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11. 28. 09:04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하고초(夏枯草)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청열약(淸熱藥)2019. 11. 28. 09:04
728x90
맛은 쓰고 매우며(苦, 辛), 성질은 차갑습니다.(寒)
작용장부는 폐와 담, 간(肺, 膽, 肝)입니다.
약리작용
1. 혈압강하작용
2. 항균작용: 포도상구균, 연쇄상구균
주치(主治)
1. 청간사화(淸肝瀉火)
안구출혈, 혈압이 높은 경우
2. 청열산결(淸熱散結)
①. 나력(瘰癧): 임파선염으로 인해 물혹이나 종양 생기는 경우
②. 영류(癭瘤): 목주위와 겨드랑이 밑의 덩어리(임파선을 따라 생기는 종양)
③. 유옹(乳癰):유방염(패모와 백지를 가미)
용량 6-15g
주의사항
소화기가 약하고 기운이 없는 사람에게는 주의해야합니다.
배합예
1. +반하(半夏),패모(貝母): 물혹이나 덩어리가 있는 경우
2. +충울자(茺蔚子, 익모초씨앗):눈의 통증과 시력감소에 사용
3. +결명자(決明子), 구기자(枸杞子), 밀몽화(密蒙花): 눈의 충혈, 두통
p.s: 하고초는 꿀풀을 말린것으로
늦여름 색이 누렇게 변한 것을 약초로 사용합니다.
원래는 꽃대만을 사용해야 하지만
국산은 줄기까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구요.
하고초는 임파선(림프관)을 따라 생기는 혹이나 덩어리
그리고 종양에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혹이 생기는 부위의
임파선이 주로 목에 많이 분포하기 때문에
이 임파선을 따라 혹이 생기면 그 모습이 염주와 같아
연주창이라 부릅니다.
꼭 혹이나 덩어리가 아니더라도
목의 염증이나 귀 아래가 아프다면
하고초를 끓여서 드시면 호전되는 경우가 많으니
활용해보시기 바랍니다.
'약초분류(용도 위주로 정리) > 청열약(淸熱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한수석(寒水石) (0) | 2019.12.05 |
---|---|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담죽엽(淡竹葉) (0) | 2019.11.30 |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치자(梔子) (0) | 2019.11.25 |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죽엽(竹葉) (0) | 2019.11.21 |
[약초세상]청열사화약(淸熱瀉火藥)-천화분(과루근) (0) | 2019.11.19 |