결명자 - 결명자의 성장 및 재배법 약용작물 관련자료/약용작물 작목기술정보2020. 1. 12. 09:02
1. 식물명
긴강남차, 결명 (콩과 Leguminosae)
생약명 : 결명자(決明子)
학명 및 식물기원 : 긴강남차 Cassia tora Linne 또는 결명 Cassia obtusifolia Linne
이용부위 : 종자
2. 식물의 성상
가. 재배 식물의 성상
결명자는 1년생 초본 약용식물로 줄기는 곧게 서며 50~150cm정도로 자란다.
원줄기에서 4~15개의 가지가 나오고 가지에서도 다시 가지가 발생한다.
원줄기의 굵기는 직경 1.5cm까지 자라며 표면은 녹색이다.
길이로 4줄의 무늬가 있는데 잘라보면 속살은 황백색을 띤다.
잎에는 털이 없고 잎의 표면은 진한 녹색, 뒷면은 연한 녹색을 띠며,
우수 2회우상복엽(偶數二回羽狀複葉)이다.
엽축(葉軸) 끝의 작은 잎은 1회 복엽보다 2.5배 정도 크다.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꽃대가 올라와 총상으로 핀다.
양성화(兩性花)로 수술은 10개인데 크기와 색깔에 차이가 있으며
모두가 약웅예(弱雄)로 따로 떨어져 있다.
갈구리 형태인 암술은 1개로서 반대로 구부러져 안쪽으로 향해 있고
암술머리는 황록색의 둔한 바늘형이다.
과실은 좁고 긴 4각기둥형의 황갈~암갈색 꼬투리다.
크기는 180×4×4㎜이며 45°로 구부러진다.
종자는 한 꼬투리 속에 15~33립이 종열한다.
종자의 크기는 6×3×3㎜ 정도이고 100립의 무게는 2.0~2.5g이다.
네모진 방추형이고 암갈색을 띠는데 광택이 있다.
나. 주요 성분 및 이용
결명자에는 크리소파놀(chrysophanol), 카시아시드(cassiaside), 에모딘(emodin),
토라락톤(toralactone), 피시온(physcion), 오부투시포린(obutusifolin),
카로틴(carotin) 등의 주요 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결명자에는 소염(消炎), 사하(瀉下: 설사를 내리게 함), 혈압 강하 작용이 있다.
또한 청간(淸: 간을 맑게 함), 명목(明目:눈을 밝게 함)에도 효능이 있어 한약재로도 쓰인다.
볶아서 결명차로 이용되기도 하는데 요즈음에는 가공차로도 나오고 있다.
3. 재배환경
가. 기 후
우리나라의 따뜻한 중남부의 평야지대 재배적지로 잘 여물어서 수량과 품질도 높일 수 있다.
중북부의 평야지에서도 재배는 가능하지만 주로 한여름 더위의 고온에서 생육이 좋은 작물이다.
나. 토 양
토양은 별로 가리지 않고 어느 곳에서나 잘 자라지만 과습하거나 그늘진 곳,
너무 비옥한 곳에서는 줄기와 잎만 무성하고 결실기가 늦어져서
잘 여물지 않아 수량성이 낮으므로 재배를 피하는 것이 좋다.
산성토양에서 생육이 불량하므로 야산개간지 같은 곳에 심을 때는
석회를 반드시 사용한 후에 재배하도록 한다.
이어짓기는 가능하지만 수량이 감소될 우려가 크고
지력소모도 심하므로 후작재배지에는 비배관리에 주의해야 한다.
4. 재배기술
가. 파종기
묵은 종자는 발아가 잘 안되므로 잘 여문 햇 종자를 파종하도록 한다.
파종에 적합한 시기는 지역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4월 말부터 5월 상순이 적기이다.
너무 일찍 파종하면 기온이 낮아서 발아하는데 시일이 오래 걸리고
발아상태가 균일하지 못하므로 적기에 파종해야 한다.
또한 결명자는 껍질이 단단한 경실종자(硬實種子)이므로 그대로 파종하면 수분침투가 잘 안된다.
따라서 종자를 맑은 물에 24시간이상 담궜다가 물기를 제거하고 파종하도록 한다.
나. 파종방법
파종하기 전에 밑거름을 밭에 고루 뿌리고 깊이 갈아 쇄토한다.
50㎝ 간격으로 물이 잘 빠지도록 골을 타고 25㎝ 간격으로 3~4립씩 2~3㎝ 깊이로 점파한 후 복토한다.
파종량은 10a당 1kg 정도의 종자가 소요된다.
토양비옥도가 낮은 곳에서는 이보다 더 밀식하고 비옥도가 높은 곳에서는 좀더 드물게 심는 것이 좋다.
다. 시비량 및 시비방법
밑거름은 10a당 질소 4kg, 인산 10kg, 칼리 7kg, 퇴비 1,000kg을
밭을 갈기 전에 고루 뿌려주거나 퇴비 2,200kg, 계분 200kg,
콩복비 30kg을 밭 전면에 고르게 뿌려준다.
웃거름은 생육상태를 관찰하면서 8월 초순에
10a당 질소 2~4kg과 칼리 3kg을 시용한다.
척박한 땅이거나 모래땅에서는 시비량을 증가시켜서
웃거름 주는 횟수를 늘려 비절 현상이 일어나지 않도록 한다.
특히 산성토양에서는 기비를 주기 2주전에 석회를 넣고 갈이 하였다가 파종하도록 유의한다.
라. 주요 관리
1) 솎 음
본엽이 2~3매 되었을 때 2대 이상 되는 포기는 솎아준다.
키가 15cm 정도 자라면 1대만 남기고 솎아내고 비바람에 쓰러지지 않도록 북주기를 한다.
2) 김매기
잡초 방제는 생육초기부터 실시하여 2~3회 정도 김매기를 해 준다.
생육 후기에는 결명자의 생육이 왕성하여 잡초는 문제되지 않는다.
마. 병해충 방제
충해로는 생육초기에 뿌리를 갉아 먹는 거세미, 굼벵이, 땅강아지 등이 있다.
잘 썩은 퇴비를 사용하고 발생이 심한 경우는 에토프입제나 폭심입제를 뿌려
방제하는데 등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농약잔류가 되지 않도록 주의해서 사용한다.
병해로는 여름철 장마기에 줄기 윗부분이 검게 썩는 병이 발생하여
수량을 감소시키는데 아직 병명이 확실히 밝혀지지 않고 있다.
연작을 피하고 통풍이 잘되며 햇볕이 잘 드는 곳에서
질소 시비량을 줄여서 재배하면 방제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5. 수확 및 조제
결명자는 생육환경이 좋은 곳에서는 서리가 내릴 때까지 개화가 계속된다.
개화 후 60일 정도가 경과된 꼬투리는 성숙하는데
콩이나 녹두처럼 꼬투리가 튀는 것이 아니므로 그대로 두었다가
늦가을에 아랫잎이 말라 떨어지고 윗잎도 대부분 누렇게 변했을 때가 수확적기이다.
맑은 날을 택하여 뽑거나 낫으로 베어서 수확한다.
수확 후에는 2~3일간 밭에 널어서 햇볕에 말린 다음
햇볕이 잘 들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다발을 지어서 세워 놓고 건조시킨다.
건조가 끝나면 탈곡기를 이용하여 종자를 탈곡하여 불순물이 없도록 정선하고
1~2일간 햇볕에 완전히 건조시킨 다음 습기가 없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저장하였다가 출하한다.
6. 생약의 특성 및 품질
가. 생약의 특성
이 약은 짧은 원기둥 모양이며 길이 3~6 mm, 지름 2~3.5 mm이고
한 쪽 끝은 뾰족하고 다른 한 쪽 끝은 매끈하다.
양쪽의 옆에 황갈색의 넓은 세로줄 및 띠가 있고 질은 단단하다.
횡절면은 원형 또는 둔한 다각형이고 확대경으로 보면 배유 중에 구부러진 어두운 색의 자엽이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와 맛이 있다.
나. 품질
순도시험 이물 이 약은 이물이 1.0 % 이상 섞여 있지 않다.
회 분 5.0 % 이하.
'약용작물 관련자료 > 약용작물 작목기술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기자 - 주요성분 (0) | 2020.02.02 |
---|---|
고본 - 고본의 성상 및 재배기술 (0) | 2020.01.19 |
강활 - 강활 재배기술 (0) | 2020.01.05 |
감초 - 감초의 성상 재배기술 (0) | 2019.12.22 |
감초 - 성분 및 용도 (0) | 2019.12.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