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2

« 2025/2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728x90

[죽엽]

 

맛은 맵고 달며, 담담한 맛이 있고(辛, 甘, 淡),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 장부는 심,폐,담,위(心, 肺, 膽, 胃)입니다.

주치(主治)

1. 청열제번(淸熱除煩): 심장에 들어가서 울증을 제거

*고열이나 병이 낫고 난 후 남은 미열과 갈증

*가슴이 답답하면서 열이 위치로 치받아 오를 때

*스트레스로 인한 혓바늘이 생길 때

*편도선염

*눈충혈과 혈압이 올라감

2. 생진이뇨(生津利尿)

*당뇨로 인한 갈증

*열로 인해서 소변이 잘 나오지 않고 뜨거운 느낌이 있을 때

3. 화담지해(化痰止咳): 기침과 가래

4. 강역지구(降逆止嘔): 위 또는 심장의 열로 인해 속이 미식거리거나 구토가 날 때

용량

6-12g

배합예

1. +하경(荷梗-연잎줄기): 淸心

2. +생석고(生石膏): 폐열(肺熱)로 인한 기침

3. +죽여(竹茹):심중번열(心中煩熱)-가슴속이 뜨거우면서 열이 나는 느낌이 들때

처방예시

죽엽석고탕(竹葉石膏湯)

p.s: 1.죽엽은 대나무잎으로 통칭하지만 실제로 유통되는 죽엽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합니다. 예를 들어보자면

왕대속: 왕대(참대), 오죽(검정대, 흑죽), 분죽(분검정대, 솜대), 죽순대(죽신대, 맹종죽)

해장죽속: 문주조릿대, 해장죽이 있으며,

조릿대속: 조릿대, 갓대, 고려조릿대(신의대, 신이대), 이대, 자주이대, 섬조릿대(섬대), 제주조릿대(탐나산죽)

하지만 이 중에서 죽엽으로 유통되는 것은

해안가에서 자라는 신의대로 추정됩니다.

이걸 약초꾼들은 시릿대라고 부릅니다.

대나무 자체가 얇아 자르기 쉽기 때문에 선호합니다.

죽여(대나무 속껍질)의 경우는 담양에서

대나무공예품을 만드는 과정에서 나오는 껍질을 모아서

국산 죽여로 유통됩니다.

속껍질을 채취하면 색이 아이보리색을 띄는데 반해서

겉껍질은 푸른색을 띄어 이 두가지 색이 섞여 있습니다.

2.죽엽은 만성간염에 효과를 보인게 보고되어 있습니다.

만성(慢性) 간염(肝炎) 환자 48예를 대상으로 하였는데

남자 24예, 여자 24예이며 나이는 31∼40세가 24예,

41∼50세가 6예, 51세 이상이 18예였다.

발병기간을 보면 1∼3년이 20예, 4년 이상이 28예였다.

[치료방법]여름철에 채취하여 말린 산죽(山竹)의 줄기와 잎을

3∼5㎝ 길이로 썰어 물을 붓고 24시간 동안 달여 거르고(1액)

찌꺼기에 물을 붓고 다시 달여 2액을 낸다.

이것을 합치고 졸여서 1 : 1의 달인 약을 만든다.

이 약을 1번에 2㎖씩 하루 3번 식사 30분 전에 먹이는 방법으로

2개월 동안 쓰는 것을 1치료주기로 한다.

[치료결과]산죽(山竹) 달인 약을 쓴 후 대체로 3∼5일부터

이뇨효과(利尿效果)가 나타나고 뒤따라 소화기증상(消化器症狀)과

간부위(肝部位) 통증(痛症), 출혈(出血)이 없어지거나 좋아졌다.(유효율 87.5%)

:
Posted by 약초세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