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밀몽화]

 

맛은 달고(甘), 성질은 차며(寒)

작용장부는 간(肝)입니다.

주치(主治)

1. 청간퇴예(淸肝退翳): 눈충혈, 눈염증, 눈물이 흐르는 경우, 햇빛을 못보는 경우

2. 양간명목(養肝明目): 간경락에 작용, 눈의 영양부족으로 인해 시력이 떨어지는 경우

3. 소풍양혈청열(疏風凉血淸熱): 간 기능저하로 인한 시력감소

 

용량: 3~6g

 

 

배합예

1. +곡정초, 석결명, 청상차:안과 질환

p.s: 밀몽화는 많이 사용하는 약재는 아닙니다.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약이 많기 때문이지요.

보통 눈의 염증에는 구기자, 결명자, 국화가

가장 많이 사용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곡정초]

 

맛은 맵고 달며(辛, 甘), 성질은 서늘합니다.(凉)

작용장부는 간과 위(肝, 胃)입니다.

 

주치(主治)

1. 거풍산열(祛風散熱): 풍열로 인한 증상. 즉 염증을 치료

①. 풍열두통(風熱頭痛)

②. 치통(齒痛)

③. 후비(喉痺): 인후염

④. 풍열창개(風熱瘡疥):피부발진과 부스럼

⑤. 풍기비통(風氣痺痛):팔다리 움직임의 감각이나 운동이 부자연스러운 경우

2. 명목퇴예(明目退翳):

소산두부풍열(疏散頭部風熱), 치풍열목질(治風熱目疾)

-눈과 관련된 염증질환에 사용, 햇빛이 눈이 부셔서 보지 못하는 경우, 눈충혈

-결명자, 국화, 청상자를 같이 사용

 

용량: 9-12g

 

주의사항

안색이 창백한데 눈에 염증이 있는 경우는 사용하지 않음.

 

배합예:

1. +밀몽화(密蒙花): 두통과 안질환

2. +석결명(石決明): 눈의 염증으로 인해 사물이 흐려보일 때

염증으로 인해 안구에 물차는 중심성심안질환에 효과가 좋음.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압적초 - 닭의장풀]

 

 

맛은 달고(甘), 성질은 차며(寒)

작용장부는 심, 간, 담, 폐, 대장(心, 肝, 膽, 肺, 大腸)입니다.

주치(主治)

1. 청열해독(淸熱解毒)

①. 자시(痄腮) : 유행성이하선염

②. 단독(丹毒) : 피부발진

③. 정창(疔瘡) : 도드라진 피부질환

④. 인후종통(咽喉腫痛)

⑤. 장학(瘴瘧) : 학질

2. 청열이뇨(淸熱利尿):급성간염에 효력

①. 황달(黃疸)

②. 열리(熱痢): 열성 설사

③. 백대(白帶): 대하

3. 이뇨소종(利尿消腫)

①. 수종(水腫)

②. 임증(淋證):열로 인해 소변을 못 보고 소변 통증과 짧음

4. 량혈지혈(凉血止血)

①. 축혈(衄血) : 코피

②. 토혈(吐血)

③. 뇨혈(尿血)

④. 혈붕(血崩):자궁출혈

약리작용

1.자궁수축

2.혈관수축

3.혈액응고시간 단축

용량:9-15g

주의사항

몸에 열이 있고 계속된 열이 있을 경우

마르고 차고 혈압이 낮은 자는 복용금지

배합예

1. +우방자(牛蒡子): 인후염으로 인한 통증

2. +인진(茵陳): 황달

3. +청대(靑黛): 코피, 각혈로 피를 토하는 경우

4. +대계(大薊): 지혈

p.s: 닭의 장풀이라는 이름을 가진 식물을 압적초로 봅니다.

사용빈도가 워낙에 낮아 시중에 유통되는 양 자체가 적습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성질은 차가우며(寒)하며,

작용장부는 심장, 위장, 신장(心, 胃, 腎)입니다.

약리작용

1. 체온을 낮추는데 영향을 줍니다.

2. 인체의 면력력에 영향

3. 심혈관계통에 영향

p.s: 중약대사전에서는 약리작용에 대한 부분이

나오질 않네요. 이부분은 검증이 필요하다고 보여집니다.

주치(主治)

1. 청열강화(淸熱降火)

①. 시행열병(時行熱病):유행성 전염병

②. 위열구갈(胃熱口渴):전염성 질환으로 인한 고열과 갈증

2. 량혈산어(凉血散瘀)

①.치육(齒衄): 잇몸출혈

②.단독(丹毒): 열로 인해서 피부에 발진이 생기는 경우-구워서 가루내어서 식초에 개어 바름

p.s: 한수석은 화상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데,

구워서 가루를 낸 후에 화상부위에 바릅니다.

하지만 요즘은 이런 방법을 사용하지는 않겠지요.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주의사항

허약한 경우, 소화기능이 약해 설사를 하는 경우,

기침과 피를 토하는 증상이 있는 경우에는 주의합니다.

p.s:한수석은 종류가 두가지인데 방해석과 석고로 나뉩니다.

방해석은 중국의 남방지역에서 사용되어

남한수석이라고 불리며 탄산칼슘을 주로 함유하고

석고는 중국의 북방지역에서 사용되어

북한수석이라고 불리며 주로 황산칼슘을 함유하고 있습니다.

시중에 유통되는 것은 대부분 방해석입니다.

반면 중약대사전에는 한수석은 망초(약재)가

자연스럽게 뭉쳐진 결정체로 규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게 아무래도 기원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을 듯 합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맛은 달고 담담하며(甘, 淡),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장부는 심장, 위장, 신장, 소장(心, 胃, 腎, 小腸) 입니다.

약리작용

1. 해열작용

2. 이뇨작용

3. 혈당치를 낮추는 작용

4. 항균작용: 抑菌作用

주치(主治)

1. 청심제번(淸心除煩)

가슴에 열이 올라 답답하고 잠을 못자는 경우.

2. 청열해독(淸熱解毒)

구내염 , 혓바늘이 생기는 경우.

치아와 잇몸의 통증에 가글용으로 사용.

3. 이뇨통림(利尿通淋)

소변을 눌때 요도가 뜨거운 느낌이 들고 소변이 탁하고 거품이 생길 때

4. 청열화담(淸化熱痰)

누런 가래가 자주 생길 때

용량:6-15g

주의사항

임산부에게는 금기

p.s: 본초학 서적에서는 죽엽과 담죽엽을 나눠서 기술하지만

실제 유통에서는 이 둘의 차이를 두진 않습니다.

시장에 돌아다니는 죽엽은 대부분 담죽엽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죽엽으로 채취하는 대나무는 약초꾼들 사이에서는

[시릿대]라고 부르는데 이는 고려조릿대라는 식물로 생각이 됩니다.

죽엽과 담죽엽의 차이점은 육안으로는 불가능하며

현미경을 통해서 잎을 구성하는 세포의 크기로만 가능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하고초 꿀풀]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장부는 폐와 담, 간(肺, 膽, 肝)입니다.

약리작용

1. 혈압강하작용

2. 항균작용: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주치(主治)

1. 청간사화(淸肝瀉火)

안구출혈, 혈압이 높은 경우

2. 청열산결(淸熱散結)

①. 나력(瘰癧): 임파선염으로 인해 물혹이나 종양 생기는 경우

②. 영류(癭瘤): 목주위와 겨드랑이 밑의 덩어리(임파선을 따라 생기는 종양)

③. 유옹(乳癰):유방염(패모와 백지를 가미)

용량 6-15g

 

주의사항

소화기가 약하고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는 주의해야합니다.

 

배합예

1. +반하(半夏),패모(貝母): 물혹이나 덩어리가 있는 경우

2. +충울자(茺蔚子, 익모초씨앗):눈의 통증과 시력감소에 사용

3. +결명자(決明子), 구기자(枸杞子), 밀몽화(密蒙花): 눈의 충혈, 두통

p.s: 하고초는 꿀풀을 말린것으로

늦여름 색이 누렇게 변한 것을 약초로 사용합니다.

원래는 꽃대만을 사용해야 하지만

국산은 줄기까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구요.

하고초는 임파선(림프관)을 따라 생기는 혹이나 덩어리

그리고 종양에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혹이 생기는 부위의

임파선이 주로 목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이 임파선을 따라 혹이 생기면 그 모습이 염주와 같아

연주창이라 부릅니다.

꼭 혹이나 덩어리가 아니더라도

목의 염증이나 귀 아래가 아프다면

하고초를 끓여서 드시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치자]

 

맛은 쓰고 성질은 차가우며(苦, 寒)

작용 장부는 심, 간, 폐, 위, 신, 방광(心, 肝, 肺, 胃, 腎, 膀胱)입니다.

약리작용

1. 담즙분비 촉진장용

2. 진정, 진통 작용(알코올 추출물)

3. 혈압강하작용

4. 항균작용-뇌막염쌍구균, 개선균, 황색포도상구균

주치(主治)

1. 청투울열(淸透鬱熱)

①. 허번불득면(虛煩不得眠): 가슴이 답답하고 열이 올라 잠을 못자는 경우

+산조인(山棗仁)20g, 치자 4-6g

*귀비탕이나 온담탕에 가미해서 신경과민에 사용

2. 사열이습(瀉熱利濕): 염증으로 인한 열이 나는 경우

+인진(茵陳): 급성간염, 황달, 옆구리 통증

3. 량혈지혈(凉血止血): 초(炒)한 경우 지혈시키는 기능이 높아진다.

+지유(地楡): 혈리(血痢-피가 나오는 설사)

4. 소종지통(消腫止痛):

+ 황백(黃柏): 타박이나 염좌로 인해 부어오를 때 분말을 내어 환부에 붙임

주의사항

위장기능이 약하거나 설사를 자주하는 사람에게는 주의.

배합예

1. +향시(香豉-발효시킨 콩):불면

2. +후박(厚朴): 가슴이 답답해 열이 나는 경우

3. +황백(黃柏): 청열이습(淸熱利濕)

4. +인진호(茵陳蒿):급성황달로 소변을 못보고 열이 나는 경우

:
Posted by 약초세상
728x90

[죽엽]

 

맛은 맵고 달며, 담담한 맛이 있고(辛, 甘, 淡),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 장부는 심,폐,담,위(心, 肺, 膽, 胃)입니다.

주치(主治)

1. 청열제번(淸熱除煩): 심장에 들어가서 울증을 제거

*고열이나 병이 낫고 난 후 남은 미열과 갈증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위치로 치받아 오를 때

*스트레스로 인한 혓바늘이 생길 때

*편도선염

*눈충혈과 혈압이 올라감

2. 생진이뇨(生津利尿)

*당뇨로 인한 갈증

*열로 인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뜨거운 느낌이 있을 때

3. 화담지해(化痰止咳): 기침과 가래

4. 강역지구(降逆止嘔): 위 또는 심장의 열로 인해 속이 미식거리거나 구토가 날 때

용량

6-12g

배합예

1. +하경(荷梗-연잎줄기): 淸心

2. +생석고(生石膏): 폐열(肺熱)로 인한 기침

3. +죽여(竹茹):심중번열(心中煩熱)-가슴속이 뜨거우면서 열이 나는 느낌이 들때

처방예시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p.s: 1.죽엽은 대나무잎으로 통칭하지만 실제로 유통되는 죽엽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왕대속: 왕대(참대), 오죽(검정대, 흑죽), 분죽(분검정대, 솜대), 죽순대(죽신대, 맹종죽)

해장죽속: 문주조릿대, 해장죽이 있으며,

조릿대속: 조릿대, 갓대, 고려조릿대(신의대, 신이대), 이대, 자주이대, 섬조릿대(섬대), 제주조릿대(탐나산죽)

하지만 이 중에서 죽엽으로 유통되는 것은

해안가에서 자라는 신의대로 추정됩니다.

이걸 약초꾼들은 시릿대라고 부릅니다.

대나무 자체가 얇아 자르기 쉽기 때문에 선호합니다.

죽여(대나무 속껍질)의 경우는 담양에서

대나무공예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껍질을 모아서

국산 죽여로 유통됩니다.

속껍질을 채취하면 색이 아이보리색을 띄는데 반해서

겉껍질은 푸른색을 띄어 이 두가지 색이 섞여 있습니다.

2.죽엽은 만성간염에 효과를 보인게 보고되어 있습니다.

만성(慢性) 간염(肝炎) 환자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남자 24예, 여자 24예이며 나이는 31∼40세가 24예,

41∼50세가 6예, 51세 이상이 18예였다.

발병기간을 보면 1∼3년이 20예, 4년 이상이 28예였다.

[치료방법]여름철에 채취하여 말린 산죽(山竹)의 줄기와 잎을

3∼5㎝ 길이로 썰어 물을 붓고 24시간 동안 달여 거르고(1액)

찌꺼기에 물을 붓고 다시 달여 2액을 낸다.

이것을 합치고 졸여서 1 : 1의 달인 약을 만든다.

이 약을 1번에 2㎖씩 하루 3번 식사 30분 전에 먹이는 방법으로

2개월 동안 쓰는 것을 1치료주기로 한다.

[치료결과]산죽(山竹) 달인 약을 쓴 후 대체로 3∼5일부터

이뇨효과(利尿效果)가 나타나고 뒤따라 소화기증상(消化器症狀)과

간부위(肝部位) 통증(痛症), 출혈(出血)이 없어지거나 좋아졌다.(유효율 87.5%)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