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대극(大戟)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사하약(瀉下藥)2020. 7. 31. 09:03
대극이란?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echt (대극과)의 뿌리이다.
대극에는 대극과의 대극과 꼭두서니과의 대극으로 나뉘는데
이를 구별하기 위하여
CP에는 전자를 경대극(京大戟) Euphorbiae pekinensis Radix으로,
후자를 홍대극(紅大戟) Knoxiae Radix로 수재하고 있다.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다(寒),
독성이 있고(有毒), 작용장부는 폐,비,신(肺, 脾, 腎)이다.
주치(主治)
1. 사수축음(瀉水逐飮): 강력한 이뇨, 설사 작용
①. 정음흉협(飮停胸肋): 복수(腹水), 흉수(胸水), +감수(甘遂)와 같이 사용한다.
②. 음복태음(飮伏太陰): 설사와 구토(下利嘔逆), 두통, 심하비경만(心下痞硬滿), 인협하통(引肋下痛)
--> 간경화로 인해 복수가 찬 상태
2. 소종산결(消腫散結)
①. 적취(積聚)
②. 나력(瘰癧)
③. 경옹(頸癰)
④. 액옹(腋癰)
--> 임파선 종양
① 얼굴과 전신이 부었을 때, 복부 수종 및 흉협부의 수분 정체를 내린다.
② 종기, 피부가 헐어 생긴 발진, 경부 림프절염에도 유효하다.
③ 간경화로 복수(腹手) 즉 배에 물이 찼을 때에도 단미로 달이거나 가루를 내어 복용한다.
대극의 독성
1회 복용량 1.5g을 초과하면
메스껍고 어지러우며 가슴 속이 답답하고 편안치 않아서
팔다리를 가만히 두지 못하고 입 안이 마르는 부작용이 나타난다
주의사항
반드시 법제하여
독성을 없애거나 약하게 해야 하며
쓰는 양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누렇게 볶거나 2시간 이상 쪄서 쓰되
하루 2~3g을 초과하지 말아야 한다.
임신부, 허약한 사람,
콩팥장애가 있는 사람에게는 쓰지 말아야 한다.
단종으로는 거의 쓰지 않으며 법제하여 다른 약과 섞어 쓰는데
감초와는 배합금기이므로 함께 쓰지 말아야 한다.
배합예
1. +목향(木香): 축수축음(逐水逐飮)
2. +감수(甘遂), 백개자(白芥子): 장부습제거(臟腑濕除去)
3. +대추(大棗): 이수(利水)<--보조적인 역할
4. +양강(干姜): 몸이 차고 부종이 생기는 경우
임상보고
① 급만성 신우신염 수종에 1회 1g씩 1일 2회 복용한다.
② 말기 간디스토마로 복수가 찼을 때나,
간경화로 복수가 찼을 때 이 약물 0.6~0.9g을 격일로 복용한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사하약(瀉下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견우자(牽牛子) (0) | 2020.08.07 |
---|---|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원화(莞花) (0) | 2020.08.05 |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감수(甘遂) (0) | 2020.07.29 |
윤하약(潤下藥)-욱리인(郁李仁) (0) | 2020.07.24 |
윤하약(潤下藥)-마자인(麻子仁) (0) | 2020.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