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5

« 2024/5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728x90

만성 소화불량으로 내원하다

2010년도 10월에 80대 여자환자가 6년된 소화불량으로 내원하였다.

환자의 표현으로는 “안 가본 병원이 없고 안 먹어본 소화제가 없다”는 것이었다.

비교적 체격이 좋은 여환이었으며

입맛이 없다고(음식의 맛을 잘 못 느낀다고 했던 기억이 난다) 하였고

대변은 변비가 조금 있다고 하였다.

오래된 소화불량이고 위장의 움직임이 떨어진 것으로 판단하고 胃虛로 변증,

반하백출천마탕 보험한약을 5일분 처방하였다.

침은 맞기 싫다고 하여 따로 침치료는 하지 않았다.

4일 뒤에 다시 내원하였는데 속이 뻥 뚫린 것처럼 좋다는 것이다.

그래서 반하백출천마탕 보험한약을 다시 4일분 처방하였다.

그런데 8일쯤 뒤에 다시 내원해서

“그 약을 먹으니 다리에 힘이 빠져 걷기 힘들다”고 호소하여서

반하백출천마탕이 너무 하기시키는 효과가 강하다고 판단하여

삼출건비탕 보험한약으로 바꿔서 2일분 처방하였다.

삼출건비탕은 변비를 악화시켜

삼출건비탕 보험한약 처방 후에는

다리에 힘이 빠지지도 않고 속도 편하다고 하였다.

그리고 삼출건비탕을 6일분 정도 더 처방해드리고 치료가 중지됐다.

다음해 1월 중순에 다시 내원하였는데

다시 삼출건비탕 보험한약을 처방받으러 내원하였다.

그러면서도 “속이 뻥 뚫리는 느낌은 반하백출천마탕이 좋다”고 하여

간혹 복용할 수 있도록 반하백출천마탕 보험한약도 3~4 봉지 함께 처방하였다.

그렇게 삼출건비탕을 5일분씩 2번 처방을 했는데,

이번에는 “변비가 더 심해진다”고 호소하였으며

삼출건비탕 보험한약이 腸燥便秘를 악화시켰다고 판단하여

원내에서 따로 만들어둔 자음건비탕 환약을 처방하였다.

자음건비탕 환약은 잘 맞는다고 하였으며

특히 방귀가 뿡뿡 시원하게 잘 나온다고 하였다.

자음강화탕 환약은 2주일분 정도가 한 통으로 되어 있는데,

그 후로도 3월달에 한번 8월달에 한번 속이 불편하다면서 처방받았었다.

반하백출천마탕과 삼출건비탕 그리고 자음건비탕

반하백출천마탕은 육군자탕에서 감초가 빠지고

맥아, 신곡, 창출, 황기, 천마, 택사, 건강, 황백 등이 가해진 처방이다.

육군자탕이 보다 허증에 사용할 수 있다면

반하백출천마탕은 보다 실증에 사용할 수 있다.

반하백출천마탕의 구성약물의 용량 역시

반하, 진피, 맥아, 등이 첩당 1錢半으로 君藥으로 되어 있어

‘扶正’보다는 ‘拒邪’ 쪽에 조금 더 비중이 실려 있는 처방이라 할 수 있으며

‘昇淸’보다는 ‘降濁’의 역할이 더 큰 처방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여환의 경우 필자가 “입맛이 전혀 없다”는 호소를

처음에 대수롭게 여기지 않아 반하백출천마탕을 처방한 것이

下氣를 시켜서 다리에 힘이 빠지는 결과로 이어진 것 같다.

그 다음으로 처방한 삼출건비탕은

인삼, 백출, 백복령, 후박, 진피, 산사육, 지실, 백작약, 사인, 신곡, 맥아, 감초, 생강, 대조

총 14가지 약물로 구성된 처방으로 燥濕健脾하는 대표적인 처방이라고 할 수 있다.

삼출건비탕은 ‘降濁’보다는 ‘昇淸’하는 역할이 더 큰 처방이기에

“입맛이 전혀 없다”고 호소하면서 소화가 안 되는 환자에게 적당한 처방이라고 볼 수 있다.

하지만 삼출건비탕은 ‘조습건비’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飮食無味와 함께 大便 이 있는 경우에 적절하지만

상기 여환 처럼 대장이 건조해서 생긴 腸燥便秘를 악화시켰으며,

마지막으로 처방이 된 자음건비탕은 육군자탕에 당귀, 백작약, 건지황, 맥문동 등

음혈을 보하는 약재들이 함께 처방되어 脾虛하면서도

장이 조한 여환에게 가장 적절한 선택이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준우 / 경기 탑마을경희한의원 원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감기 후 위장기능저하에 삼출건비탕

2010년도 여름에 30대 중반의 여자환자가 감기를 호소하면서 내원했다.

한 달 전부터 목이 아프고 누런 콧물이 나와서 이비인후과 치료를 받았으며,

인후통과 비류탁체는 호전되었으나 그 후에 기침을 하고 목이 간질간질해서

큰 병원에서 치료하다가 호전이 없자 본원에 치료받으러 내원하였다.

기침은 야간에 심했으며,

편도도 약간 부어 있어 풍열증으로 진단하고

연교패독산 보험한약을 3일분 처방했다.

2일후에 내원해서는 큰 차도가 없다고 했고

추위를 많이 타고 얼굴이 창백한 환자라 풍한+허증으로 변증을 변경하고

삼소음 보험한약을 3일분 처방했다.

그 후로 40일쯤 후에 다시 내원하였는데,

삼소음 보험한약을 복용하고 감기는 호전되었다고 했다.

하지만 10일전부터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 되며,

배가 살살 아프고 대변이 묽게 나온다고 호소했다.

그래서 비허증으로 변증을 하고 삼출건비탕 보험한약을 3일분 처방했다.

3일후에 내원해서는 증세가 많이 호전되었다고 하였으며,

삼출건비탕 보험한약을 5일분 다시 처방했다.

그 후 이 환자는 병원에서 오랜 기간 치료가 안 되던 감기가

보험한약으로 경제적 부담 없이 치료가 잘됐다며

주변 이웃이나 가족들을 많이 소개해주었다.

삼소음과 소청룡탕

한 번은 한의사 선생님들 대상으로 강의를 하다가 이런 질문을 받은 적이 있다.

“삼소음과 소청룡탕의 적응증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나요?”

그래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답을 했다.

감기초기에 부교감신경이 흥분해서 나타나는

secretion 위주의 감기인 경우 풍한감모라고 할 수 있는 반면,

누런 콧물이나 편도종창 중이염 등 화농성 염증으로 발전하여

항생제 처방을 고려하게 되는 경우는 풍열감모에 해당될 수 있다.

그래서 secretion 위주의 풍한감모에는 소청룡탕을 처방한다면

화농성 염증 위주의 풍열감모에는 연교패독산이나 형개연교탕을 처방한다.

급성 열성 염증, 즉 풍열감모는 시간이 지나면서

사기의 세력이 약해짐과 동시에 인체의 면역력이 떨어지고

만성화되면서 차가운 염증으로 바뀌게 된다.

그리고 그 증상들도 飮食無味 喀淸痰 咳嗽 등으로 변해 가는데

이때가 삼소음이 적당한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요컨대 소청룡탕과 삼소음 모두 풍한이라고 변증할 수 있지만

소청룡탕은 secretion 위주의 감기에 쓴다면

삼소음은 개체의 면역력이 약해서(허증) 차가운 염증으로 바뀐 경우에 처방할 수 있다.

소청룡탕은 풍한증 즉 실증이지만

삼소음은 풍한+허증 즉 실증과 허증이 겸해진 상태라고 볼 수 있다. (표 참조)

상기 환자의 경우는 변증이 뚜렷하지 않아서

우선 風熱로 변증을 하고 연교패독산을 선택하였지만 차도가 없었고,

양방에서 염증을 가라앉히는 약물투여를 오랜 기간 처방받은 후에

虛寒型 염증으로 바뀐 것으로 판단하여 삼소음으로 변경해서 효과가 좋았던 케이스이다.

삼출건비탕

삼출건비탕은 인삼, 백출, 백복령, 후박, 진피, 산사육, 지실, 백작약,

신곡, 맥아, 사인, 감초, 생강, 대조 등 14가지 약물로 구성된 처방이다.

동의보감에는 ‘비를 건장하게 하고 위를 기르고 음식을 運化한다’고 되어 있다.

실제 임상에서는 상기 환자와 같이 감기나 급성 위장질환 후에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 되며, 배가 살살 아프고 대변이 묽게 나온다”고 호소할 때

삼출건비탕의 적증이라고 볼 수 있다.

특히, 胃虛와 구분되는 脾虛의 특징은 飮食無味와 大便 이라고 할 수 있어

상기환자의 경우 삼출건비탕으로 효과를 볼 수 있었다.

이준우 / 경기 탑마을경희한의원 원장

출처 : 민족의학신문(http://www.mjmedi.com)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구성

인삼(人蔘), 백출(白朮), 복령(茯笭), 후박(厚朴), 산사(山査), 진피(陳皮) 각 3g

백작약(白芍藥), 지실(枳實), 사인(砂仁), 신국(神麴) 각 2.4g

맥아(麥芽), 감초(甘草) 각 1.5g

생강3편, 대추2개

 

해설

평소에 몸이 약하고, 소화관 운동능은 저하되어 있고,

소화효소의 분비는 부족하여 기운이 없고,

소화관에 있는 내용물이 잘 배출되지 않고,

소화효소의 분비 저하로 소화가 안되어 배에 가스가 차고,

복통과 소화관점막의 부종으로 구토가 있을 때:

* 에너지대사를 촉진하여 기운을 생기게 하고

* 소화관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내용물의 배출을 촉진하고

* 소화효소를 가하여 소화를 증진한다.

* 이뇨작용을 소화관의 부종을 개선한다.

 

적용증상

1. 기운이 없고, 식사 후 항상 소화가 안되며 소화제를 먹는 습관이 있다.

2. 헛배가 부르고 식욕이 없으며 가스가 찬다

3. 트림이 나고, 속이 메스껍기도 하고 구역이 있기도 하며 설사를 하기도 한다.

 

약리작용

1. 인삼, 백출은 소화관의 Pace maker를 강화하여 소화관 운동능을 증진한다.

2. 인삼, 복령, 백출, 작약, 감초는 에너지대사를 강화하여 기운을 생기게 한다.

3. 신국, 맥아는 소화효소제로써 작용하여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소화를 증진한다..

4. 진피, 산사는 담즙분비를 촉진하여 소화관에서 지방의 분해를 증진하며 소화관의 운동능을 강화한다.

5. 산사, 후박, 지실, 진피, 사인은 소화관의 연동운동능을 강화하여 음식물의 배출을 촉진한다.

6. 사인, 생강은 소화관벽의 혈류를 증진하여 연동운동능을 강화한다.

7. 백출, 복령은 소화관점막의 부종으로, 구역 구토감이 있을 때 이뇨작용을 하여 부종을 완화한다.

8. 작약, 후박은 소화관경련을 억제한다.

 

응용

1. 위무력증환자의 만성소화불량과 소화불량성 설사와 구토.

2. 만성식체

3. 위무력증(胃無力症), 만성설사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