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재 감별 정보 - 강활(羌活) 약초야 놀자/약초감별2021. 4. 13. 09:01
“한국·중국서 사용되는
강활의 기원은 다르다”
한국은 북강활,
중국은 잠강(蠶羌)의 효능이
상대적으로‘우수’
강활(羌活)은 辛苦, 溫하며 방광(膀胱). 신경(腎經)에
귀경(歸經)하고, 신표한(散表寒). 거풍습(祛風濕).
이관절(利關節)의 효능으로 감모풍한(感冒風寒). 두통무한(頭痛無汗)
풍한습비(風寒濕痺). 항강근급(項强筋急), 골절산동(骨節酸疼).
풍수부종(風水浮腫). 옹저창독(癰疽瘡毒) 등에 응용되는
신온해표약(辛溫解表藥)으로서 응용범위가 매우 넓다.
약용 부위는 뿌리줄기 및 뿌리로서,
우리나라의 경우Ostericum屬 기원식물을
북강활과 남강활로 구분되어 재배 혹은 채취되어지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한국과는 다른
Notopterygium屬 기원식물을 지칭하는데
지역에 따라 西南지역(四川)에서 생산되는 것을‘川羌’,
西北지역(甘肅, 靑海)에서 생산되는 것을‘西羌’이라 부르며,
약용 부위의 모양에 따라 蠶羌 大頭羌이나 竹節羌 등
이름이 다양하다.
1. 羌活의 기원
동양권의 각국 공정서에 수재된
羌活의 기원식물은 차이가 있다.
강활 Ostericum koreanum의 뿌리는 KP와 DKP에서,
중국강활(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 혹은
관엽강활(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의
뿌리줄기 및 뿌리는 KP, CP, JP, THP에서
각각 기원으로 정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특이하게 일본의 경우
Angelica pubescens(한약명獨活)을
장강활(長羌活), 권강활(卷羌活)등으로
현재까지 혼용되어지고 있으며,
심지어 獨活인 Araria cordata가 최근에
화강활(和羌活)이라고 사용되어지는 경우도 있다.
사실 강활(羌活)과 독활(獨活)의 이름이
구별되기 시작한 것이 당(唐)의
약성본초(藥性本草)에서 비롯되었으나
(神農本草經에는 獨活의 別名 으로 羌活이 나와 있음),
명대(明代)의 이시진(李時珍)도
‘獨活以羌中來者 良故有羌活’이라 하여
구분의 혼란을 하고 있는 점에서 보면,
최근까지 모호하게 응용되는 내용의 많은 부분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羌活과 獨活은 효능면에서 당연히
구분되어져야 하는것을 말 할필요가 없을 것이다.
먼저 한국에서 주로 응용되어지고 있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은
번식방법에 따라 북강활과 남강활로 나뉘어
유통되어지고 있다.
노두(蘆頭) 번식을 하는 북강활은
根莖이 발달되어 있고 잔뿌리가 적으며 유
조직(柔組織)세포속에 전분입자가 적어
상대적으로 품질이 좋은것으로 인식되어지고 있어,
우리나라의 경우 대부분 북강활을 재배하고 있다.
반면에 종자(種子) 번식을 하는 남강활의 경우
根莖 발달이 적고 잔뿌리가 많으며 길고
유조직(柔組織) 세포속에 전분입자가 많아
상대적으로 품질이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ITS의 염기서열 비교분석 결과를 보면
두 종류는 매우 유사한 계통의 식물이며,
최근 연구에 의하면 남강활(南羌活)은 2n=22이며,
북강활(北羌活)은 2n=110인 배수체화된 것으로,
동일한 기원식물중 북강활(北羌活)이 재배에 의하여
배수체화 된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Notopterygium屬에 속하는
중국강활(中國羌活, Notopterygium incisum)의 경우,
根莖 부분의 마디 사이가 짧아
누에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잠강(蠶羌)과
마디 사이가 넓어 마치 대나무 마디모양을 형성하고 있는
죽절강(竹節羌)으로 구분된다.
또한 관엽강활(寬葉羌活, Notopterygium forbesii)의 경우
根莖이 특별히 부풀어 오른 모습을 보이고 뿌리는 細小하여
대두강(大頭羌)으로 분류된다.
덧붙여 細根 혹은 枝根을 통칭하는
조강(條羌)이라는이름도 있다.
2.약효상의 차이
약효상의차이를구분하면다음과같다.
①한국에서 강활(羌活)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과
중국공정서에 기재되어 있는 2종의
Notopterygium屬 강활에 대하여
동일조건에서의 비교실험이 진행된 바는 현재까지 없다.
따라서 이에 대한 효능 구분의 시도가
빠른 시간 안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그때까지는 공정서에 따라 羌活의 이름으로
유통되어지는 것이 현실적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소수의견에서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의 경우
氣味가 辛微甘溫하며 補中健脾 溫肺止咳의 효능으로
脾胃虛寒泄瀉 虛寒咳嗽에 응용된다는 기록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향후에 진행되어져야 할 실험의 결과,
위의 소수의견에 일치된다면
Ostericum屬 羌活과 Notopterygium屬 강활의
효능상의 구분이 발생할 수도 있을 것이다.
②우리나라에서 사용되는 강활(강호리, 大齒獨活)
Ostericum koreanum에 대한 내용도,
북강활의 비만세포에서의 염증반응 억제효과 등에 대한
연구 등과 같이 개별적으로 분리되어 진행되었다.
남강활과 북강활에 대한 비교를 동시에 진행된 것을 보면,
형태상의 차이에 대한 연구가 있으며
효능상에 있어서도 북강활과 남강활의 혈관운동 및
국소 뇌허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있었으나
결과는 뚜렷한 차이가 없다는 내용이었다.
이런면에서 羌活類에 대한 전체적인 동일선상에서의
비교검증연구가 진행되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1.자연상태의구분
식물분류학적 관점에서 다음과 같은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를 제시한다.
2.약재상태의구분
羌活類의 한약재 상태의
분류검색표(discrimination key)는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Ostericum屬羌活(한국에서사용)
황갈색~ 갈색이며 방사형의 주근(主根)과 곁뿌리로 분지한다.
근두부(根頭部)에는 줄기의 잔기(殘基)와 치밀한 환형(環形)무늬가 있고
잔뿌리에는 세로주름 군데군데 수염뿌리(鬚根) 흔적이 있다.
이 약은 특유한 냄새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달고 시원하며 뒤에는 조금 쓰다.
1)한국산북강활Ostericum koreanum
①根莖이 발달되어 있고 잔뿌리가 적다.
②절단면의 색이 짙고 홍색유점(紅色油點)이 있다.
2)한국산남강활Ostericum koreanum
①根莖이짧고잔뿌리가많다.
②절단면의 색이 희거나 분홍색이며
유점(油點)이 보이지 않거나 작다.
2.Notopterygium屬 강활
(중국에서 주로 사용되며, 한국에서도 유통)
약간 구부러진 원주형 내지 원종형으로,
때로는 뿌리줄기가 분지되어 있으며
종갈색~암갈색이다.
직절(直切)한 것은 방사상 무늬(국화심-菊花心)와
갈라진 틈새가 있다.
단면은 갈색의 유점(油點)(朱砂點+髓線)이 뚜렷하다.
이 약은 특이한 향내가 있고
맛은 처음에는 약간 시다가 뒤에는 약간 맵고 알알하다.
1)강활(中國羌活)Notopterygium incisum
①잠강(蠶羌)
마디 사이가 짧아 누에모양이며 융기된 혹모양
의뿌리흔적이있다
②죽절강(竹節羌)
마디 사이가 넓어 대나무마디모양이며 가끔
융기된혹모양이있다
2)관엽강활(寬葉羌活)N.forbesii - 대두강(大頭羌)
장원추형(長圓錐形) 또는 원주상(圓柱狀)이고
바깥면은 암갈색인데, 절단면은 약간 평탄하며
방사상무늬와 갈라진 틈새가 있다.
①根莖은 팽대되어 있으며(大頭羌)
위쪽 끝에 비교적 촘촘한 환절(環節)의 무늬가 있다
②뿌리는 비교적 가늘며(條羌)원추형(圓錐形)으로
세로로 주름무늬와 피공(皮孔)이 있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약초야 놀자 > 약초감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약재 감별 정보 - 후박(厚朴) (0) | 2021.05.07 |
---|---|
한약재 감별 정보 - 통초(通草) (0) | 2021.04.23 |
한약재 감별 정보 - 하수오, 백수오, 이엽우피소 (0) | 2021.04.02 |
한약재 감별 정보 - 천궁(川芎), 토천궁, 일천궁, 중국천궁 (0) | 2021.03.23 |
한약재 감별 정보 - 석창포(石菖蒲) (0) | 2021.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