

동일한 기원식물중 북강활(北羌活)이 재배에 의하여

배수체화 된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Notopterygium屬에 속하는

중국강활(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의 경우,

根莖 부분의 마디 사이가 짧아

누에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잠강(蠶羌)과

마디 사이가 넓어 마치 대나무 마디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죽절강(竹節羌)으로 구분된다.

또한 관엽강활(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의 경우

根莖이 특별히 부풀어 오른 모습을 보이고 뿌리는 細小하여

대두강(大頭羌)으로 분류된다.

덧붙여 細根 혹은 枝根을 통칭하는

조강(條羌)이라는이름도 있다.

2.약효상의 차이

약효상의차이를구분하면다음과같다.

①한국에서 강활(羌活)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과

중국공정서에 기재되어 있는 2종의

Notopterygium屬 강활에 대하여

동일조건에서의 비교실험이 진행된 바는 현재까지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능 구분의 시도가

빠른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때까지는 공정서에 따라 羌活의 이름으로

유통되어지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소수의견에서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의 경우

氣味가 辛微甘溫하며 補中健脾 溫肺止咳의 효능으로

脾胃虛寒泄瀉 虛寒咳嗽에 응용된다는 기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 진행되어져야 할 실험의 결과,

위의 소수의견에 일치된다면

Ostericum屬 羌活과 Notopterygium屬 강활의

효능상의 구분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②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에 대한 내용도,

북강활의 비만세포에서의 염증반응 억제효과 등에 대한

연구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진행되었다.

남강활과 북강활에 대한 비교를 동시에 진행된 것을 보면,

형태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효능상에 있어서도 북강활과 남강활의 혈관운동 및

국소 뇌허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결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다는 내용이었다.

이런면에서 羌活類에 대한 전체적인 동일선상에서의

비교검증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羌活類의 한약재 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Ostericum屬羌活(한국에서사용)

황갈색~ 갈색이며 방사형의 주근(主根)과 곁뿌리로 분지한다.

근두부(根頭部)에는 줄기의 잔기(殘基)와 치밀한 환형(環形)무늬가 있고

잔뿌리에는 세로주름 군데군데 수염뿌리(鬚根) 흔적이 있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달고 시원하며 뒤에는 조금 쓰다.

[국산 북강활]

 

 

1)한국산북강활Ostericum koreanum

①根莖이 발달되어 있고 잔뿌리가 적다.

②절단면의 색이 짙고 홍색유점(紅色油點)이 있다.

[국산 남강활]

 

 

2)한국산남강활Ostericum koreanum

①根莖이짧고잔뿌리가많다.

②절단면의 색이 희거나 분홍색이며

유점(油點)이 보이지 않거나 작다.

2.Notopterygium屬 강활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도 유통)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 내지 원종형으로,

때로는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으며

종갈색~암갈색이다.

직절(直切)한 것은 방사상 무늬(국화심-菊花心)와

갈라진 틈새가 있다.

단면은 갈색의 유점(油點)(朱砂點+髓線)이 뚜렷하다.

이 약은 특이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시다가 뒤에는 약간 맵고 알알하다.

[중국강활]

 

 

1)강활(中國羌活)Notopterygium incisum

①잠강(蠶羌)

마디 사이가 짧아 누에모양이며 융기된 혹모양

의뿌리흔적이있다

②죽절강(竹節羌)

마디 사이가 넓어 대나무마디모양이며 가끔

융기된혹모양이있다

[관엽강활]

 

 

2)관엽강활(寬葉羌活)N.forbesii - 대두강(大頭羌)

장원추형(長圓錐形) 또는 원주상(圓柱狀)이고

바깥면은 암갈색인데, 절단면은 약간 평탄하며

방사상무늬와 갈라진 틈새가 있다.

①根莖은 팽대되어 있으며(大頭羌)

위쪽 끝에 비교적 촘촘한 환절(環節)의 무늬가 있다

②뿌리는 비교적 가늘며(條羌)원추형(圓錐形)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皮孔)이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국산 강활, 기원식물 근거 없으나 연구 필요

한약규격집에 강활(羌活)은 산형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본인 강활(강호리·Ostericum koreanum Maximowicz)의 뿌리

또는 중국강활(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 Ting)·

관엽강활(寬葉羌活, N. forbesii Boissier)의 뿌리 및 줄기뿌리로 규정돼 있다.

중국에서는 羌活과 寬葉羌活만을 기원(起源)으로 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기원으로 삼고 있는 강활(강호리)은

어느 문헌에도 약재 羌活의 기원식물이라는 근거를 찾아볼 수 없다.

그러나 현재 우리나라에서 유통되고 있는 강활을

羌活의 위품이나 약성이 전혀 다른 것으로 보기는 어렵다.

약효에 대한 검증은 이루어지지 않았으나

임상에서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강활을 유일하게 의약품으로 인정하고 있는

우리나라가 강활에 대해 정리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된다.

四川阿패藏族自治州의 松潘, 小金 및 綿陽地區의

南坪, 平武 및 雲南 騰衝 등지에서 생산되는 羌活을 川羌이라고 한다.

또한 甘肅省 岷縣 武威 張掖 酒泉 天水등지에서 나므로 西羌이라 한다.

강활(羌活)은 약재의 모양에 따라

蠶羌, 竹節羌, 條羌, 大頭羌으로 분류하여 유통된다.

1. 잠강(蠶羌)

원주형으로 나타난다. 대략 굴곡 되어있고, 길이는 4~10cm 직경 1~2cm이다.

때로 정단(頂端)에 줄기의 흔적이 남아있다.

표면은 암갈색 혹은 흑갈색이며 긴밀하고 융기한 마디를 갖추었고,

모양이 누에의 모습과 비슷하다.

마디위에 충상돌기의 뿌리흔적이 있다. 질은 가볍고 절단하기 쉽다.

절단면은 국화무늬 및 다수의 틈이 있다.

껍질은 황색에서 암갈색이고,

목질부는 담황색이며 중앙은 황색의 세로줄이 있다.

氣는 특이하고 味는 微苦而辛하다.

2. 죽절강(竹節羌)

잠강호(蠶羌)과 비교해 대략 크고 마디사이가 비교적 길다.

죽절의 모양과 비슷하다. 나머지는 蠶羌과 같다.

3. 조강(條羌)

줄기뿌리 및 뿌리가 원주형이 된다.

길이는 10~ 15cm 직경은 0.7~3cm이다.

표면은 갈색이며 세로무늬 및 유상돌기의 뿌리흔적이 있다.

줄기뿌리에 가까이 가면 거칠고 커지면서

불규칙한 결절상이 나타나고 가느다란 가로무늬가 있다.

부스러지기 쉽고 절단면겉은 옅은 갈색이고

목질부(木質部)는 황백색이다. 氣味모두 蠶羌과 같다.

4. 대두강(大頭羌)

불규칙한 둔덕이 나타나고 크기는 고르지 않다.

정단(頂端)은 다수의 줄기흔적이 있고 나머지는 蠶羌과 같다.

氣味는 蠶羌과 비교해서 대략 淡하다.

일반적으로 蠶羌의 질이 가장 좋다고 하며,

竹節羌 및 條羌은 다소 다음으로 쳐주고 大頭羌의 질이 가장 안 좋다.

산지로 나누자면 川羌의 질이 가장 좋다. 西羌은 다음으로 쳐준다.

근과 가지가 고르게 살찌고 굳세며 횡절문(橫節紋)이 있다.

표면은 棕褐色이고 단면은 국화모양이 있고

향기가 순수하고 바른 것이 가장 좋다.

정종길(동신대 한의대 교수)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혹시 강활(강호리)에 대해서 아시는 지요?

 

아마도 아시는 이웃님들이나

방문자분들은 적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잘 모르는 약초인데

왜 포스팅을 하느냐?

 

 

그건 바로

한의원이나 한약국에서

관절과 관련해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

약초이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혼용의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강활의 종류는 대략 3가지입니다.

 

바로 중국의 강활-잠강활(蠶羌活)이라고 부릅니다.

국산 강활-남강활(南羌活)이라고 부르구요

짝퉁 강활-북강활(北羌活)이라고 부릅니다.

 

우선 국산강활에 대한

대략 적인 설명먼저 보시겠습니다.

 

 

현재 시중에서 유통되는 것은

남강활과 북강활인데요.

 

위의 글에서 보시다 시피

수확량이 너무 적어 농민들이

재배를 기피하다보니

국산 강활(남강활)은 고가에 형성이

되어왔었습니다.

 

 

그런데,

가격이 고가이다 보니

이 남강활과 비슷한

북강활이라는 이름의

식물학적으로 이름도 모르는

(즉, 족보도 없는)​

녀석이 수입되어 국내에서 재배가

되기 시작합니다.

 

 

생긴게 비슷하다보니

이 두 강활을 구별하기 위해

남강활 북강활로 나뉘게 된것이죠.

 

기원식물이 정확하지 않은건

부작용의 우려가 있어

신중하게 사용해야 함에도 불구하고

 

북강활이 저렴하다는 이유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럼 차이점을 보시겠습니다.

 

[사진출처: 선일물산]

      



 

위 사진에서는 왼쪽이 남강활

오른쪽이 북강활입니다.

 

차이가 보이시나요?

 

정유성분의 차이로

북강활은 시간이 가면 갈수록

붉은빛을 띄게 됩니다.

 


 

차이가 느껴지시나요?

 

 

한의원이나 한약국, 한방병원 가시면

강활한번 보여달라고 하세요.

 

그래서 많약 붉은 반점이 있다면

거긴 그냥 나오시는게 좋습니다.

 

그럼 중국강활은 어떻게 생겼느냐?

제가 아까 잠강활이라고 말씀을 드렸는데요.

 

이 잠이라는 글자는 '누에 잠'입니다.

 

즉 뿌리가 누에처럼 생겼습니다.

 

    



    

 

정말 누에처럼 생겼죠?

 

이 중국에서 강활의 기원식물로 삼는 잠강활은

해발 3,000m 정도의 고지대에서 자랍니다.

 

하지만 국내에선

이 정도로 해발이 높은 지역이 없기에

 

대용으로 남강활을 재배해서

사용해왔던것이죠.

 

 

여러분들이 기억하셔야 할 건 이겁니다.

 

국산 강활은 남강활이라고 부르고

중국산은 잠강활이라고 부른다

 

이 둘은 강활의 기원식물

즉, 약재로써 사용가능하지만

 

북강활이라 부르는

짝퉁강활은 사용하면 안된다는 점

 

 

 

사실 이부분은 유통업계나

한의사들도 알고는 있습니다.

 

하지만,

소비자들이 이런부분까지

알고 질문하게 되면?

 

불량약재는 자연스럽게

도태됩니다.

 

결국 시장은 소비자가 바꾸는게

진리인듯 하네요.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羌活)

- 식물명 : 강활(산형과 Umbelliferae)

- 생약명 : 강활(羌活)

- 학명 및 식물기원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또는 중국강활(Notopterygium incisum Ting),

관엽강활(Notopterygium forbesii Boissier)

- 이용부위 : 뿌리줄기 및 뿌리

 

가. 식물의 성상

 

(1) 재배식물의 성상

[강활 - 꽃과 줄기]

 

 

강활은 다년생 숙근 초본식물로 줄기가 곧게 자라서

키가 1~2m 정도 되며 멧미나리와 비슷하지만

윗부분에서 가지가 갈라지는 것이 다르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根生葉)의 잎자루는 적자색이고

잎은 어긋나며 2회 3출엽이다.

갈라진 잎 조각은 난상타원형 또는 난형으로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는 이가 빠진 톱니모양을 하고 있다.

꽃은 복산형화서(複散形花序)로서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피는데

10~30개의 소산경(小散莖)으로 갈라져 8~9월에 백색의 꽃이 핀다.

꽃잎은 5개이며 수술도 5개이다.

수술이 먼저 성숙해서 타화수정을 하며 종자는 9~10월에 익는다.

모양은 타원형으로 납작하며 둘레에는 날개가 있다.

뿌리는 직근성이며 짧고 굵다.

그러나 꽃대가 올라오면 뿌리의 저장양분이

꽃대로 이동하면서 목질화되어 한약재로 사용할 수 없다.

 

(2) 동속식물

 

강활에는 강활(Ostericum koreanum Maximowicz),

중국강활(Notopterygiumincisum Ting),

관엽강활(N. forbesii Boissier), 천강활(N. franchetii Boissier),

지리강활(Angelica purpuraefolia Chung) 등이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강활이 자생하며 재배되고 있다.

중국강활과 관엽강활, 천강활은

중국의 사천, 감숙, 운남 등의 산에 자라고

우리나라에서는 자라지 않는다.

지리강활은 미나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전국의 산에 분포하며,

뿌리는 굵고 흰 즙이 들어 있고 약간 악취가 나며

독성이 있어서 약으로 쓰지 못한다.

 

(3) 주요성분 및 용도

 

강활의 뿌리에는 리모넨(Limonen), 크레졸(0-cresol),

알파-피네네(α-pinene)등의 정유성분과 이소임페라토린(isoimperatorine),

옥시퓨시다닌(oxypeucedanine), 오스톨(osthol) 등의

쿠마린(Coumarin)계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다.

약리작용으로는 발한해열작용(發汗解熱作用), 진통작용(鎭痛作用),

항균작용(抗菌作用)이 있다고 한다.

한방에서는 진경(鎭痙), 진통, 신경통에 쓰이고 있다.

 

나. 재배환경

 

(1) 재배적지

 

(가) 기후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므로 강원도를 비록한 중북부지역의 준고랭지~고랭지가 재배적지이다. 남부 평야지에서는 한여름에 하고(夏枯)현상을 일으키므로 재배하기 어렵다.

 

(나) 토양

토심이 깊고 유기물 함량이 많은 사양토~식양토가 좋다. 약간 그늘진 곳이 좋으며 남향이거나 습기가 적은 곳은 생육이 불량하기 쉽다. 그러나 토양이 배수가 불량해서 과습하게 되면 뿌리가 썩는다.

 

다. 재배법

 

(1) 채종

 

종자 채종포는 서북향으로 배수가 잘되며

수분이 비교적 잘 유지되는 사양토~식양토를 선택한다.

9월 중하순경에는 대부분의 종자가 결실되므로

종자가 떨어지기 전에 베어서 바람이 잘 통하는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자를 털어서 정선한다.

정선된 종자는 다시 수분함량이 12% 이하가 되도록

그늘에서 말린 다음 종이봉지나 마대에 넣어

바람이 잘 통하는 곳에 보관하였다가 파종용 종자로 쓴다.

(2) 재배양식

 

본밭에 바로 종자를 뿌려서 재배하는 직파 재배와

묘판에서 1년간 육묘한 후 본밭에 옮겨 심는 육묘이식 재배가 있다.

그리고 뿌리 정단부의 노두(蘆頭)를 가을에 수확해서

따로 저장해 두었다가 심는 방법도 있다.

직파재배는 1년간 재배해서는 규격품을 생산할 수 없으므로

2년간 재배하는데 이 경우 재배환경에 따라 추대가 많아지면

수량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으나 육묘이식 재배에 비해 생산 노력은 적게 든다.

육묘이식 재배는 파종, 육묘, 이식 등의 노력비가 많이 드는 결점이 있다.

그러나 이식하기 전에 뿌리가 가늘거나 또는 지나치게 굵어

추대될 우려가 있는 묘는 골라내고 심게 되므로 뿌리가 크고

잔뿌리 발생이 적어 상품성이 높고 수량도 높아 소득에서 가장 유리한 재배법이다.

 

(3) 육묘이식재배

 

(가) 묘 기르기(育苗)

묘상 준비는 배수가 잘되고 수분이 적당한 사양토나

식양토를 택하여 서북향으로 설치하는 것이 좋다.

묘상면적은 본포 10a당 33㎡ 정도가 필요하다.

육묘상은 뿌리가 잘 자라도록 깊이 갈고 정지작업을 한 다음

폭 1.2~1.5m 정도의 두둑을 동서로 깊게 만든 후

약간의 비료와 토양살충제를 뿌린 다음 흩어뿌림이나 줄뿌림을 한다.

묘는 지나치게 크면 본포에서 추대가 많아지고

수량이 떨어지므로 적당한 크기의 묘를 생산해야 한다.

묘가 클수록 추대율이 증가하므로

직경이 0.5cm 정도의 묘를 많이 생산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비옥도가 중 정도인 묘상에는 거름을 줄 필요가 없으나,

묘상이 척박하면 퇴비를 33㎡당 40kg 정도 뿌려주고

생육상태에 따라 화학비료를 약간 준다.

묘상 파종은 가을에 채종 후 축축한 모래와 섞어서

노천매장 했다가 파종하는 것이 출아율이 높다.

노천매장하지 않고 건조한 종자를 그대로 파종하면

발아가 고르지 못하므로 종자를 2~3일간 흐르는 냉수에

침종하였다가 물기를 뺀 다음 48시간 정도 저온처리(2~5℃)하여 파종한다.

파종 시기는 10월 하순에서 11월 상순이 적기이다.

이 시기에 파종이 어려우면 이듬해 3월 하순에서 4월 상순에 파종한다.

파종량은 33㎡에 6ℓ(1.0~1.2kg) 정도가 적당하다.

파종은 상면에 고르게 종자를 흩어 뿌린 후

체로 친 부드러운 부엽토로 종자가 보이지 않을 정도로

덮은 다음 짚을 덮고 물을 충분히 뿌린다.

복토가 깊거나 흙이 단단하면 싹이 트지 못하고 썩어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파종 후 싹이 나기 시작하면 덮어 주었던 짚을 즉시 걷어준다.

싹이 많이 올라올때까지 그대로 두면 도장하고

짚 사이로 새싹들이 끼어들어 짚을 걷어줄 때 어린싹이 손상되므로 조심해야 한다.

잡초는 생육초기에 철저히 제거해야 한다.

제초작업이 늦어져 잡초가 크면 풀을 뽑아줄 때 주변 묘도 뽑힐 염려가 있다.

솎음은 아주 심하게 밴 곳만 조금씩 해준다.

 

(나) 정식

묘선별은 묘상파종 당년 가을 10월 중하순에 종근을 파내어

흙을 털고 묘의 크기에 따라서 대묘(묘 직경 0.9cm 이상),

중묘(묘 직경 0.6~0.8cm), 소묘(묘 직경 0.5cm 이하)로 구분하고

소묘와 중묘를 정식한다.

묘는 크기별로 심는 것이 관리하기 편하며,

대묘는 추대가 될 우려가 있으므로 심지 않는 것이 좋다.

정식은 가을에 정식할 경우는 가능하면 묘를 굴취한 후

바로 심어서 뿌리가 활착된 후 월동시킨다.

봄에 정식할 경우는 20뿌리씩 묶어서 저장했다가

3월 하순~4월 상순에 심는다.

심는 거리는 토양의 비옥도, 위치, 시비량에 따라서

차이가 있으나 대체로 이랑 너비 45cm, 포기 사이 20cm로 한다.

골을 깊이 파고 1포기씩 세워서 심는데,

아주 작은 묘(묘 직경 0.3cm 이하)는 2개씩 심는다.

뿌리 끝이 구부러지게 심으면

뿌리가 제대로 뻗지 못하고 잔뿌리가 많이 나와 품질이 떨어진다.

가을에 심을 때는 흙을 약간 두껍게 덮어주고

가볍게 눌러주어 서리의 피해를 막아주도록 한다.

 

(다) 거름주기

본밭의 시비량은 10a당

질소 4kg, 인산 8kg, 칼륨 4kg, 퇴비 1,000kg 정도로 한다.

퇴비, 인산, 칼륨은 전량 밑거름으로 전층 시비한다.

그러나 질소비료를 밑거름으로 주거나

5~6월에 일찍 웃거름으로 많이 주면 지상부 생육이 무성하고

꽃대의 발생이 많아지게 되므로 전량 웃거름으로 나누어 준다.

초기 생육을 억제시켜 추대를 줄이고

8월 초순 이후에 질소질비료를 생육상태에 따라서

2회로 나누어 주어 뿌리의 비대 생장을 돕도록 한다.

 

(4) 본밭 관리

 

새싹이 어느 정도 올라온 후 김매기를 겸해서 배토해 주고

헛골에는 제초제가 식물에 닿지 않도록 조심해서 뿌려준다.

7월 초부터 8월 초까지 꽃대가 발생하여 꽃이 피게 된다.

꽃대가 올라와 꽃이 피면 뿌리가 목질화(木質化)되어

약재로 쓸 수 없게 되므로 꽃대는 발견 즉시 제거해 준다.

 

라. 병해충 방제

 

강활의 병해충은 아직 크게 문제되지 않고 있으나

뿌리썩음병과 토양해충(거세미, 굼벵이) 등의 피해가 가끔 나타나고 있다.

방제는 등록약제로 농약안전사용기준에 따라 방제한다.

(등록약제 확인경로 : 농사로 → 농자재 → 농약 → 농약등록현황)

마. 수확 및 조제

 

(1) 수확

 

수확은 정식 당년 가을 10월 말~11월 초에 지상부를 베어내고

뿌리가 상하지 않도록 조심해서 수확한다.

수확한 뿌리는 흙을 털고 물로 세척하여 햇볕에 건조시킨다.

 

(2) 조제

 

햇볕에 반 정도 건조되어 부드러워지면

잔뿌리를 아랫부분의 원뿌리와 함께 모아 보기 좋게

구부려 형태를 잡은 후 완전히 건조시킨다.

품질이 좋은 상품의 강활은 수분함량이 12% 이하이고,

부드러우며 겉은 황갈색, 속은 황백색이다.

또 길이 20cm, 직경이 3cm 이상인 것이 상등품이다.

등외품은 별로도 포장하여 출하해야 제값을 받을 수 있다.

 

바. 생약의 특성과 품질

 

(1) 특성

 

가루 1g에 에텔 10㎖를 넣어 상온에서 침출한 액은

자외선을 쪼일 때 강한 형광을 나타낸다.

강활은 방추형의 주근과 여러 개의 곁뿌리로 이루어지고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남아 있으며

그 둘레에 자색의 측아가 2~5개 붙어 있다.

길이 15~30cm, 지름 2~5cm이다.

바깥 면은 황갈색~갈색이며 세로주름이 많고

군데군데 잔뿌리 자국이 남아 있다.

꺾은 면을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은 엷은 황색이고

목부는 황색이며 갈색의 형성층이 뚜렷하다.

횡절면을 현미경으로 보면 코르크층 아래 후각조직이 있고

수지도가 동심성으로 배열되어 있다.

도관은 방사상으로 발달되었으며

모든 유조직에는 전분립이 들어 있다.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달고 시원하며 뒤에는 조금 쓰다.

중국강활은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원추형으로

길이는 3~10cm, 지름이 0.5~2.0cm이다.

때로는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다.

표면은 황갈색~암갈색을 띤다.

뿌리줄기의 꼭대기에는 약간 원형의 줄기 흔적이 있고,

때때로 짧은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으며,

표면에는 도드라진 마디가 있고 마디 사이가 보통 짧다.

마디에는 혹 모양의 뿌리 흔적이 있다.

뿌리의 바깥 면에는 조잡한 세로의 주름 및 혹모양의 잔뿌리 흔적이 있다.

질은 가볍고 약간 약하여 쉽게 끊어진다.

횡절면은 방사상의 갈라진 무늬가 있고 피층은 황갈색~갈색이며

목부는 담황색~엷은 회황색을 띠고 수부는 회백색~담갈색을 띤다.

확대경으로 보면 피층 및 수부에 갈색의 가느다란 유점(油點)이 있다.

특이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시다가 뒤에는 약간 맵고 알알하다.

관엽강활은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뿌리줄기는

원주상이고 위쪽 끝은 줄기 및 엽초의 흔적이 나와 있으며

뿌리는 원추형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이 있다.

표면은 갈색이고 뿌리줄기 가까운 곳에는

비교적 치밀한 환형 무늬가 있다.

길이는 4~13cm, 지름은 0.6~2.5cm이다.

어떤 것은 뿌리줄기가 거칠고 크며 불규칙한 결절상으로

위쪽 끝에는 여러 개의 줄기 기저부가 있고 뿌리는 비교적 가늘다.

뿌리는 쉽게 꺾인다.

절면은 약간 평탄하며 껍질은 엷은 회흙갈색이고 목부는 황백색이다.

맛은 약간 쓰고 비교적 담백하다.

 

(2) 품질

 

○ 순도 : 잔경 및 그 밖의 이물이 5.0% 이상 섞여 있지 않음

○ 건조감량 : 12.0% 이하

○ 회분 : 10.0% 이하

○ 산불용성회분 : 2.0% 이하

○ 정유함량 : 0.2㎖ 이상 (50.0g)

○ 엑스함량 : 묽은 에탄올엑스 20.0% 이상

○ 수량은 비닐하우스 재배가 노지재배에 비하여 약 15~68% 증가하였으며,

종근 크기가 클수록 수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나타냄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강활은 제가 전에 혼용에 주의해야 할 약초에

글을 올린적이 있습니다.

하지만 역시나 감별에도 들어가는 약초이기 때문에

중복이 되더라도 다시 설명을 드리는게 나을 듯 합니다.

 

 

강활은 중국에서 사용하는게

잠강과 죽절강 그리고 대두강이라 불리는

식물을 사용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하는게 바로 잠강활입니다.

뿌리의 생김새가 마치 누에를 닮았다고 해서

누에 잠(蠶)이라는 글자가 붙여지게 되었습니다.

죽절강은 생김새가 마치

대나무의 마디와 비슷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중국에서는

사용빈도가 낮습니다.

 

 

국내에서는 남강활과 북강활을 사용해왔는데,

북강활은 9)의 사진을 보시면

주변에 갈색반점이 처음에는 없다가

여름 즈음해서 시간이 지날 수록

갈색테두리가 생기기 때문에

이걸로 남강활과 북강활을 구별 할 수 있습니다.

잠강활은 기원식물에는 맞지만,

워낙에 해발이 높은곳에서 재배가 되기에,

국내에서는 대체식물로 남강활을 사용해온게

지금에 이르렀습니다.

북강활은 남강활의 평당 생산량이 워낙에 적기에

국내로 유입되면서 남강활 대용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강활은 남강활 혹은 잠강활을 사용하시는게 맞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이 지역은 지세가 높고 험준하다.산맥이 연이어 있고 하천도 깊다.

곤륜산맥(崑崙山脈)과 기련산맥(祁連山脈)이

서북에서 동남으로 전체 성(省)을 가로 지르고 있다.

성(成) 전체의 해발은 가장 높은 곳이 7720m,

가장 낮은 곳이 1650m로 평균 해발이 3000m 이상이다.

장강(長江)과 황하(黃河), 란창강(瀾倉江)의 발원이

남부 고원에 솟아 있는 산들의 준령(峻嶺)에서 시작되고,

중국의 가장 큰 염수호(鹽水湖) 인 청해호(靑海湖)가

동북부의 산지 평원 가운데 들어 있다.

고원이 전체 성면적의 75%를 차지하고,

산지(山地), 분지(盆地), 구릉(丘陵), 하곡(河谷),

고비사막이 나머지 25%를 차지한다.

본 성은 고원 대륙성기후에 속해 있어

겨울이 길고 여름이 짧으며 바람이 많고 비가 적다.

일조시간이 길지만 하루의 기온차는 크다.

더위와 우기(雨期)가 함께 온다.

겨울은 6~10개월간 계속되고 여름은 2~3개월간 계속된다.

고산지역에는 항상 눈이 쌓여 있고 기온은 한냉하다.

연평균기온은 -5~-8℃, 가장 추운1월의 평균기온이-8~-19℃,

가장 더운 7월의 평균기온은 동남부와 서남부에서 분지중부와

서북부로 가면서 점차 0~20℃사이가 된다.

여름철의 하루 일교차는 15℃정도로

분지의 경우는 30℃나 차이가 난다.

대부분 지역의 연간 일조시간은 2600시간 이상이고,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는 1000~3000℃이다.

무상기(無霜期)의 경우 황하(黃河)와 황수(湟水) 곡지(谷地)는 90일 정도 되고,

시달목(柴達木) 분지의 대부분 지역은1개월 밖에 되지 않으며,

그 외 지역은1개월이 채 되지 않는다.

서남부 고원지역은 거의 무상기(無霜期)가 없다.

연강수량은 일반적으로 300㎜ 이하이고

동남부의 변연지역은 500㎜정도 되고,

시달목(柴達木) 분지의 서부는 25㎜가 안된다.

토양은 주로 흑개토(黑鈣土), 율개토(栗鈣土), 회개토(灰鈣土),

고산초전토(高山草甸土), 관어토(灌淤土)등이고

식생(植生)은 대부분이 침엽림(針葉林),침활혼교림(針闊混交林),

고원초전(高原草甸) 등 천연 식생이다.

일부 재배 식생이 분포하기도 한다.

 

[청해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통계조사에 의하면 전체성의 약용식물은 1461종,

약용동물 154종, 광물약 45종으로 모두 1660종이 있다.

이용현황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0종으로

대개 천패모, 구기가, 대황, 당귀, 당삼, 진교(秦艽), 강활,

천궁, 녹용과 인공재배에 성공한 우황(牛黃) 등이 있다.

연간 재배면적은 1000무(亩)에 이르고 연간 생산량은 10만kg이다.

수매하는 약재는 200 여종으로 연간 수매량은 160kg에 이른다.

주산품종

녹용(鹿茸) : 마록(馬鹿)과 백순록(白脣鹿)으로 사육하는 것과

야생 모두 존재하고 각 지에 분포하고 있다.

백순록(白脣鹿) 자원의 분포는 서북지역 중에서도 으뜸이라

ʻ백순록(白脣鹿)의 고향ˮ 이라고 불리운다.

성(省) 전체 각지에 양록장(養鹿場)이 20여개 정도가 된다.

본 성(省)에는 마록(馬鹿)과 백순록(白脣鹿) 외에도

동북(東北)지역에서 들여온 매화록(梅花鹿)도 있다.

생산되는 녹용의 대부분은 본 성(省) 외의 지역과 국외로 수출된다.

 

동충하초(冬蟲夏草) : 주산지는 옥수(玉樹)와 과락(果洛)

두 개 자치주(自治州)이나 다른 지역에도 분포하고 있다.

해발 3000~4200m 사이의 산지 그늘이나 반음반양(半陰半阳)의

관총(灌叢)과 초전(草甸) 사이에서 생장한다.

최근 들어 동충하초균의 인공 배양이 초보적인 성과를 거둬

시험 생산 단계에 들어갔다.

본 성(省)의 수매량은 전국2위로 대부분이 수출 되고 있다.

 

대황(大黃) : 당고특대황(唐古特大黃)은 대개 야생으로

주로 과락(果洛), 옥수(玉樹), 해남(海南), 황남(黃南) 등의 자치주가

주산지이고 해북(海北)과 해서주(海西州)에도 분포하고 있다.

장엽대황(掌葉大黃)은 대개 인공재배하고 있고

동부(東部)의 농업지역인 각 현(县)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다.

청해대황(靑海大黃)은 오래전부터 명성이 있어왔으며

상품명을 ʻ서녕대황(西寧大黃)ˮ이라 한다.

대개가 외부와 국외로 판매 되고 있다.

 

천패모(川貝母) : 옥수(玉樹)와 과락(果洛), 황남(黃南) 등의 자치주에 분포한다.

감숙패모[甘肅貝母. 청패(淸貝)]는 해발 2700~3400m 사이의

관총 산비탈 초지에서 생장하고

릉사패모[棱砂貝母. 노패(爐貝) 혹은 지패(知貝)]는

해발 3500~4000m 사이의 고산 그늘의

유사처(流沙處)에서 생장한다.

암자패모[暗紫貝母.송패(松貝)]는 해발 2800~4000m 사이의

고산의 양지를 향해 있는 비옥한 풀언덕과 쇄석(碎石) 중에서 생장한다.

본 성은 천패모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감초(甘草) : 해남(海南)과 황남(黃南) 자치주와 동부(東部) 농업지역의

해발 2600~3200m 사이의 풀밭이나 얕은 산지에서 생장한다.

본 성은 전국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지나친 채취로 인해 야생자원이 일정량 감소되었다.

 

마황(麻黃) : 성 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주산지는 시달목(柴達木) 분지와 황하(黃河) 상류의

용양협(龍羊峽)부근의 하곡(河谷)지대이다.

수매되는 많은 양이 에페드린의 생산원료로 이용된다.

 

강활(羌活) : 해발2600~3800m 사이의 숲가나 숲아래,

고산 관총(灌叢)이나 초전(草甸)에서 생장한다.

주산지는 해남(海南), 해북(海北), 과락(果洛) 등의

자치주와 동부 농업지역이다.

본 성은 서강(西羌)의 주산지 중의 하나이나

과도한 채취로 인해 분포 면적이 줄어들고

저장량도 줄어들고 있다.

 

감송(甘松) : 과락주(果洛州)와 황남주(黃南州)의 하남현(河南县)이 주산지이다.

해발 3200~ 3700m의 산지(山地) 관총(灌叢)이나

고산(高山) 초전(草甸) 등 습한 곳에서 생장한다.

 

진교(秦艽) : 성 전체에 광범위하게 분포하고 있다.

목축하는 초전(草甸) 초원과 산지(山地) 초전(草甸)의

분포 면적이 넓고 분포 밀도가 높아 야생 자원 저장량이 많다.

황남(黃南)과 과락(果洛), 해북주(海北州)의 수매량이 비교적 많다.

상품은 대개 다른 지역과 국외로 수출된다.

 

우황(牛黃) : 본 성은 야크와 황우(黃牛) 자원이 풍부하여

천연 우황의 역사도 길고 최근에는 목축 지역에 인공우황 생산기술을 전파,

품질이 좋을 뿐 아니라 발전 가능성이 아주 밝다.

 

위에 서술한 상품이외에도 설련화(雪蓮花),용담(龍膽),쇄양(鎖阳),

사극(沙棘),홍경천(紅景天),장인진(藏茵陳), 라포마(羅布麻),

호이초(虎耳草), 두견(杜鵑), 녹각(鹿角), 황양각(黃羊角),

장영양각(藏羚羊角), 사향(麝香), 웅담(熊膽) 등

비교적 많은 야생 약재 자원을 개발 중이거나 개발된 자원을 발전 시키는 중이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자연환경

본 성은 지형이 동서로 크게 나뉜다.

용문산(龍門山)과 대량산(大凉山)을 경계로

동부는 사천분지(四天盆地),

서부는 천서산지고원(川西山地高原)이 된다.

 

성 전체에서 평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2.6%,

구릉 18.6%, 산지 50.3%, 고원이 28.5%이다.

지형이 뚜렷하게 차이가 나기 때문에

기후 유형도 다양하다.

동부의 분지(盆地)는 아열대동남 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봄이 이르며 여름엔 덥고 무상기(無霜期)가 길다.

 

강수량이 풍부하고 습도가 높으며 운무(雲霧)가 많고 일조량이 적다.

가을엔 대개 비가 계속 내린다.

 

장강(長江) 연안의 기온은 비교적 높은 편이지만

이는 분지 주변으로 갈수록 점차 내려간다.

연평균기온은12~18℃로 10℃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4500~5000℃이상,

무상기(無霜期)는 220~300 일이며 연강수량은1000~1400㎜ 이다.

사천성의 서남부를 횡단하는 산지는

아열대서남계절풍기후로 겨울이 따뜻하고 여름이 시원하다.

봄가을은 온화하고 건계(乾季)와 습계(濕季)가 분명하다.

 

연강수량은 1000㎜ 정도로 90%이상이

6~10월에 집중되어 있다.

 

연평균기온은 12~20℃로 10℃ 이상인 날의

누적온도가 3600~7000℃, 무상기(無霜期)는 220~330일이다.

천서고원(川西高原)의 고산지역은

남쪽에서 북으로 가면서 난온대-온대-한온대-아한대 등의

기후유형으로 연계, 수직적인 분대(分帶)가 뚜렷하다.

한랭건조하고 일조량이 충족하며 태양복사열이 매우 강렬하다.

 

겨울이 길고 여름은 서늘하다.

연평균기온은 2~8℃,

연간일조시간은 2200시간 이상이며

연강수량은 600~800㎜이다.

 

토양은 황양(黃壤)과 아열대 홍양(紅壤), 종양(棕壤),

자색토(紫色土), 갈색토(褐色土), 산지초전토(山地草甸土),

고원초전토(高原草甸土) 등이 있다.

 

식생은 아열대 상록활엽림과 상록활엽림,침활엽혼교림,

침엽림, 고산관총(高山灌叢) 등이 있다.

[사천성 지역구분]

 

약재자원

조사통계에 의하면 사천성(四川省)의 약용식물이 3962종,

약용동물이 344종, 광물약이 44종으로 총 4350종의 자원이 있다.

 

이용현황

사천성(四川省)은 전국 최대 약재생산지역이다.

재배하거나 양식하는 약재는 120종으로

연간 재배면적은 31만 무(亩), 연간 생산량은 1500만kg이다.

수매 약재는 500여종이고 연간 수매량은4600만kg이다.

 

주산품종

동충하초(冬蟲夏草) : 석거(石渠), 백옥(白玉), 색달(色達), 덕격(德格), 이당(理塘),

파당(巴塘),소금(小金), 금천(金川), 이현(理县) 등의 현(县)에 분포한다.

사천산(四川産)의 것은

충체(蟲體)가 굵고 풍만하며 겉은 황색으로 윤기가 나고 안쪽은 백색이다.

자좌(子座)가 짧고 냄새가 깨끗하여 국내외로 활발히 판매되고 있다.

연간 수매량이 전국의30% 정도로 동충하초 주산지 중의 하나이다.

 

황련(黃連) : ʻ미련(味連)ˮ의 주산지는 중경의 석주현(石柱县)으로

이미 300여년의 재배역사를 가지고 있다.

아련(雅連)ˮ의 주산지는 아미(峨嵋), 홍아(洪雅), 아변(峨邊), 뇌파(雷波)등의 현(县)이다.

사천성의 수매량은 전국의 60%를 점유 전국 1위이다.

 

천궁(川芎) : 주산지는 도강언시(都江堰市), 팽주(彭州), 신도(新都) 등의 현(县)이다.

생산되는 천궁은 ​크기가 크고 풍만하며 재질이 견실하고,

유성(油性)이 많고 향이 짙다.

특히 도강언시(都江堰市)의 마조사(馬祖寺) 천궁이 가장 유명하다.

사천성의 연간 생산량이 전국의 80% 이상을 차지한다.

 

천패모(川貝母) : 송패(松貝)와 청패(靑貝)는 아패(阿坝), 감자(甘孜) 주에서

주로 나고 노패(爐貝)는 감자주(甘孜州)의 북부와 소금(小金),노산(蘆山)등의 현에서 주로 난다.

천패모의 알이 균일하고 단단하며 분성(粉性)이 풍부하다.

색이 희고 광택이 난다.

야생자원이 감소하고 있어 이미 인공재배를 시험, 생산하고 있다.

 

부자(附子) : 주산지는 강유현(江油县)이다.

부편(附片)의 가공이 정밀하고,가공된 부편(附片)의 크기가 크고

균일하며 단면에 세로무늬의 화문(花紋)이 있다.

반투명상태로 기름져 광택이 나며 부드럽게 잘 부스러진다.

국내외에 명성이 높다.사천성이 전국의 가장 큰 생산지이다.

 

백지(白芷) : 주산지는 수녕시(遂寧市)로

이미600년의 종식(種植)역사를 가지고 있다.

노두 부분은 네모지고 뿌리부분은 둥글다.

크고 견실하며 회피는 황백색을 띈다.

안쪽은 분백색(粉白色)을 띄고 단면에는

종색(棕色) 유점(油點)이 밀집해 있어

국화문(菊花紋) 처럼 형성되어 있다.

향과 맛이 매우 짙다.

 

맥문동(麥門冬) : 주산지는 면양시(綿阳市)와 삼태현(三台县)이다.

역사가 유구하여 ʻ면맥동(綿麥冬)ˮ이라는 별칭으로 불리고 있다.

크고 알이 풍만하며 황백색으로 단면은 백색이 스며 있고 윤기가 난다.

사천성의 연간생산량은 전국의20%이상으로 2위를 점하고 있다.

 

백작약(白芍藥) : 주산지는 중강(中江), 거현(渠县), 광안(廣安),

중경의 동량(銅梁) 등의 현(县)이다.

특히 중강(中江)의 백작약은 굵고 살지며 재질이 단단하고 무게가 나간다.

표면이 분홍색으로 매끈하고 단면에 분성(粉性)이 풍부하며

황백이 적절하고 내심(內心)은 백색을 띄고 있어

ʻ은심백작(銀心白芍)ˮ이라고 불린다.

 

홍화(紅花) : ʻ천홍화(川紅花)ˮ 라고 불린다.

서한(西漢)시대부터 종식(種植) 했었다.

주산지는 간양(简阳), 평창(平昌) 및 자양(資阳), 안악(安岳),

의롱(儀隴) 영산(營山), 선한(宣漢),남강(南江), 달현(達县),

통강(通江), 수녕(遂寧), 중경의 점강(墊江) 등의 현과 시이다.

꽃이 길고 색이 붉고 선명하며 부드러운 것이 주요 특징이다.

천마(天麻) : 전체 성의 100개에 가까운 현에 분포하거나 재배하고 있다.

분지 주위 각 현에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은 편이다.

크기가 크고 황백색에 재질이 단단하고 단면이 반투명하다.

두충(杜沖) : 주산지는 광원(廣元), 왕창(旺蒼), 청천(靑川), 북천(北川), 평무(平武),

만원(萬源),통강(通江), 고란(古蘭),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충현(忠县), 석주(石柱),유양(酉阳), 검강(黔江) 등의 현(县)이다.

사천산 두충은 껍질이 두텁고 크기가 크며

안쪽 표면은 암자색(暗紫色)이고,단면에 끈끈한 섬유실이 많다.

 

후박(厚朴) : 주산지는 분지 주변의 산지이다. 만원(萬源), 통강(通江),

선한(宣漢), 개현(開县),무산(巫山), 고란(古蘭), 노산(蘆山), 평무(平武),

도강언(都江堰), 팽주(彭州), 중경의 성구(城口), 무계(巫溪), 봉절(奉節),

운양(雲阳) 등의 현과 시의 생산량이 비교적 많다.

천박(川朴)은 가공이 정밀하다.

내피(內皮)는 자홍색(紫紅色)으로 향기가 짙고

손톱으로 그어 보면 기름성분이 스며 나와

ʻ자유후박(紫油厚朴)ˮ이라고도 불린다.

 

황백(黃柏) : 천황백(川黃柏)이라고도 불린다.

분지 주변의 산지에 분포하고 있으며,주산지는아미(峨嵋), 홍아(洪雅),

도강언(都江堰), 광원(廣元), 왕창(旺蒼), 남강(南江),고란(古蘭),

중경의 무계(巫溪), 개현(開县), 남천(南川), 무륭(武隆), 등의 현과 시이다.

 

강활(羌活) : 주산지는 소금(小金), 흑수(黑水), 금천(金川), 송반(松潘),

단파(短巴), 도부(道孚),감자(甘孜), 덕격(德格) 등의 현(县)이다.

굵고 실하며 환절(環節)이 누에처럼 촘촘하고 단면에는

주사점(朱砂點)이 많으며 향이 짙어 잠강(蠶羌)이라고도 불린다.

 

사천의 주산 약재로는 이 외에도 사향(麝香), 천우슬(川牛膝) 등이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