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하약(瀉下藥) - 노회(蘆薈)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사하약(瀉下藥)2020. 7. 18. 09:04
노회란?
Aloe barbadensis Linné, Aloe ferox Miller, Aloe africana Miller
또는 Aloe spicata Baker의 잡종 (백합과)의 잎에서 얻은 액즙(液汁)을 건조한 것이다.
일명 Aloe라고도 한다. -->알로에잎에서 얻은 액즙을 건조한 것.
노회는 신노회(新蘆薈 )로 불리우는 희망봉노회(Cape Aloe)와
노노회(老蘆薈 )로 불리는 큐라소노회(Curacao Aloe)로 나뉘는데
전자는 가시노회 Aloe ferox Miller, 아프리카노회 Aloe africana Miller,
수상화서노회 Aloe spicata Baker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고
후자는 발바도스노회 Aloe barbadensis Miller(= Aloe vera Linné)
또는 그 잡종이 기원이다.
약리작용
1. 사하작용(瀉下作用)
2. 상처유합작용
3. 항암작용
4. 항균작용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장부는 간, 심, 비장(肝, 心, 脾)이다.
주치(主治)
1. 량간청심(凉肝淸心)
①. 간화항성(肝火亢盛): 만성 급성간염 단방치료
②. 심화내성(心火內盛): 빈혈증
③. 소아경풍(小兒驚風): 아이들 경기, 경련
2. 살충료감(殺蟲療疳): 장내 기생충 살충
①. 소아감적(小兒疳積)
②. 소아충적(小兒蟲積)
-->기생충 감염으로 영양실조와 배가 불러오는 증상.
3. 설하통부(泄下通腑)
①. 열결변비(熱結便秘)
②. 적체변비(積滯便秘)
-->습관성 변비 치료(+대황 가미)
용량
1.5~4g
배합예
1. +주사(朱砂): 외용약(피부)
2. +사군자(使君子): 살충
3. +감초(甘草): 피부질환, 머리 부스럼, 궤양
참고사항
습관성변비, 급성간염으로 인한 불면증, 고열로 인한 경련에 사용.
소량을 사용할 경우 소화를 촉진하며 부인에게는 주로 월경이 끊어진 증상에 사용
비염에 사용하는 경우가 있음.
위축성 비염 임상보고
먼저 2% 테트라카인을 적신 솜을 주사부위에 5~10분 붙여 놓은 다음
20% 알로회침출액을 양측의 하비갑개선단(下鼻甲介先端)의 점막에 주사한다.
주사의 깊이는 주사한 부분의 점막이
창백한 수종상을 이루는 것을 한도로 하며 양측에 각각 2ml씩 주사한다.
주사후 탈지면으로 주사부위를 가볍게 눌러 출혈을 방지한다.
매주 1회씩 4회 치료를 1치료기간으로 한다.
1치료기간 치료 29례, 1치료기간 이상 6례, 1치료기간 미만 13례,
합게 48례를 관찰한 결과 2례는 1회 주사만으로
비강내가 상쾌하게 되고 건조감이 감소되었으며 코막힘이 없어졌다.
24례는 주사 2~3회 주사 후 현운(眩暈), 두통, 악취가 경감 또는 소실되었고
딱지가 감소하여 콧물이 묽게 되고 코가 모두 상쾌하게 되었다.
주사 15회만에 증상이 개선된 사람도 있었다.
대다수 환자의 결가(結痂: 코딱지), 악취, 현운(眩暈), 두통 등의
주요 증상은 모두 다 각기 정도는 다르지만 개선되었다.
그러나 소수에서는 무효였다.
치료중 부작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중약대사전(中藥大辭典)]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사하약(瀉下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준하축수약(峻下逐水藥)-감수(甘遂) (0) | 2020.07.29 |
---|---|
윤하약(潤下藥)-욱리인(郁李仁) (0) | 2020.07.24 |
윤하약(潤下藥)-마자인(麻子仁) (0) | 2020.07.21 |
사하약(瀉下藥) - 망초(芒硝) (0) | 2020.07.14 |
사하약(瀉下藥) - 대황(大黃) (0) | 2020.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