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상륙 - 자리공 뿌리, 일명 장녹뿌리]

 

 

상륙이란?

자리공 Phytolacca esculenta Houttuyn 또는

미국자리공 Phytolacca americana Linné (상륙과)의 뿌리이다.

일명 장불로(長不老)라고도 한다.

맛은 쓰고(苦),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비, 방광(脾, 膀胱)이다.

약리작용

1.뿌리는 동물실험에서 이뇨작용과 핏줄 확장 작용이 있다.

2.뿌리 팅크는 적은 양에서 진정작용이 있으며 많은 양에서 경련을 일으킨다.

3.피톨락카톡신은 호흡기점막에 대한 자극작용과 함께 호흡운동을 흥분시키고

혈압을 높이는 작용이 있으며 많은 양에서는 중추신경의 마비,

호흡 및 운동기능장애, 심장마비를 일으키는 피크로톡신과 비슷한 경련독이다.

주치(主治)

1. 사하이수(瀉下利水): 간경화로 복수가 있을 경우

①. 수종(水腫) ②. 고창(鼓脹) ③. 황달(黃疸)

2. 소종산결(消腫散結)

①. 외옹(外癰) ②. 창양수종(瘡瘍水腫) ③. 후비(喉痺)

금기

소화기가 약해 잘 붓는 사람과 임산부에게는 사용금지.

참고사항

머리에 비듬에 져서 바른다.

민간에서 잉어에 빨간 팥에 넣어서 쓴다.

수종(水腫)에 외용으로 식초와 소금에 개어서 사용하라.

 

상륙 중독증상과 해독법

 

"본품은 독이 있어 잘못 복용하면 중독을 일으킨다.

일반적으로 복용 후 20분~3시간 내에 발병하고

경도 내지 중도의 체온 상승이 있었으며

심박동이 빨라지고 호흡 횟수가 증가되고

오심, 구토, 복통, 설사를 일으키고 계속하여

현기증, 두통이 생기고 언어가 불분명해지고

헛소리를 하며 몸을 가누지 못하거나 서 있을 수 없게 된다.

또한 소아 경련을 일으키고 황홀해지며

심지어 의식이 불명재지고 동공이 산대(散大)되고

빛에 반응하지 못하게 되며 슬개 반사가 항진하고

대소변 실금이 생기게 된다.

의식 불명 상태에서 깨어날 때까지 걸리는 시간은

짧게는 11시간, 길게는 31시간에 달한다.

대량으로 투여하면 중추 신경이 마비되고

호흡 운동에 장애를 일으키며 혈압이 하강하고 심근 마비로 사망한다.

임산부가 많은 양을 복용하면 유산될 우려가 있다.

경도의 위장관 반응은 3~5일이 지나면 저절로 소실된다. 일

반적으로 지지 요법과 대증(對證)요법을 실시해야 한다.

민간에서 실시할 수 있는 구급 치료 방법은

생감초(生甘草), 생녹두(生綠豆) 37.5~75g을 짓찧어서

뜨거운 물에 풀어서 복용하거나 달여서 복용한다." [중약대사전]

 

 

 

① 자리공은 반드시 법제하여 쓰며 하루 쓰는 양은 2~4g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법제는 식초에 불구어 볶거나 식초에 삶아서 말린다.

 

② 임신부나 허약한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임상보고

1.혈소판 감소성 자반(紫斑)(임상보고)

마른 뿌리를 얇게 썰어서 30분간 달여서 100%의 탕재로 농축시킨다.

첫회에는 30ml를 복용하고 이후에는 1일 3회, 1회 10ml씩 복용한다.

또는 하루 복용량을 성인은 12~30g, 소아는 7.5~11g으로 하고 3~4시간 달여서 독성을 약화시킨다.

100% 탕제로 21례를 치료한 결과 1례에서는 치료 효과가 없었으며

나머지는 모두 2~4일 이내에 자반(紫斑)이 서서히 없어졌고

코피, 치은(齒齦: 이치, 잇몸은&간) 출혈이 호전되었다.

간혹 사지(四肢)에 산재성(散在性)의

침으로 찌른 듯한 새로운 출혈점이 나타난 병례도 다소 있었다.

반 수의 병례는 복용 후 2주일 전후에 혈소판수가 정상적인 범위로 돌아왔으나

부환자에게서 기복이 있었고 그 중에는 회복되지 않은 환자도 있었다.

9례의 환자의 골수를 다시 검사한 결과

6례의 환자의 거핵(巨核) 세포에서 혈소판이 형성되었는데

이는 골수의 병변을 완해하는 작용이 있음을 말해 주는 것이다.

이 외에도 알레르기성 자반(紫斑),

각혈 등에 대하여도 양호한 효과가 있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2. 신염 및 주혈흡충증, 간경화로 인한 복수(임상보고)

자리공, 택사(澤瀉), 두충(杜仲)을 각각 113g씩 취하여

깨끗이 씻고 얇게 썰어 뜨거운 물에 1~2시간 담가서 약한 불에 두 번 달여

여과액을 합쳐 농축시키고 사당(砂糖)과 방부제를 가해

300ml의 자리공 합제를 만든다.

1일 3회, 성인은 1회에 10~15ml,

어린이나 여위고 쇠약한 사람 및 위장이 허약한 환자는 복용량을 적당히 줄여 식후에 복용한다.

동시에 식염과 수분을 제한한다.

만성 신염(腎炎) 9례 및 간경변 8례를 1~6개월간 관찰한 결과

8례의 만성 신염에 효과가 있었고 5례의 간경변에서

소변량이 증가되고 복수가 경감되었다.

만성 신염에서 만기 환자를 제외하고는

대부분 소변량이 증가되고 수종이 경감되거나 소실되었다.

소변량의 증가는 대개 복용 후 2~4일부터 시작하여

2주일 전후로 최고에 이르고 20일쯤 지나 점차 감소되었다.

이 때 일단 복용을 중지하였다가 4~6일 후 다시 쓰면 소변량이 다시 점차 증가되었으나

수종이 소실된 후에는 소변량이 별로 증가하지 않았다.

이외에 자리공 3.75g, 오화육(五花肉: 삼겹살) 75g에

물 400ml를 가하여 300ml가 되게 달인 것을

하루 복용량으로(고기는 먹지 않는다)하고 세 번에 나누어 복용하면

급. 만성 신염 및 기타 원인에 의한

수종, 복수에도 모두 효과가 있었으며 부작용은 없었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3. 만성 기관지염(임상보고)

자리공 신선한 뿌리 1500g을 깨끗이 씻어 조각으로 썰어

물 1,500ml를 넣고 약한 불에 2시간 달이고 찌꺼기를 버린 후

봉밀(蜂蜜) 150g을 가해 600ml의 시럽으로 농축시킨다.

또는 신선한 뿌리를 깨끗이 씻고 썰어서 시루에 넣고

1시간 찐 후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에 쬐어 말려 절구에 빻은 가루를

꿀로 버무려 1개의 무게가 11g(순수한 가루 5g을 함유한다)인 환제로 만든다.

1회에 시럽 20ml나 환제 1환을 1일 3회 복용하며

10일을 1치료 기간으로 하고 2~3치료 기간을 연속하여 복용한다.

또는 각 치료 기간 사이의 간격을 3~5일로 한다.

치료한 682례에서 372례가 환제를 복용하였는데

단기간 내 치유가 147례, 현효가 128례였다.

시럽을 복용한 310례 가운데 단기간에 치유된 것이 30례, 현효가 있었던 것이 84례였다.

양자의 임상 치유율은 모두 합쳐 25%으로 현효율은 31%였다.

본품의 주요한 작용은 거담이고 그 다음은 지해(止咳), 평천(平喘)이다.

치료 기간 종료 후 치료 효과는 점차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이 있었고

복용 중지 후 117일이 지난 환자를 추적 조사한 98례 중 재발한 경우는 13례(13%)였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견우자]

 

 

견우자란?

나팔꽃 Pharbitis nil Choisy 또는

둥근잎나팔꽃 Pharbitis purpurea Voigt (메꽃과)의 잘 익은 씨이다.

종자의 색에 따라 흑색인 것을 흑축(黑丑)이라 하고,

백색인 것을 백축(白丑)이라 하며

두 개가 혼합된 것을 이축(二丑)이라 하는데 현재는 같은 것으로 보고 있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신,대장,소장(肺, 腎, 大腸, 小腸)이다.

주치(主治)

1. 사수소종(瀉水消腫)

간경화로 인한 복수: +대극(大戟), 감수(甘遂)로 복수에 찬 물을 빼냄.

2. 사하통변(瀉下通便); 만성변비

3. 살충소적(殺蟲攻積)

용량

4.5-9g

기타

*약재를 통째로 사용한다.( 위에서 소화가 안되게 하여 대장에서 작용을 하게 함)

*술로 설사, 구통, 현기증에 사용하며

*팔다리 붓는 사람에게 사용하며 장종양 초기에 대황(大黃)과 같이 사용한다.

*대변을 못 보는 경우에는 대황(大黃)을 가미.

*만성소화불량을 해소하는 소화제 용도로도 사용한다(소체환).

임상응용

 

1. 사하(瀉下), 이뇨작용이 있어 몸이 붓거나 복수(腹水)가 찼을 때에 효력이 강하므로

만성신염으로 몸이 붓고 간경화로 복수(腹水)가 찼을 때

분말을 만들어 생강즙에 혼합하고 대추와 설탕으로 환을 만들어서 복용한다.

 

2. 담습(痰濕)이 폐(肺)에 정체되어 일어나는 해소, 천식에도 유효하며,

완고한 변비에 대황(大黃)과 같이 환을 만들어서 쓴다.

 

3. 장내(腸內) 기생충제거에도 빈랑(檳榔)과 같이 복용한다.

 

약리작용

팔비틴은 장관(腸管)내에서 담즙(膽汁)과 장액(腸液)이 만나면 분해되어

장관의 연동작용을 증가시켜 강력한 사하(瀉下)작용을 나타낸다.

일정한 회충구제작용도 있다.

 

임상연구

전간(癲癎)에 환을 지어서 3개월 복용으로 만족할 만한 효력을 얻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원화 - 팥꽃나무]

 

 

원화란?

팥꽃나무 Daphne genkwa Siebold et Zuccarini (팥꽃나무과)의 꽃봉오리이다.

맛은 맵고(辛), 쓰며(苦), 성질은 따뜻하다.(溫),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비,폐,방광(脾, 肺, 膀胱)이다.

주치(主治)

1. 사수축음(瀉水逐飮): +대극(大戟), 감수(甘遂)를 가미하여 복수를 제거

①. 풍수핍람(風水泛濫)

②. 수습만적(水濕浸漬)

③. 담습해천(痰濕咳喘)

④. 적취흉격(飮聚胸隔)

-->수분대사가 이뤄지지 않아 몸 어느곳에 정체되어 붓거나 부풀어 오르는 경우

2. 행기통맥(行氣通脈)

①. 학모(虐母)

②. 혈징(血癥)

* 학모(虐母) : 열이 있을때 음식을 먹으면 소화가 되지 않아 갑갑한 느낌이 드는것.

용량

2~4g

금기

허약자와 임산부에게는 사용금지.

*원화의 독성

원화는 한약재중 독성이 강한 약재이다.

원화를 복용시 가공을 제대로 하지 않았거나

과량을 투여했을 경우 극심한 설사와 복통이 수반한다.

신체에 원기가 왕성하지 않은 사람이 복용하게 되면

그 부작용이 배가 되므로 주의하여 복용하며

원화는 감초와 같이 사용하면 수분을 배출하는 작용은 약화되나

반대로 독성은 증가하므로 감초와는 같이 쓰지 않는다.

복용시에는정확히 가공된 것을 사용해야 하며 너무 많은 양을 복용하지 않도록 한다.

원화의 독성성분으로 phorbol ester 화합물인

genkwadaphnin, 12-benzoxydaphnetoxin이 분리 되어져 있으며,

강한 세포독성과 피부 염증유발 물질로 알려져 있다.

*원화추출물 90일 투여 독성시험(한국화학시험연구원)

원화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한 90일간의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수행을 위한 기초자료를 확인하기 위하여 14일간의 용량결정시험을 실시하였고,

90일간 암·수 F344 랫드를 이용하여 16.2,54, 180, 600 및 2,000 mg/kg의 용량으로

90일 경구 반복투여 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일반증상,사료 및 음수 섭취량, 부검소견과 혈액학적검사에서는

특이한 소견이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학적소견의 경우 Total bilirubin 수치가

수컷은 600, 2000㎎/㎏ 투여군에서 증가,

암컷은 600, 2000㎎/㎏ 투여군에서 감소되는 상반되는 결과를 보였다.

체중의 경우 고용량군에서 10, 11, 12, 13주째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감소가 관찰되었고

이 결과는 사료섭취 및 음수의 증감이 연관되어있지않아

투여에 의한 영향일 가능성이 높으며,

2000/㎏ 투여군에서 간장의 무게가 증가한 점이

표적장기일 가능성이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전독성시험의 경우 복귀돌연변이 시험결과

원화추출물의 복귀돌연변이 유발성은 음성으로 판정되었다.

염색체 이상시험결과 대사활성법 적용시 음성,

대사활성화법 미적용시에 ChineseHamster Lung (CHL/IU)배양세포에 대해

염색체이상을 유발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소핵시험결과 소핵유발빈도에 있어서

음성대조군과 비교시 유의성 있는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대극]

 

 

대극이란?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대극과)의 뿌리이다.

대극에는 대극과의 대극과 꼭두서니과의 대극으로 나뉘는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CP에는 전자를 경대극(京大戟) Euphorbiae pekinensis Radix으로,

후자를 홍대극(紅大戟) Knoxiae Radix로 수재하고 있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신(肺, 脾, 腎)이다.

주치(主治)

1. 사수축음(瀉水逐飮): 강력한 이뇨, 설사 작용

①. 정음흉협(飮停胸肋): 복수(腹水), 흉수(胸水), +감수(甘遂)와 같이 사용한다.

②. 음복태음(飮伏太陰): 설사와 구토(下利嘔逆), 두통, 심하비경만(心下痞硬滿), 인협하통(引肋下痛)

--> 간경화로 인해 복수가 찬 상태

2. 소종산결(消腫散結)

①. 적취(積聚)

②. 나력(瘰癧)

③. 경옹(頸癰)

④. 액옹(腋癰)

--> 임파선 종양

① 얼굴과 전신이 부었을 때, 복부 수종 및 흉협부의 수분 정체를 내린다.

②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경부 림프절염에도 유효하다.

③ 간경화로 복수(腹手) 즉 배에 물이 찼을 때에도 단미로 달이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대극의 독성

1회 복용량 1.5g을 초과하면

메스껍고 어지러우며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고 입 안이 마르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주의사항

반드시 법제하여

독성을 없애거나 약하게 해야 하며

쓰는 양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누렇게 볶거나 2시간 이상 쪄서 쓰되

하루 2~3g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 허약한 사람,

콩팥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단종으로는 거의 쓰지 않으며 법제하여 다른 약과 섞어 쓰는데

감초와는 배합금기이므로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배합예

1. +목향(木香): 축수축음(逐水逐飮)

2. +감수(甘遂), 백개자(白芥子): 장부습제거(臟腑濕除去)

3. +대추(大棗): 이수(利水)<--보조적인 역할

4. +양강(干姜): 몸이 차고 부종이 생기는 경우

임상보고

① 급만성 신우신염 수종에 1회 1g씩 1일 2회 복용한다.

② 말기 간디스토마로 복수가 찼을 때나,

간경화로 복수가 찼을 때 이 약물 0.6~0.9g을 격일로 복용한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감수]

 

 

감수란?

감수(甘遂) Euphorbia kansui Liou ex Wang (대극과)의

코르크층을 벗긴 덩이뿌리이다.

맛은 쓰고 달며(苦, 甘), 성질은 차갑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신,대장(肺, 脾, 腎, 大腸)이다.

약리작용

① 감초와 배합하면 독성 물질이 증가되고,

② 항염증, 이뇨, 사하(瀉下), 감심작용이 나타난다.

주치(主治)

1. 준하설수(峻下泄水): 강력하며 수종을 치료한다.

①. 통리소변(通利小便): 대소변이 나오지 않는 경우

②. 사수소종(瀉水消腫)

③. 공축수열(攻逐水熱)

④. 이수제창(利水除脹): 복수

⑤. 공수파혈(攻水破血)

2. 조담축음(滌痰逐飮)

①. 공하리도(攻下利導): 변비

②. 축수거음(逐水祛飮)

③. 축음지해(逐飮止咳)

④. 조담정전(滌痰定癲)

3. 소종산결(消腫散結)

4. 완급지통(緩急止痛 )

5. 해치사독(解治蛇毒)

--> 위의 주치들은 모두 몸에 수분이 지나치게 많고 순환이 되지 않아

발생하는 증상들을 의미합니다. 폐쪽에 있으면 가래나 가슴이 답답하거나

숨이 쉬어지지 않는 증상, 아래에 있으면 대소변이 나오지 않거나

복수가 차는 경우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금기

허약하거나 소화기가 약한사람, 오린 지병으로 몸이 약해진 경우

임산부에게는 사용 금지.

배합예

1. +감초(甘草): 대변 못 보고 몸이 붓는 경우

2. +견우자(牽牛子): 복수

3. +대황(大黃): 오래된 변비

4. +원화, 대극(莞花, 大戟): 강력한 이뇨작용.

5. +백개자(白芥子): 가래제거, 가슴과 명치가 답답한 경우

임상보고

① 소변을 못 볼 때 가루를 내어 내복하자 소변양이 증가되었으며,

② 복부의 중극혈(中極穴)에 30분간 붙이자 배뇨(排尿)효과가 현저하였다.

p.s: 기타

*소변을 못보고 전신이 붓는 이에게 대극(大戟)을 사용한다.

*감수의 법제법

일반적으로 생재료를 그대로 쓰면 토하게 되며 심한 설사를 일으킨다.

그 원인은 기름이 많기 때문이라고 보았다.

독성을 없앨 목적으로 감초를 넣고 법제하였는데

감초와 감수는 오래 전부터 서로 반대되는 약으로 알려지고 있다.

감수의 약리작용기전, 특히 그의 독풀이 정도에 대해서는 밝혀내지 못하였다.

 

실험연구 자료들에 의하면

동물실험에서 생재료는 심한 설사작용이 있었고 독작용도 세게 나타났다.

이 작용은 알코올 우림약에서 나타났다.

그런데 열처리한 재료에는 이런 부작용이 없었다.

결국 독성분은 열에 불안정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감수 뿌리를 쓸 때 반드시 법제하여야 한다.

 

① 약재를 잘 고르고 물로 깨끗이 씻은 다음 2~3mm로 잘라서 잘 말린다.

 

말린 약재가 충분히 열을 받을 수 있도록 닦는다.

닦을 때에는 약재와 조개껍데기 가루 같은 양을 가마에 넣고

높은 열을 고루 받도록 계속 저어 주어야 한다.

약재 속까지 익은 다음에 꺼내어 조개가루는 버리고 약재를 잘 털어서 쓴다.

 

② 감수 뿌리를 말렸다가 가루내어 먹는 양을 조절하여 쓸 수 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욱리인]

 

 

욱리인이란?

이스라지 Prunus japonica Thunberg

또는 양이스라지나무 Prunus humillis Bunge (장미과)의 씨이다.

CP에는 “구리(歐李) Prunus humillis Bunge,

욱리(郁李) Prunus japonica Thunberg 또는

장병편도(長柄扁桃) Prunus pedunculata Maximowicz의 잘 익은 씨이다.

앞의 두 종류를 소이인(小李仁)이라 하고

뒤의 한 종을 대이인(大李仁)이라 한다.”라 하였다.

맛은 맵고(辛), 쓰다(苦).

다른 기록에는 달고(甘), 평(平)하다고도 한다.

작용장부는 대장과 소장(大腸, 小腸)이다.

주치(主治)

1. 윤장통변(潤腸通便)

①. 장조변비(腸燥便秘)

②. 혈허변비(血虛便秘): 당귀를 가미한다.

2. 이수소종(利水消腫): 몸의 붓기를 빼지만 약하다.

①. 대복수종(大腹水腫): 복수

②. 소변불리(小便不利): 소변이 시원하게 나오지 않는 경우

③. 음사옹폐(飮邪壅閉): 담이 결리는 경우

④. 습열황달(濕熱黃疸): 황달

⑤. 각기(脚氣) : 다리에 힘이 없는 경우

3. 파혈소종(破血消腫)

①. 기혈옹삽(氣血壅澁)

②. 흉비(胸痺): 가슴이 답답한 경우

용량

12~15g

주의사항

임산부와 진액이 부족한 자에게는 사용금지.

배합예

1. +호마인(胡麻仁-참깨): 진액부족으로 인한 변비

2. +빈랑(檳榔), 상백피(桑白皮): 이수소종(利水消腫)-몸이 붓는 경우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화마인, 마자인]

 

 

마자인이란?

 Cannabis sativa Linné (뽕나무과)의 잘 익은 열매이다.

화마인(火麻仁)이라고도 한다.

마인은 씨로 보이지만 식물학적으로는 삼의 수과(瘦果)이다.

약리작용

1. 혈압강하

2. 해독작용: 다량복용했을 때

맛은 달고(甘), 성질은 평(平)하다

작용장부는 비, 위, 대장(脾, 胃, 大腸 )이다.

주치(主治)

1. 윤조활장(潤燥滑腸): 기름이 있고 장 운동을 촉진

2. 보익허로(補益虛勞): 강하지 않다. 노인변비, 열병변비, 씨앗=> 기름으로 윤활작용 한다.

①. 허로(虛勞): 소화장애에는 라복자를 가미한다.

용량

3~20g

주의사항

평소 장이 좋지 않아 설사를 하는 사람에겐 사용하지 않는다.

배합예

1. +욱리인(鬱季仁): 습관성변비

2. +과루인(瓜蔞仁): 마른기침, 변비

3. +행인(杏仁): 장조(腸燥)변비, 기체변비(氣滯便秘)

p.s: 아는 분들은 삼계탕을 할때 이 마자인을 넣어서 먹기도 했는데요.

지금은 환각성분을 가진 겉껍질을 제거한 햄프씨드를 사용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노회]

 

 

노회란?

Aloe barbadensis Linné, Aloe ferox Miller, Aloe africana Miller

또는 Aloe spicata Baker의 잡종 (백합과)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일명 Aloe라고도 한다. -->알로에잎에서 얻은 액즙을 건조한 것.

노회는 신노회(新蘆薈 )로 불리우는 희망봉노회(Cape Aloe)와

노노회(老蘆薈 )로 불리는 큐라소노회(Curacao Aloe)로 나뉘는데

전자는 가시노회 Aloe ferox Miller, 아프리카노회 Aloe africana Miller,

수상화서노회 Aloe spicata Baker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고

후자는 발바도스노회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vera Linné)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다.

약리작용

1. 사하작용(瀉下作用)

2. 상처유합작용

3. 항암작용

4. 항균작용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 심, 비장(肝, 心, 脾)이다.

주치(主治)

1. 량간청심(凉肝淸心)

①. 간화항성(肝火亢盛): 만성 급성간염 단방치료

②. 심화내성(心火內盛): 빈혈증

③. 소아경풍(小兒驚風): 아이들 경기, 경련

2. 살충료감(殺蟲療疳): 장내 기생충 살충

①. 소아감적(小兒疳積)

②. 소아충적(小兒蟲積)

-->기생충 감염으로 영양실조와 배가 불러오는 증상.

3. 설하통부(泄下通腑)

①. 열결변비(熱結便秘)

②. 적체변비(積滯便秘)

-->습관성 변비 치료(+대황 가미)

용량

1.5~4g

배합예

1. +주사(朱砂): 외용약(피부)

2. +사군자(使君子): 살충

3. +감초(甘草): 피부질환, 머리 부스럼, 궤양

참고사항

습관성변비, 급성간염으로 인한 불면증, 고열로 인한 경련에 사용.

소량을 사용할 경우 소화를 촉진하며 부인에게는 주로 월경이 끊어진 증상에 사용

비염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위축성 비염 임상보고

먼저 2% 테트라카인을 적신 솜을 주사부위에 5~10분 붙여 놓은 다음

20% 알로회침출액을 양측의 하비갑개선단(下鼻甲介先端)의 점막에 주사한다.

주사의 깊이는 주사한 부분의 점막이

창백한 수종상을 이루는 것을 한도로 하며 양측에 각각 2ml씩 주사한다.

주사후 탈지면으로 주사부위를 가볍게 눌러 출혈을 방지한다.

매주 1회씩 4회 치료를 1치료기간으로 한다.

1치료기간 치료 29례, 1치료기간 이상 6례, 1치료기간 미만 13례,

합게 48례를 관찰한 결과 2례는 1회 주사만으로

비강내가 상쾌하게 되고 건조감이 감소되었으며 코막힘이 없어졌다.

24례는 주사 2~3회 주사 후 현운(眩暈), 두통, 악취가 경감 또는 소실되었고

딱지가 감소하여 콧물이 묽게 되고 코가 모두 상쾌하게 되었다.

주사 15회만에 증상이 개선된 사람도 있었다.

대다수 환자의 결가(結痂: 코딱지), 악취, 현운(眩暈), 두통 등의

주요 증상은 모두 다 각기 정도는 다르지만 개선되었다.

그러나 소수에서는 무효였다.

치료중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