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해방풍(갯방풍)은 방풍 防風으로

사용하면 안되는 위품(僞品, 가짜)

방풍은

발한해표 發汗解表, 거풍제습약 祛風除濕藥의 하나로서

해표거풍 解表祛風· 승습지통 勝濕止痛·

지사지혈 止瀉止血의 효능으로, 미온 微溫하되 조 燥하지 않고

맛이 감완 甘緩하여 성질이 준열 峻烈하지 않으며

성질이 비교적 부드러워 풍약 風藥 중에 윤제 潤劑라 불리우는

풍병요약 風病要藥이다.

이름 자체도‘풍 風을 예방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는데,

이는 완만한 발한 發汗으로 진액 津液을

손상시키지 않는 한약재라는 뜻이다.

‘신농본초경 神農本草經’에 최초로 기록되어

아주 오랫동안의 사용기록을 가지고 있으나,

그 기원 및 효능 구분에 있어 현재까지도

논란이 지속되어오고 있는 대표적인 한약재이다.

약용 부위인 뿌리는 2년생 이상된 기원식물에서

봄과 가을에 꽃대가 나오지 않은 것을 채취하여

말려서 사용한다.

현재 우리나라 약재시장에서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지고 있는 종류로는

원방풍 元防風이라 부르는 중국방풍,

우리나라의 전국 각지 해안 바위틈에 자생하며

많이 재배되고 있는 갯기름나물인 식방풍 植防風,

그리고 현재까지도 일부 원방풍 元防風으로

잘못 유통되어지고 있는 해방풍 海防風 3종이 있다.

1.방풍류 防風類의 기원

각국 공정서(KP, CP, JP, THP, DKP)에서

방풍(防風.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규정하고 있으며,

KHP에서는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의 뿌리를

식방풍 植防風이라 규정하고 있다.

여기에 우리나라에서는 오랫동안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을

해방풍 海防風 혹은 원방풍 元防風 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어져 왔는데, 이는 한약명 북사삼 北沙蔘 으로서

보음약 補陰藥에 속하므로 효능이 다르다.

중국에서는 갯기름나물을 빈해전호 濱海前胡로,

갯방풍을 북사삼 北沙蔘이라 구분하고 있다.

산출지역을 보면,

방풍(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은

중국의 東北(黑龍江, 吉林, 遼寧, 만주),

華北(河北, 山西,河南) 등에서 산출되며

최근에 우리나라에서 일부 시험재배되어지고 있다.

갯기름나물(Peucedanum japonicum)은

한국의 중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福建) 등의

해안가의 바위틈에 자생 혹은 대량으로 재배되어지고 있다.

갯방풍 Glehnia littoralis은 한국의 남부 및

중국의 華東(山東, 江蘇, 浙江), 華南(臺灣, 廣東, 福建)

등지의 바닷가 모래밭에 자생한다.

이외에 많은 종의 식물뿌리가

방풍이라는 이름으로 등록되어 있지만,

한약재 사용량은 극히 제한적이어서

이를 구분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본다.

2.약효상의차이

이를 종합하여 세분하면

① 기미氣味 및 효능에 근거하면,

방풍은 각국 공정서(KP, CP,JP, THP, DKP)에서

규정하고 있듯이,

중국 방풍 防風(원방풍 元防風)인

Saposhnikovia divaricata의 뿌리를

정품 正品으로 해야한다.

②우리나라(KHP)에서

식방풍 植防風이라는 이름으로 대체되어지고 있는

갯기름나물(植防風) Peucedanum japonicum은

분류상 청열약 淸熱藥에 해당되어지는 약물로서,

한약재로서의 방풍 防風 효능과 차이점을 갖고 있다.

식방풍 植防風의 속명 屬名인 Peucedanum이

식물분류상 한약재 전호 前胡의 속명 屬名과

동일하다는 점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

이를 상한론 傷寒論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면,

원방풍 元防風이 발산풍한 發散風寒의 효능을 가진

태양병 太陽病약물이라면,

식방풍 植防風은 청열 淸熱의 효능을 가진

양명병 陽明病약물로 설명될수 있겠다.

다시 말하면

식방풍 植防風은 원방풍 元防風 적응증의

다음 단계에 해당되는 약물로서,

한의학에서 말하는 방풍 防風의 효능과는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방풍 植防風은

오한 惡寒보다는 발열 發熱이 주요 증상인

감기에 구갈 口渴과 해수 咳嗽를 동반하는데에

적응증이 된다고 설명할 수 있다.

③이미 공식화되었지만,

임상에서 쉽게 변화되고 있지 않는

갯방풍(海防風) Glehnia littoralis의

방풍 防風 오용은 있어서는 안될 것이다.

감기의 경우에 굳이 사용되어져야 한다면,

원래의 한약명인 북사삼 北沙蔘의 의미대로

감기 후기의 폐위음허증 肺胃陰虛症에

사용되어져야 할 것이다.

약재상태 외부형태의

특징적인 감별기준점은 다음과 같다.

1)방풍(元防風) Saposhnikovia divaricata

①전형 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담갈색 淡褐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촘촘히 돌림마디 모양의

세로주름( 蚓頭)이 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있으며,

목부 木部는 황색이고 방사상무늬(국화문 菊花紋)가 있으며,

중앙에는 황갈색의 원형무늬가있다.

2)갯기름나물(植防風)Peucedanum japonicum

①전형全形상태

표피 表皮가 회황색 灰黃色이며,

많은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가있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갈색으로 열극 裂隙이 없으

며, 목부 木部는 황갈색으로 치밀하다.

3)僞品:갯방풍(海防風)Glehnia littoralis

①전형상태

표피 表皮가 담황백색 淡黃白色이며,

윗부분(根莖)은 종황색 棕黃色의 근경 根莖 잔기 殘基가 있고,

가는 세로주름과 세로홈이 있으며, 종황색 棕黃色의 점모양의

세근 細根흔적이 뚜렷하다.

②절단상태

가장자리(皮部)는 회황색 灰黃色으로

때로 열극 裂隙이있으며,

갈색 褐色의 분비도가 흩어져 있고,

목부 木部는 담황색 淡黃色으로 치밀하다.

출처: 한의신문,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자원연구센터,

우석대 한의대 본초방제학교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1. 육성경위

양질 다수성 방풍 품종을 육성하고자 국내의 11개 지역에서

자생 및 재배되고 있는 지방 재래 식방풍 11계통을 수집 공시하여

1990년부터 1991년까지 2개년간 순계분리를 하여

그중 양질다수정 계통으로 유망시되는 영덕종 등 4계통을

1992년부터 1993년까지 2개년간 생산검정시험을 실시한 후

영덕종과 봉화종을 1994년부터 1995년까지 2개년간

지역적응시험을 실시함과 동시에 1995년에는 농가실증시험을 수행하였는데,

순계분리와 생산력 검정시험은 대구에서, 지역적응시험은 대구, 안동 및 울진에서,

농가실증 시험은 안동과 울진에서 실시한 결과 봉화종보다 영덕종이

내서성, 내습성, 내도복성, 내병성 및 다수성으로 인정되어

1995년 농촌진흥청 우량품종 선정심의회에서 우량품종으로 결정되어

“식방풍 1호로 명명되었다.

2. 주요특성

가. 고유특성

<표 1> 고유특성

품종명

근피색

화 서

엽 병

근육색

근착생형태

식방풍 1호

황갈색

장원추형

심직근

진녹색

근착생다

봉화식방풍

백갈색

단원추형

심곡근

연녹색

근착생소

식방풍 1호는 봉화 재래식 방풍에 비해 고유특성상 근피색이 황갈색이고

근형태는 직립원추형이며 엽색은 진녹색을 지니고 착엽부위는 뿌리 부분에서 총생함으로써

규격품 생약재 생산에 유리한 품종이다.

나. 가변특성

<표 2> 가변특성

품종명

초 장

(cm)

경 장

(cm)

종실중

(kg/10a)

엽 수

(매)

주근장

(cm)

근두직경

(mm)

식방풍1호

59.5

104

51.3(123)

6.1

27.5

27.2

봉화식방풍

59.4

97

41.7(100)

5.8

31.4

25.7

육성된 식방풍 1호 가변특성을 살펴보면 식방풍 1호는 봉화식방풍과 초장은 비슷하고

주근장은 3.9cm로 짧았으나 경장은 7cm길고 엽수는 주당 0.3매 많았으며

근두직경은 1.5mm굵었고 종실중은 23% 증수되었다.

다. 재해 및 병충해 저항성

<표 3> 재해 및 병충해 저항성

품종명

탄저병

내습성

내서성

토양선충

도복

식방풍1호

중강

봉화식방풍

중강

중강

봉화지방 식방풍에 비해 식방풍 1호의 병충해 및 도복성 등 내재해성의 시험조사 결과를 살펴보면

식방풍 1호는 탄저병, 도복성, 토양선충 등에 대한 내성은 봉화식방풍과 대등하였으나

내습성과 내서성이 강하며 특히 여름 고온기에 하고현상이 일어나지 않고

수확기까지 왕성한 생육을 계속하는 품종이어서 규격품 생약재 생산에 적합한 품종이라 할 수 있겠다.

라. 품질특성

<표 4> 품질특성

품 종 명

건조감량(%)

엑스함량(%)

회분함량(%)

조회분

산불용회분

식방풍 1호

6.2

35.0

5.99

0.92

봉화식방풍

6.3

34.0

6.58

1.13

식방풍 1호의 화학적 품질 특성으로는 봉화식방풍 대비 엑스 함량은 35.0%로 1.0% 많았으며

생근 중량에 비해 건조 감량은 식방풍 1호가 6.2%로서 봉화 식방풍과 큰차이가 없었으나

대한생약 규격 건조감량 10%미만이었고 회분 함량과 산불용성 회분 함량은

각각 0.59%, 0.29% 낮게 함유된 품종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떄 식방풍 1호는

대한약전 규격외 한약규격집(지와 이등, 1988)에 규정된 규격치인

물 엑스함량 30%이상, 묽은에타놀 엑스함량 18%이상, 조회분 함량 7%이하,

산불용성 회분 2.0%이하여서 생약재로 이용시 안전성과 유효성에 아무런 문제가 없는 양질근이었다.

마. 수량성

<표 5> 생산력검정시험 (’92~’93, 경북)

품종명

종실중

(㎏/10a)

건근수량

(㎏/10a)

지 수

식방풍 1호

51.3

383

124

봉화식방풍

41.7

309

100

<표 6> 지역적응시험 (’94~’95, 경북)

시험장소

품종명

건근수량

(㎏/10a)

지 수(%)

대 구

식방풍 1호

135

112

봉화식방풍

121

100

안 동

식방풍 1호

126

109

봉화식방풍

116

100

울 진

식방풍 1호

131

112

봉화식방풍

117

100

평 균

식방풍 1호

131

111

봉화식방풍

118

100

<표 7> 농가실증시험 (’95, 경북)

품종명

수 량(㎏/10a)

지 수(%)

안 동

울 진

평 균

안 동

울 진

평 균

식방풍 1호

126

131

129

109

112

110

봉화식방풍

116

117

117

100

100

100

신품종 백지 1호의 육성과정에서 조사한 수량성은

대구 경북농촌진흥원 포장에서 1992년부터 1993년까지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 비교 검정시험결과 식방풍 1호의 생근수량은 383㎏/10a로

대비품종으로 공시한 봉화식방풍 보다 24%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구, 안동, 울진지방에서 1994~1995년까지 2개년간 실시한 지역적응시험 결과도

식방풍 1호의 건근수량은 131㎏/10a으로서 봉화식방풍보다 11%증수하였으며,

1995년에안동과 울진에서 실시한 농가실증시험 결과도 식방풍 1호의 건근수량은 129㎏/10a으로서

봉화식 방풍보다 10% 증수되어 다수확의 우량품종으로 확인되었다.

3. 적응지역

식방풍 1호는 경북지방 식방풍 재배지역에 잘 적응하는 우량품종이지만

식질토양에서는 뿌리가 옆으로 자라므로 이러한 토양은 피하고

질소질 비료의 과용은 지상부생육의 과번무로 장마 후 흰가루병의 발생을 유발하므로

적정시비에 유의해야 하며 채종을 목적으로 재배시에는

결과기의 건조를 피할 수 있는 수리안전포장을 선택해야한다.

4. 재배상의 유의점

뿌리가 옆으로 뻗으므로 식질토양 재배는 피해야하고,

채종목적 재배시에는 결실기 한발을 피할 수 있는

수리안전포장 선택하며 질소질 과용은 지상부생육의 과번무로

장마후 백분병 발생이 심하므로 적정시비에 유의하여야한다.

품종육성 담당자 및 연락처

경북농업기술원 구미화훼시험장 (TEL : 054-482-0031)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식방풍이란?

갯기름나물 Peucedanum japonicum Thunberg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로 규정하고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이 식방풍을 전호라는 약재로 사용합니다.

중국에서 기원식물로 규정하는 방풍은

Saposhnikovia divaricata Schischkin (산형과 Umbelliferae)의 뿌리로

별명으로 관방풍(關防風) 또는 동방풍(東防風)이라고도 부릅니다.

식방풍은 어떻게 사용되게 되었나?

중국의 방풍이 수입이 금지되었던 시절에 이를 대신하기 위해

사용했던 갯기름나물이 식방풍이라는 이름으로 유통되기 시작해

지금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식방풍 vs 중국 방풍

방풍은 원래 그 효능상 해표약에 속해

피부로 혈액을 몰아주는 역할을 하는데,

반면 식방풍은 가래를 삭히는 약으로 사용됩니다.

그래서 방풍은 식방풍 보다는 중국방풍을 사용하는게 맞습니다.

식방풍은 엇썰어서 단면이 밝은 아이보리색에 정유띠를 볼수 있고

중국 방풍은 색이 어둡고 직각의 형태로 잘라서 유통되는게 차이점입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오늘 소개할 약초는 방풍입니다.

말 그대로 바람(風)을 막아준다(防)는 의미입니다.

 

한의학에서 바람은 좀 특이한 표현입니다.

아마도 해부학이 발달의 한계때문에

이렇게 표현했을거라고 생각이 드는데요

 

바람은 보이진 않지만

움직이는 성질을 유추해서

인체에 대입한 단어입니다.

 

중풍이라는 단어는 바람에 맞았다라는 의미입니다.

가운데 중은 다른말로 관통하다, 맞다 라는 뜻이 있습니다.

 

[식방풍]

 

잎은 나물로도 많이들 드시는데요.

약용부위는 뿌리입니다.

시장에서는 방풍이 유통되는 종류가 세가지 정도 있습니다.

 

식방풍-재배방풍

해방풍-바닷가에서 자라는 방풍, 원방풍이라고도 불립니다.

중국방풍-생김새가 전혀 다른 중국산 방풍

(이것들은 나중에 다시한번 따로 포스팅 하도록 하겠습니다.)

 

방풍의 약재기원은 중국산 방풍이 맞다고는 하지만

중국하고의 수교가 이뤄지기 전에는  수입이 되지않아

국내에서는 식방풍과 해방풍이 약재로서 사용이 되었고

지금도 사용하고 있습니다.

 

[식방풍]

 

방풍은 이미 와버린 중풍에는 효과를 보기가 어렵고

중풍이 오기전의 전조증상

즉 몸이 뻣뻣하다던지, 저리는 증상에

사용하면 효과를 보실수 있습니다.

 

하루 복용량은 4~8g 정도로 꾸준히 끓여서

드시면 중풍예방에 좋을듯 합니다.

 

참고로 바람을 지금의 과학으로 풀이해보자면

바람은 압력의 차이로 발생합니다.

우리몸의 혈액은 일정부분의 압력을

각 부위마다 유지해야 하는데..

이 일정한 압력의 비율이 깨질때

나타나는 증상들을 바람(風)이라고 부른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긴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__)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